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077B1 -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077B1
KR101909077B1 KR1020180083761A KR20180083761A KR101909077B1 KR 101909077 B1 KR101909077 B1 KR 101909077B1 KR 1020180083761 A KR1020180083761 A KR 1020180083761A KR 20180083761 A KR20180083761 A KR 20180083761A KR 101909077 B1 KR101909077 B1 KR 10190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bar
ink
detach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황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
Priority to KR102018008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mechan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먹줄을 이용해서 경도측정면에 선을 격자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서로 평행한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의 양단에 설치되는 먹줄안내바(40); 먹줄안내바(4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지주(41); 지주(41)에 설치되는 손잡이(42); 먹줄안내바(40)에 형성되는 먹줄안내홈(43); 먹줄안내홈(43)에 의해 안내되는 먹줄(51); 먹줄안내바(40)에 설치되는 장력조정바(50); 먹줄(51)의 양단에 연결되는 먹줄인장스프링(52);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기구(60);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봉(70); 먹줄(51)의 양단을 경도측정면(20)을 향해 누르는 먹줄누름바(71); 먹줄누름바(71)를 회전시키는 당김레버(72); 먹줄누름바(71)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73); 먹줄안내바(40)에 형성되는 걸림턱(44); 먹줄(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봉(80); 먹줄(51)의 중앙을 걸기 위한 먹줄걸쇠(81); 슬라이드봉(80)에 탄성력을 가하는 해제스프링(82); 해제스프링(82)을 압축하는 누름버튼(83); 슬라이드봉(80)에 설치되는 원추형칼라(84); 원추형칼라(84)에 걸리는 로커암(90); 로커암(90)을 회전시키는 릴리즈암(91); 릴리즈암(9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푸쉬판(92); 릴리즈암(91)으로부터 로커암(9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93); 로커암(90) 회전시키는 록스프링(9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반발경도를 다점 측정해서 이의 평균치를 근거로 구조물의 강도를 추정할 때 경도측정기의 측정위치를 측정면에 표시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먹줄을 이용해서 경도측정면에 선을 격자 모양으로 표시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발경도시험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파괴로 추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슈미트 해머(schmidt hammer)에 의해 타격할 때, 측정한 반발경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의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있다.
반발경도 측정의 측정원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반구 형태로 된 플런저(1)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콘크리트(2) 표면에 충격을 주어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의 경도로부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게 된다.
이때 반발도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와 비례 관계에 있고, 콘크리트의 강도는 탄성계수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반발경도와 압축강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압축 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도 1의 (가)(나)에서 플런저(1)라 불리는 테스트 해머의 선단부를 콘크리트(2) 표면을 향해 타격하게 되면, 도 1의 (다)에서와 같이 콘크리트(2)에 압흔(3)이 남게 되는데, 반발경도측정기에 의해 일정한 에너지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했을 때 테스트 해머가 다시 튀어 오르는 높이(반발높이 또는 반발경도)와 콘크리트의 경도(브리넬경도) 및 콘크리트의 강도와는 서로 관련이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반발 높이는 타격에 의해 생기는 콘크리트의 패인 정도인 압흔(3)의 깊이와 관련하여 패인 정도가 클수록 반발높이는 낮아지고 경도는 작은 값을 나타내게 되며, 패인 정도가 작을수록 반발높이는 높아지고 경도는 큰 값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슈미트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은 타격 되는 골재의 돌출 유무, 철근과의 거리, 타격면의 거칠기 등에 따라 측정치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약 20개 정도의 타격점을 격자모양으로 표시한 다음 측정하고 있으며, 오차가 큰 데이터는 제외하고 나머지 값의 평균을 구하여 콘크리트의 반발도로 산정하고 있다.
이때 콘크리트의 측정면에 측정점을 격자모양으로 표시하기 위해 템플리트와 같은 패턴지를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시킨 다음 펜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일일이 많은 수의 원을 수작업으로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서는 격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탬프 펜을 이용해서 평면상에 다수의 점을 한 번에 찍어서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각각의 스탬프 펜에 완충장치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도측정면이 굴곡진 경우 표면에 접촉하지 못하는 스템프 펜이 발생되면서 표시점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0338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는 손잡이에 내장된 잉크통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는 스탬프롤러를 곡면 또는 평면 측정면에 굴려서 측정점을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도 경도측정면이 굴곡진 경우 표면에 접촉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면서 표시점이 누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03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굴곡진 표면에 선명한 마킹선의 표시가 가능한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의 양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먹줄안내바; 먹줄안내바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쌍의 지주;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먹줄안내바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먹줄안내홈; 먹줄안내홈에 의해 안내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먹줄; 먹줄안내바의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조정바; 먹줄의 양단에 연결되고, 장력조정바에 각각 걸어서 먹줄에 인장력을 가하는 복수의 먹줄인장스프링; 먹줄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기구;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에 양단이 지지되고, 먹줄안내바와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 회전봉에 각각 설치되어 먹줄의 양단을 경도측정면을 향해 누르는 한 쌍의 먹줄누름바; 회전봉에 각각 설치되어 손잡이와 함께 잡아당겨서 먹줄누름바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당김레버; 먹줄누름바를 경도측정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리턴스프링; 당김레버의 복귀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먹줄안내바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 양단이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의 중앙을 관통해서 먹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봉; 슬라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해 직렬로 설치되고, 먹줄의 중앙을 각각 걸기 위한 복수의 먹줄걸쇠; 먹줄걸쇠가 먹줄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봉에 탄성력을 가하는 해제스프링; 제 1프레임바를 관통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되어 해제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누름버튼; 누름버튼과 제 1프레임바의 사이에 위치되고, 슬라이드봉의 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원추형칼라; 제 1프레임바에 피봇 결합되어 원추형칼라에 걸리는 로커암; 제 1프레임바에 피봇 결합되어 원추형칼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로커암을 회전시키는 릴리즈암; 릴리즈암의 상단으로부터 손잡이와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연장되는 푸쉬판; 릴리즈암으로부터 로커암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 로커암이 원추형칼라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록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누름버튼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핀구멍; 제 1프레임바에 형성되는 회전방지구멍; 핀구멍으로 결합되고, 회전방지구멍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봉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L자 형의 회전방지봉; 누름버튼의 단부에서 핀구멍으로 관통되는 탭구멍; 탭구멍에 결합되어 회전방지봉을 고정하는 세트스크류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제 2프레임바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링; 완충링과 제 2프레임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 하단부에 삼각첨부가 형성되고, 수직장공을 갖는 한 쌍의 기준편; 수직장공과 체결공을 통해 결합되어 기준편을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에 각각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로커암의 복귀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편심링; 편심링에 형성되는 편심구멍; 제 1프레임바에 형성되는 나사구멍; 편심구멍을 통해 나사구멍에 결합되어 편심링을 제 1프레임바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탈부착형먹통; 먹줄과 동일한 간격으로 탈부착형먹통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홈; 탈부착형먹통을 덮는 뚜껑; 