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846B1 -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 Google Patents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846B1
KR102157846B1 KR1020200045197A KR20200045197A KR102157846B1 KR 102157846 B1 KR102157846 B1 KR 102157846B1 KR 1020200045197 A KR1020200045197 A KR 1020200045197A KR 20200045197 A KR20200045197 A KR 20200045197A KR 102157846 B1 KR102157846 B1 KR 10215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toll
processing unit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휘
김유종
곽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고, 통행권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자동 통행권 발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Automatic Toll Ticket Issuing Apparatus with Enhanced Security in Expressway 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자동 통행권 발행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Toll Collection System, TCS)은 고속도로에 출입하는 차량의 종류 및 주행 거리 등의 정보를 각종 전자 장비를 통해 감지하고 해당하는 통행 요금을 산출하고 수납한다.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하면 차량의 폭, 바퀴 간의 거리 등을 차로에 설치된 전자 장비가 감지한다. 차량의 높이도 감지하여 자동 통행권 발행기는 통행권 수취가 편리한 위치에서 통행권을 발행한다. 통행권에는 진입요금소명, 차량 종류, 진입 시간 등이 기록된다. 차량이 출구 요금소를 지날 때 통행권 확인기를 통해 통행권에 기록된 내용을 읽어 요금을 수납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7329호 (2013.08.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33294호 (2004.05.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고, 통행권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에 있어서, 차량 분류 감지기와 통신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기록된 통행권을 발권하는 통행권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상기 통행권에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에 관한 3개의 유형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연결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제1 링 트리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차량의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2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상기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및 상기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3x3 매트릭스에 배치하여 매트릭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i) 3x3으로 배치된 번호키를 통해 선택된 번호 및 입력 순서 또는 (ii) 3x3으로 배치된 9개의 점에 대한 패턴 방식을 통해 선택된 점에 대응하는 번호 및 입력 순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수신한 번호 및 입력 순서를 기준으로 상기 매트릭스 데이터를 시프트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상기 통행권 인쇄부는 상기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상기 통행권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통행권 발행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고, 통행권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가 설치된 환경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가 발권한 통행권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10)은 차량 분류 감지기(100), 통행권 발행기(200), 통행권 확인기(300), 차선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차량 분류 감지기(100)는 머신 러닝을 적용한 분류 모델을 통해 차량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차량의 외관을 감지한 3차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형상을 획득하고,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한다.
통행권 발행기(200)는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고, 통행권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한다.
통행권 확인기(30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된 통행권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추출한다.
차선 제어기(400)는 통행권 확인기부터 차량 번호 및 통행료 납부 정보를 수신하면, 통행료 납부 정보에 따라 차단바가 열린 상태 또는 차단바가 닫힌 상태로 변경한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고속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한다. 차량 촬영을 통해 획득한 3개의 유형 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연결된 링 트리플 데이터 구조로 저장된다. 여기서 3개의 유형 데이터는 차량번호, 고속도로에서 차량을 촬영한 장소, 촬영한 일시에 대응한다. 링 트리플 데이터 구조의 인덱스를 [1, 2, 3]이라고 하면, 1->2->3->1로 정방향으로 연결되고 3<-1<-2<-3로 역방향으로 연결된다. 방향을 따라 데이터가 시프트될 수 있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링 트리플 데이터 원본을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하고, 링 트리플 데이터 원본을 차량에 전송한다. 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통신 장치를 통해 통행료 수납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차량은 링 트리플 데이터 원본을 수신하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예컨대, [1, 2, 3]을 정방향으로 시프트하면 [3, 1, 2]가 되고, [1, 2, 3]을 역방향으로 시프트하면 [2, 3, 1]이 된다. 차량은 제2 방향으로 시프트된 링 트리플 데이터를 통행료 수납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제1 방향으로 시프트된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제2 방향으로 시프트된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3x3 매트릭스에 배치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3x3에 배치된 1, 2, 3, 4, 5, 6, 7, 8, 9 번호키에서 번호를 임의로 선택하고, 선택된 번호 및 번호의 입력 순서를 통행료 수납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3x3에 배치된 9개의 점에 대한 패턴 방식으로 입력받고 3x3에 배치된 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번호 및 입력 순서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선택된 번호를 차량의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3개 유형의 데이터가 조합된 3개의 링 트리플 데이터가 3x3 매트릭스에 배치된 데이터 구조를 차량의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번호 및 입력 순서에 따라 시프트를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1, 2, 3; 4, 5, 6; 7, 8, 9]에서 3->5->7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3개의 번호와 순서가 입력되었다면, 3->5->7를 시프트한 (7)->(3)->(5)를 기준으로 3x3 매트릭스 [1, 2, (7); 4, (3), 6; (5), 8, 9]를 변경한다. 3x3 매트릭스에 배치된 데이터 구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1a, 2a, 3a];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3b, 1b, 2b]; 제2 링 트리플 데이터 [2c, 3c, 1c]]에 대해서 시프트를 수행하여 새로운 3x3 매트릭스에 배치된 데이터 구조 [1a, 2a, (2c); 3b, (3a), 2b; (1b), 3c, 1c]를 생성한다. 이러한 삼중 시프트 방식을 통하여,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제2 링 트리플 데이터의 일부가 상호 교환된다. 통행료 수납 시스템은 새로운 3x3 매트릭스에 배치된 데이터 구조를 기준 데이터로 설정하고 기준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차량 분류 감지기는 차량 번호 획득부, 차량 형상 획득부, 데이터 처리부,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차량 번호 획득부는 머신 러닝을 적용한 분류 모델을 통해 차량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한다. 차량 번호 획득부는 카메라 등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가공한다.
