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395B1 -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395B1
KR101792395B1 KR1020160017160A KR20160017160A KR101792395B1 KR 101792395 B1 KR101792395 B1 KR 101792395B1 KR 1020160017160 A KR1020160017160 A KR 1020160017160A KR 20160017160 A KR20160017160 A KR 20160017160A KR 101792395 B1 KR101792395 B1 KR 10179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578A (ko
Inventor
이영훈
윤주영
박성구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395B1/ko
Priority to PCT/KR2017/000631 priority patent/WO2017142218A1/ko
Priority to US15/431,979 priority patent/US10756544B2/en
Priority to EP17156283.8A priority patent/EP3206276B1/en
Publication of KR2017009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2
    • H02J3/38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와, 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력망 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에 의해 충전되고, 방전되면서 상기 전력 부하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서로 다른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수퍼 캐패시터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충전 주기 및 출력 특성 등이 상이한 복수의 배터리를 혼용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배터리가 가장 효율적인 출력으로 구동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고 피크 컷 또는 피크 쉐이빙 등의 운용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성이 다른 복수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가 조합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이용하거나 햇빛, 물,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등이 있고, 신에너지에는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등이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태양광으로 대표되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과 전력 저장 시스템을 연계한 것으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에 신재생 에너지 또는 전력 계통의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 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한국특허공개 제2013-0138611호에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경우 통상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또는 기존 계통의 전력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고, 부하에 전력 공급이 필요할 때 신재생 에너지, 계통, 에너지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시스템의 운용 중 순간적으로 부하가 증가할 때를 대비해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와 함께 수퍼 캐패시터(Super Capacitor)를 구성해 부족한 순간 출력을 보완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퍼 캐패시터는 에너지 밀도가 낮고 대용량으로 이용하기에는 가격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수퍼 캐패시터는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수 초 이내에 큰 출력을 필요로하는 경우에 적합하므로, 빌딩이나 공장 등 전력의 피크 컷(peak cut), 피크 쉐이빙(peak shaving)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3-0138611호 (공개일 2013.12.19)
본 발명의 목적은 특성이 다른 복수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를 조합해 요구 성능에 부합됨과 동시에 각 에너지 저장장치가 가장 효율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와, 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력망 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에 의해 충전되고, 방전되면서 상기 전력 부하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서로 다른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출력 특성, 가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포함 한다.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2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단주기형 배터리이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1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장주기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는 첨두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기저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제3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배터리는 상기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1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초단주기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종류 및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 방전량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한다.
상기 PCS는 외부 전력망 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에 의해 생산된 상기 전력을 상기 전력 부하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력의 교류 또는 직류간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을 모니터링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는 피크 컷(peak cut) 또는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운전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 또는 상기 외부 전력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전될 때,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로부터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외부 전력망에 의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간 충전량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유휴 시간에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배터리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을 먼저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 시작 후 지속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간 충전량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유휴 시간에 상기 제2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는 상기 전력 부하가 최고조인 시간 대에 피크 컷(peak cut) 또는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방식으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은 고가의 수퍼 캐패시터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충전 주기 및 출력 특성 등이 상이한 복수의 배터리를 혼용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배터리가 가장 효율적인 출력으로 구동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되고 피크 컷 또는 피크 쉐이빙 등의 운용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용량 대비 출력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충전 중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충전 시 전력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도 3에 따른 유휴 시간 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간 균형 맞춤 시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방전 중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방전 시 전력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도 6에 따른 유휴 시간 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간 균형 맞춤 시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용량 대비 출력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와, 에너지 저장 설비(300)로 구성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외부 전력망(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함께 에너지 저장 설비(300) 또는 전력 부하(400)로 공급된다.
전력망(100)은 화력, 수력, 원자력 등 기존의 발전 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이며, 전력 부하(400)는 전력을 소비하는 가정, 빌딩, 공장 등의 다양한 시설을 의미한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는 태양광, 풍력, 조력, 바이오 매스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설비로, 설치 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발전 설비가 적용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는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역 특성에 맞는 복수의 설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태양광 발전 설비(210)와 풍력 발전 설비(230)를 동시에 운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 설비(210)는 태양전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고 전력 계통에 연결시키는 전력 변환장치,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구성은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풍력 발전 설비(230)는 블레이드, 블레이드에 의해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전환 장치 및 동력 전달 장치,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역시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에너지 저장 설비(300)는 충전 또는 방전이 가능한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300)를 구비하며, 에너지 저장 장치(300)를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에너지 저장 장치(300)를 방전시켜 저장된 에너지를 전력망(100) 또는 전력 부하(4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설비는 에너지 저장 장치(300)의 충전 또는 방전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과, 전력 공급 및 관리를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300)는 출력 특성과 가격, 충전 주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제1 배터리(310)를 단주기형 배터리로 구성하고, 제2 배터리(330)를 장주기형 배터리로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복수 개의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충전 주기와 출력 특성을 고려해 배터리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단주기형 배터리의 경우 장주기형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전 용량이 작은 배터리를 의미한다. 단주기형 배터리는 장주기형 배터리에 비해 빠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해 빠른 부하 응동이 필요한 경우나 갑작스러운 부하 변동, 간헐적인 전력 변동에 대응하기 쉽다. 장주기형 배터리는 단주기형 배터리에 비해 용량이 크므로 충전 및 방전은 느리나, 지속적인 부하 대응이 가능하며, 단주기형 배터리에 비해 방전 시간이 긴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 계획을 달리하여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가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배터리의 잔여 용량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기 전력 운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40)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나 전력망(10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소의 기능과, 방전을 통해 저장된 에너지를 전력 부하(400)나 전력망(100)에 공급하는 에너지원으로 기능한다.
