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821B1 - 태양광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7821B1 KR102157821B1 KR1020180011382A KR20180011382A KR102157821B1 KR 102157821 B1 KR102157821 B1 KR 102157821B1 KR 1020180011382 A KR1020180011382 A KR 1020180011382A KR 20180011382 A KR20180011382 A KR 20180011382A KR 102157821 B1 KR102157821 B1 KR 102157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battery
- energy storage
- charging
-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계통에 방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출력된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전량을 계통에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 전지 어레이의 발전량의 매전 수익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를 부착한 패널을 대규모로 펼쳐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 전기를 대규모로 생산하는 발전인 태양광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비가 들지 않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태양광 에너지 발전 방식에는 독립형 방식과 계통 연계형 방식이 있다.
독립형 방식은 태양광발전 장치를 계통에 연결되지 않은 독립된 부하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계통 연계형 방식은 태양광발전 장치를 기존의 전력 계통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태양광 발전 장치로부터 낮에 전기가 발생하면 송전하고 밤이나 우천시에는 계통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경부하시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에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과부하시에는 태양광 발전 전력뿐만 아니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방전하여 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는 형태의 태양광 발전 장치가 도입되었다.
현재, 정부의 시책에 따르면, 오전 10시부터 오후 16시까지 발전된 태양광 전력은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는데 소모되는 전력 및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저장되어 판매하는 전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태양광 전력을 통해 최대의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6시까지 발전되는 발전량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여, 추후, 저장된 발전량을 매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는데 소비되는 소비 전력으로 인해, 손실이 생길 수 밖에 없다.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은 내부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 내부 구성 요소의 냉각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연동하여, 태양광 발전소를 운용할 경우, 배터리의 충전/방전 과정에서 전력(내부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의 예)의 손실이 발생한다.
만약, 태양전지 어레이가 획득한 현재 발전량이 태양광 발전소의 소비 전력보다 작은 경우,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제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소모적인 일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전지 어레이가 획득된 발전량에 대한 매전 수익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어레이의 발전량과 태양광 발전 장치의 소비 전력 간의 비교에 따라 발전량을 계통에 바로 공급하거나, 발전량을 통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는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계통에 방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출력된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전량을 계통에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전량, 배터리의 효율, 가중치로 표현되는 충전 효율 전력과 상기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의 소비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조건이 판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효율 전력은 상기 발전량에 상기 배터리의 효율 및 상기 가중치를 곱한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효율 전력이 상기 소비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전량을 계통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효율 전력이 상기 소비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량을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효율은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State Of health, SOH)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효율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대비 방전량의 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전량을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발전 장치는 상기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직류/교류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1 교류/교류 컨버터와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직류/교류 컨버터 및 상기 제2 직류/교류 컨버터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2 교류/교류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는 상기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는 교류/교류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출력된 발전량이 태양광 발전 장치의 소비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저장되거나, 바로 매전되어, 운용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조건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조건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는 태양전지 어레이(101), 제1 직류/교류 컨버터(103), 제1 교류/교류 컨버터(105), 계통(107), 부하(109), 충전 제어부(1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 제2 직류/교류 컨버터(115), 제2 교류/교류 컨버터(117), 센싱부(119) 및 프로세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어레이(101)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직류 전력일 수 있다.
제1 직류/교류 컨버터(103)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직류/교류 컨버터(103)는 태양전지 어레이(101)가 공급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제1 교류/교류 컨버터(105)는 교류 전력을 계통(107)과 부하(109)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교류 전력의 크기를 컨버팅하여, 컨버팅된 전력을 계통(107)과 부하(109)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직류/교류 컨버터(103) 및 제1 교류/교류 컨버터(105) 사이에는 교류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교류 필터는 교류 전력으로 컨버팅된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 할 수 있다.
계통(107)은 복수의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가 일체로 되어 전력의 발생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일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태양전지 어레이(101)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계통(107) 또는 부하(109)의 전력 수급상황에 따라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류/교류 컨버터(11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교류/교류 컨버터(117)는 계통(107) 및 부하(109)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컨버팅할 수 있다.
제2 직류/교류 컨버터(115) 및 제2 교류/교류 컨버터(117) 사이에는 교류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교류 필터는 교류 전력으로 컨버팅된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 할 수 있다.
부하(109)는 태양전지 어레이(101) 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으로부터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소비한다.
센싱부(119)는 태양광발전 장치(100)의 상태 및 태양광발전 장치(100) 주변 환경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19)는 태양광발전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발전 장치(100)의 상태는 태양광발전 장치(100)가 생산하는 전력의 전압 및 태양광발전 장치(100) 내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9)는 태양광발전 장치(100) 주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태양광발전 장치(100) 주변 환경의 상태는 태양광발전 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일사량 및 태양광발전 장치(100)가 위치한 곳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119)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19)는 일사량 센서, 온도 센서 및 전압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태양광 발전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충전 제어부(111)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충전 제어부(111)의 구성은 프로세서(12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는 태양전지 어레이(201), 직류/직류 컨버터(203), 직류/교류 컨버터(205), 교류/교류 컨버터(207), 계통(209), 부하(211), 충전 제어부(213),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 센싱부(217) 및 프로세서(219)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어레이(201)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수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직류 전력일 수 있다.
