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512B1 - 어닝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어닝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512B1
KR102159512B1 KR1020190032085A KR20190032085A KR102159512B1 KR 102159512 B1 KR102159512 B1 KR 102159512B1 KR 1020190032085 A KR1020190032085 A KR 1020190032085A KR 20190032085 A KR20190032085 A KR 20190032085A KR 102159512 B1 KR102159512 B1 KR 102159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gear
awn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천석
Original Assignee
서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천석 filed Critical 서천석
Priority to KR102019003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8/00Portable power-driven joining or separation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는, 천막을 감은 어닝 롤러, 어닝 롤러의 일종단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부, 및 동력 전달부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포함하는 어닝에 연결되는 어닝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몸체를 포함하되, 회전 샤프트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는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켜, 동력 전달부틀 통해 어닝 롤러를 회전시켜 천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Description

어닝 핸들링 장치{apparatus for handling awning}
본 발명은 어닝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닝에 착탈가능하고 어닝을 펼쳤다가 접을 수 있는 어닝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닝(awning)은 어닝 롤러에 감긴 상태에서 어닝 롤러의 회전을 통해 풀리거나 감기는 천막에 의해 비 또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양 장치로서, 건물(예를 들어, 점포, 공장 등)의 출입구 또는 창의 상부에 설치된다.
어닝은 일반적으로 사람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어닝은 어닝 롤러의 일측단에 돌출된 아이형(eye type)의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구비한다. 회전력 입력 사프트는 기어 쌍(예를 들어, 베벨 기어 쌍)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에 연결된다. 회전력 입력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력 전달부는 어닝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람은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크랭크 핸들"이라고 불리는 어닝 핸들링 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어닝 핸들링 장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형성된 아이형 연결홀에 삽입되는 갈고리를 상단에 구비하는 직선형 회전 샤프트와 회전 샤프트의 하부에 L형으로 구부러진 핸들을 포함하는 몸체, 및 핸들의 상측에서 회전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베어링 튜브를 포함한다. 사람이 한 손으로 베어링 튜브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핸들을 잡고 돌리면 회전 샤프트가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의 갈고리와 연결된 어닝의 회전력 입력 샤프트는 회전되고, 회전력 입력 샤프트의 회전력은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어닝 롤러에 전달되어 어닝 롤러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어닝 롤러에 감긴 천막은 풀리거나 감기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어닝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어닝을 작동시키는 것은 상당한 힘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특히, 여성 또는 노약자는 어닝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어닝을 작동시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모터가 어닝 롤러에 직접 연결되어 사람의 힘을 대신하여 모터를 이용하여 어닝을 작동시키는 전동 어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어닝은 상대적으로 비싼 모터 및 감속 장치를 각각의 어닝에 설치되어, 어닝 자체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건물에 복수 개의 전동 어닝이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어닝 핸들링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어닝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 비하여 과도한 비용 지출이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닝에 착탈가능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어닝을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어닝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어닝에 적용될 수 있는 어닝 핸들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는, 천막을 감은 어닝 롤러, 어닝 롤러의 일종단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부, 및 동력 전달부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포함하는 어닝에 연결되는 어닝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몸체를 포함하되, 회전 샤프트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는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켜, 동력 전달부틀 통해 어닝 롤러를 회전시켜 천막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면에는 장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발생부; 및 하우징의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회전 샤프트 및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는 회전 전달부를 포함하되, 회전 발생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이 회전 전달부를 통해 회전 샤프트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달부는, 감속 기어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 발생부와 회전 샤프트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 몸체; 하우징의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에 삽입되고, 전달 몸체 및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는 전달 샤프트; 및 장착 공간에서 전달 몸체를 회전 발생부에 연결하는 커플링을 포함하되, 회전 발생부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커플링을 통해 전달 몸체에 전달하고, 전달 몸체는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전달 샤프트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샤프트의 상단면에는 연결 소켓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가 연결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 샤프트는 몸체에 연결되며,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는 다각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 소켓은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폐쇄된 장착 공간이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는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에 삽입되는 하우징;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발생부;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 및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는 회전 전달부를 포함하되, 회전 발생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이 회전 전달부를 통해 회전 샤프트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전달부는,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는 전달 기어;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기어 샤프트;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기어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고, 전달 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전달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되, 기어 샤프트는 회전 발생부에 회전되어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고, 전달 기어가 회전 기어에 의해 회전 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전달 기어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회전 샤프트를 따라 위치되고,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가지며, 전달 기어의 각각은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감소되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고, 회전 기어는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증가되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가지며,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조절가능하고, 회전 전달부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고, 회전 발생부를 장착 공간의 내부에서 회전 샤프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어가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가 회전 발생부를 회전 샤프트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회전 기어는 점점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와 맞물리도록 이동하고, 회전 기어가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가 회전 발생부를 회전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길어지면서 회전 기어는 점점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와 맞물리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기어 샤프트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의 외주면 상에 회전 기어가 위치되며, 하단면에는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공간에 연결되는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 1 샤프트;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회전 발생부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단부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가 이동가능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삽입 개구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 돌기가 형성된 제 2 샤프트; 및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삽입 공간의 내측 종단면 및 제 2 샤프트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 1 샤프트가 제 2 샤프트를 따라 회전 발생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탄성 부재는 압축되고, 압축된 탄성 부재는 제 1 샤프트를 제 2 샤프트를 따라 회전 발생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고, 회전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제어부 및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용이하게 어닝에 착탈가능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어닝을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한다.