탈부착형먹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재; 슬릿홈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잉크흡수재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깊이로 부분 절개되며, 먹줄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커팅라인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분리형먹통; 먹줄과 동일한 간격으로 분리형먹통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이홈; 분리형먹통의 내측 벽면에서 먹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말굽모양의 유홈을 갖는 한 쌍의 지지리브; 분리형먹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롤러; 잉크흡수롤러의 중심에 설치되는 중심축; 중심축의 양단에 형성되어 유홈에 지지되는 이경보스; 브이홈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고, 잉크흡수롤러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으로 커팅되며, 먹줄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절개라인; 유홈으로 삽입되어 이경보스의 상부를 지지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먹줄(51)에 의해 평행한 복수의 마킹선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마킹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렉시블 한 먹줄(51)에 의해 경도측정면(20)에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의 중간이 끊어지거나 누락 부분이 없는 선명한 마킹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장력조정너트(55)(56)를 풀고 조여서 장력조정바(50)를 먹줄안내바(4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먹줄인장스프링(52)에 의해 먹줄(51)에 가해지는 장력의 세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안내바(40)에 먹줄안내홈(4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먹줄(5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의 접합부 하단에 형성된 다리부(45)(30a)(32a)에 의해 불균일한 경도측정면(20)에서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으로 된 경도측정면(20)에도 선을 마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51)의 양단에 먹줄인장스프링(5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거리에서 먹줄(51)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 짧은 선의 마킹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양손으로 잡고 작업할 수 있는 손잡이(4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를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42)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당김레버(72)를 당겨서 먹줄(51)의 양단을 경도측정면(20)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고, 손잡이(42)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푸쉬판(92)을 눌러서 원추형칼라(84)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과 조작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해제스프링(82)에 의해 슬라이드봉(80)이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완충링(87)과 제 2프레임바(32)의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스프링(88)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을 보다 더 정밀하게 마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누름바(71)에 의해 먹줄(51)의 양단을 경도측정면(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명한 마킹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먹줄안내바(40)의 상단에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턴스프링(73)에 의해 당김레버(72)가 회전될 때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당김레버(72)로부터 손을 떼면 리턴스프링(73)에 의해 먹줄누름바(71)가 먹줄(51)과 경도측정면(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되어 마킹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안내홈(43)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먹줄(51)을 먹줄안내바(4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력조정바(50)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구멍(54)에 먹줄인장스프링(52)을 걸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먹줄(51)이 오염되거나 끊어져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때 먹줄(51)과 함께 먹줄인장스프링(52)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프레임바(30)에 설치된 편심링(95)에 의해 로커암(90)이 정지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추형칼라(84)에 형성된 원추면(84a)이 지나가는 경로상에 로커암(90)의 모서리를 위치시키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름버튼(83)에 설치된 회전방지봉(86)과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된 회전방지구멍(31)에 의해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먹줄(51)의 일정한 위치에 먹줄걸쇠(81)가 걸리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설치되는 부시(110)에 의해 슬라이드봉(80)의 움직임을 보다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완충링(87)을 눌러서 완충스프링(88)을 압축하면 회전방지봉(86)을 회전방지구멍(3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전방지봉(86)이 회전방지구멍(31)으로부터 분리된 후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를 90도 회전시키면 잉크공급기구(60)을 구성하고 있는 탈부착형먹통(62) 또는 분리형먹통(100)이 먹줄(51)을 따라 이동될 때 먹줄걸쇠(8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준편(34)의 하단에 형성된 삼각첨부(34a)를 이용하면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의 직각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51)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먹줄(51)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형먹통(62)이 구비된 경우 먹줄(51)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할 때만 먹줄(51)에 끼우는 분리형먹통(100)이 구비된 경우 분리형먹통(100)을 먹줄(51)을 따라 이동시킬 때 잉크흡수롤러(105)가 회전되기 때문에 잉크 공급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발경도 측정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 및 먹줄안내바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프레임바와 먹줄안내바의 접합부를 보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먹줄안내바와 장력조정바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커암과 릴리즈암 및 링크를 보인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먹줄이 일직선으로 인장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커암과 릴리즈암 및 링크를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칼라가 로커암에 걸린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저면도
도 11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당김레버와 먹줄누름바에 의해 먹줄의 양단이 경도측정면에 밀착되고, 먹줄의 중앙은 먹줄걸쇠에 걸린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를 저면에서 본 저면사시도
도 14는 당김레버와 먹줄누름바에 의해 먹줄의 양단이 경도측정면에 밀착되고, 먹줄의 중앙은 먹줄걸쇠에 걸린 것을 보인 정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상태로부터 먹줄의 걸림이 순간 해제되면서 경도측정면에 가로마킹선과 세로마킹선을 마킹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저면에서 본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상태로부터 먹줄의 걸림이 순간 해제되면서 경도측정면에 가로마킹선과 세로마킹선을 마킹되는 것을 보인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칼라가 로커암에 걸린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19는 도 18과 같은 상태일 때 해제스프링이 압축된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칼라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봉의 이동에 의해 먹줄의 걸림이 해제된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1은 도 20과 같은 상태일 때 해제스프링의 신장에 의해 슬라이드봉이 이동되는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봉이 이동된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3은 도 22와 같은 상태일 때 회전방지봉이 회전방지구멍으로부터 이탈된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4는 도 23과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봉을 90도 회전시켜서 먹줄걸쇠를 수평위치로 회전시킨 것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평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손잡이의 연결을 보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에 기준편을 연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프레임바와 제 2프레임바에 기준편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먹줄인장스프링과 먹줄을 연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먹줄인장스프링과 먹줄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사시도
도 35는 도 33의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먹줄에 의해 경도측정면에 표시된 가로마킹선과 세로마킹선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의 양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먹줄안내바(40); 먹줄안내바(4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쌍의 지주(41); 지주(41)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2)를 포함한다.
