KR102159907B1 -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 Google Patents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07B1
KR102159907B1 KR1020200073048A KR20200073048A KR102159907B1 KR 102159907 B1 KR102159907 B1 KR 102159907B1 KR 1020200073048 A KR1020200073048 A KR 1020200073048A KR 20200073048 A KR20200073048 A KR 20200073048A KR 102159907 B1 KR102159907 B1 KR 10215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hinge
bending member
fixed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박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우 filed Critical 박종우
Priority to KR102020007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는, 제 1 수용공이 관통된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 부재 측 내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1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 부재와, 상기 제 1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절곡 연장에서 제 2 절곡 부재 및, 상기 제 2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3 절곡 부재로 이루어진 1쌍의 고정 힌지를 구비한 고정부; 제 2 수용공이 관통된 작동 본체와, 상기 작동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편 측 외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2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편과, 상기 제 1 절곡편의 단부에서 상기 작동 본체 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2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1쌍의 작동 힌지를 구비한 작동부; 상기 제 1,2 수용공 각각에 걸리도록 라운딩지게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EYEGLASS FRAMES WITH FUNCTIONAL WELD-FREE HINGES}
본 발명은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나사와 볼트 또는 별다른 용접 없이 안경테의 프레임과 레그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결과적으로 내구성을 증강할 수 있는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주지의 사실과 같이 안경은 크게 안경 렌즈와 이를 감싸 착용자의 코과 귀에 접촉하는 안경테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안경테는 안경렌즈를 감싸는 안경 프레임과, 탈착의 편의성을 위해 이 안경 프레임에서 접철되는 레그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레그의 접철성을 보장하도록 안경테는 힌지를 구비하는데 공지의 힌지는 안경 프레임에 용접되어 있거나 아니면 힌지 부위가 나사, 볼트와 같은 패스너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용접 방식으로 장착된 힌지는 용접 자체의 불편함과 제작비용 상승 문제는 물론 용접에 의해 그 주변 부위가 불필요하게 열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따르며, 패스너 체결 구조의 힌지는 장시간 사용 시 나사가 풀려 레그가 이탈될 우려가 따르는 문제가 발생되곤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용접 방식의 안경테가 다양한 세부 구조를 가지면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용접 안경테에 대한 선행기술 중 하나인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8-0017824호인 무용접 및 무볼트 조립형 안경경첩은 고정측 힌지부와 작동측 힌지부로 구성되어 장식겸용 걸고리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절곡에 의해서 탄성편이 구성되고 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된 구멍으로 장식겸용 걸고리가 결합되어 경첩을 서로 연결시켜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첩의 부품 갯수를 줄이는 동시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조에 의하면, 고정측 힌지부 및 작동측 힌지부의 구조가 은근히 복잡하여 이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될 수 있다는 개연성이 따를 뿐 아니라 고정측 힌지부와 작동측 힌지부 간의 접촉 부위가 좁고 타이트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들을 작동하기 위한 정상적 방향의 힘이 아니라 이로부터 비틀린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본연의 힌지 기능을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따른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유연성을 가져 정상적인 힌지 기능을 보장할 뿐 아니라 내구성까지 강화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무용접 안경테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 힌지와 작동 힌지의 다단 절곡된 세부 구성 간 접촉을 통해 힌지 기능을 구현하면서 이들 간의 불완전한 접촉으로 정상적 힌지 기능을 저해하는 문제를 탈피할 수 있는 안정적인 힌지 구조를 구비한 무용접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 힌지와 작동 힌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쉽사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힌지와 작동 힌지의 작동 관계에서 발생되는 힘이나 불필요한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결과적으로 안경테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는, 제 1 수용공이 관통된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 부재 측 내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1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 부재와, 상기 제 1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절곡 연장에서 제 2 절곡 부재 및, 상기 제 2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3 절곡 부재로 이루어진 1쌍의 