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02B1 -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02B1
KR102159302B1 KR1020180153925A KR20180153925A KR102159302B1 KR 102159302 B1 KR102159302 B1 KR 102159302B1 KR 1020180153925 A KR1020180153925 A KR 1020180153925A KR 20180153925 A KR20180153925 A KR 20180153925A KR 102159302 B1 KR102159302 B1 KR 10215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parachute
coupling
unit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046A (ko
Inventor
도승현
Original Assignee
도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승현 filed Critical 도승현
Priority to KR102018015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02B1/ko
Priority to PCT/KR2019/015910 priority patent/WO2020116826A1/ko
Publication of KR2020006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64U70/83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using parachutes, ballo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42Pack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52Opening, e.g. manu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46
    • B64C2201/165
    • B64C2201/1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7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UAV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9Constructional aspects of rotors or rotor support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과 같은 무인비행체의 추락 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원격제어기의 무선전파를 통해 공중비행이 가능한 무인비행장치인 드론에 결합되는 추락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어느 한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낙하산모듈; 및 상기 낙하산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중앙관제센터와 상호 통신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 위험요소 및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기 낙하산모듈 및 상기 드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낙하산모듈은, 상기 드론의 어느 한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드론의 비행상태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출되어 펼쳐지는 낙하산을 갖는 낙하산부를 포함하여 드론이 비행 중에 고장이 나거나, 외부적 요소에 의해 추락을 하게 되더라도, 안전하게 낙하하여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FALL PREVENTION DEVICE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과 같은 무인비행체의 추락 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론이 비행 중에 고장이 나거나, 외부적 요소에 의해 추락을 하게 되더라도, 안전하게 낙하하여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과 같은 무인비행체는 20세기 초 군사용으로 개발된 이래, 많은 국가에서 경쟁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최근 드론에 대한 세계적 관심 고조와 함께 드론의 보급률이 급속히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완구 드론을 비롯한 레이싱 드론, 촬영용 드론은 물론, 농업용 드론을 포함한 상업용 드론과 경찰 드론 등 공공목적의 드론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드론은 기체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 조정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회전되면서 추력을 발생시켜 기체가 상승하여 비행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프로펠러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체가 공중에서 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드론은 항공법상 무게 150kg 이하의 무인비행체로서, 그 이상은 무인항공기로 분류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무인비행체 중 12kg 이상은 관할 지방항공청에 신고해야 하고,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 안에서만 조종해야 하며, 비행금지구역이나 낙하물 투하금지 등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5월 제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러한 드론 관련분야 기술력이 세계 9위로 드론 관련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글로벌 무인이동체 산업강국 실현'을 위한 3대 전략과 9대 과제를 도출하여 드론 산업의 집중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빠르게 발전하는 드론의 성능에 비해 안전과 관련된 부가장치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실제로 무게가 수백 그램에서 수 킬로그램에 이르는 드론이 사람들의 생활 주변에서 비행하고 있으며, 특히 향후 공공목적에 사용되는 드론 또한 사람들의 생활 주변에서 이용될 전망이다.
이러한 드론이 사용자의 조종미숙 또는 외부적 요소에 의해 갑작스럽게 지상으로 추락하게 되는 경우 고가의 드론 자체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높은 고도에서 떨어지면서 가속도가 더해져 주변 행인의 몸에 부딪혀 큰 이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시설물에 떨어져 시설물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에 드론의 추락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드론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례로는 드론의 추락 시에 낙하산을 이용하여 추락 속도를 줄이고 피해를 줄이는 기술과, 드론의 추락 시에 에어쿠션을 이용하여 드론의 피해를 줄이는 기술과, 드론의 추락 시에 소리를 내어 추락 경고를 하는 기술과, 헥사콥터 이상의 경우 모터가 1~2개 고장 시에 쿼드콥터로 전환하여 생존하는 기술과, 쿼드콥터의 경우 드론이 회전하면서 서서히 추락하는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허문헌1은 회전익드론 운항 시 비행체의 이상이나 돌풍에 의한 동력상실, 전자적인 오류로 통제불능 상태에서 안전착륙팩 및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으며, 안전착륙팩은 비행체 상단에 부착되며 지상 송신부에서 작동을 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멀티콥터 드론은 동력이 상실하지 않은 상태 그리고 전자적 오류가 없는 상태에서도 돌풍 등 외부 환경에 의해 급작스럽게 추락할 가능성이 많고, 동력이 상실되지 않은 상태 및 전자적 오류가 없는 상태에서의 추락이 오히려 더 심각한 데미지를 드론의 기체에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드론의 추락에 대하여 완벽한 대비가 힘든 한계가 있다.