제 1프레임바(30),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각각 성형될 수 있으며, 제 1프레임바(30),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를 장방형의 사각틀 모양으로 접합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먹줄안내바(40)의 접합부에 리벳구멍(41h)(30h)(32h)을 천공한 다음 리벳(36)을 이용해서 서로를 접합할 수 있다.
먹줄안내바(40)의 양단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한 후 그 절곡부 상단에서 상기 지주(41)를 수직으로 연장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먹줄안내바(40)의 접합부 하단에는 경도측정면(20)에 지지되는 다리부(45)(30a)(32a)를 형성해서 경도측정면(20)이 고르지 못한 경우 또는 곡면으로 된 경도측정면(20)에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먹줄안내바(40)의 하단 중앙부위가 경도측정면(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이용해서 손잡이(42)를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42)의 양단에 슬리브너트(48)를 압입하거나 접착하고, 지주(41)에는 볼트구멍(41a)을 천공한 다음 손잡이볼트(47)를 볼트구멍(41a)을 통해 슬리브너트(48)에 결합해서 손잡이(42)를 지주(41)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먹줄안내바(40)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먹줄안내홈(43); 먹줄안내홈(43)에 의해 안내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먹줄(51)을 포함한다.
먹줄안내홈(4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안내바(40)의 상부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깊이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유(U)자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고, 먹줄안내홈(43)의 상단모서리를 브이(V)자 모양으로 커팅해서 먹줄(51)을 교환할 때 먹줄(51)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먹줄(51)은 인조사 또는 천연사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탄소섬유사 또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먹줄안내바(40)의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조정바(50); 먹줄(51)의 양단에 연결되고, 장력조정바(50)에 각각 걸어서 먹줄(51)에 인장력을 가하는 복수의 먹줄인장스프링(52);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기구(60)를 포함한다.
장력조정바(50)는, 예를 들면 강선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장력조정바(50)의 양쪽 단부에 수나사부(53)를 형성하고, 상기 먹줄안내홈(43)과 동일한 간격으로 된 스프링 걸림구멍(54)을 장력조정바(50)에 형성해서 먹줄인장스프링(5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안내바(40)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공(46)을 통해 상기 수나사부(53)를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삽입한 다음 수나사부(53)에 결합되고 먹줄안내바(40)의 양면에 밀착되는 장력조정너트(55)(56)를 이용해서 장력조정바(50)를 먹줄안내바(40)에 고정한다.
장력조정너트(55)(56)를 풀어서 장력조정바(50)를 먹줄안내바(4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풀어져 있던 장력조정너트(55)(56)를 조이면 먹줄인장스프링(52)으로부터 먹줄(51)에 작용되는 인장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먹줄인장스프링(52)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한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먹줄(51)과 먹줄인장스프링(52)의 결속은, 먹줄인장스프링(52)의 끝에 형성된 고리부에 먹줄(51)을 묶어서 서로 결속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인장스프링(52)의 한쪽 끝을 일직선으로 성형한 다음 동관, 황동관, 알루미늄관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압착슬리브(150)의 구멍으로 먹줄인장스프링(52)과 먹줄(51)을 서로 반대방향에서 삽입한 후 압착슬리브(150)를 압착공구(도시생략)를 이용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먹줄인장스프링(52)과 먹줄(51)을 서로 결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슬리브(160)의 일측 단부 중심에 먹줄(51)을 삽입하기 위한 소경홀(168)을 형성하고, 볼트슬리브(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경홀(168)을 향해 설치한 무두볼트(162)를 이용해서 소경홀(168)에 삽입된 먹줄(51)을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볼트슬리브(160)의 타측 단부에는 고리구멍(164)이 형성된 고리부(166)를 일체로 형성해서 먹줄인장스프링(5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고리구멍(164)에 걸어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양단이 지지되고, 먹줄안내바(40)와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70); 회전봉(70)에 각각 설치되어 먹줄(51)의 양단을 경도측정면(20)을 향해 누르는 한 쌍의 먹줄누름바(71); 회전봉(70)에 각각 설치되어 손잡이(42)와 함께 잡아당겨서 먹줄누름바(71)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당김레버(72)를 포함한다.
회전봉(70)은 일직선으로 된 금속환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먹줄누름바(71)와 당김레버(72)는 예를 들면, 강선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한 다음 양끝을 회전봉(70)에 용접해서 설치할 수 있다.
회전봉(70)의 양단은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형성된 피봇구멍(30n)(32n)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봉(70)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를 먹줄안내바(40)에 조립하기 전에 회전봉(70)을 피봇구멍(30n)(32n)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를 먹줄안내바(40)에 접합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누름바(71)와 당김레버(72) 및 회전봉(70)의 축방향 움직임을 최소화 하기 위해 회전봉(70)의 양단에 평와셔 형태로 된 스페이서(111)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봉(70)의 양단을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형성된 피봇구멍(30n)(32n)에 삽입한다.
본 발명은 먹줄누름바(71)를 경도측정면(20)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리턴스프링(73); 당김레버(72)의 복귀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먹줄안내바(4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44)을 포함한다.
리턴스프링(73)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정바(50)와 당김레버(72)의 일측에 각각 U자 모양의 고리부(57)(74)를 용접한 다음 리턴스프링(73)의 양단에 형성된 고리를 고리부(57)(74)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걸림턱(4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먹줄안내바(40)의 상단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한 것으로, 리턴스프링(73)에 당김레버(72)가 아래쪽을 향해 회전할 때 걸림턱(44)에 걸리면서 수평을 유지한 채 정지된다.
본 발명은 양단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의 중앙을 관통해서 먹줄(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봉(80); 슬라이드봉(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해 직렬로 설치되고, 먹줄(51)의 중앙을 각각 걸기 위한 복수의 먹줄걸쇠(81); 먹줄걸쇠(81)가 먹줄(5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봉(80)에 탄성력을 가하는 해제스프링(82)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봉(80)은, 원형단면을 갖는 직선형의 금속환봉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먹줄걸쇠(81)와 함께 축방향으로 전후진되면서 먹줄(51)의 걸림을 유지하거나 먹줄(51)의 걸림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형성된 압입구멍(30p)(32p)에 부시(110)를 각각 삽입해서 고정하고, 부시(110)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홀(135)에 슬라이드봉(80)을 삽입해서 슬라이드봉(80)이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부시(110)는, 예를 들면 오일이 함침 된 오일리스 소결합금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낮은 마찰력을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flon) 계열의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성형할 수도 있다.