고정 힌지를 구비한 고정부; 제 2 수용공이 관통된 작동 본체와, 상기 작동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편 측 외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2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편과, 상기 제 1 절곡편의 단부에서 상기 작동 본체 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2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1쌍의 작동 힌지를 구비한 작동부; 상기 제 1,2 수용공 각각에 걸리도록 라운딩지게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라운딩지게 연장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양 단에서 절곡 연장된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제 1,2 수용공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작동부의 단부의 중앙 측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진입된 지점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 및 작동부는, 단부의 중앙 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된 스페이스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에 의하면,
1)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힌지 작동 시 뻣뻣하게 세부 부위가 접촉하여 불완전하게 회동 또는 접철되는 문제를 탈피할 수 있고,
2) 각 세부 구성 간의 불필요한 이격이나 이탈 문제를 차단시키면서 안정적인 힌지 작동을 보장하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3) 힌지 작동 시 또는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 이를 적절하게 분산 내지 흡수하여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스페이스에 커넥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안경테는 공지의 안경에서 안경 프레임의 일부(접속부)와 레그의 조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안경테는 크게 도 1에서는 생략된 안경 렌즈를 감싸는 부위를 포함한 안경 프레임 중에서 레그와의 접속 부위라 할 수 있는 고정부(100)와, 일반적으로 레그라 명명하는 작동부(200) 및, 이 고정부(100)와 작동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안경테의 주요 특징은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작동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때 별다른 용접 작업이나 볼트/너트와 같은 패스너의 체결 없이 연결부를 통해 간편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기계성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후속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안경테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부(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경렌즈를 감싸는 안경 프레임에서 레그, 즉 작동부(200)와 연결되기 위해 일정 길이로 절곡 연장된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작동부(200)의 회동을 보장하기 위한 힌지의 일부(즉, 고정 힌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는 크게 고정 본체(110)와 고정 힌지(120)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본체(110)는 안경렌즈를 감싸는 안경 프레임에서 작동부(200)와 연결되도록 일정 길이로 절곡 연장된 부위로서, 공지의 안경테에서 흔히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고정 본체(110)는 공지의 안경 프레임과 달리 일 측에 제 1 수용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수용공(111)은 고정 본체(110)의 임의의 부위에 관통될 수 있고 도 2에서는 하나로 관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관통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 1 수용공(111)은 고정 본체(110)의 단부(작동부와 연결되는 측단)에서 안경 프레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진입된 부위에서 관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1 수용공(111)은 고정 본체(110)의 폭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그 폭의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후술하겠지만 이를 통해 안정적인 연결부(300)와의 결합 관계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 제 1 수용공(111)은 원형, 타원형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관통될 수 있으나 연결부와의 안정적인 걸림/고정 관계를 보장할 수 있도록 각진 모서리 부위를 갖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바, 도 2에서는 사각 형상을 예시하였다.
고정 힌지(120)는 고정 본체(110)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된 2개(1쌍)의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3번에 걸쳐 절곡 연장된 세부적인 부재를 포함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 1 내지 제 3 절곡 부재(121,122,123)라 한다.
제 1 절곡 부재(121)는 고정 본체(110)의 단부 양 측 각각에서 하방(즉, 고정 본체의 연장 면을 수평 면이라 할 때 아래 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때, 제 1 절곡 부재(121)의 연장 길이는 후술할 작동 힌지(220)의 제 1 절곡편(221)에 상응한데 안경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처리될 수 있으나 개략적으로 3 내지 15 mm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 1 절곡 부재(121)의 넓은 면을 차지하는 평탄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 제 1 절곡 부재(121)의 오른쪽 아래 측 모서리 부위 및 우측 제 1 절곡 부재(121)의 왼쪽 모서리 부위가 파여 있는바, 다시 말해 1쌍의 절곡 부재(121)에서 제 2 절곡 부재(122)와의 경계 부위의 내측(서로 마주보는 방향 측) 모서리 부위가 파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제 1 수용 홈(121a)이라 한다.
