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174B1 -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174B1
KR102159174B1 KR1020180146459A KR20180146459A KR102159174B1 KR 102159174 B1 KR102159174 B1 KR 102159174B1 KR 1020180146459 A KR1020180146459 A KR 1020180146459A KR 20180146459 A KR20180146459 A KR 20180146459A KR 102159174 B1 KR102159174 B1 KR 10215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ifting
gear member
bathroom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090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8014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04F11/06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folding like scissors or accord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좌변기에 인접된 다수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을 승하강되게 구성하여 유아가 손을 씻거나 용변을 보는 행위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욕실 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20);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0)에 설치되는 X자형 로드부(3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지중굴착공(1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랙기어부재(40);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기어부재(60); 상기 설치공간부(10)에 지지구(80)를 매개로 설치되어 구동축(71)에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가 설치된 구동모터(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OF TILE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욕조, 좌변기에 인접된 다수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을 승하강되게 구성하여 유아가 손을 씻거나 용변을 보는 행위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 위치한 세면대, 욕조, 좌변기는 통상 성인의 신체 사이즈를 기준으로 제작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유아가 용변을 보거나 손을 씻는 등의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고, 이를 위해 보호자가 유아를 들어 좌변기의 좌대에 앉히거나 세면대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어 번거로움이 따른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유아들이 밟고 올라갈 수 있는 유아용 발받침대(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020248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유아용 발받침대는 상판의 양측에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양 측판에 역시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이들 나사공들을 나사로서 각각 체결함으로써 유아들이 발받침대에 혼자 올라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아용 발받침대는 양 측판이 상판보다 다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들이 이 돌출부분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다발할 경향이 농후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받침대를 욕실의 적당한 곳에 일단 치운 다음 유아가 손을 세척하거나 용변을 볼 시에 다시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나 욕조, 좌변기에 인접된 다수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의 하측에 X자형 로드부와 승하강랙기어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재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리프팅타일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욕실을 이용하는 유아가 손을 씻거나 용변을 보는 행위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 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20);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0)에 설치되는 X자형 로드부(3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지중굴착공(1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랙기어부재(40);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기어부재(60); 상기 설치공간부(10)에 지지구(80)를 매개로 설치되어 구동축(71)에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가 설치된 구동모터(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대향되는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와 연결바부재(51)를 매개로 연결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추가굴착공(12)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보강바(50)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타일(20)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와 피니언기어부재가 기어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리프팅타일이 승강됨에 따라 욕실을 이용하는 유아가 세면대 및 좌변기에서 손을 씻거나 용변을 보는 행위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는 욕실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20)과,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설치되는 X자형 로드부(30)와,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승하강랙기어부재(40)와,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재(60)와,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7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리프팅장치는 욕실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세면대나 욕조, 좌변기에 인접되게 위치된 리프팅타일(20)을 승하강시켜 유아가 손을 씻거나 용변을 보는 행위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위치되는 하측에는 상기 로드부(30)와 승하강랙기어부재(40), 피니언기어부재(60), 구동모터(70)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부(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리프팅타일(20)은 욕실 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세면대나 좌변기, 욕조에 인접된 어느 하나의 타일로 욕실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타일과 동일한 재질과 형상을 갖는 타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타일과 다른 재질인 철재나 러버, 합성수지 등 여러 다양한 재질을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가장자리에는 인접된 타일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줄눈러버(22)에 안착되는 안착러버(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인접된 타일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줄눈러버(22)와 안착러버(21)로 인해 욕실의 물이 상기 설치공간부(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부(10)에는 욕실의 배수부(미도시)와 연결되는 별도의 배수라인(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리프팅타일(20)의 승강으로 인해 욕실내부의 물이 상기 설치공간부(10)로 유입시 상기 배수라인을 통해 상기 배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타일(20)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25)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사용자가 올라서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5)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에서 후술되는 상기 구동모터(7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팅타일(20)을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승강스위치를 마련하여 상기 리프팅타일(20)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별도로 마련되는 상기 승강스위치는 욕조의 상면이나 세면대의 상면 등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출부나 마찰부재를 설치하여 유아가 리프팅타일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 X자형 로드부(30)는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0)에 설치된다. 즉, 상기 로드부(30)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힌지(33)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로드(31,32)가 X자형으로 배치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2로드(31,32)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편(23)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설치공간부(10)의 하측면에 설치된 제2가이드편(24)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설치공간부(10)에서 지중으로 굴착된 지중굴착공(1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폭방향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산이 일렬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대향되는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와 연결바부재(51)를 매개로 연결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추가굴착공(12)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보강바(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승하강보강바(50)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연결바부재(51)를 매개로 연결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가이드편(23,24)에는 별도의 감지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리프팅타일(20)의 승하강에 따른 상기 로드부(30)의 왕복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의 외주연에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70)는 상기 설치공간부(10)에 지지구(80)를 매개로 설치되어 구동축(71)에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70)는 상기 설치공간부(1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구(80)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축(71)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70)를 상기 지지구(80)를 매개로 상기 설치공간부(10)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은, 욕실의 내부 물이 상기 설치공간부(10)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에 의한 상기 구동모터(7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의 작용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유아가 올라서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5)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70)로 신호를 송신하여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 및 상기 승하강보강바(50)가 상승되면서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승강된다.
이때, 상기 X자형 로드부(30)는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어 제1,2로드(31,3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일정높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이 정지되어 유아가 세면대에서 용이한 손세척이나 세면을 수행할 수 있게 있게 되고, 손세척이나 세면을 완료환 후에는 별도로 마련되는 승강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리프팅타일(20)이 하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설치공간부 11: 지중굴착공
12: 추가굴착공 20: 리프팅타일
21: 안착레버 22: 줄눈레버
23: 제1가이드편 24: 제2가이드편
25: 감지센서 30: 로드부
31: 제1로드 32: 제2로드
33: 힌지 40: 승하강랙기어부재
50: 승하강보강바 51: 연결바부재
60: 피니언기어부재 70: 구동모터
71: 구동축 80: 지지구