부시(110)를 압입구멍(30p)(32p)에 삽입하기 전에 압입구멍(30p)(32p)의 주변을 열풍건, 인두, 가스토치 등과 같은 가열도구로 가열해서 구멍 내경을 열팽창에 의해 확장시킨 다음 삽입한 다음 냉각되었을 때 수축에 의해 강한 결합이 일어나도록 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조립 후 접합부위 바깥쪽 코너부위를 용접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먹줄걸쇠(81)는 강선을 엘(L)자 모양으로 절곡한 다음 상단을 슬라이드봉(80)의 하부에 용접해서 설치할 수 있으며, 먹줄(5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먹줄걸쇠(81)를 설치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걸쇠(81)의 높이는, 먹줄(51)이 일직선을 유지하고 있을 때 먹줄(5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해서 슬라이드봉(80)이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먹줄걸쇠(81)가 먹줄(5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먹줄누름바(71)에 의해 먹줄(51)이 경도측정면(20)을 향해 눌렸을 때 먹줄(51)이 먹줄걸쇠(81)에 걸리면서 강한 인장력을 받도록 한다.
해제스프링(82)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봉(80)이 해제스프링(82)의 중심으로 삽입되고, 해제스프링(82)의 양단은 제 2프레임바(32)의 내측면과 슬라이드봉(80)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스프링시트(89)의 사이에 위치되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제 1프레임바(30)를 관통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되어 해제스프링(8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누름버튼(83); 누름버튼(83)과 제 1프레임바(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슬라이드봉(80)의 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원추형칼라(84)를 포함한다.
누름버튼(83)은, 도 6, 도 8, 도 18, 도 20,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80)의 단부를 누름버튼(83)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홀(137)에 삽입해서 누름버튼(83)을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한 다음 누름버튼(83)의 외주면으로부터 중공홀(137)을 향해 형성된 스크류홀(133)에 세트나사(131)를 결합해서 누름버튼(83)이 슬라이드봉(8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추형칼라(84)는 일측 모서리에 원추면(84a)이 형성된 것으로, 슬라이드봉(80)을 원추형칼라(84)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홀(136)로 삽입한 다음 원추형칼라(84)에 형성된 스크류홀(132)에 세트나사(130)를 결합해서 원추형칼라(84)을 슬라이드봉(80)에 고정한다.
세트나사(130)를 풀어서 원추형칼라(84)를 슬라이드봉(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서 걸림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후에는 세트나사(130)를 다시 타이트 하게 조여서 원추형칼라(84)를 슬라이드봉(80)에 고정한다.
원추면(84a)은 누름버튼(83)을 눌러서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를 걸림위치로 이동시킬 때 로커암(90)의 모서리가 원추면(84a)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해서 로커암(90)을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제 1프레임바(30)에 피봇 결합되어 원추형칼라(84)에 걸리는 로커암(90); 제 1프레임바(30)에 피봇 결합되어 원추형칼라(84)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로커암(90)을 회전시키는 릴리즈암(91); 릴리즈암(91)의 상단으로부터 손잡이(42)와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연장되는 푸쉬판(92); 릴리즈암(91)으로부터 로커암(9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93); 로커암(90)이 원추형칼라(84)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록스프링(94)을 포함한다.
로커암(9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브이(V)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된 피봇구멍(30m)과 중심이 일치되는 중공보스(140)를 로커암(90)의 일측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한다.
로커암(90)을 제 1프레임바(30)에 설치할 때 중공보스(140)의 중심을 피봇구멍(30m)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피봇핀(117)을 피봇구멍(30m)을 통해 중공보스(140)의 중심으로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돌출된 피봇핀(117)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부호생략)에 스냅링(118)을 설치해서 피봇핀(117)과 로커암(90)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로커암(90)은 피봇핀(1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로커암(90)의 상단부가 원추형칼라(84)의 단부에 걸리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로커암(90)의 상단부가 원추형칼라(84)로부터 벗어나면서 걸림이 해제 된다.
릴리즈암(91)은 로커암(90)을 해제하기 위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된 피봇구멍(30n)과 중심이 일치되는 지지홀(134)이 릴리즈암(91)에 형성되고, 제 1프레임바(30)와 릴리즈암(91)의 사이에 스페이서(112)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회전봉(70)을 피봇구멍(30n)과 스페이서(112)의 중심을 통해 지지홀(134)로 삽입한 다음 돌출된 회전봉(70)의 단부를 두툼하게 성형해서 릴리즈암(91)이 회전봉(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푸쉬판(92)은, 예를 들면 손잡이(42)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로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호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릴리즈암(91)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된다.
링크(93)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링크핀(115)(116)에 의해 양단이 릴리즈암(91)과 로커암(9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93)의 양단과 릴리즈암(91)과 로커암(90)의 하단부에 핀홀(141)(142)(143)(144)을 형성한 다음 링크핀(115)(116)을 핀홀(141)(142)(143)(144)에 각각 삽입한 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링크핀(115)(116)의 단부를 두툼하게 성형해서 연결하도록 한다.
록스프링(94)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록스프링(94)의 양단에 고리부(부호생략)를 형성한 다음 제 1프레임바(30)와 링크핀(115)에 각각 설치된 걸림볼트(113)(114)에 록스프링(94)의 양단을 걸어서 설치한다.
제 1프레임바(30)에 설치되는 걸림볼트(113)는 제 1프레임바(30)와 먹줄안내바(40)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한 리벳구멍(41h)(30h)으로 걸림볼트(113)를 삽입 한 다음 로크너트(120)로 고정할 수 있으며,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림볼트(113)에 적어도 두 개의 걸림너트(121)를 설치해서 록스프링(94)의 고리부가 이탈하기 못하도록 한다.