또한, 제 2 절곡 부재(122)는 제 1 절곡 부재(121)의 단부(끝단)에서 외측(즉, 고정 본체의 연장 방향이자 작동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로서, 이 역시 안경테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1 절곡 부재(121)와 비슷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절곡 부재(123)는 제 2 절곡 부재(122)의 단부(끝단)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부위이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절곡 부재(121,122,123)를 일반적인 X(길이)-Y(높이)-Z(폭)이라는 3축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예시하면, 제 1 절곡 부재(121)는 Y축 방향, 제 2 절곡 부재(122)는 X축 방향, 제 3 절곡 부재(123)는 Z 축 방향으로 연장되었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제 1 내지 제 3 절곡 부재(121,122,123)는 서로 같은 축을 공유하지 않고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하였지만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절곡 부재(121,122,123)는 2개씩, 즉 1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1쌍의 제 3 절곡 부재(123)는 서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는데, 이 공간은 1쌍의 제 1,2 절곡 부재(121,122) 역시 이격된 관계로 결과적으로 1쌍의 제 1 내지 제 3 절곡 부재(121, 122,123)에 걸쳐 발생되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 공간에서 고정 본체(110)의 단부 중앙 내측으로 추가로 진입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바, 이를 '스페이스'(130)라 한다.
즉, 상술한 공간과 스페이스(130)는 마치 'ㄱ'와 같이 고정 본체(110)로부터 제 1 절곡 부재(121)까지의 2개 면에 걸쳐 절곡된 상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관통되어 있다.
이때, 스페이스(130)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1 수용공(111)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성형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고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수용공(111)과 마찬가지로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스페이스(130)와 제 1 수용공(111) 사이에 슬릿(112)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슬릿(112)은 고정 본체(110)의 중앙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수용공(111)과 스페이스(130)를 연결하도록 절개된 부위를 의미한다.
더불어, 슬릿(112)이 제 1 수용공(111)과 스페이스(130)만 연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 1 수용공(111)에서 고정 본체(110)의 내측 방향(안경 렌즈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되는 것도 가능한바, 이를 보조 슬릿(113)이라 한다.
이 슬릿(112)과 보조 슬릿(113)은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하겠지만 유연성 및 안정적인 탄성력과 균일한 충격 분산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서로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작동부(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안경테의 레그와 같이 착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걸개를 가진 상태로 일정 길이 연장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부(200)는 작동 본체(210)와 작동 힌지(220)를 포함한다.
작동 본체(210)는 귀에 걸리는 걸개를 가진 상태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된 프레임으로서, 다시 말해 공지의 레그에서 힌지를 제외한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작동 본체(210)의 일 측에는 제 2 수용공(2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수용공(211)은 앞서 설명한 제 1 수용공(111)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연결부(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 2 수용공(211)의 구조 및 기능은 제 1 수용공(111)과 거의 비슷하다 할 수 있는데, 특히 제 1 수용공(111)이 형성된 지점인 고정 본체(110)에서의 진입 길이와 제 2 수용공(211)이 형성된 지점인 작동 본체(210)에서의 진입 길이는 대칭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 2 수용공(211)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1 수용공(111)과 같은 형상(도 3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 힌지(220)는 상술한 고정 힌지(120)의 세부 구성과 연동되어 작동부(200)를 무용접 상태로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2개의 절곡 부재, 구체적으로 1쌍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절곡 부재를 구비하는바 이를 제 1,2 절곡편(221,222)이라 한다.
제 1 절곡편(221)은 작동 본체(210)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즉, 작동 본체의 연장 면을 수평 면이라 할 때 아래 쪽 방향. 다시 말해, 제 1 절곡 부재와 같은 연장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때, 제 1 절곡편(221)의 평탄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 제 1 절곡편(221)의 왼쪽 아래 모서리 및 우측 제 1 절곡편(221)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가 각각 파여 있는바, 다시 말해 제 1 절곡편(221)에서 제 2 절곡편(222) 측 외측 모서리 부위가 파인 부위가 발생되는데 이를 제 2 수용 홈(211a)이라 한다.
제 2 절곡편(222)은 제 1 절곡편(221)의 단부에서 작동 본체(210) 측 방향으로 절곡된 부위를 말한다.
