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36B1 -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236B1
KR102158236B1 KR1020200066881A KR20200066881A KR102158236B1 KR 102158236 B1 KR102158236 B1 KR 102158236B1 KR 1020200066881 A KR1020200066881 A KR 1020200066881A KR 20200066881 A KR20200066881 A KR 20200066881A KR 102158236 B1 KR102158236 B1 KR 10215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vot
rotation angle
hardness measur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6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mechan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수평바(30); 수평바(30)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수직크로스바(31); 수평바(3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직선안내장공(32); 직선안내장공(32)을 따라 움직이는 티형블록(40); 티형블록(40)에 각각 설치되는 슬라이드판(41); 수평바(30)의 사이에 위치되고, 경도측정면(20)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한 마킹홀(51)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탄성복원형판(50); 탄성복원형판(50)의 좌우측 양단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52); 절곡부(52)에 결합되는 회전앵글(53);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되고, 수평바(30)의 타측에도 형성되는 피봇구멍(40h)(41h)(32h); 회전앵글(53)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피봇결합부(54); 피봇결합부(54)에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피봇구멍(40h)(41h)(32h)에 삽입되어 회전앵글(53)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봇핀(55)(56); 피봇핀(55)(56)과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스프링 걸림볼트(33);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피봇구멍(40h)(41h)을 통해 돌출된 피봇핀(55)의 단부와 스프링 걸림볼트(33)에 양단이 걸리고, 탄성복원형판(50)을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티형블록(40)과 회전앵글(53)에 인장력을 가하는 예압스프링(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Rebound Hardness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반발경도를 다점 측정해서 이의 평균치를 근거로 구조물의 강도를 추정할 때 경도측정기의 측정위치를 측정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 또는 곡면의 경도측정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파괴로 추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슈미트 해머(schmidt hammer)에 의해 타격할 때, 측정한 반발경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의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있다.
슈미트 해머에 의한 반발경도법의 측정원리는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평평한 플런저(2)의 밀착면(4)을 콘크리트(3) 표면에 밀착시킨 다음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플런저(2)의 타격면(7)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해머(5)를 내장된 임팩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일정한 운동량으로 가이드봉(6)을 따라 플런저(2)의 타격면(7)에 충격을 주면, 해머(5)로부터 플런저(2)를 통해 콘크리트(3)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는데 이때 콘크리트(3)의 반발력에 의해 이번에는 플런저(2)를 통해 해머(5)로 반발력이 전달된다.
이때 도 1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5)로 전달된 반발력의 크기에 따라 해머(5)가 타격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가 달라지는데, 멀어진 거리를 눈금을 통해 읽어서 콘크리트(3)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로부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게 된다.
반발경도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와 비례 관계에 있고, 콘크리트의 강도는 탄성계수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반발경도와 압축강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 표면의 골재 돌출 유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철근까지의 깊이, 타격면의 거칠기, 콘크리트 내부 기공 유무 등에 따라 측정치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약 20개 정도의 타격점을 콘크리트위 표면에 격자모양으로 표시한 다음 측정하고 있으며, 오차가 큰 데이터는 제외하고 나머지 값의 평균을 구하여 콘크리트의 반발경도로 산정하고 있다.