록스프링(94)이 수축될 때 발생된 힘이 링크(93)를 통해 로커암(90)으로 전달되면서 로커암(90)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링크핀(115)에 설치되는 걸림볼트(114)는 링크핀(115)의 중심에 나사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걸림볼트(114)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름버튼(83)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핀구멍(83h);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구멍(31); 핀구멍(83h)으로 결합되고, 회전방지구멍(31)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봉(80)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L자 형의 회전방지봉(86); 누름버튼(83)의 단부에서 핀구멍(83h)으로 관통되는 탭구멍(83t); 탭구멍(83t)에 결합되어 회전방지봉(86)을 고정하는 세트스크류(83s)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봉(86)은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환봉을 L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8, 도 18, 도 20,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83)에 형성된 핀구멍(83h)으로 회전방지봉(86)의 상단을 삽입한 다음 세트스크류(83s)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세트스크류(83s)를 느슨하게 풀면, 회전방지봉(8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회전방지봉(86)과 회전방지구멍(31)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조정한 다음 세트스크류(83s)를 타이트 하게 조여서 고정한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봉(86)을 회전방지구멍(31)으로부터 분리하면, 슬라이드봉(80)을 회전시켜서 먹줄걸쇠(81)를 수평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탈부착형먹통(62) 또는 분리형먹통(100)을 먹줄(51)을 따라 움직일 때 먹줄걸쇠(8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2프레임바(32)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링(87); 완충링(87)과 제 2프레임바(32)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88)을 포함한다.
완충링(87)은, 예를 들면 도 2, 도 9, 도 12, 도 15, 도 19,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83)과 동일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세트나사(139)를 이용해서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고정한다.
완충스프링(88)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스프링(82)이 압축되었을 때는 완충링(87)이 완충스프링(88)으로부터 이격되고, 도 15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스프링(82)에 의해 슬라이드봉(80)이 움직일 때 완충링(87)이 완충스프링(88)에 접촉되면서 충격을 완화하도록 한다.
완충스프링(88)의 일측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프레임바(32)에 설치된 부시(110)에 용접하거나 접착할 수 있으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33); 하단부에 삼각첨부(34a)가 형성되고, 수직장공(34h)을 갖는 한 쌍의 기준편(34); 수직장공(34h)과 체결공(33)을 통해 결합되어 기준편(34)을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고정하는 볼트(35a)와 너트(35b)를 포함한다.
기준편(34)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측정면(20)에 표시되는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 중에 어느 한쪽을 먼저 표시한 다음 나머지 마킹선을 표시할 때 먹줄(51)을 가로마킹선(L1) 또는 세로마킹선(L2)과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때 양쪽 기준편(34)에 형성된 삼각첨부(34a)를 표시된 가로마킹선(L1) 또는 세로마킹선(L2)에 일치시키면 먹줄(51)을 가로마킹선(L1) 또는 세로마킹선(L2)에 직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삼각첨부(34a)는 기준편(34)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삼각첨부(34a)를 직각으로 절곡해서 삼각첨부(34a)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형성된 체결공(33)과 기준편(34)에 형성된 수직장공(34h)으로 볼트(35a)를 통과시킨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35a)의 끝 부분에 너트(35b)를 결합해서 기준편(34)을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형성된 체결공(33)에 중심이 일치되도록 너트(35b)를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용접한 다음 볼트(35a)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로커암(90)의 복귀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편심링(95); 편심링(95)에 형성되는 편심구멍(95h);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되는 나사구멍(30t); 편심구멍(95h)을 통해 나사구멍(30t)에 결합되어 편심링(95)을 제 1프레임바(3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96)를 포함한다.
편심링(95)은 로커암(90)이 록스프링(94)에 의해 회전될 때 로커암(90)의 정지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마치 스토퍼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편심구멍(95h)은 도 6, 도 8,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링(95)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편중되게 형성된 것으로, 고정볼트(96)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편심링(95)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커암(90)의 정지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후에는 풀어져 있던 고정볼트(96)를 다시 타이트하게 조이면 편심링(95)이 제 1프레임바(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60)의 일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된 탈부착형먹통(62); 먹줄(51)과 동일한 간격으로 탈부착형먹통(62)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홈(61); 탈부착형먹통(62)을 덮는 뚜껑(65)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형먹통(62)을 먹줄(51)에 항상 장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탈부착형먹통(62)을 뚜껑(65)으로 덮고, 잉크를 공급할 때만 일시적으로 먹줄(51)에 끼우는 경우에는 뚜껑(65)을 분리한 상태로 사용하며, 탈부착형먹통(62)을 먹줄(51)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할 때 뚜껑(65)을 닫아서 보관하면 잉크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형먹통(62)은 예를 들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장방형의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홈(61)은 도 31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부착형먹통(62)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직선형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하고, 하단은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탈부착형먹통(6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리브(67)를 뚜껑(65)의 저면에 형성해서 뚜껑(65)을 탈부착형먹통(62)에 덮었을 때 뚜껑(6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60)의 일실시예는, 탈부착형먹통(62)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재(64); 슬릿홈(61)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잉크흡수재(64)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깊이로 부분 절개되며, 먹줄(51)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커팅라인(63)을 포함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흡수재(64)는, 예를 들면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팅라인(63)은 예리한 나이프를 이용해서 잉크흡수재(64)의 상부에서 소정깊이로 칼집을 내어 형성할 수 있다.
탈부착형먹통(62)에 내장된 잉크흡수재(64)를 이용해서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는 과정은 먹줄(51)이 직선으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도 32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탈부착형먹통(62)을 먹줄(51)의 끝에서 반대편까지 이동시키면 잉크흡수재(64)에 흡수되어 있던 잉크가 먹줄(51)에 공급된다.
이때 먹줄(51)은 커팅라인(63)으로부터 미끄러지고, 슬릿홈(61)을 지나가게 되며,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의 상하를 뒤집은 상태에서 탈부착형먹통(62)을 이동시키면, 주변의 부품들에 손가락이 걸리거나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60)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된 분리형먹통(100); 먹줄(51)과 동일한 간격으로 분리형먹통(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이홈(101); 분리형먹통(100)의 내측 벽면에서 먹줄(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말굽모양의 유홈(102)을 갖는 한 쌍의 지지리브(103)를 포함한다.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할 때만 분리형먹통(100)을 먹줄(51)에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고, 잉크 공급을 마친 후에는 분리형먹통(100)을 먹줄(51)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한다.