이러한 제 1,2 절곡편(221.222) 역시 2개씩, 즉 1쌍으로 구비되는데 이들과 작동 본체(210)를 포함한 전체 형상이 마치 'ㄷ'형상을 취한다. 이때, 제 1 절곡편(221) 사이에도 고정 힌지(120)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간이 발생된다.
추가적으로, 이 공간에서 작동 본체(210)의 단부 중앙 내측으로 진입된 공간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이 역시 '스페이스'(230)라 명명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스페이스'(130,230)는 고정 본체(110) 및 작동 본체(210) 각각에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술한 공간과 작동 본체(210)측 스페이스(230)는 마치 'ㄱ'와 같이 작동 본체(210)으로부터 제 1 절곡편까지의 2개 면에 걸쳐 절곡된 상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관통되어 있고 이 역시 제 2 수용공(211)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스페이스(230)와 제 2 수용공(211) 사이에도 슬릿(212)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 2 수용공(211)에서 작동 본체(210)의 내측 방향(안경테 끝단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보조 슬릿(2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부(200)에서의 슬릿(212) 및 보조 슬릿(213) 역시 서로 다른 길이 또는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연결부(300)는 상술한 제 1,2 수용공(111,211) 각각에 결합되어 고정부(100)와 작동부(20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면서 힌지로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발현시키는 것으로, 다시 말해 공지의 안경테에서 볼트/너트와 같은 패스너와 같은 체결 기능 및 힌지의 일부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부(300)는 전체적으로 아치형으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나,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아치형으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연결 본체(310)와, 이 연결 본체(310)의 양 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걸림편(320)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연결부(30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이로써 결과적으로 탄성 및 휨성을 보유하고, 더불어 연결 본체(310)와 걸림편(320)의 경계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큰 절곡각을 확보하여 제 1,2 수용공(111,211)에서 걸림편(320)이 쉽사리 빠져나가는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 본체(310)는 이 걸림편(320)에서 수직 절곡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된 리니어 파트와 이 리니어 파트 사이에서 아치형으로 라운딩지게 연장된 라운딩 파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안경테에 대한 기본 구성 및 추가 구성을 통한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작동부(200)의 작동 본체(210)는 고정부(100)의 고정 본체(110)와 같은 폭을 가지거나 아니면 이보다 조금 작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보다 중요한 점은 고정부(100)에서 고정 힌지(120)의 제 1 절곡 부재(121)와 작동부(200)에서 작동 힌지(220)의 제 1 절곡편(221)이 서로 동일선상을 따라 연장되어 겹치거나 중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어 서로 겹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제 1 절곡편(221)이 제 1 절곡 부재(121)보다 중앙 부위 측으로 쏠려 있어 제 1 절곡 부재(121)와 접촉되지 않도록 연장된다. 즉, 1쌍의 제 1 절곡 부재(121) 사이 공간에 1쌍의 제 1 절곡편(221)이 위치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측의 제 1 절곡 부재(121)의 좌측 단이 역시 우측의 제 1 절곡편(221)의 우측단에 닿거나 살짝 떨어질 정도로 제 1 절곡편(221)과 제 1 절곡 부재(121)를 배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절곡 부재(121)의 단부 및 제 1 절곡편(221)의 단부 각각에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2 절곡 부재(122)와 제 2 절곡편(222)이 연장되는데, 다시 말해 제 2 절곡 부재(122)와 제 2 절곡편(222) 역시 위에서 설명한 원리와 마찬가지로 상호 간섭 없이 중첩되지 않은 상태로 연장된다.