이때 콘크리트의 측정면에 측정점을 격자모양으로 표시하기 위해 템플리트와 같은 패턴지를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시킨 다음 펜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일일이 많은 수의 원을 수작업으로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서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탬프 펜을 이용해서 평면상에 다수의 점을 한 번에 찍어서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0338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는 손잡이에 내장된 잉크통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는 스탬프롤러를 측정면에 굴려서 측정점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모두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된 잉크에 슈미터 해머의 플런저를 접촉시켜서 타격할 경우 잉크에 의해 반발력에 영향을 미치면서 콘크리트 표면 경도측정이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콘크리트 표면에 잉크로 마킹한 부분이 남기 때문에 콘크리트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공고일 2013.02.0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0338호(공고일 2014.06.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09077호(공고일 2018.10.1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99715호(공고일 2017.01.2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07992호(공고일 2018.10.1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72764호(공고일 2019.09.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평평한 콘크리트 경도측정면은 물론이고 볼록한 경도측정면과 오목한 경도측정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콘크리트 반발 경도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 수평바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수직크로스바; 수평바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직선안내장공; 직선안내장공을 따라 움직이는 한 쌍의 티형블록; 티형블록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 수평바의 사이에 위치되고, 경도측정면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한 마킹홀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탄성복원형판; 탄성복원형판의 좌우측 양단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 절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앵글; 티형블록과 슬라이드판에 형성되고, 수평바의 타측에도 형성되는 피봇구멍; 회전앵글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피봇결합부; 피봇결합부에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피봇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앵글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봇핀; 피봇핀과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볼트; 티형블록과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피봇구멍을 통해 돌출된 피봇핀의 단부와 스프링 걸림볼트에 양단이 걸리고, 탄성복원형판을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티형블록과 회전앵글에 인장력을 가하는 예압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바의 일측에 설치되고, 스프링 걸림볼트가 설치되는 고정블록; 슬라이드판을 향해 고정블록에 형성되는 탭구멍; 탭구멍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판을 밀어서 예압스프링에 인장력을 가하고, 탄성복원형판에 압축력을 가하는 가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홀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호형장공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회전앵글과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고정 플랫바; 볼트고정 플랫바를 통해 회전앵글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탄성복원형판(50)에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예압스프링(6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평평한 경도측정면(20)은 물론 볼록한 경도측정면(20)에 페인트를 마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복원형판(50)의 양단에 결합되는 회전앵글(53)이 피봇핀(55)(56)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복원형판(50)이 곡면으로 휠 때 회전앵글(53)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탄성복원형판(50)의 변형을 돕는 효과가 있다.
탄성복원형판(50)의 타측단은 피봇핀(56)에 의해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성복원형판(50)의 일측단은 직선안내장공(32)과 티형블록(40)에 의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복원형판(50)에 인장력과 압축력이 작용될 때 탄성복원형판(50)의 부드러운 변형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가압볼트(72)의 선단을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볼트가압부(43)로부터 이격시키면, 예압스프링(60)의 수축력이 탄성복원형판(50)으로 전달되면서 탄성복원형판(50)을 팽팽하게 인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압볼트(72)에 의해 볼트가압부(43)를 밀면 슬라이드판(41)과 티형블록(40) 및 회전앵글(53)을 통해 탄성복원형판(50)에 압축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탄성복원형판(50)을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호형장공으로 마킹홀(51)이 구성된 경우 슈미트 해머의 플런저가 경도측정면(20)에 형성된 페인트 마킹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반발경도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발경도 측정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티형블록과 회전앵글 및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바에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앵글을 보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평평한 경도측정면에 적용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볼록한 곡면의 경도측정면에 적용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이 오목한 곡면의 경도측정면에 적용된 것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30); 수평바(30)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수직크로스바(31); 수평바(3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직선안내장공(32); 직선안내장공(32)을 따라 움직이는 한 쌍의 티형블록(40); 티형블록(4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41)을 포함한다.
수평바(30)는, 예를 들면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상하부에 위치된 한 쌍의 수평바(30)가 서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직크로스바(31)는,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중공형의 금속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심에 바체결용 나사구멍(34t)이 형성된 인서트너트(34)를 수직크로스바(31)의 양단에 설치하고, 바체결용 나사구멍(34t)과 중심이 일치되는 바체결구멍(30a)을 수평바(30)의 양단에 형성한 다음 바체결볼트(35)를 바체결구멍(30a)을 통해 바체결용 나사구멍(34t)에 결합해서 수직크로스바(31)를 수평바(30)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다.
수직크로스바(31)는 손잡이의 역할도 하게 되며, 수평바(30)에 형성되는 직선안내장공(32)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티형블록(40)은, 예를 들면 T자 단면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티형블록(4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판(41)은, 티형블록(40)이 수평바(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이 결합되었을 때 H자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형블록(40)에 수직나사구멍(40t)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판(41)에는 수직나사구멍(40t)과 중심이 일치되는 카운터보어홀(41a)을 형성한 다음 블록체결 볼트(42)를 카운터보어홀(41a)을 통해 수직나사구멍(40t)에 결합해서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판(4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판(41)의 일측단에 상측을 향해 L자 모양으로 절곡되는 볼트가압부(43)를 형성해서 하기의 가압볼트(72) 선단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바(30)의 사이에 위치되고, 경도측정면(20)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한 마킹홀(51)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탄성복원형판(50); 탄성복원형판(50)의 좌우측 양단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52); 절곡부(52)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앵글(53)을 포함한다.
탄성복원형판(50)은,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얇고 평평한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할 때 자유롭게 구부러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평평한 형태로 복원된다.