차량 형상 획득부는 차량의 외관을 감지한 3차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형상을 획득한다. 차량 형상 획득부는 라이다 센서 등의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거리 정보를 획득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한다.
데이터 통신부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통행권 발행기로 전송한다.
차량 번호 획득부는 차량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이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계 박스를 오버랩하여 복수의 번호판 후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번호판 후보 중에서 매칭하는 번호판을 선택할 수 있다.
차량 번호 획득부는 머신 러닝을 적용한 분류 모델을 통해 번호판을 선택한다.
차량 형상 획득부는 차로 양쪽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광을 송수신하여 차량의 외관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른 복수의 포인트를 형상화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분석할 수 있다.
차량 형상 획득부는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밀집 분포된 포인트를 핵심 포인트로 설정하고 핵심 포인트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차량 종류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량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차량 번호에 등록된 차량 종류 및 예측한 차량 종류 간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고 차량 종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 종류 결과를 통행권 발행기로 전송할 수 있다.
분류 모델은 복수의 레이어가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고, 네트워크 구조는 대칭적인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조는 각 레이어의 뉴런의 개수가 증가하고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면서 진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총 3개의 은닉 레이어(Hidden Layer)으로 각 20, 10, 20개의 뉴런(neur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0 내지 1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고, 입력(Input), 출력(Output), 히든 레이어(Hidden Layer)의 뉴런을 S자 형태(Sigmoidal) 뉴런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결과 값이 8비트일 경우에 0 내지 255의 범위를 가지는 RGB 컬러 공간의 결과를 출력해야 하므로 S자 형태의 뉴런을 활용하여 RGB 컬러 공간의 출력을 유도한다. 분류 모델은 RGB 컬러 공간과 XYZ 컬러공간의 변환식을 학습한다. 매칭 모델은 비용 함수로 정의되고, 비용 함수의 가중치를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를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가 설치된 환경을 예시한 도면이다.
통행권 발행기(200)는 데이터 통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통행권 인쇄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차량 분류 감지기와 통신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한다.
통행권 인쇄부(23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기록된 통행권을 발권한다. 통행권 인쇄부(230)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를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통행권에 기록한다. 종이 등의 매체에 잉크 등의 물질을 인쇄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에 관한 3개의 유형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연결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제1 링 트리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차량의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차량(30)의 통신 장치로부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2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및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3x3 매트릭스에 배치하여 매트릭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10)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40)으로부터 (i) 3x3으로 배치된 번호키를 통해 선택된 번호 및 입력 순서 또는 (ii) 3x3으로 배치된 9개의 점에 대한 패턴 방식을 통해 선택된 점에 대응하는 번호 및 입력 순서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수신한 번호 및 입력 순서를 기준으로 매트릭스 데이터를 시프트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통행권 인쇄부(230)는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통행권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데이터 통신부(210)는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통행권 발행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리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가 발권한 통행권을 예시한 도면이다.
통행권(20)에 진입요금소명, 차량 종류, 진입 시간 등의 서지정보(22)가 기록된다. 통행권(20)은 마그네틱 선(24)을 포함하며,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26)를 포함한다. 통행권 확인기는 적외선을 송수신하여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를 판독할 수 있고, 마그네틱 선과 상호 작용하는 코일에 유도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선을 판독할 수 있다.
통행권 확인기는 통행권 판독부, 데이터 처리부,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통행권 확인기는 차량 번호 및 통행료 납부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행권 판독부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기록된 통행권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한다. 통행권에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기록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추출한다.
데이터 통신부는 차선 제어기로 차량 번호 및 통행료 납부 정보를 전송한다.