즉, 제 1,2 절곡 부재(121,122)와 제 1,2 절곡편(221,222)은 서로 간의 방해 내지 간섭없이 연장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작동부(200)가 회동 시에 제 1,2 절곡편(221,222)의 회동 경로가 제 1,2 절곡 부재(121,122)와의 불필요한 접촉이나 거치적거림이 발생되는 문제없이 안전하게 확보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절곡 부재(122)의 단부에서는 제 3 절곡 부재(123)가 연장되어 있는바,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절곡편(222)은 이 제 3 절곡 부재(123)에 접촉하여 있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절곡편(222)이 제 3 절곡 부재(123)에 얹혀 있는 것과 같은 접촉 관계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고정 힌지(120)와 작동 힌지(2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힌지 구조는 고정 힌지(120)의 제 3 절곡 부재(123)를 기준으로 작동 힌지(220)의 제 2 절곡편(222)이 접촉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절곡편(222)의 회동으로 결과적으로 작동 힌지(220)가 회동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이러한 작동 힌지(220)의 다단 절곡 구조에 의해 작동 힌지(220)가 고정 힌지(120)에서 쉽사리 이탈되지 않고 정상적인 힌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 1,2 수용공(111,211)에는 연결부(300)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작동부(200)를 고정부(100)와 일직선상이 되도록 펼칠 경우 연결부(300)가 수축되면서 응력이 집중되어 긴장력이 높아지나 이 상태에서는 주로 착용자가 작동부(200)를 귀에 걸어 착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부(200)가 이 응력에 의한 반발 현상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반면, 작동부(200)를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구부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연결부(300)가 느슨하게 늘어나서 응력이 줄기 때문에 연결부(300)가 작동부(200)를 펼치는 방향으로의 힘을 제공하지 않아 구부린 상태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 힌지(220)가 고정 힌지(120)를 기준으로 접철되도록 회동시키고자 약간 비틀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제 2 절곡 부재(122)가 제 1 절곡편(221)에, 제 2 절곡편(222)이 제 1 절곡 부재(121)에 부딪힐 우려가 따른다. 이 경우, 작동 힌지(220)가 원활하게 회동되지 않게 되어 착용자가 무리한 힘을 가해 손상을 줄 우려가 따를 수 있고 이러한 문제를 단순히 탈피하기 위해 제 1 절곡 부재(121)와 제 1 절곡편(221)을 서로 멀찍이 이격시키면 제 3 절곡 부재(123)가 불필요하게 길어져야 하는 구조적 불안정성을 띠거나 아니면 작동 힌지(220)가 고정 힌지(120)에서 쉽사리 이탈되는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절곡 부재(121) 및 제 1 절곡편(221)을 극단적으로 멀리 떨어트리지 않고 근접 위치시키되 제 2 절곡 부재(122)와 제 2 절곡편(222)과의 접촉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절곡 부재(121)에서 제 2 절곡편(222)이 닿는 위치에 제 1 수용홈(121a)을, 제 1 절곡편(221)에서 제 2 절곡 부재(122)가 닿은 위치에 제 2 수용홈(221a)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로써,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상호 인접한 고정 힌지(120)와 작동 힌지(220)의 상호 연동 구조에서 작동 힌지(220)가 회동될 때 특정 부위가 서로 부딪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3 절곡 부재(123)와 제 2 절곡편(222)은 행여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제 3 절곡 부재(123)를 기준으로 제 2 절곡편(222)이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절곡 부재(123)와 제 2 절곡편(222)의 연결 구조는 공지의 힌지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 2 절곡편(222)이 힌지축으로 이루어지고 제 3 연결 부재(123)는 이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힌지 수용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니면 제 3 절곡 부재(123)와 제 2 절곡편(222)의 접촉 부위를 탄성을 가진 와이어와 같은 연결 부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연결부(300)가 충분한 길이 및 곡도를 가질수록 효율적으로 탄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제 1,2 수용공(111,211)을 고정부(100) 또는 작동부(200)의 단부의 중앙 측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진입된 지점에 관통시킨 것이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작동부(200)를 접철시키거나 펼칠 때 작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고정부(100)의 고정 본체(110)와 작동부(200)의 작동 본체(210)가 너무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을 경우 비틀림 현상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고정 힌지(120)와 작동 힌지(220) 역시 어긋나면서 정상적인 힌지 기능을 발현시킬 수 없는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 본체(110)와 작동 본체(210)의 접촉 부위 중앙 지점에 스페이스(130,230)를 형성시켜 비틀림에 의한 힘을 분산 및 