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225B1 -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225B1
KR102159225B1 KR1020180097196A KR20180097196A KR102159225B1 KR 102159225 B1 KR102159225 B1 KR 102159225B1 KR 1020180097196 A KR1020180097196 A KR 1020180097196A KR 20180097196 A KR20180097196 A KR 20180097196A KR 102159225 B1 KR102159225 B1 KR 10215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late
coupled
reinforcing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39A (ko
Inventor
손희준
하정욱
Original Assignee
청암이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암이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암이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parallel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돌출부(11)와 함몰부(12)를 구비한 파형구조물(10)을 보강하는 본 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돌출부(11)와 함몰부(12)로 형성된 파형면(C)에 대응하여 전면(111)이 접촉되는 파형 구조의 파형플레이트(110);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파형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전면은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로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복부플레이트(120); 복부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는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복부플레이트(120)의 좌우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플레이트(140)는 전면이 파형플레이트(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면(142)이 플레이트(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파형구조물(10)의 돌출부(11)와 함몰부(12)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파형플레이트(110)가 파형구조물(10)의 돌출부(11)와 함몰부(12)에 대응하는 파형구조로 형성되고,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부플레이트(120)의 전면 또한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구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파형구조물(10)의 파형면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REINFORCEMENT STRUCTURE CORRUGATED STEEL PLATE AND }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출부와 함몰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파형강판은 일반 강판에 비해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토목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돌출부와 함몰부로 형성된 파형 구조는 파형강판의 단면2차모멘트를 향상시켜, 휨 저항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터널, 교량 등의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돌출부와 함몰부로 형성된 파형 구조는 보강 구조와의 결합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 왔다.
즉, 파형 구조에 보강재를 결합할 경우, 돌출부 또는 함몰부에서 보강재의 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에 하중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하는 종래의 기술구성, 명칭, 도면보너호는 그 종래기술의 설명에 한정되어 사용한다.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401567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은 보관 또는 운반시 부피가 감소하도록 적층 시킬 수 있는 파형강판의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파형강판의 보강 구조물은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에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된 것으로 볼트가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보관 및 운반시 적층 시킬 수 있고 부피가 감소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물류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 제10-2001-0083583호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보강방법'은 고속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 및 용/배수용 암거 등에 이용되는 파형강판에 보강재를 보강하여 구성한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형강판 구조물(10)은, 파형강판(30)의 곡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골(32)의 일부분을 파형강판의 곡률방향을 따라 덮을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플랜지(41)의 배면에 다수의 전단연결재(42)가 부착되어 있고, 플랜지에 삽입구(4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연결재가 골 방향을 향하고 웨브(44)가 상부를 향하도록 파형강판의 산(31)과 산(31)에 플랜지가 고정되는 T형 보강재(40)와; T형 보강재의 양 단부에서 골을 차단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밀봉재(60) 및; 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무수축몰탈(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파형강판 구조물에 T형 보강재를 설치하고 무수축몰탈을 충전하여 휨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589877호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은 파형강판의 표면으로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되어진 보강라이너가 시공되어지는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프론트패널의 길이방향인 좌,우측에 사이드패널이 일체로 구비된 단위거푸패널로 구성되어지되, 단위거푸패널은 파형강판의 만곡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만곡되어지며 그 하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결합부가 연장되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각각의 프론트패널과 사이드패널의 두께 만큼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지고, 절곡된 결합부가 다른 단위거푸패널의 상부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단위거푸패널이 파형강판의 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앵커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1. 대한민국특허 10-2001-0083583호 2. 대한민국특허 제10-0589877호
1. 대한민국실용신안 20-04015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파형보강구조물은 돌출부와 함몰부를 구비한 파형구조를 따라 설치되고, 파형강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파형강판과 보강구조물의 결합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돌출부(11)와 함몰부(12)를 구비한 파형구조물(10)을 보강하는 본 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상기 돌출부(11)와 상기 함몰부(12)로 형성된 파형면(C)에 대응하여 전면(111)이 접촉되는 파형 구조의 파형플레이트(110);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전면은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로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복부플레이트(120);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는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좌우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전면이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면(142)이 상기 플레이트(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상면(123) 또는 하면(124)에는 보강재(120-1)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120-1)는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중앙부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기립구조로 설치되고, 전면은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며, 후면은 상기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폭(L)은 연속하는 2~3개의 상기 돌출부(11) 사이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상측과 하측 영역에는 볼트공(110h)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파형구조물(1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파형강판(P)이 결합된 상기 파형구조물(10)의 결합부(13)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13)의 단차부(13-1)에는 상기 단차부(13-1)의 높이에 대응되는 파형구조의 높이조절부(110-a)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110-a)의 후면에 상기 파형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110-a)는 상기 파형플레이트(110) 전면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에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측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파형보강구조물(A)에 띠장(4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띠장(4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면이 지지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띠장(400)에 후방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돌출부와 함몰부로 형성된 파형 구조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파형보강구조물이 설치되기 때문에 파형구조물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대한민국실용신안 20-0401567호의 파형강판 사시도.