회전앵글(53)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복원형판(50)의 일부와 절곡부(52)가 회전앵글(53)의 외측면에 밀착된 채 결합된다.
본 발명은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되고, 수평바(30)의 타측에도 형성되는 피봇구멍(40h)(41h)(32h); 회전앵글(53)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피봇결합부(54); 피봇결합부(54)에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피봇구멍(40h)(41h)(32h)에 삽입되어 회전앵글(53)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봇핀(55)(56)을 포함한다.
피봇결합부(54)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봇핀(55)(56)이 설치되는 핀구멍(54h)을 피봇결합부(54)에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피봇구멍(40h)(41h)에 지지되는 피봇핀(55)의 외주면에 멈춤홈(55a)을 형성하고, 피봇핀(5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홈(55a)에 스냅링(55s)을 설치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30)의 타측단에 형성된 피봇구멍(32h)에 지지되는 피봇핀(56)의 외주면에 멈춤홈(56g)을 형성하고, 피봇핀(5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홈(56g)에 스냅링(56s)을 설치한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3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회전앵글(53)에 형성된 피봇결합부(54)와 수평바(30)이 사이에는 도넛형태의 스페이서(59)를 설치한다.
도시된 예에서 피봇핀(55)(56)은 회전앵글(53) 하나당 한 쌍씩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예로 한 쌍의 피봇핀(55)(56)을 서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피봇핀(55)(56)과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볼트(33); 티형블록(40)과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피봇구멍(40h)(41h)을 통해 돌출된 피봇핀(55)의 단부와 스프링 걸림볼트(33)에 양단이 걸리고, 탄성복원형판(50)을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티형블록(40)과 회전앵글(53)에 인장력을 가하는 예압스프링(60)을 포함한다.
예압스프링(60)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압스프링(60)의 양단에 고리(부호생략)를 형성해서 스프링 걸림볼트(33)와 피봇핀(55)에 고리를 걸어서 예압스프링(60)을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걸림볼트(33)에 결합되는 처짐방지너트(33a)에 의해 예압스프링(60)의 일측단에 형성된 고리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예압스프링(60)의 타측단에 형성된 고리가 걸리는 스프링 걸림홈(55g)을 피봇핀(55)의 외주면에 형성해서 예압스프링(60)의 타측단에 형성된 고리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평바(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스프링 걸림볼트(33)가 설치되는 고정블록(70); 슬라이드판(41)을 향해 고정블록(70)에 형성되는 탭구멍(71); 탭구멍(7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판(41)을 밀어서 예압스프링(60)에 인장력을 가하고, 탄성복원형판(50)에 압축력을 가하는 가압볼트(72)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중심이 일치되는 블록체결구멍(30k)과 블록체결용 나사구멍(70t)을 수평바(30)와 고정블록(70)에 각각 형성하고, 블록체결볼트(73)를 블록체결구멍(30k)을 통해 블록체결용 나사구멍(70t)에 결합해서 고정블록(70)을 수평바(30)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프링 걸림볼트(33)를 고정블록(70)에 설치하기 위한 걸림볼트체결용 나사구멍(70m)을 고정블록(70)에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홀(5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호형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호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마킹홀(51)이 갖는 내측 원호의 내경을 슈미트 해머(도시생략)의 플런저(도시생략)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해서 경도측정면(20)에 칠한 페인트 마킹에 슈미트 해머의 플런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곡부(52)를 사이에 두고 회전앵글(53)과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고정 플랫바(57); 볼트고정 플랫바(57)를 통해 회전앵글(53)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8)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형판체결구멍(57h)과 관통구멍(52h)을 볼트고정 플랫바(57)와 절곡부(52)에 각각 형성하고, 관통구멍(52h)과 중심이 일치되는 형판체결용 나사구멍(53t)을 회전앵글(53)에 형성한 다음 고정볼트(58)를 형판체결구멍(57h)과 관통구멍(52h)을 통해 형판체결용 나사구멍(53t)에 결합하면 탄성복원형판(50)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52)가 볼트고정 플랫바(57)와 회전앵글(53)의 사이에서 가압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72)를 돌려서 가압볼트(72)의 선단이 볼트가압부(43)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면, 예압스프링(60)이 갖고 있는 수축력이 피봇핀(55)을 통해 티형블록(40)으로 전달되고, 그 힘은 회전앵글(53)을 통해 탄성복원형판(50)의 일측단에 형성된 절곡부(52)를 경유해서 탄성복원형판(50)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탄성복원형판(50)의 타측단이 피봇핀(56)과 회전앵글(53)에 의해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복원형판(50)이 예압스프링(60)에 의해 팽팽하게 인장된다.