완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 1,2 수용공(111,211) 및 스페이스(130,230) 사이 각각의 슬릿(112,212) 역시 이와 같은 비틀림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연결부(300)의 탄성에 의한 긴장감을 분산 처리시켜 고정 본체(110)와 작동 본체(210)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조 슬릿(113,213)은 상술한 긴장감에 의한 힘과 연결부(300)의 탄성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상술한 긴장감 완화 및 탄성 분산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안경테의 기본 기능 및 추가 기능에 의하면, 무용접 상태에서도 고정 힌지(120)와 작동 힌지(220)가 안정적이면서 긴밀한 결합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원활한 힌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긴장력 등의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킴으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 3 절곡 부재(123)는 작동 힌지(220)의 회동 시 제 2 절곡편(222)과 접촉되어 이를 기반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일종의 축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제 2 절곡편(222)이 제 3 절곡 부재(123)에서 쉽사리 이탈되거나 미끄러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 3 절곡 부재(123)의 양측의 연장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되어 결과적으로 제 3 절곡 부재(123)의 면적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제 3 절곡 부재(123)에서 제 2 절곡편(222)과 접촉되는 방향의 반대 측 변이 테이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 2 절곡편(222)이 테이퍼 처리된 변에 의해 정상적 작동을 수행하지 못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은 스페이스에 커넥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본체(110)는 스페이스(130)를 가로질러 스페이스(130)의 내측 양단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400)를 구비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커넥터(400)는 비단 고정 본체(110) 뿐 아니라 작동 본체(220)의 스페이스(230)에 장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커넥터(400)는 불필요한 외력이 스페이스(130,230)에 집중되어 결과적으로 스페이스(130,230) 본연의 형상이 일그러지거나 긴장력이 가중되어 이로 인해 정상적인 힌지 회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커넥터(4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스페이스(130,230)에 가해진 외력을 탄성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스페이스(130,230)에 집중되는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더 나아가, 커넥터(400)의 충격 분산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커넥터(400)의 구조를 개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커넥터(400)는 스페이스(130,230)의 내측 양단에 접촉된 것으로 고정 본체(110) 및 작동 본체(210)보다 선팽창률이 더 큰 접촉부(410)와, 이러한 접촉부(410)를 잇는 스프링(420)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페이스(130,230)의 내측 단으로 전달되는 외력을 접촉부(410)를 통해 스프링(420)으로 전달시켜 스프링(420)의 진동에 의해 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여름철과 겨울철과 같은 온도 변화 시 접촉부(410)가 고정 본체(110) 또는 작동 본체(210)보다 더 크게 팽창되도록 하여 스페이스(130,230) 중앙 측으로 선팽창에 따른 외부 요인을 집중시킨 다음 역시 스프링(420)의 탄성 진동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스페이스(130,230) 자체의 충격 분산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고정부 110: 고정 본체
111: 제 1 수용공 112: 슬릿
113: 보조 슬릿 120: 고정 힌지
121: 제 1 절곡 부재 121a: 제 1 수용홈
122: 제 2 절곡 부재 123: 제 3 절곡 부재
130: 스페이스 200: 작동부
210: 작동 본체 211: 제 2 수용공
212: 슬릿 213: 보조 슬릿
220: 작동 힌지 221: 제 1 절곡편
221a: 제 2 수용홈 222: 제 2 절곡편
230: 스페이스 300: 연결부
310: 연결 본체 320: 걸림편
400: 커넥터 410: 접촉부
420: 스프링

Claims (8)

  1.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로서,
    제 1 수용공이 관통된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 부재 측 내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1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 부재와, 상기 제 1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서로 평행하게 절곡 연장에서 제 2 절곡 부재 및, 상기 제 2 절곡 부재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3 절곡 부재로 이루어진 1쌍의 고정 힌지를 구비한 고정부;
    제 2 수용공이 관통된 작동 본체와, 상기 작동 본체의 단부 양 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절곡 연장된 것으로 제 2 절곡편 측 외측 모서리 부위를 판 제 2 수용 홈을 구비한 제 1 절곡편과, 상기 제 1 절곡편의 단부에서 상기 작동 본체 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 2 절곡편으로 이루어진 1쌍의 작동 힌지를 구비한 작동부;