직류/직류 컨버터(203)는 태양전지 어레이(201)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직류/교류 컨버터(205)는 크기가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교류/교류 컨버터(207)는 계통(209) 및 부하(211)에 공급되기 적합한 형태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직류/교류 컨버터(205) 및 교류/교류 컨버터(207) 사이에는 교류 필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교류 필터는 교류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 할 수 있다.
계통(209)은 복수의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가 일체로 되어 전력의 발생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일 수 있다.
부하(211)는 태양전지 어레이(201) 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으로부터 제공된 전기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3)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은 태양전지 어레이(201)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계통(209) 또는 부하(211)의 전력 수급상황에 따라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다.
센싱부(217)는 태양광발전 장치(100)의 상태 및 태양광발전 장치(100) 주변 환경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싱부(217)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1의 센싱부(119)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프로세서(219)는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현재 발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획득된 현재 발전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는 배터리의 효율 및 발전량의 매전 가격을 고려한 충전 효율 전력과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현재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태양전지 어레이(210)의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계통(209)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를 비교해 보면,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보다, 직류/교류 컨버터 및 교류/교류 컨버터 각각이 1개씩 제외되었고, 직류/직류 컨버터가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는 도 1의 경우보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경우, 기존의 태양광 발전 계통과 배터리 에너지 저장 계통의 단순 조합으로 전력 효율이 80% 였다면, 도 2의 경우, 태양광 발전 계통과 배터리 에너지 저장 계통의 유기적인 조합으로, 전력 효율이 90%로 증가하게 되어,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200)가 하기의 과정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19)는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현재 발전량을 획득한다(S30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9)는 센싱부(217)에 구비된 전력 측정기를 통해, 태양전지 어레이(201)가 발전하는 발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획득된 현재 발전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한다(S303).
일 실시 예에서,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는 배터리의 효율 및 발전량의 매전 가격을 고려한 충전 효율 전력과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충전 효율 전력은 현재 발전량에 배터리의 효율 및 가중치를 곱한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효율 전력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보다 큰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51)의 충전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효율 전력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51)의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충전 조건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충전 조건식(400)은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현재 발전량, 배터리의 효율, 가중치 및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의 효율은 배터리의 성능 상태(State Of Health, SOH)로 정해질 수 있다. 배터리의 효율이 배터리의 성능 상태로 정해진 경우, 배터리의 효율은 배터리의 제조사가 정한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배터리의 효율은 배터리의 충전량과 방전량의 비율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량이 1이고, 방전량이 0.8인 경우, 배터리의 효율은 0.8일 수 있다.
배터리의 효율은 1일 단위로, 산정하여,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의 효율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의 효율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가중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이용하여, 충전된 전력을 매전하는 경우, 매전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부여되는 수치일 수 있다. 가중치는 5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수치이다.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은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소모되는 전력, 내부 구성 요소의 냉각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발전량에 배터리의 효율 및 가중치를 곱한 값은 충전 효율 전력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효율 전력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충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효율 전력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보다 큰 경우,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S305),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현재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공급한다(S307).
즉, 프로세서(219)는 현재 발전량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소비 전력을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현재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충전시키도록 충전 제어부(213)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충전된 전력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거치지 않은 전력보다 더 높은 가격에 매매될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현재 발전량이 손실량을 극복할 정도로, 큰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충전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200)의 운영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충전된 전력을 통해, 높은 매전 가격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프로세서(219)는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S305), 태양전지 어레이(210)의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계통(209)에 공급한다(S309).
프로세서(219)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충전 제어부(213)를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프로세서(219)는 태양전지 어레이(201)로부터 제공된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계통(209)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는, 태양전지 어레이(201)의 발전량을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에 공급하지 않고, 바로, 계통(209)에 매전하는 절차일 수 있다.