KR 10-2014-0038495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부, 센싱부 및 낙하산부로 각각 구성되어 결합되는 낙하산모듈을 구비하고, 센싱부에서 드론의 비행상태를 센싱하고, 중앙관제센터와 상호 통신하여 드론의 비행경로, 위험요소를 수신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드론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종 미숙 및 외부 환경에 따른 충격으로 인한 드론의 추락을 즉각 파악할 수 있으며, 드론 및 추락하는 드론에 의한 2차 피해로 인명 및 대물에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결합부, 센싱부 및 낙하산부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낙하산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부분적인 고장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모든 드론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를 구성하여 그 활용성이 높은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회전익부를 가지는 드론에 연결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있어서, 드론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부, 및 결합부에 연결되며, 드론의 추락 방지용 낙하산을 가지는 낙하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결합판, 및 결합판으로부터 회전익부를 향하여 연장된 결합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결합다리를 결합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다리는 길이 조절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낙하산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구조를 가지는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낙하산부를 결합부에 연결하는 입체 도형의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에 연결되며, 낙하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드론을 조정하는 사용자의 조작부에 배치되며, 낙하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에 연결되며, 드론의 추락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회전익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드론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퓨즈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드론이 갑자기 추락하게 되더라도 즉각 대응하여 드론 자체에 대한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추락하는 드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인명 및 대물에 대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 분할되어 결합되는 낙하산모듈로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결함이 있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모든 드론에 결합이 가능하여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의 낙하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의 확장부 및 확장부에 결합되는 낙하산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5는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가 드론에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7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원격제어기의 무선전파를 통해 공중비행이 가능한 무인비행장치인 드론(D)에 결합되어 상기 드론(D)의 추락 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 센싱부(120) 및 낙하산부(130)로 구성될 수 있는 낙하산모듈(100)과 제어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산모듈(100)은 상기 드론(D)의 어느 한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추락하는 상기 드론(D)에 대응하여 낙하산(P)이 효과적으로 펼쳐지기 위해서는 상기 드론(D)의 상부에 상기 낙하산모듈(1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낙하산모듈(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관제센터(미도시)와 상호 통신하여 상기 드론(D)의 비행경로, 위험요소 및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상기 낙하산모듈(100) 및 상기 드론(D)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산모듈(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 센싱부(120) 및 낙하산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드론(D)의 어느 한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드론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측에 상기 센싱부(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판형상의 결합판(111) 및 상기 드론(D)에 구비되어 상기 드론(D)이 비행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익부(RW)의 개수에 대응하여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판(111)에서 연장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다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111)에는 결합수단(11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113)은 상기 결합판(1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볼트와 그에 대응하는 너트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0)와 센싱부 및 낙하산부(1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호 대응하는 결합홈(미도시) 및 끼움부(미도시) 또는 결합 커플러 등 상기 결합판(111)의 상측으로 상기 센싱부(120)와 낙하산부(13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분리하기에도 용이한 방법이라면 다양한 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0)는 결합다리(112)를 결합판(1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결합다리(112)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다리(112)는 회전익부(RW)에 대응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조인트 구조는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힌지 구조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드론(D)에 구비되는 회전익부(RW)는 그 개수 및 위치가 다양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110)가 결합되기 위한 위치가 각각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익부(RW)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110)의 결합다리(112)의 각도를 각각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드론(D)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4개의 결합다리(112) 각각의 연장 방향은 결합판(111)의 중심을 지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결합다리(112)의 힌지는 결합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120)는 상기 결합부(1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비행상태를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부(120)는 케이스(121), 센서유닛(122) 및 메인전력유닛(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1)는 상기 결합수단(113)을 통해 상기 결합부(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 되어 상기 센싱부(1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21)는 상기 결합부(110)의 결합판(111)이 이루는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판(111)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판(111)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수단(113)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센싱부(120)의 케이스(121) 역시 상기 결합판(1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삼각기둥, 사각기둥 또는 