    상기 제 1,2 수용공 각각에 걸리도록 라운딩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제 1,2 수용공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작동부의 단부의 중앙 측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진입된 지점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 및 작동부는, 단부의 중앙 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된 스페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고정 본체 및 작동 본체는, 중앙 측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수용공 또는 제 2 수용공 및 상기 스페이스를 연결하도록 절개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라운딩지게 연장된 연결 본체와,
    상기 연결 본체의 양 단에서 절곡 연장된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 및 작동 본체는,
    상기 제 1 수용공 또는 제 2 수용공의 중앙 측에서 상기 슬릿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된 보조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곡 부재의 양 측의 연장 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테이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본체 및 작동 본체는,
    상기 스페이스를 가로질러 상기 스페이스의 내측 양단을 탄성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페이스의 내측 양단에 접촉된 것으로 상기 고정 본체 및 상기 작동 본체보다 선팽창률이 더 큰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잇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KR1020200073048A 2020-06-16 2020-06-16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KR10215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048A KR102159907B1 (ko) 2020-06-16 2020-06-16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048A KR102159907B1 (ko) 2020-06-16 2020-06-16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07B1 true KR102159907B1 (ko) 2020-09-24

Family

ID=72706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048A KR102159907B1 (ko) 2020-06-16 2020-06-16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98U (ko) * 1996-08-07 1998-05-15 안정태 접이식 안경
EP0863424A1 (de) * 1997-01-27 1998-09-09 Philipp Haffmans Dreiteiliges, schraubenloses Brillengestell aus Blech (Wahlweise VA/TI/AL) mit integriertem Federscharnier-Steck-System (Fss), mit formal integrierter Schliessspange
KR20110042583A (ko) * 2009-10-19 2011-04-27 유근우 안경 구조체
JP3188168U (ja) * 2013-10-22 2014-01-09 株式会社村井 眼鏡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498U (ko) * 1996-08-07 1998-05-15 안정태 접이식 안경
EP0863424A1 (de) * 1997-01-27 1998-09-09 Philipp Haffmans Dreiteiliges, schraubenloses Brillengestell aus Blech (Wahlweise VA/TI/AL) mit integriertem Federscharnier-Steck-System (Fss), mit formal integrierter Schliessspange
KR20110042583A (ko) * 2009-10-19 2011-04-27 유근우 안경 구조체
JP3188168U (ja) * 2013-10-22 2014-01-09 株式会社村井 眼鏡フレ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6611C (en) Glasses
KR101656803B1 (ko)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10124864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2159907B1 (ko) 기능성 무용접 힌지를 구비한 안경테
US8393731B2 (en) Fixing structure of side shield for glasses
US5384604A (en) Collapsible glasses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KR20180124490A (ko) 안경테 구조
JP3188168U (ja) 眼鏡フレーム
CN213876202U (zh) 一种基于弹性连接件的眼镜架
CN201100873Y (zh) 眼镜的弹性固定式鼻垫臂安装机构
TWI607256B (zh) Quickly unassembled glasses
WO2009008586A1 (en) Side shield attaching structure of eye-glasses
JP2017075415A (ja) 折り畳み式ヘッドプロテクタ
KR100906688B1 (ko) 렌즈결합구조가 개선된 반테안경
CN219370148U (zh) 板材眼镜架
JP6356580B2 (ja) 鳥害防止具を構成する連結部材、脱落防止部材、及び、鳥害防止具
JP3177574U (ja) 眼鏡フレーム
JP3009237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102047239B1 (ko) 안경테용 탄성 힌지 조립체
KR200468579Y1 (ko) 판스프링을 구비한 안경
TWM509911U (zh) 鏡框
KR200177361Y1 (ko) 절첩식 안경
KR20240000319U (ko) 견고하게 고정되는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