Claims (3)

  1. 욕실 바닥에 설치된 다수개의 타일 중 어느 하나의 리프팅타일(20);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부(10)에 설치되는 X자형 로드부(3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면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지중굴착공(1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랙기어부재(40);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리프팅타일(2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기어부재(60); 상기 설치공간부(10)에 지지구(80)를 매개로 설치되어 구동축(71)에 상기 피니언기어부재(60)가 설치된 구동모터(70);로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에 대향되는 상기 리프팅타일(20)의 하측에는, 상기 승하강랙기어부재(40)와 연결바부재(51)를 매개로 연결되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리프팅타일(2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지중으로 굴착된 추가굴착공(12)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승하강보강바(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타일(20)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3. 삭제
KR1020180146459A 2018-11-23 2018-11-23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KR10215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59A KR102159174B1 (ko) 2018-11-23 2018-11-23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59A KR102159174B1 (ko) 2018-11-23 2018-11-23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90A KR20200061090A (ko) 2020-06-02
KR102159174B1 true KR102159174B1 (ko) 2020-09-23

Family

ID=7109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459A KR102159174B1 (ko) 2018-11-23 2018-11-23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88B1 (ko) *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211A (ja)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トイレ用床下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973A (ko) * 2014-03-07 2015-09-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텐셔너 이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211A (ja) * 2003-05-27 2004-12-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トイレ用床下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90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74B1 (ko) 욕실용 타일 리프팅장치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JPH0122408B2 (ko)
JP2006296715A (ja) 開閉式浴槽
JP5617052B1 (ja) 変形便器
KR2009002545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소변기
HRP20010165A2 (en) Combined bath tub/shower tub device
JP2006181336A (ja) 高さ調節が可能な洗面台
US20170016220A1 (en) Improved plumbing apparatus
CN204199418U (zh) 一种可调节高度的马桶
KR200462807Y1 (ko) 설치가 용이한 세면대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49220B1 (ko) 좌변기의 배변장치
AU2003274982B2 (en) Overflow and drain control for a bathtub
KR20210102756A (ko) 자동수세식처리 배변기기
KR101849083B1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882947B1 (ko) 자동물내림 비데의 실린더 압력 개폐장치
KR100705646B1 (ko) 절수기능이 구비된 변기/비데의 자동 물내림 장치 및 방법
KR101685668B1 (ko) 세면대 시스템
KR101909714B1 (ko) 자동 변기 시스템
KR101071307B1 (ko) 풋 밸브를 구비한 소변기용 무전력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변장치
KR102637443B1 (ko) 유아 세면 장치
JP2002345690A (ja) 使用者に対する便器の高さ位置調整装置
KR100754806B1 (ko) 수압작동식 세면대 높이조절장치
JP2003111813A (ja) 入浴装置
KR100807475B1 (ko) 자동으로 승강되는 세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