도 2는 대한민국실용신안 20-0401567호의 보강구조물이 결합된 파형강판 도면.
도 3은 대한민국특허 10-2001-0083583호의 T형 보강재가 결합된 파형강판 도면.
도 4는 대한민국특허 10-2001-0083583호의 T형 보강재가 파형강판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대한민국특허 제10-0589877호의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구조물의 돌출부와 함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구조물에 파형보강구조물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의 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플레이트, 복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파형보강구조물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플레이트, 복부, 플레이트가 분해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플레이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강재가 결합된 복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 지지부재, 경사부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에 의해 파형보강구조물, 지지부재, 경사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파형강판이 결합되어 결합부와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차부에 높이조절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플레이트와 높이조절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파형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파형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돌출부(11)와 함몰부(12)를 구비한 파형구조물(10)을 보강하는 본 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돌출부(11)와 함몰부(12)로 형성된 파형면(C)에 대응하여 전면(111)이 접촉되는 파형 구조의 파형플레이트(110);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파형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전면은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로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복부플레이트(120); 복부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는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복부플레이트(120)의 좌우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플레이트(140)는 전면이 파형플레이트(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면(142)이 플레이트(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파형구조물(10)의 돌출부(11)와 함몰부(12)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파형플레이트(110)가 파형구조물(10)의 돌출부(11)와 함몰부(12)에 대응하는 파형구조로 형성되고,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부플레이트(120)의 전면 또한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구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파형구조물(10)의 파형면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과 같이 기존 파형 구조물에 결합된 보강부재들은 모두 파형구조물의 돌출부 또는 함몰부에만 접촉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보강부재가 결합된 돌출부 또는 함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파형보강구조물(A)은 도 16과 같이, 파형구조물(10)의 파형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파형구조물(10)의 파형면을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돌출부 또는 함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부플레이트(12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복부플레이트(120)의 상면(123) 또는 하면(124)에는 보강재(120-1)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재(120-1)는 복부플레이트(120)의 중앙부 영역에 결합되되, 복부플레이트(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기립구조로 설치되고, 전면은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며, 후면은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이 복부플레이트(120)의 상면(123) 또는 하면(124)에 보강재(120-1)가 설치되기 때문에 복부플레이트(1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형플레이트(110)의 폭(L)은 연속하는 2~3개의 돌출부(11) 사이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플레이트(110)는 폭(L)이 연속하는 3개의 돌출부(11) 사이 거리로 제작된다.
3개의 돌출부(11) 사이 거리로 파형플레이트(110)가 제작되기 때문에 파형구조물(10)과 파형보강구조물(A)의 측방향 결합력이 우수하다.
즉, 함몰부와 돌출부가 전단연결재 역활을 수행하기 때문에 측방향으로 발생하는 전단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파형플레이트(110)의 상측과 하측 영역에는 볼트공(110h)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파형구조물(1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과 같이 파형플레이트(110), 플레이트(130), 보강플레이트(140)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재(200), 경사부재(300), 띠장(400)과의 볼트 결합이 용이하다.
복수의 파형강판(P)이 결합된 파형구조물(10)의 결합부(13)에 결합되되, 결합부(13)의 단차부(13-1)에는 단차부(13-1)의 높이에 대응되는 파형구조의 높이조절부(110-a)가 설치되고, 높이조절부(110-a)의 후면에 파형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부(110-a)는 파형플레이트(110) 전면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21과 같이 파형플레이트(110)는 높이조절부(110-a)에 의해 복수의 파형강판이 결합됨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3)의 단차부(13-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와 같이 이 경우, 파형구조물(10)에 파형보강구조물(A)이 설치되고, 파형보강구조물(A)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플레이트(130)에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형보강구조물(A)에는 지지부재(200)와 경사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경사부재(300)는 지지부재(200)에 결합되거나 파형보강구조물(A)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은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측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파형보강구조물(A)에 띠장(400)을 설치하는 단계; 띠장(4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면이 지지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띠장(400)에 후방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방향을 따라 띠장(400)이 복수의 파형보강구조물(A)에 공통으로 결합되고, 띠장(400)에 경사부재(300) 또는 지지부재(200)가 설치된다.