(2) 다양한 형태의 어닝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의 몸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어닝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에서 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에서 몸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가 어닝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100)는 회전 샤프트(101) 및 몸체(102)를 포함하여, 어닝(10)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어닝(10)을 펼치거나 접는 데에 이용된다. 여기서, 어닝(10)은 건물에서 출입구의 상측 또는 창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천막(10a)을 감은 어닝 롤러(11), 어닝 롤러(11)의 일종단에 설치되어 기어 쌍(예를 들어, 베벨 기어 쌍)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12), 및 동력 전달부(12)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를 포함한다. 어닝(10)에서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의 회전에 따라 동력 전달부(12)는 어닝 롤러(11)를 회전시키고, 천막(10a)은 펼치거나 접힐 수 있다. 천막(10a)은 일정 길이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 아암(미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고, 지지 아암은 어닝 롤러(11)와 연동하여 각도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관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는 어닝 핸들링 장치(100)와의 연결부로서 연결홀(13a)을 하부에 형성한다.
회전 샤프트(101)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101)의 상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홀(13a)에 삽입되어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 샤프트(101)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걸린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동력 연결부(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101)의 길이는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회전 샤프트(101)는 텔레스코프 타입 등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샤프트(101)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2)는 회전 샤프트(101)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10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몸체(102)에는 회전 샤프트(101)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101)는 회전 샤프트(101)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회전 샤프트(101)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를 회전시키고, 동력 전달부(12)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의해 어닝 롤러(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어닝 롤러(11)가 회전됨에 따라, 천막(10a)은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어 어닝(1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2)는 하우징(121), 회전 발생부(122), 회전 전달부(123), 회전 제어부(124) 및 전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면에는 장착 공간(12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121)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착 공간(121a)은 하우징(12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21) 및 장착 공간(121a)은 사각 기둥, 삼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발생부(122)는 장착 공간(121a)에 수용되어, 회전력(torque)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발생부(122)는 모터(moto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전달부(123)는 하우징(121)의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121a)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21)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여기서, 회전 전달부(123)는 회전 샤프트(101) 및 회전 발생부(122)에 연결된다. 회전 발생부(1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회전 전달부(123)를 통해 회전 샤프트(101)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101)를 회전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회전 전달부(123)는 전달 몸체(123a), 전달 샤프트(123b) 및 커플링(1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몸체(123a)는 하우징(121)의 장착 공간(121a)의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 발생부(122)와 회전 샤프트(101)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전달 몸체(123a)는 감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샤프트(123b)는 하우징(121)의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121a)에 삽입되고, 전달 몸체(123a) 및 회전 샤프트(101)에 연결된다. 전달 샤프트(123b)의 상단면에는 연결 소켓(12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연결 소켓(123')은 전달 샤프트(1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연결 소켓(123')에는 회전 샤프트(101)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회전 샤프트(101)는 전달 샤프트(123b)에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101)는 연결 소켓(123')으로부터 분리가능하여, 몸체(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연결 소켓(123')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회전 샤프트(101)의 하단부도 연결 소켓(123')에 상응하도록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샤프트(101)는 전달 샤프트(123b)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커플링(123c)은 하우징(121)의 장착 공간(121a)에서 전달 몸체(123a)를 회전 발생부(122)에 연결한다. 커플링(123c)은 안정적으로 회전 발생부(1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 몸체(123a)에 전달한다.