차선 제어기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행료 납부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통행료 납부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동부는 모터, 레일, 가이드 등을 이용하여 차단바의 위치를 이동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 차량 분류 감지기, 통행권 발행기, 통행권 확인기, 차선 제어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상호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 차량 분류 감지기, 통행권 발행기, 통행권 확인기, 차선 제어기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 차량 분류 감지기, 통행권 발행기, 통행권 확인기, 차선 제어기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
100: 차량 분류 감지기
200: 통행권 발행기
300: 통행권 확인기
400: 차선 제어기

Claims (10)

  1.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의 통행권 발행기에 있어서,
    차량 분류 감지기와 통신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를 포함하는 트리플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기록된 통행권을 발권하는 통행권 인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데이터 구조로 변환된 데이터가 일차원 바코드 또는 이차원 격자무늬 코드로 상기 통행권에 기록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차량 번호,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장소, 상기 차량 번호를 획득한 일시에 관한 3개의 유형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연결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제1 링 트리플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차량의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를 제2 방향으로 시프트한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원본 링 트리플 데이터, 상기 제1 링 트리플 데이터, 및 상기 제2 링 트리플 데이터를 3x3 매트릭스에 배치하여 매트릭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i) 3x3으로 배치된 번호키를 통해 선택된 번호 및 입력 순서 또는 (ii) 3x3으로 배치된 9개의 점에 대한 패턴 방식을 통해 선택된 점에 대응하는 번호 및 입력 순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수신한 번호 및 입력 순서를 기준으로 상기 매트릭스 데이터를 시프트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상기 통행권 인쇄부는 상기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상기 통행권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에 암호화를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암호화된 기준 데이터를 통행권 발행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 발행기.
KR1020200045197A 2020-04-14 2020-04-14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KR102157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97A KR102157846B1 (ko) 2020-04-14 2020-04-14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97A KR102157846B1 (ko) 2020-04-14 2020-04-14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846B1 true KR102157846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197A KR102157846B1 (ko) 2020-04-14 2020-04-14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84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94B1 (ko) 2003-06-05 2004-05-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행권발행장치 및 방법
JP2005301917A (ja) * 2004-04-15 200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通行券認証方法
JP2007058300A (ja) * 2005-08-22 2007-03-08 Toshiba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上位装置、利用証明書発行装置および利用明細書発行方法
KR20100128431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통행료 정산 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통신 보안 방법
JP2011076496A (ja) * 2009-09-30 2011-04-14 Toshiba Corp 通過車両に対する券発行装置、及び通過車両に対する券発行システム
KR101297329B1 (ko) 2013-04-16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자동 통행권 발행기와 통행권 확인기를 포함하는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
JP2015094959A (ja) * 2013-11-08 2015-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受取証書発行機、料金自動収受機及び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JP2017092677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東芝 通行券判定システム、発券機、電子署名生成器、料金計算機、判定器及び通行券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94B1 (ko) 2003-06-05 2004-05-2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행권발행장치 및 방법
JP2005301917A (ja) * 2004-04-15 200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通行券認証方法
JP2007058300A (ja) * 2005-08-22 2007-03-08 Toshiba Corp 料金収受システム、上位装置、利用証明書発行装置および利用明細書発行方法
KR20100128431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통행료 정산 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통신 보안 방법
JP2011076496A (ja) * 2009-09-30 2011-04-14 Toshiba Corp 通過車両に対する券発行装置、及び通過車両に対する券発行システム
KR101297329B1 (ko) 2013-04-16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자동 통행권 발행기와 통행권 확인기를 포함하는 도로 통행료 징수 시스템
JP2015094959A (ja) * 2013-11-08 2015-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受取証書発行機、料金自動収受機及び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JP2017092677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東芝 通行券判定システム、発券機、電子署名生成器、料金計算機、判定器及び通行券判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364B1 (ko)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S2562733B1 (es) Sistema para el control integral de pasajeros y equipaje
KR102157848B1 (ko)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머신 러닝을 통한 차량 분리 감지기
HU229695B1 (en) Dual toll system
JP2006215729A (ja) 駐車場用管理装置
JP2017102608A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Da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KR102157846B1 (ko)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
JP2007148671A (ja) パーキングシステム
KR102157847B1 (ko)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 시스템에서 무단 복제를 방지한 통행권 확인기
Münch et al. Data anonymization for data protection on publicly recorded data
JP7491298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装置の制御方法
Arora et al. Automatic number plate detection and un-manned challan generation for the odd/even rules in delhi
JP7220530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900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又は方法
KR102098809B1 (ko) 출입 인증 시스템의 미들웨어가 차량출입증과 인원출입증을 그룹핑하는 방법
CN112562156A (zh) 基于电子车牌和视频识别的重点车辆场所出入管理方法
Hussain et al. QR-based ticket verification and parking system
KR20070055069A (ko) Rfid tag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및 그 방법
Kalpana et al. OCR-Based Automatic Toll Collection and Theft Vehicle Detection Using IoT
JP6665574B2 (ja) ゲート装置、通行管理システム、端末、通行管理方法、および通行管理プログラム
Krishna et al. 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for public transport corpor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with help of UIDAI
KR20140117116A (ko)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차량의 축조작 검출 방법
Suseendran et al. Novel Online Vehicle Toll Payment System for Indian National Highways
JP6796301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又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