A : 파형보강구조물 C : 파형면
L : 폭 P : 파형강판
10 : 파형구조물 11 : 돌출부
12 : 함몰부 13 : 결합부
13-1 : 단차부 110 : 파형플레이트
110-a : 높이조절부 110h : 볼트공
111 : 파형플레이트 전면 112 : 파형플레이트 후면
120 : 복부 120-1 : 보강재
121 : 복부 전면 122 : 복부 후면
123 : 복부 상면 124 : 복부 하면
130 : 플레이트 131 : 플레이트 전면
140 : 보강플레이트 141 : 보강플레이트 전면
142 : 보강플레이트 후면 200 : 지지부재
300 : 경사부재 400 : 띠장

Claims (12)

  1. 돌출부(11)와 함몰부(12)를 구비한 파형구조물(10)을 보강하는 파형보강구조물(A)로서,
    상기 돌출부(11)와 상기 함몰부(12)로 형성된 파형면(C)에 대응하여 전면(111)이 접촉되는 파형 구조의 파형플레이트(110);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방으로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되, 전면은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파형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로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복부플레이트(120);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후면에 전면이 결합되는 플레이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좌우측면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전면이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면(142)이 상기 플레이트(130)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상면(123) 또는 하면(124)에는 보강재(120-1)가 결합되며,
    상기 보강재(120-1)는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중앙부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복부플레이트(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기립구조로 설치되고, 전면은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되며,
    후면은 상기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폭(L)은 연속하는 2~3개의 상기 돌출부(11) 사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파형플레이트(110)의 상측과 하측 영역에는 볼트공(110h)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상기 파형구조물(10)과 결합되며,
    복수의 파형강판(P)이 결합된 상기 파형구조물(10)의 결합부(13)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13)의 단차부(13-1)에는
    상기 단차부(13-1)의 높이에 대응되는 파형구조의 높이조절부(110-a)가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110-a)의 후면에 상기 파형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보강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110-a)는
    상기 파형플레이트(110) 전면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보강구조물.
  10. 제1항 또는 제9항의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으로서,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11. 제1항 또는 제9항의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공법으로서,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130)에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12. 제1항 또는 제9항의 파형보강구조물(A)을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으로서,
    복수의 파형강판(P)을 조립하여 상기 파형구조물(10)을 설치하는 파형구조물설치단계;
    측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구조물(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상기 파형보강구조물(A)을 설치하는 단계;
    측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파형보강구조물(A)에 띠장(4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띠장(4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후면이 지지되는 지지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띠장(400)에 후방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재(300)를 설치하는 경사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KR1020180097196A 2018-08-21 2018-08-21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KR10215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96A KR102159225B1 (ko) 2018-08-21 2018-08-21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96A KR102159225B1 (ko) 2018-08-21 2018-08-21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39A KR20200021639A (ko) 2020-03-02
KR102159225B1 true KR102159225B1 (ko) 2020-09-23

Family

ID=6980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96A KR102159225B1 (ko) 2018-08-21 2018-08-21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84Y1 (ko) 1997-12-23 2000-01-15 홍상복 이음판을 이용한 파형강판 조립구조
KR100573801B1 (ko) * 2005-05-19 2006-04-24 박중석 완충브라켓트가 설치된 도로용 가드레일
KR101007728B1 (ko) 2010-07-19 2011-01-13 윤재경 가드레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11B1 (ko) 2000-02-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시스템에서 지능망 서비스중 훅크플래쉬 발생 시호처리방법
KR100589877B1 (ko) 2005-12-20 2006-06-19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라이너 설치용 거푸집
KR101801054B1 (ko) * 2016-03-08 2017-11-27 청암건업 주식회사 파형강판 횡갱의 분할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984Y1 (ko) 1997-12-23 2000-01-15 홍상복 이음판을 이용한 파형강판 조립구조
KR100573801B1 (ko) * 2005-05-19 2006-04-24 박중석 완충브라켓트가 설치된 도로용 가드레일
KR101007728B1 (ko) 2010-07-19 2011-01-13 윤재경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39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8635A (en) Culvert structure having corrugated ribbing support
US7228666B2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in particular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US7798748B2 (en) Double wall structure type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system
KR101851557B1 (ko)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316490B2 (ja) 鋼矢板地下壁構造
KR100941726B1 (ko) 파형웨브가 구비된 비대칭 합성보
KR102159225B1 (ko) 파형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파형구조물 보강방법
KR101095700B1 (ko) 성토층의 보강구조를 가진 전면 패널벽체를 이용한 성토층 지지옹벽 및 이러한 성토층 지지옹벽의 시공방법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101852083B1 (ko) 아웃리거가 구비된 아치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54121B1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0426992B1 (ko) 벽면패널 및 보강토구조
KR101012010B1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TW202338190A (zh) 梳狀切削鋼板
KR102312712B1 (ko) 아치파형강판 구조물
KR20160091223A (ko) 철근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102608598B1 (ko)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
KR20070073313A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시공방법 및 터널
KR101213675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
KR101870941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곡선부 결합구조
KR200412488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
EP0864017B1 (en) Earth structures
KR101509175B1 (ko)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KR20010054439A (ko) 리브형 강판을 갖는 거푸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