원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122)은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자체 결함 또는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상기 드론(D)이 추락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진동센서, 충격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유닛(122)에서 측정된 상기 드론(D)의 비행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론(D)의 추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전력유닛(123)은 상기 센서유닛(122) 및 낙하산부(13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전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미리 충전을 한 전력을 상기 센서유닛(122) 및 낙하산부(130)로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충전 량이 부족하여 상기 센서유닛(122) 및 낙하산부(130)의 구동이 불가능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벼우면서도 센서유닛(122) 및 낙하산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20)에는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상기 드론(D)의 메인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퓨즈(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퓨즈(124)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드론(D) 자체의 결함으로 회전익부(RW)의 작동이 멈춰 추락하는 경우가 아닌, 외부 환경적인 요소 또는 상기 회전익부(RW) 외의 부품 결함으로 추락할 시 상기 드론(D)의 메인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드론(D)의 추락 시 펼쳐지는 낙하산(P)이 상기 회전익부(RW)에 감기거나 엉켜서 상기 드론(D)의 추락에 대응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120)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120)의 측정 정보를 원활히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센싱부(120)의 케이스(121) 내부에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유닛(122), 메인전력유닛(123), 차단퓨즈(124) 및 제어부(200)가 함께 상기 케이스(121)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비나 눈 또는 바람에 날리는 미세먼지 또는 파편 등의 외부 환경 또는 충격에 의한 상기 센서유닛(122), 메인전력유닛(123), 차단퓨즈(124) 및 제어부(2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산부(130)는 상기 센싱부(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수단(113)에 의해 상기 센싱부(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출되어 펼쳐지는 낙하산(P)이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낙하산용기(131) 및 사출수단(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하산용기(131)는 상기 센싱부(1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내부에 낙하산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보관홀(1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싱부(120)의 케이스(121)와 마찬가지로 상기 낙하산부(13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결합판(111) 또는 센싱부(120)가 이루는 형상에 대응하여 삼각기둥, 사각기둥 또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수단(132)은 상기 보관홀(131a)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이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됐을 때,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낙하산(P)을 외부로 사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홀(131a)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관홀(131a)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낙하산(P)이 상기 사출수단(132)에 의해 사출되면서 상기 드론(D)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3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131b)에 상기 낙하산(P)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W)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론(D)의 추락 시 펼쳐진 상기 낙하산(P)이 상기 드론(D)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드론(D)이 안전하게 낙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와이어(W)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복수의 결합돌기(131b)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W)를 일정한 수로 나누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산용기(131)에는 상기 낙하산부(130)에서 상기 낙하산(P)이 원활히 외부로 사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구동모터(131d)를 갖는 개폐도어(131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131c)가 열리면서 상기 보관홀(131a)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산모듈(1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2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낙하산부(130)가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형상의 확장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확장부(140)는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추락방지 장치(A)를 결합하고자 하는 드론(D)의 무게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낙하산부(130)가 복수 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확장부(140)의 각각의 측면에 복수의 상기 낙하산부(130)가 결합됨으로써, 낙하하는 상기 드론(D)의 무게 또는 크기에 따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12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전력유닛(123)에서 상기 낙하산부(130)로 공급하는 전력이 상기 낙하산부(130)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부(140)의 내부에 보조전력유닛(141)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확장부(14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낙하산부(130)에 필요한 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메인전력유닛(123)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드론(D)이 갑자기 추락하게 되더라도 즉각 대응하여 드론(D) 자체에 대한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추락하는 드론(D)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인명 및 대물에 대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 분할되어 결합되는 낙하산모듈(100)로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결함이 있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의 모든 드론(D)에 결합이 가능하여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7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다리(112)는 그 길이 조절 가능한 길이 조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드론은 본체(D1)와 회전익부(RW)간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하다. 결합다리(112)의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는 다양한 드론에 적용 가능하다. 즉, 결합다리(112)의 단부를 회전익부(RW)의 회전축에 직간접적으로 연결하거나, 회전익부(RW)와 본체(D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110)는 보조다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의 형상에 따라 결합다리(112)의 단부가 본체(D1)와 회전익부(RW)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보조다리(300)가 결합다리(112)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보조다리(300)는 결합다리(112)로부터 결합다리(112)의 하부로 연장된다. 