또한, 커플링(123c)의 측면에는 고정 오목부(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21)의 장착 공간(121a)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고정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전달부(123)가 장착 공간(121a)에 삽입될 때, 고정 돌기(121')가 고정 오목부(12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전달부(123)는 장착 공간(121a)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달 몸체(123a)는 감속 기어를 포함하기에, 회전 발생부(122)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른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전달 샤프트(123b)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달 몸체(123a)는 어닝(10)의 작동에 적합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전달 샤프트(123b)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 전달부(123)는 회전 샤프트(101)와 회전 발생부(122)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고, 어닝(10)의 작동을 위하여 회전 발생부(1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 샤프트(101)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제어부(124)는 하우징(121)의 장착 공간(121a)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122)에 연결된다. 회전 제어부(124)는 회전 발생부(12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회전 제어부(124)는 회전 발생부(122)를 작동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회전 발생부(122)를 정지시키기도 한다. 또한, 회전 제어부(124)는 회전 발생부(122)의 회전력에 따른 회전 샤프트(10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1)의 외주면 상에는 버튼이 형성되고, 버튼은 회전 제어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의 조작으로 인해, 회전 제어부(124)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회전 제어부(124)에 의한 회전 발생부(122)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 제어부(124)는 별도의 리모컨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전원부(125)는 하우징(121)의 장착 공간(121a)에 수용되어 회전 제어부(124) 및 회전 발생부(12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회전 제어부(124)는 전원부(125)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5)는 전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원부(125)가 충전가능한 전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하우징(121)의 외주면에는 전원부(125)에 연결되는 충전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5)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콘센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100)는 어닝(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아 형상의 회전 샤프트(101) 및 회전 샤프트(10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몸체(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0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회전 샤프트(101)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람은 몸체(102)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몸체(102), 특히 회전 발생부(12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 샤프트(101)를 회전시켜 어닝(10)을 펼치지거나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10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어닝(10)을 펼치지거나 접을 수 있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어닝(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100)는 어닝(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기에, 1개를 가지고도 복수 개의 어닝(1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손쉬운 어닝(10)의 작동을 위한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에서 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닝 핸들링 장치(300)는 회전 샤프트(301) 및 몸체(302)를 포함하여, 어닝(10; 도 3 참조)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어닝(10)을 펼치거나 접는 데에 이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어닝(10)은 건물에서 출입구의 상측 또는 창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천막(10a)을 감은 어닝 롤러(11), 어닝 롤러(11)의 일종단에 설치되어 기어 쌍(예를 들어, 베벨 기어 쌍)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12), 및 동력 전달부(12)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를 포함한다. 어닝(10)에서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의 회전에 따라 동력 전달부(12)는 어닝 롤러(11)를 회전시키고, 천막(10a)은 펼치거나 접힐 수 있다. 천막(10a)은 일정 길이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 아암(미도시됨)에 지지될 수 있고, 지지 아암은 어닝 롤러(11)와 연동하여 각도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관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는 어닝 핸들링 장치(100)와의 연결부로서 연결홀(13a)을 하부에 형성한다.
회전 샤프트(301)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301)의 상단부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연결홀(13a)에 삽입되어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 샤프트(301)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걸린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301)의 길이는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회전 샤프트(301)는 텔레스코프 타입 등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샤프트(301)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회전 샤프트(301)는 회전을 고려하여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302)는 회전 샤프트(301)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30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몸체(302)에는 회전 샤프트(30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301)는 회전 샤프트(301)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회전 샤프트(301)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를 회전시키고, 동력 전달부(12)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13)에 의해 어닝 롤러(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어닝 롤러(11)가 회전됨에 따라, 천막(10a)은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어 어닝(1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302)는 하우징(321), 회전 발생부(322), 회전 전달부(323), 회전 제어부(324) 및 전원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1)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321a)을 갖는다. 여기서, 장착 공간(321a)은 폐쇄된 형태로 하우징(3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이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321)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착 공간(321a)은 하우징(32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321) 및 장착 공간(321a)은 사각 기둥, 삼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301)는 하우징(321)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장착 공간(321a)에 삽입된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301)의 하단부는 장착 공간(321a)의 내부에 위치된다.