분리형먹통(100)은, 예를 들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장방형의 사각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브이홈(101)은 상단을 브이(V)자 모양으로 형성해서 브이홈(101)으로 진입하는 먹줄(51)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지지리브(103)는 분리형먹통(100)의 내벽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유홈(102)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공급기구(60)의 다른 실시예는, 분리형먹통(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롤러(105); 잉크흡수롤러(105)의 중심에 설치되는 중심축(106); 중심축(106)의 양단에 형성되어 유홈(102)에 지지되는 이경보스(107); 브이홈(101)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고, 잉크흡수롤러(105)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으로 커팅되며, 먹줄(51)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절개라인(104); 유홈(102)으로 삽입되어 이경보스(107)의 상부를 지지하는 인서트(108)를 포함한다.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흡수롤러(105)는, 예를 들면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라인(104)은 예리한 나이프로 잉크흡수롤러(105)를 절단하면서 동시에 잉크흡수롤러(105)를 회전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경보스(107)는 중심축(106)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유홈(102)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이경보스(107)와 중심축(106)의 경계에 형성된 턱은 돌출리브(67)에 밀착된다.
유홈(102)으로 삽입되는 인서트(108)는 억지끼움 되거나 접착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측정면(20)에 표시되는 가로마킹선(L1)과 세로마킹선(L2)은 서로 교차되면서 격자모양을 이룬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측정면(20)에 가로마킹선(L1)을 표시한 다음 세로마킹선(L2)을 표시하는 경우 도 7,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인장스프링(52)에 의해 먹줄(51)이 일직선으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에서 누름버튼(83)을 도 9의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슬라이드봉(80)이 도 9의 화살표방향인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슬라이드봉(80)에 설치된 스프링시트(89)에 의해 해제스프링(82)이 압축된다.
이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칼라(84)가 로커암(90)에 걸리면 슬라이드봉(80)은 정지되고, 해제스프링(8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슬라이드봉(80)에 설치된 먹줄걸쇠(81)는 먹줄(5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 과정에서 누름버튼(83)에 설치된 회전방지봉(86)이 회전방지구멍(31)을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에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의 회전이 방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칼라(84)가 로커암(90)에 걸릴 때 로커암(90)은 록스프링(94)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 1프레임바(30)에 설치된 편심링(95)에 로커암(90)이 접촉되면서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후 양손을 이용해서 손잡이(42)를 잡고 제 1프레임바(30)과 제 2프레임바(32) 및 먹줄안내바(40)에 형성된 다리부(45)(30a)(32a)를 경도측정면(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해서 당김레버(72)를 손잡이(42)가 위치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회전봉(70)을 중심으로 당김레버(72)와 먹줄누름바(71)가 회전되고, 리턴스프링(73)은 신장된다.
이때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누름바(71)에 의해 먹줄(51)의 양단이 경도측정면(20)에 밀착되고, 먹줄(51)의 중간은 먹줄걸쇠(8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먹줄인장스프링(52)이 신장되면서 먹줄(51)의 양단에 강한 인장력이 작용 된다.
또, 먹줄(51)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먹줄안내바(40)에 형성된 먹줄안내홈(43)을 따라 먹줄(51)이 미끄러지면서 먹줄(5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푸쉬판(92)을 누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암(91)이 회전봉(7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링크(93)를 통해 로커암(90)의 하단으로 힘이 전달되고, 링크(93)에 의해 로커암(90)이 피봇핀(1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로커암(90)의 상단이 원추형칼라(84)로부터 벗어나면서 원추형칼라(84)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칼라(84)의 걸림이 해제되는 순간 해제스프링(82)의 반발력이 스프링시트(89)에 작용되면서 슬라이드봉(80)과 먹줄걸쇠(81)가 도 16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먹줄걸쇠(81)가 먹줄(51)로부터 이탈되고, 먹줄(51)은 먹줄인장스프링(52)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도 16의 화살표 방향인 경도측정면(20)을 향해 빠르게 움직이면서 먹줄(51)에 흡수되어 있던 잉크가 경도측정면(20)으로 튀어서 평행한 가로마킹선(L1)이 한꺼번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봉(80)이 축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일 때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된 완충링(87)이 완충스프링(88)에 부딪치면서 충격이 완화된다.
이후 잡고 있던 당김레버(72)로부터 손을 떼면, 당김레버(72)와 먹줄누름바(71)가 리턴스프링(7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봉(7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먹줄누름바(71)는 먹줄(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당김레버(72)는 걸림턱(44)을 향해 회전된다.
이때 당김레버(72)가 걸림턱(44)에 접촉되면 당김레버(72)와 먹줄누름바(71)의 회전이 정지되고, 먹줄인장스프링(52)에 의해 먹줄(51)이 경도측정면(2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일직선으로 팽팽하게 인장되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51)이 먹줄걸쇠(81)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먹줄(51)이 팽팽하게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누름버튼(83)을 누르게 되면, 처음과 같이 원추형칼라(84)가 로커암(90)에 걸리면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줄걸쇠(81)가 먹줄(51)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이후 나머지 세로마킹선(L2)를 표시하기 위해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를 90로 회전시켜서 기준편(34)에 형성된 삼각첨부(34a)를 표시된 가로마킹선(L1)에 일치시키면, 표시할 세로마킹선(L2)을 표시된 가로마킹선(L1)에 직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세로마킹선(L2)의 표시는 가로마킹선(L1)을 표시할 때와 동일한 순서로 진행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먹줄(51)에 작용되는 인장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장력조정너트(55)(56)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돌리면, 장력조정바(50)가 먹줄안내바(4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먹줄(51)에 작용되는 인장력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잉크공급기구(60)인 탈부착형먹통(62)을 이용해서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65)을 개방한 상태에서 잉크흡수재(64)에 잉크를 주입하고 뚜껑(65)을 닫게 되면, 잉크흡수재(64)에 흡수된 잉크가 마르는 속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탈부착형먹통(62)을 도 32의 화살표방향인 먹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 먹줄(51)이 잉크흡수재(64)에 형성된 커팅라인(6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잉크흡수재(64)에 흡수된 잉크가 먹줄(51)로 공급된다.
탈부착형먹통(62)은 잉크 공급후 먹줄(51)에 남겨두거나 뚜껑(65)을 개방해서 먹줄(51)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할 수 있다.
잉크공급기구(60)인 분리형먹통(100)을 이용해서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먹통(100)을 먹줄(51)을 향해 상승시켜서 먹줄(51)을 브이홈(101)에 끼운 다음 도 35의 화살표방향인 먹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형먹통(100)을 움직이면 잉크흡수롤러(105)가 회전되면서 먹줄(51)에 잉크가 공급된다.