만약, 충전 조건이 맞지 않는 상태에서, 태양전지 어레이(201)에 발전된 발전량으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215)을 충전하는 경우, 소비 전력이, 충전 효율 전력보다 크게되어, 손실이 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 발전 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충전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태양광 어레이(201)에서 발전된 발전량을 바로, 매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된 발전량만큼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9)는 단계 S301 내지 S309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 주기는 1일, 1시간, 10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수치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태양광 발전 장치에 있어서,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계통에 방전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에서 출력된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전량을 계통에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전량에 배터리의 효율 및 가중치를 곱한 값으로 표현되는 충전 효율 전력과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의 소비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조건이 판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된 전력을 매전하는 경우, 매전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부여되는 수치인
태양광 발전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효율 전력이 상기 소비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발전량을 계통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효율 전력이 상기 소비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량을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효율은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State Of health, SOH)로 나타내어지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효율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대비 방전량의 비율로 나타내어지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전량을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 제어부를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1 직류/교류 컨버터;
상기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1 교류/교류 컨버터;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방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제2 직류/교류 컨버터; 및
상기 제2 직류/교류 컨버터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력을 상기 계통에 제공하는 제2 교류/교류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량에 대응하는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는 직류/직류 컨버터;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컨버터; 및
상기 변환된 교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는 교류/교류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382A KR102157821B1 (ko) | 2018-01-30 | 2018-01-30 | 태양광발전 장치 |
US16/960,204 US11211808B2 (en) | 2018-01-30 | 2019-01-11 | Photovoltaic apparatus |
PCT/KR2019/000426 WO2019151675A1 (ko) | 2018-01-30 | 2019-01-11 | 태양광발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382A KR102157821B1 (ko) | 2018-01-30 | 2018-01-30 | 태양광발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056A KR20190092056A (ko) | 2019-08-07 |
KR102157821B1 true KR102157821B1 (ko) | 2020-09-18 |
Family
ID=6747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1382A KR102157821B1 (ko) | 2018-01-30 | 2018-01-30 | 태양광발전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211808B2 (ko) |
KR (1) | KR102157821B1 (ko) |
WO (1) | WO20191516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56968A (ko)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랙 및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영 방법 |
KR102642607B1 (ko) * | 2023-09-05 | 2024-02-29 | 장팔수 | 자가 발전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살균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7077B1 (ko) | 2011-12-12 | 2019-0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력 소비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1509148B1 (ko) * | 2013-09-25 | 2015-04-14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태양광 발전 시스템, 축전지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
KR20160028884A (ko) | 2014-09-04 | 2016-03-14 | 안대건 | 태양광 발전장치 및 전력저장장치가 구비된 전력공급 시스템의 운영방법 |
KR101677831B1 (ko) * | 2015-02-11 | 2016-11-1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KR101695218B1 (ko) | 2016-04-25 | 2017-01-23 | 최상식 | 태양광 발전 설비 운용시스템 |
KR101845166B1 (ko) * | 2016-08-25 | 2018-04-04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미니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
2018
- 2018-01-30 KR KR1020180011382A patent/KR1021578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11 US US16/960,204 patent/US11211808B2/en active Active
- 2019-01-11 WO PCT/KR2019/000426 patent/WO201915167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66940A1 (en) | 2021-03-04 |
WO2019151675A1 (ko) | 2019-08-08 |
KR20190092056A (ko) | 2019-08-07 |
US11211808B2 (en) | 2021-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2395B1 (ko) |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 |
Mudgal et al. | Techno-economic analysis of standalone solar photovoltaic-wind-biogas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for community energy requirement | |
Bhatti et al. | Electric vehicle charging using photovoltaic based microgrid for remote islands | |
Gatta et al. | Battery energy storage efficiency calculation including auxiliary losses: Technology comparison and operating strategies | |
Weniger et al. | Sizing of battery converters for residential PV storage systems | |
CN104052082A (zh) | 一种离网并网运行的光储联合供电系统 | |
Tasdighi et al. | Energy management in a smart residential building | |
Sasitharanuwat et al. | Performance evaluation of a 10 kWp PV power system prototype for isolated building in Thailand | |
JP2018098953A (ja) | 給電システム | |
Oussama et al. | Proposed energy management for a decentralized DC-microgrid based PV-WT-HESS for an isolated community | |
KR102157821B1 (ko) | 태양광발전 장치 | |
JP7159444B2 (ja) |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2537509B1 (ko) |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Zaghba et al. | A combined simulation and experimental analysis the dynamic performance of a 2 kW photovoltaic plant installed in the desert environment | |
JP6369965B1 (ja) | 電力供給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電力供給装置 | |
Quoc et al. | Optimal design combined with power management for stand-alone microgrid | |
Jalilzadeh et al. | Optimum design of a hybrid Photovoltaic/Fuel Cell energy system for stand-alone applications | |
Nakayama et al. | Improvement of converter efficiency in partial load using temporary storage with lithium-ion capacitor | |
Zhou et al. | Integration of a PV-battery hybrid system with the main power grid | |
Bharathi et al. | Car runs by solar energy | |
Barbosa et al. | Supercapacitor in battery charges of photovoltaic panel: Analysis of the technical feasibility | |
KR101957197B1 (ko) | 태양광발전 시스템 | |
KR102534877B1 (ko) | 태양광발전 장치 | |
JP6093053B2 (ja) | 太陽光発電データ収集装置 | |
Aly | Dynamic modeling and power management for stand-alone AC-coupled photovoltaic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