회전 발생부(322)는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고, 회전력(torque)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발생부(322)는 모터(motor)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전달부(323)는 하우징(321)의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301) 및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된다. 회전 발생부(3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회전 전달부(323)를 통해 회전 샤프트(301)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301)를 회전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회전 전달부(323)는 전달 기어(323a), 기어 샤프트(323b) 및 회전 기어(3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기어(323a)는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30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 전달 기어(323a)는 회전 샤프트(30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기어 샤프트(323b)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된다. 여기서, 기어 샤프트(323b)는 회전 샤프트(30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 샤프트(301)와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기어 샤프트(323b)는 회전 발생부(322)에 의해 회전되되, 기어 샤프트(323b)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기어(323c)는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기어 샤프트(323b)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 회전 기어(323c)는 기어 샤프트(323b)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기어(323c)는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리되, 전달 기어(323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회전 기어(323c)는 전달 기어(323a)와 동일한 톱니를 갖는다.
회전 발생부(322)가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기어 샤프트(323b)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 기어(323c)를 회전시킨다. 회전력은 전달 기어(323a)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30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 기어(323c)가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리고 전달 기어(323a)보다 작은 직경을 갖기에, 회전 샤프트(301)는 기어 샤프트(323b)보다 낮은 회전 속도를 갖는다. 전달 기어(323a)는 회전 기어(323c)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전달부(323)는 어닝(10)의 작동에 적합한 회전 속도를 갖도록 회전 샤프트(30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 전달부(323)는 회전 샤프트(301)와 회전 발생부(322)를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고, 어닝(10)의 동작을 위하여 회전 발생부(322)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 샤프트(301)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제어부(324)는 하우징(321)의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된다. 회전 제어부(324)는 회전 발생부(32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회전 제어부(324)는 회전 발생부를 작동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회전 발생부(322)를 정지시키기도 한다. 또한, 회전 제어부(324)는 회전 발생부(322)의 회전력에 따른 기어 샤프트(323b)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회전 샤프트(30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21)의 외주면 상에는 버튼이 형성되고, 버튼은 회전 제어부(324)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의 조작으로 인해, 회전 제어부(324)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회전 제어부(324)의 의한 회전 발생부(322)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 제어부(324)는 별도의 리모컨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전원부(325)는 하우징(321)의 장착 공간(321a)에 수용되어 회전 제어부(324) 및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회전 제어부(324)는 전원부(325)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25)는 전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전원부(325)가 충전가능한 전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하우징(321)의 외주면에는 전원부(325)에 연결되는 충전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25)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콘센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는 어닝(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바아 형상의 회전 샤프트(301) 및 회전 샤프트(30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몸체(30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30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회전 샤프트(301)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람은 몸체(302)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몸체(302), 특히 회전 발생부(32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 샤프트(301)를 회전시켜 어닝(10)을 펼치지거나 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어닝(10)을 펼치지거나 접을 수 있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어닝(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는 어닝(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기에, 1개를 가지고도 복수 개의 어닝(10)을 작동시킬 수 있고, 손쉬운 어닝(10)의 작동을 위한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의 몸체(302)에서 회전 전달부(323)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달 기어(323a)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회전 샤프트(301)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기어(323a)들은 하우징(32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갖되, 전달 기어(323a)들의 각각은 하우징(32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또한, 회전 샤프트(301)는 전달 기어(323a)의 중앙에 위치된다.
회전 기어(323c)는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우징(321)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증가되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는다.
기어 샤프트(323b)는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되면서 회전 기어(323c)의 중앙에 연결된다. 이러한 기어 샤프트(323b)는 조절가능한 길이를 갖되, 회전 기어(323c)를 전달 기어(323a)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 샤프트(323b)는 제 1 샤프트(3231), 제 2 샤프트(3233) 및 탄성 부재(3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샤프트(3231)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기어(323c)의 중앙에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 기어(323c)는 제 1 샤프트(3231)의 상단부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 또한, 제 1 샤프트(3231)의 하단면에는 삽입 공간(3231a)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1 샤프트(3231)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제 1 샤프트(3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공간(3231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 개구(3231b)가 형성된다.