이후 분리형먹통(100)은 먹줄(51)에 잉크공급을 마친 후 먹줄(51)로부터 도 34의 화살표방향으로 분리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잉크공급기구(60)를 분리형먹통(100)으로 구성하면, 먹줄(51)이 경도측정면(20)을 향해 움직일 때 잉크공급기구(60)로 인한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잉크공급기구(60)를 먹줄(51)을 따라 움직이면 먹줄걸쇠(81)가 잉크공급기구(60)에 간섭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링(87)을 눌러서 완충스프링(88)을 압축하고, 회전방지봉(86)을 회전방지구멍(31)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첨부도면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80)을 90도 회전시키면, 먹줄걸쇠(81)가 수평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잉크공급기구(60)을 구성하고 있는 탈부착형먹통(62) 또는 분리형먹통(100)이 슬라이드봉(80)의 밑을 지나갈 때 먹줄걸쇠(8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0 : 경도측정면 30 : 제 1프레임바
30t : 나사구멍 30p,32p : 압입구멍
30m,30n,32n : 피봇구멍 31 : 회전방지구멍
32 : 제 2프레임바 33 : 체결공
34 : 기준편 34a : 삼각첨부
34h : 수직장공 35a : 볼트
35b : 너트 36 : 리벳
40 : 먹줄안내바 41 : 지주
41a : 볼트구멍 41h,30h,32h : 리벳구멍
42 : 손잡이 43 : 먹줄안내홈
44 : 걸림턱 45,30a,32a : 다리부
46 : 관통공 47 : 손잡이볼트
48 : 슬리브너트 50 : 장력조정바
51 : 먹줄 52 : 먹줄인장스프링
53 : 수나사부 54 : 스프링 걸림구멍
55,56 : 장력조정너트 57,74 : 고리부
60 : 잉크공급기구 61 : 슬릿홈
62 : 탈부착형먹통 63 : 커팅라인
64 : 잉크흡수재 65 : 뚜껑
67 : 돌출리브 70 : 회전봉
71 : 먹줄누름바 72 : 당김레버
73 : 리턴스프링 80 : 슬라이드봉
81 : 먹줄걸쇠 82 : 해제스프링
83 : 누름버튼 83h : 핀구멍
83t : 탭구멍 83s : 세트스크류
84 : 원추형칼라 84a : 원추면
86 : 회전방지봉 87 : 완충링
88 : 완충스프링 89 : 스프링시트
90 : 로커암 91 : 릴리즈암
92 : 푸쉬판 93 : 링크
94 : 록스프링 95 : 편심링
95h : 편심구멍 96 : 고정볼트
100 : 분리형먹통 101 : 브이홈
102 : 유홈 103 : 지지리브
104 : 절개라인 105 : 잉크흡수롤러
106 : 중심축 107 : 이경보스
108 : 인서트 110 : 부시
111,112 : 스페이서 113,114 : 걸림볼트
115,116 : 링크핀 117 : 피봇핀
118 : 스냅링 120 : 로크너트
121 : 걸림너트 130,131,139 : 세트나사
132,133 : 스크류홀 134 : 지지홀
135,136,137 : 중공홀 140 : 중공보스
141,142,143,144 : 핀홀 150 : 압착슬리브
160 : 볼트슬리브 162 : 무두볼트
164 : 고리구멍 166 : 고리부
168 : 소경홀 L1 : 가로마킹선
L2 : 세로마킹선

Claims (7)

  1.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 1프레임바(30)와 제 2프레임바(32);
    상기 제 1프레임바(30)와 상기 제 2프레임바(32)의 양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먹줄안내바(40);
    상기 먹줄안내바(40)의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쌍의 지주(41);
    상기 지주(41)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2);
    상기 먹줄안내바(40)의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먹줄안내홈(43);
    상기 먹줄안내홈(43)에 의해 안내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먹줄(51);
    상기 먹줄안내바(40)의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장력조정바(50);
    상기 먹줄(51)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정바(50)에 각각 걸어서 상기 먹줄(51)에 인장력을 가하는 복수의 먹줄인장스프링(52);
    상기 먹줄(5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공급기구(60);
    상기 제 1프레임바(30)와 상기 제 2프레임바(32)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먹줄안내바(40)와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봉(70);
    상기 회전봉(7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먹줄(51)의 양단을 경도측정면(20)을 향해 누르는 한 쌍의 먹줄누름바(71);
    상기 회전봉(7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42)와 함께 잡아당겨서 상기 먹줄누름바(71)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당김레버(72);
    상기 먹줄누름바(71)를 상기 경도측정면(20)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리턴스프링(73);
    상기 당김레버(72)의 복귀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상기 먹줄안내바(4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44);
    양단이 상기 제 1프레임바(30)와 상기 제 2프레임바(32)의 중앙을 관통해서 상기 먹줄(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봉(80);
    상기 슬라이드봉(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해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먹줄(51)의 중앙을 각각 걸기 위한 복수의 먹줄걸쇠(81);
    상기 먹줄걸쇠(81)가 상기 먹줄(5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봉(80)에 탄성력을 가하는 해제스프링(82);
    상기 제 1프레임바(30)를 관통해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제스프링(82)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누름버튼(83);
    상기 누름버튼(83)과 상기 제 1프레임바(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봉(80)의 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원추형칼라(84);
    상기 제 1프레임바(30)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원추형칼라(84)에 걸리는 로커암(90);
    상기 제 1프레임바(30)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원추형칼라(84)로부터 벗어나는 위치로 상기 로커암(90)을 회전시키는 릴리즈암(91);
    상기 릴리즈암(9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42)와 간격을 이루는 위치로 연장되는 푸쉬판(92);
    상기 릴리즈암(91)으로부터 상기 로커암(9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93);
    상기 로커암(90)이 상기 원추형칼라(84)에 걸리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록스프링(9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83)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핀구멍(83h);
    상기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구멍(31);
    상기 핀구멍(83h)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방지구멍(31)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봉(80)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L자 형의 회전방지봉(86);
    상기 누름버튼(83)의 단부에서 상기 핀구멍(83h)으로 관통되는 탭구멍(83t);
    상기 탭구멍(83t)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방지봉(86)을 고정하는 세트스크류(83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프레임바(32)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슬라이드봉(80)의 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링(87);
    상기 완충링(87)과 상기 제 2프레임바(32)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8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바(30)와 상기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33);
    하단부에 삼각첨부(34a)가 형성되고, 수직장공(34h)을 갖는 한 쌍의 기준편(34);
    상기 수직장공(34h)과 상기 체결공(33)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기준편(34)을 상기 제 1프레임바(30)와 상기 제 2프레임바(32)에 각각 고정하는 볼트(35a)와 너트(3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90)의 복귀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편심링(95);
    상기 편심링(95)에 형성되는 편심구멍(95h);
    상기 제 1프레임바(30)에 형성되는 나사구멍(30t);
    상기 편심구멍(95h)을 통해 상기 나사구멍(30t)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링(95)을 상기 제 1프레임바(3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9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기구(60)는,
    상부가 개방된 탈부착형먹통(62);
    상기 먹줄(51)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탈부착형먹통(62)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홈(61);
    상기 탈부착형먹통(62)을 덮는 뚜껑(65);
    상기 탈부착형먹통(62)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재(64);
    상기 슬릿홈(61)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잉크흡수재(64)의 상면에서 하측을 향해 소정깊이로 부분 절개되며, 상기 먹줄(51)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커팅라인(6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기구(60)는,