PCS(330, 370)는 전력변환장치로서, 교류와 직류간의 변환 및 전압, 전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PCS(330, 370)는 전력망(100)을 통해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를 전력 부하(400)에 공급하거나 배터리에 충전시키거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를 전력 부하(400)에 공급하 거나 배터리에 충전시킨다. 또는 배터리를 방전시켜 저장된 에너지를 전력 부하(400)나 전력망(100)에 공급하여, 전력 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배터리의 충/방전은 배터리의 종류 및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운용된다. 또한, PCS(330, 370)는 전력 부하(4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정보로 저장하여 보유할 수 있다.
BMS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배터리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방전량을 적정 수준으로 제어함은 물론, 배터리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고,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파악한다. 또한, BMS는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비상 동작을 통해 배터리을 보호한다. BMS는 배터리의 종류 및 특성 정보가 저장되며, 배터리의 특성에 맞게 충전 및 방전을 관리한다(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BMS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PCS만 표시하였으나, BMS가 구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주기형 배터리나 수퍼 캐패시터만을 구비한 경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장 용량(도 2의 요구 성능 포인트)이 커지면 오버 스펙(overspecializ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주기형 배터리만을 구비한 경우 급격한 부하 변동에 대처하기 어렵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순간 출력(도 2의 요구 성능 포인트)을 만족시키려면 오버 스펙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단주기형 배터리와 장주기형 배터리를 혼용하는 경우, 각각의 배터리가 오버 스펙되는 일이 없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저장 용량과 출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310)가 단주기형 배터리인 리튬 이온 배터리(LiB)로 구성되고, 제2 배터리(330)가 장주기형 배터리인 나트륨 이온 배터리(Ni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터리는 C-rate(Charge-rate, 1Wh 당 0.5W의 출력)에 kWh당 450달러이고, 제2 배터리는 C-rate(1Wh 당 0.05W의 출력)에 kWh당 300달러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성능을 지니면서 출력 조합 비율을 변경할 때 용량비로 제1 배터리가 44.4%, 제2 배터리가 55.6%의 비율이 되면 요구 성능을 만족하면서 리튬 이온 배터리로만 구성했을 때에 비해 약 18.5%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단주기형 배터리와 장주기형 배터리의 조합을 통해 가격과 성능 모두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평상시 큰 변화가 없는 전력 부하(이하 기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가 아닌, 순간적인 고출력을 요하는 일시적 부하(이하 첨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수퍼 캐패시터를 이용해 이러한 첨두 부하에 대응하였다.
그러나 수퍼 캐패시터는 고출력은 가능하나, 비용이 비싸고 피크 컷(peak cut)이나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운전을 수행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충전 주기가 상이한 복수의 배터리를 적용함으로써 첨두 부하에 대응하고자 한다.
피크 컷(peak cut) 운전이란 특정 시간대에 집중하는 부하를 다른 시간 대로 옮길 수 없는 경우, 목표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일부 부하를 차단하는 운전 방식을 말한다.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운전은 피크 부하 저감 또는 피크 부하 관리라고도 하며, 전력 부하가 최고조인 시간 대에 대비해 유휴 전력을 저장했다가 피크 시간 대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는 운전 방식을 말한다.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제1 배터리(310) 및 제2 배터리(330)가 구성된 경우, 제1 배터리(310)는 단주기형 배터리로 충전 주기가 짧으므로 부하의 변동이 심한 첨두 부하를 담당하게 된다. 제2 배터리는 장주기형 배터리로 충전 주기가 길기 때문에 부하의 변동이 거의 없는 기저 부하를 담당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용 제어 주체는 PCS이며, 이하에서는 제어 주체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아도 PCS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310)로 단주기형 배터리인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2 배터리(330)로 장주기형인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이용한 것을 예로 하며, 구체적으로 250kW/1MWh급 에너지 저장 장치(300)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시 전력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충전 중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충전 시 전력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유휴 시간 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간 균형 맞춤 시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310) 및 제2 배터리(330)는 태양력 발전 설비(210)나 풍력 발전 설비(230)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 또는 전력망(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또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 및 전력망(100) 모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터리(330)는 장주기형 배터리로 충전 속도가 느리므로 최대한 부하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충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A 영역 참조). 이를 위해 제2 배터리는 전력망(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은 기상 조건에 따라 간헐적인 전력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200)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은 제1 배터리(310)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B 영역 참조).