제 2 샤프트(3233)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되어, 회전 발생부(32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3233)의 상단부는 제 1 샤프트(3231)의 삽입 공간(3231a)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 1 샤프트(3231)는 제 2 샤프트(3233)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또한, 제 2 샤프트(3233)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삽입 돌기(3233a)가 형성된다. 제 2 샤프트(3233)의 상단부가 제 1 샤프트(3231)의 삽입 공간(32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돌기(3233a)는 삽입 개구(3231b)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 1 샤프트(3231)는 제 2 샤프트(3233)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 2 샤프트(323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샤프트(3233)가 회전 발생부(322)에 의해 회전될 때, 제 1 샤프트(323)도 회전되어 회전 기어(323c)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샤프트(3231) 및 제 2 샤프트(3233)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회전 기어(323c)를 최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이하에서는, '최상측 전달 기어(323a)'라고 함)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고, 회전 기어(323c)를 최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이하에서는, '최하측 전달 기어(323a)'라고 함)에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탄성 부재(3235)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3231a)에 삽입되어, 삽입 공간(3231a)의 내측 종단면 및 제 2 샤프트(3233)의 상단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3235)는 회전 기어(323c)를 최상측 전달 기어(323a)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제 1 샤프트(3231)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샤프트(3231)가 제 2 샤프트(3233)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할 때,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는 짧아지고, 탄성 부재(3235)는 압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회전 기어(323c)를 복수 개의 전달 기어(323a)들의 각각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제어 어닝 장치(300)의 몸체(302)는 이동부(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26)는 하우징(321)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회전 발생부(322)에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부(326)는 실린더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장착 공간(321a)의 내부에서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326)는 회전 발생부(322)를 이동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 기어(323c)는 최상측 전달 기어(323a)에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최상측 전달 기어(323a)의 경사진 측면은 회전 기어(323c)의 경사진 측면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동부(326)가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면, 제 1 샤프트(3231)는 제 2 샤프트(3233)를 따라 회전 발생부(322)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는 점점 짧아진다.
회전 샤프트(301)를 향하는 회전 발생부(322)의 이동 및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 감소로 인해, 회전 기어(323c)의 상면은 최상측 전달 기어(323a)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3235)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이동부(326)가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면, 회전 기어(323c)는 최상측 전달 기어(323a)의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어(323c)가 최상측 전달 기어(323a)보다 작은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리기에, 최상측 전달 기어(323a)의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는 회전 발생부(32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기어(323c)에 의해 회전되어 증가된 회전 샤프트(301)의 회전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회전 기어(323c)가 최상측 전달 기어(323a)의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326)는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달 기어(323a)의 하면이 회전 기어(323c)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을 때, 탄성 부재(3235)는 팽창되어 제 1 샤프트(3231)를 회전 발생부(32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326)가 회전 발생부(322)를 히전 샤프트(30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기어(323c)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최상측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301)의 회전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의 몸체(302)에서 이동부(326)는 회전 발생부(322)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기어(323c) 및 상이한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전달 기어(323a)의 접촉 및 제 1 샤프트(3231), 제 2 샤프트(3233) 및 탄성 부재(3235)로 이루어진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를 제어한다. 여기서, 회전 기어(323c)가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326)가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회전 기어(323c)는 점점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리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어(323c)가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326)가 회전 발생부(322)를 회전 샤프트(30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323b)의 길이는 길어지면서 회전 기어(323c)는 점점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323a)와 맞물리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전달 기어(322a) 중에서 회전 기어(323c)와 맞물리는 하나의 전달 기어(322a)가 선택될 수 있다. 회전 기어(323c)와 맞물리는 전달 기어(322a)의 크기에 따라, 회전 샤프트(301)의 회전 속도는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어닝 핸들링 장치(300)는 어닝(10)의 작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어닝 핸들링 장치
101, 301: 회전 샤프트
102, 302: 몸체

Claims (10)

  1. 천막을 감은 어닝 롤러, 어닝 롤러의 일종단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부, 및 동력 전달부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포함하는 어닝에 연결되는 어닝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몸체를 포함하되,