즉, 탄성복원형판(50)의 타측단은 움직이지 못하고 일측단만 티형블록(4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데, 탄성복원형판(50)이 팽팽하게 될 때까지 티형블록(40)이 직선안내장공(32)을 따라 움직이고 예압스프링(60)의 수축력과 탄성복원형판(50)의 인장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티형블록(40)의 이동이 정지되면서 탄성복원형판(5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복원형판(50)에 인장력이 작용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크로스바(31)를 손으로 잡고 탄성복원형판(50)의 후면을 평평한 경도측정면(20)에 밀착시키면, 탄성복원형판(50)이 평평한 경도측정면(20)에 밀착된다.
이후 분무형 도료를 탄성복원형판(50)에 형성된 마킹홀(51)들을 향해 분사하면, 평평한 경도측정면(20)에 마킹홀(51)과 같은 모양의 페인트 도막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72)가 볼트가압부(43)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볼록한 경도측정면(20)에 탄성복원형판(50)의 후면을 밀착시키면, 회전앵글(53)이 피봇핀(55)(56)을 중심으로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탄성복원형판(50)이 휘면서 볼록한 경도측정면(20)에 밀착된다.
그 다음 분무형 도료를 탄성복원형판(50)에 형성된 마킹홀(51)들을 향해 분사하면, 볼록한 경도측정면(20)에 마킹홀(51)과 같은 모양의 페인트 도막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볼트(72)를 돌려서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볼트가압부(43)를 통해 슬라이드판(41)과 티형블록(40)을 밀면, 피봇핀(55)(56)과 회전앵글(53) 및 절곡부(52)를 통해 탄성복원형판(50)에 압축력이 작용되는데, 이때 탄성복원형판(50)의 가운데 부분을 전방으로 누르면 탄성복원형판(50)의 중앙이 전방을 향해 돌출되면서 곡면으로 휘게 되고 가압볼트(72)를 계속 돌려서 탄성복원형판(50)에 압축력을 작용시키면 회전앵글(53)이 피봇핀(55)(56)을 중심으로 도 12의 화살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탄성복원형판(50)이 곡면으로 휘는 것을 돕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형판(50)의 후면을 오목한 경도측정면(20)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 분무형 도료를 탄성복원형판(50)에 형성된 마킹홀(51)들을 향해 분사하면, 오목한 경도측정면(20)에 마킹홀(51)과 같은 모양의 페인트 도막이 형성된다.
20 : 경도측정면 30 : 수평바
31 : 수직크로스바 32 : 직선안내장공
33 : 스프링 걸림볼트 40 : 티형블록
41 : 슬라이드판 40h,41h,32h : 피봇구멍
50 : 탄성복원형판 51 : 마킹홀
52 : 절곡부 53 : 회전앵글
54 : 피봇결합부 55,56 : 피봇핀
57 : 볼트고정 플랫바 58 : 고정볼트
60 : 예압스프링 70 : 고정블록
71 : 탭구멍 72 : 가압볼트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30);
    상기 수평바(30)의 양단을 가로지르는 한 쌍의 수직크로스바(31);
    상기 수평바(3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직선안내장공(32);
    상기 직선안내장공(32)을 따라 움직이는 한 쌍의 티형블록(40);
    상기 티형블록(4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41);
    상기 수평바(30)의 사이에 위치되고, 경도측정면(20)에 페인트를 도색하기 위한 마킹홀(51)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탄성복원형판(50);
    상기 탄성복원형판(50)의 좌우측 양단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52);
    상기 절곡부(52)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앵글(53);
    상기 티형블록(40)과 상기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30)의 타측에도 형성되는 피봇구멍(40h)(41h)(32h);
    상기 회전앵글(53)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피봇결합부(54);
    상기 피봇결합부(54)에 서로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봇구멍(40h)(41h)(32h)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앵글(53)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봇핀(55)(56);
    상기 피봇핀(55)(56)과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 걸림볼트(33);
    상기 티형블록(40)과 상기 슬라이드판(41)에 형성된 피봇구멍(40h)(41h)을 통해 돌출된 상기 피봇핀(55)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걸림볼트(33)에 양단이 걸리고, 상기 탄성복원형판(50)을 인장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티형블록(40)과 상기 회전앵글(53)에 인장력을 가하는 예압스프링(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걸림볼트(33)가 설치되는 고정블록(70);
    상기 슬라이드판(41)을 향해 상기 고정블록(70)에 형성되는 탭구멍(71);
    상기 탭구멍(71)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판(41)을 밀어서 상기 예압스프링(60)에 인장력을 가하고, 상기 탄성복원형판(50)에 압축력을 가하는 가압볼트(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킹홀(51)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복수의 호형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5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앵글(53)과 결합되는 한 쌍의 볼트고정 플랫바(57);
    상기 볼트고정 플랫바(57)를 통해 상기 회전앵글(53)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0200066881A 2020-06-03 2020-06-03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15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81A KR102158236B1 (ko) 2020-06-03 2020-06-03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81A KR102158236B1 (ko) 2020-06-03 2020-06-03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36B1 true KR102158236B1 (ko) 2020-09-21