    상부가 개방된 분리형먹통(100);
    상기 먹줄(51)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분리형먹통(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이홈(101);
    상기 분리형먹통(100)의 내측 벽면에서 상기 먹줄(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말굽모양의 유홈(102)을 갖는 한 쌍의 지지리브(103);
    상기 분리형먹통(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잉크흡수롤러(105);
    상기 잉크흡수롤러(105)의 중심에 설치되는 중심축(106);
    상기 중심축(106)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유홈(102)에 지지되는 이경보스(107);
    상기 브이홈(101)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고, 상기 잉크흡수롤러(105)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으로 커팅되며, 상기 먹줄(51)을 끼워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절개라인(104);
    상기 유홈(102)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경보스(107)의 상부를 지지하는 인서트(10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0180083761A 2018-07-19 2018-07-19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0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61A KR101909077B1 (ko) 2018-07-19 2018-07-19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761A KR101909077B1 (ko) 2018-07-19 2018-07-19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077B1 true KR101909077B1 (ko) 2018-10-17

Family

ID=6409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61A KR101909077B1 (ko) 2018-07-19 2018-07-19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07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64B1 (ko) * 2019-01-08 2019-09-02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083527B1 (ko) * 2019-11-29 2020-03-02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146927B1 (ko) * 2020-04-21 2020-08-21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및 이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식 안전진단 방법
KR102157085B1 (ko) 2020-04-14 2020-09-17 (주)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158236B1 (ko) 2020-06-03 2020-09-2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236762B1 (ko) 2020-12-28 2021-04-07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360321B1 (ko) 2021-06-07 2022-02-09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469443B1 (ko) 2022-07-12 2022-11-22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CN116625862A (zh) * 2023-07-20 2023-08-22 长垣市建筑工程质量安全服务站 一种混凝土构件硬度检测装置
KR102582592B1 (ko)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8793B1 (ko)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격위치 표시장치
KR102594270B1 (ko) * 2023-04-26 2023-10-26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용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장치
CN117074223A (zh) * 2023-10-16 2023-11-17 海南梧晚佳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钢材检测的硬度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498B2 (ja) 1993-09-20 2001-07-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高層ビルのご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ごみ容器の満量検出装置
KR200255226Y1 (ko) 2001-08-23 2001-12-03 김대호 다층 건축물용 먹줄 형성장치
JP5990625B1 (ja) 2015-05-22 2016-09-14 有限会社中村工務店 墨出し補助具
JP2017015523A (ja)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コンストラクション 据付面墨打ち装置
KR101699715B1 (ko) 2016-09-21 2017-01-2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498B2 (ja) 1993-09-20 2001-07-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高層ビルのご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ごみ容器の満量検出装置
KR200255226Y1 (ko) 2001-08-23 2001-12-03 김대호 다층 건축물용 먹줄 형성장치
JP5990625B1 (ja) 2015-05-22 2016-09-14 有限会社中村工務店 墨出し補助具
JP2017015523A (ja)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コンストラクション 据付面墨打ち装置
KR101699715B1 (ko) 2016-09-21 2017-01-2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64B1 (ko) * 2019-01-08 2019-09-02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083527B1 (ko) * 2019-11-29 2020-03-02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2157085B1 (ko) 2020-04-14 2020-09-17 (주)홍익기술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146927B1 (ko) * 2020-04-21 2020-08-21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및 이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식 안전진단 방법
KR102158236B1 (ko) 2020-06-03 2020-09-2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236762B1 (ko) 2020-12-28 2021-04-07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360321B1 (ko) 2021-06-07 2022-02-09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2469443B1 (ko) 2022-07-12 2022-11-22 (주)일신이앤씨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2592B1 (ko)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KR102588793B1 (ko)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격위치 표시장치
KR102594270B1 (ko) * 2023-04-26 2023-10-26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용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장치
CN116625862A (zh) * 2023-07-20 2023-08-22 长垣市建筑工程质量安全服务站 一种混凝土构件硬度检测装置
CN116625862B (zh) * 2023-07-20 2023-09-26 长垣市建筑工程质量安全服务站 一种混凝土构件硬度检测装置
CN117074223A (zh) * 2023-10-16 2023-11-17 海南梧晚佳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钢材检测的硬度检测装置
CN117074223B (zh) * 2023-10-16 2023-12-19 海南梧晚佳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钢材检测的硬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077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KR101972764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US2472022A (en) Quick-acting c-clamp
KR10169971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TWI611882B (zh) 限力減震裝置
US2549257A (en) Golf ball retriever
KR10246944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타점 표시장치
US85728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hand attachment of drywall corner beads with staples
US1951545A (en) Feeding device for strip materials
CN212582288U (zh) 一种用于造纸的自动化竹子捶打设备
US1994567A (en) Pocket fastener-applying implement
US2285384A (en) Staple driver
TW202003075A (zh) 夾線器
KR101422324B1 (ko) 못 뽑기장치
US1559657A (en) Violin-sound-post setter
US8448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hand attachment of drywall corner beads
US2952232A (en) Feed mechanism for fusible metal strip apparatus
US2642908A (en) Pecan cracker
KR101781470B1 (ko) 말뚝 박기 장치
TW201429643A (zh) 手持鉚釘器
JP2017225767A (ja) 清掃具
US2149880A (en) Soil opener for planting bulbs and the like
US218227A (en) Improvement in devices for inserting and clinching metallic staples
US2232291A (en) Hog catcher and holder
KR101481458B1 (ko) 못 용 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