    회전 샤프트가 회전력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는 회전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회전력 입력 샤프트를 회전시켜, 동력 전달부틀 통해 어닝 롤러를 회전시켜 천막을 펼치거나 접고,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폐쇄된 장착 공간이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의 하단부는 상단면을 통해 장착 공간에 삽입되는 하우징;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발생부;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 및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는 회전 전달부를 포함하며,
    회전 발생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력이 회전 전달부를 통해 회전 샤프트에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되고,
    회전 전달부는,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는 전달 기어;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기어 샤프트;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기어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위치되고, 전달 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전달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며,
    기어 샤프트는 회전 발생부에 회전되어 회전 기어를 회전시키고, 전달 기어가 회전 기어에 의해 회전 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샤프트가 회전되고,
    전달 기어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회전 샤프트를 따라 위치되고,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직경을 가지며, 전달 기어의 각각은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감소되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갖고,
    회전 기어는 하우징의 상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증가되는 직경을 갖도록 경사진 측면을 가지며,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조절가능하고,
    회전 전달부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고, 회전 발생부를 장착 공간의 내부에서 회전 샤프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핸들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회전 기어가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가 회전 발생부를 회전 샤프트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짧아지면서 회전 기어는 점점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와 맞물리도록 이동하고,
    회전 기어가 하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부가 회전 발생부를 회전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때, 기어 샤프트의 길이는 길어지면서 회전 기어는 점점 상측에 위치된 전달 기어와 맞물리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핸들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기어 샤프트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부의 외주면 상에 회전 기어가 위치되며, 하단면에는 삽입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공간에 연결되는 삽입 개구가 형성된 제 1 샤프트;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회전 발생부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상단부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가 이동가능하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삽입 개구에 삽입가능하도록 삽입 돌기가 형성된 제 2 샤프트; 및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삽입 공간의 내측 종단면 및 제 2 샤프트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제 1 샤프트가 제 2 샤프트를 따라 회전 발생부를 향하여 이동할 때, 탄성 부재는 압축되고,
    압축된 탄성 부재는 제 1 샤프트를 제 2 샤프트를 따라 회전 발생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핸들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고, 회전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 및
    장착 공간에 수용되어 회전 제어부 및 회전 발생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닝 핸들링 장치.
KR1020190032085A 2019-03-21 2019-03-21 어닝 핸들링 장치 KR102159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85A KR102159512B1 (ko) 2019-03-21 2019-03-21 어닝 핸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85A KR102159512B1 (ko) 2019-03-21 2019-03-21 어닝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512B1 true KR102159512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85A KR102159512B1 (ko) 2019-03-21 2019-03-21 어닝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5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31A (ja) * 1994-01-26 1995-08-15 Kyowa Kogyo:Kk 開閉部材の展開装置及びこの展開装置用フック棒
KR20160033496A (ko) * 2014-09-18 2016-03-28 (주)주원창호 어닝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131A (ja) * 1994-01-26 1995-08-15 Kyowa Kogyo:Kk 開閉部材の展開装置及びこの展開装置用フック棒
KR20160033496A (ko) * 2014-09-18 2016-03-28 (주)주원창호 어닝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1128U (ja) 使用者のオープン操作力作用によって回転するローラ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CN211348979U (zh) 投影幕布装置及车辆
CN104302861A (zh) 具有抗衡装置的卷帘
US8899250B1 (en) Tiltable sunshade
US4332210A (en) Automatic flag system
US9523236B2 (en) Braking mechanism for a roller shade controller, control mechanis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handle
KR102159512B1 (ko) 어닝 핸들링 장치
US20030051747A1 (en) Automatic bending-angle changing structure for umbrella
KR10135773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의 웨이트 바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CA3088910A1 (en) Cordless blind device for external power drive
CN209804161U (zh) 柔性显示屏展开结构
JP3079199B2 (ja) 開閉部材の展開装置及びこの展開装置用フック棒
KR101405777B1 (ko) 루프 커플링을 포함하는 접이식 차양막
KR20160033496A (ko) 어닝 작동장치
ES2265404T3 (es) Dispositivo de mando manual de un motor electrico para persiana arrollable.
KR20080011339A (ko) 경첩구조의 지지봉을 갖는 롤러 브러시
FR2782857A3 (fr) Nouveau moteur tubulaire pour l'entrainement d'elements plats enroulables
KR102125678B1 (ko) 스프링을 사용한 반자동 어닝
JP3767828B1 (ja) 自立構造を持つ杖
KR100704208B1 (ko) 깃발의 자동 게양장치
KR101753599B1 (ko) 전선권취장치
KR200320797Y1 (ko) 전기코드 릴의 회전제어장치
KR200403746Y1 (ko) 깃발의 자동 게양장치
GB2567005B (en) Cordless roller shade
KR200434034Y1 (ko) 영상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