Family

ID=7270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81A KR102158236B1 (ko) 2020-06-03 2020-06-03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762B1 (ko) * 2020-12-28 2021-04-07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360321B1 (ko) * 2021-06-07 2022-02-09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469443B1 (ko) * 2022-07-12 2022-11-22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2592B1 (ko) *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8793B1 (ko) *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격위치 표시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58A (ko) * 1999-02-19 1999-10-05 전영배 비파괴검사장치의방사선조사위치표시장치
KR101229305B1 (ko) 2012-05-03 2013-02-04 (주)세이프테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 경도시험 위치표시장치
KR101410338B1 (ko) 2014-01-13 2014-06-24 영동이앤지(주) 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시험용 반발경도측정을 위한 측점표시장치
KR101699715B1 (ko) 2016-09-21 2017-01-2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07992B1 (ko) 2018-07-19 2018-10-15 주식회사 태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09077B1 (ko) 2018-07-19 2018-10-17 주식회사 태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72764B1 (ko) 2019-01-08 2019-09-02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58A (ko) * 1999-02-19 1999-10-05 전영배 비파괴검사장치의방사선조사위치표시장치
KR101229305B1 (ko) 2012-05-03 2013-02-04 (주)세이프테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 경도시험 위치표시장치
KR101410338B1 (ko) 2014-01-13 2014-06-24 영동이앤지(주) 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시험용 반발경도측정을 위한 측점표시장치
KR101699715B1 (ko) 2016-09-21 2017-01-2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07992B1 (ko) 2018-07-19 2018-10-15 주식회사 태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09077B1 (ko) 2018-07-19 2018-10-17 주식회사 태일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72764B1 (ko) 2019-01-08 2019-09-02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762B1 (ko) * 2020-12-28 2021-04-07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360321B1 (ko) * 2021-06-07 2022-02-09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469443B1 (ko) * 2022-07-12 2022-11-22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2592B1 (ko) *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8793B1 (ko) *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격위치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236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169971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46944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360321B1 (ko)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1888018B1 (ko)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CN109982755B (zh) 冰鞋冰刀测量设备
KR102544121B1 (ko)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용 타격점 표시기
EP2558226A1 (en) Freely rotating magnetic tip with surface trace for dent removal rod
KR20110024306A (ko) 곡직자
CN214308505U (zh) 一种便捷式可拆卸的结构砼保护层厚度测量尺
KR102588793B1 (ko)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격위치 표시장치
KR101428805B1 (ko) 안전 진단용 콘크리트 및 철근 경도측정장치
FR2851943B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calibrage d'une planeuse a rouleaux par barre instrumentee
CN111442995A (zh) 一种板料纯弯曲实验装置
CA2123478A1 (en) Self-positioning caliper
KR102582592B1 (ko)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CN216284758U (zh) 一种破损房屋安全鉴定用混凝土强度回弹仪
CN212254867U (zh) 一种力学拉伸实验长度标记及变形测量装置
CN210802296U (zh) 一种便携式kt板厚度检测装置
CN206840974U (zh) 一种建筑结构实体检测专用印章
KR101674742B1 (ko) 곡면 마킹 장치 및 방법
CN220504553U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定位标记装置
KR102583966B1 (ko) 콘크리트 반발경도 시험용 타점위치 표시장치
CN219104589U (zh) 一种混凝土钢筋检测装置
JP3204744U (ja) 墨出し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