한편, 결합부(110)는 결합다리(112) 또는 보조다리(300)에 연결된 고정 수단(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310)은 보조다리(300) 또는 결합다리(112)를 드론(D)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다리(300)는 그 높이(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드론(D)은 그 본체(D1)의 형상이 다양하다. 보조다리(300)는 드론(D) 또는 본체(D1)의 형상에 따라 낙하산모듈(100) 또는 결합판(1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A)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드론의 다양한 형상에 범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는 결합부(110)에 연결되는 제어부(200)와 드론(D)을 조정하는 사용자의 조작부(미도시)에 배치된 보조 제어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0)에 연결된 제어부(200)는 센싱부(120)에 의해 드론(D)의 추락 상태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낙하산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드론(D)을 조종하는 사용자는 보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수동으로 낙하산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낙하산모듈 110 : 결합부
111 : 결합판 112 : 결합다리
113 : 결합수단 120 : 센싱부
121 : 케이스 122 : 센서유닛
123 : 메인전력유닛 124 : 차단퓨즈
130 : 낙하산부 131 : 낙하산용기
131a : 보관홀 131b : 결합돌기
131c : 개폐도어 131d : 구동모터
132 : 사출수단 140 : 확장부
141 : 보조전력유닛 200 : 제어부
300 : 보조다리 310 : 고정 수단
A : 추락방지 장치 D : 드론
D1 : 본체 H : 힌지
P : 낙하산 RW : 회전익부
W : 와이어

Claims (8)

  1. 본체와 본체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회전익부를 가지는 드론에 연결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에 있어서,
    드론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부; 및
    결합부에 연결되며, 드론의 추락 방지용 낙하산을 가지는 낙하산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결합판; 및
    결합판으로부터 회전익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회전익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다리를 포함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결합다리를 결합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 구조를 더 가지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결합다리는 길이 조절 구조를 가지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낙하산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구조를 가지는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낙하산부를 결합부에 연결하는 입체 도형의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에 연결되며, 낙하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드론을 조정하는 사용자의 조작부에 배치되며, 낙하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결합부에 연결되며, 드론의 추락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회전익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드론의 메인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퓨즈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KR1020180153925A 2018-12-03 2018-12-03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KR10215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925A KR102159302B1 (ko) 2018-12-03 2018-12-03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PCT/KR2019/015910 WO2020116826A1 (ko) 2018-12-03 2019-11-20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925A KR102159302B1 (ko) 2018-12-03 2018-12-03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46A KR20200067046A (ko) 2020-06-11
KR102159302B1 true KR102159302B1 (ko) 2020-09-23

Family

ID=7097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925A KR102159302B1 (ko) 2018-12-03 2018-12-03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302B1 (ko)
WO (1) WO20201168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95A1 (ko) * 2020-10-30 2022-05-0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드론에서 투하하는 음향센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1371A (zh) * 2021-10-14 2022-01-1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电池增容防坠系统
KR102617586B1 (ko) * 2021-12-02 2023-12-27 선진정공 주식회사 드론 및 소형 비행체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
CN114777975B (zh) * 2022-03-26 2023-10-24 苏州大学 一种用于行星探测的降落伞系统的监测及修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019B1 (en) * 2000-12-12 2002-07-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ecision parachute recovery system
KR20140038495A (ko) 2014-03-05 2014-03-28 진정회 회전익 드론 안전착륙팩
BR112017000064B1 (pt) * 2015-03-31 2020-05-05 Zhuhai Yuren Agricultural Aviation Co Ltd plataforma de voo multifuncional
KR101716309B1 (ko) * 2015-08-18 2017-03-15 주식회사 마로로봇 테크 비행하는 드론의 추력 및 방향성 테스트장치
KR102502928B1 (ko) * 2016-05-04 2023-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95A1 (ko) * 2020-10-30 2022-05-0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드론에서 투하하는 음향센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46A (ko) 2020-06-11
WO2020116826A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302B1 (ko) 드론용 추락방지 장치
US11338923B2 (en) Parachute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183741B2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US9725158B2 (en) Self-righting frame and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US6634593B2 (en) Remote controlled aircraft, in particular for surveillance or inspection
EP1688167B1 (en) Model airplane
US20160207626A1 (en) Airborne Surveillance Kite
WO2015036907A1 (en) An improved drone structure
JP2010132280A (ja) 垂直離着陸無人航空機機体構造
JP2007521174A (ja) 超小型飛行体
EP2043914A1 (en) Control system for a flying vehicle
CN105253306A (zh) 一种设置有坠落保护装置的无人飞行器及其坠落保护方法
US20080265088A1 (en) Propulsion System for Model Airplane
CN205256683U (zh) 一种无人飞行器坠落保护装置
KR20170114353A (ko) 다중 회전익 드론
KR20170125588A (ko) 무인 비행체
KR102053889B1 (ko) 동체파손 방지형 수직착륙 고정익 비행체
Duranti et al. Linkmav, a protoype rotary wing micro aerial vehicle
CN108891585A (zh) 一种四旋翼民用简易无人机
US11767108B2 (en) Aircraft (drone)
KR102021115B1 (ko) 동체파손 방지형 수직착륙 고정익 비행체
CN217673241U (zh) 一种航空无人机飞行用防撞装置
KR20230115612A (ko) 인명 안전을 위해 저공비행 시스템을 적용한 ai기반 레저용 유인드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