만약, 제1 배터리(310)와 제2 배터리(330)간 충전량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 시간에 충전 주기가 짧아 빠르게 충전된 제1 배터리(310)로부터 제2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해 제2 배터리(33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제1 배터리(310)와 제2 배터리(330)의 충전량 균형을 맞출 수 있다. 그러나 급속 충전이 필요할 때에는 제1 배터리(310)의 방전 출력을 높여 더 높은 C-rate(충전율)로 제2 배터리(330)를 충전할 수 있다(도 7의 E 영역 참조). 필요에 따라 제1 배터리(310)의 출력으로 제2 배터리(330)를 충전해 충전량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면, 전력 부하 요구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황이라면 전력망(100)의 전력을 일부 공급받아 제2 배터리(330)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전 시 전력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따른 방전 중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방전 시 전력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유휴 시간 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간 균형 맞춤 시 전력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부하(4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장치(300)를 방전시키는 경우, 우선 부하에 대한 응동이 빠른 제1 배터리(310)로 대응을 하도록 한다(도 7의 C 영역 참조). 제2 배터리(330)는 기저 부하에 대해 대응하도록 하며, 최대한 부하 변동이 적게 지속적으로 방전시킨다(도 7의 D 영역 참조). 변화하는 전력 피크에 대한 응동은 제1 배터리(310)가 담당하며(도 7의 E 영역 참조), 필요 시 평소보다 높은 출력으로 제2 배터리(330)를 방전시켜 피크 전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만약, 제1 배터리(310)와 제2 배터리(330)간 충전량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 시간에 제2 배터리(330)로부터 제1 배터리(310)로 전력을 공급해 제1 배터리(31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제1 배터리(310)와 제2 배터리(330)의 충전량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 장치는 단주기형 배터리와 장주기형 배터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주기형 배터리 장주기형 배터리
LiB(리튬 이온 배터리) NiB(나트륨 이온 배터리)
LiB VRFB(바나듐 산화환원 흐름 전지)
LiB LAB(납 축전지)
LAB NiB
LAB VRFB
VRFB NiB
Super Capacitor LiB
단주기형 배터리와 장주기형 배터리의 종류가 지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조합되는 배터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른 하나 보다 상대적으로 C-rate가 높고 반응이 빠른 배터리를 단주기형 배터리로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표에 예시적으로 기재한 종류 이외에 다양한 타입의 배터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를 셋 이상 복수 개로 구비하는 경우 상대적인 배터리의 특성에 따라 초단주기형 배터리, 단주기형 배터리, 장주기형 배터리로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수퍼 캐패시터 대신 다른 배터리를 구비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용 목적과 경제성 등 시스템 구성 조건에 따라 단주기형 배터리 대신 수퍼 캐패시터를 사용하고, 장주기형 배터리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전력망 200: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
300: 에너지 저장 설비 310: 제1 배터리
350: 제2 배터리 330, 370: PCS

Claims (16)

  1.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와,
    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전력망 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에 의해 충전되고, 방전되면서 상기 전력 부하에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관리하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서로 다른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를 갖는 복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주기형이고,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긴 장주기형이며,
    상기 배터리 중 단주기형 배터리는 순간적인 고출력을 요하는 일시적 부하인 첨두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배터리 중 장주기형 배터리는 기저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배터리 중 단주기형 배터리의 방전 시작 후 상기 배터리 중 장주기형 배터리의 방전을 부하 변동이 적게 지속적으로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출력 특성, 가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2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단주기형 배터리이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1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장주기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는 첨두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기저 부하에 대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제3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배터리는 상기 상기 충전 및/또는 방전 주기가 상기 제1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초단주기형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종류 및 특성 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 방전량을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CS는 외부 전력망 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에 의해 생산된 상기 전력을 상기 전력 부하 또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력의 교류 또는 직류간 변환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 부하의 소비 전력을 모니터링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피크 컷(peak cut) 또는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운전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로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가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 또는 상기 외부 전력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전될 때,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로부터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외부 전력망에 의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 시작 후 부하 변동이 적게 지속적으로 방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에서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량을 뺀 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유휴 시간에 상기 제1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제2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의 급속 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의 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방전을 먼저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방전 시, 상기 제1 배터리의 충전량에서 상기 제2 배터리의 충전량을 뺀 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유휴 시간에 상기 제2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으로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및 제2 배터리는 상기 전력 부하가 최고조인 시간 대에 피크 컷(peak cut) 또는 피크 쉐이빙(peak shaving) 방식으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운용 방법.
KR1020160017160A 2016-02-15 2016-02-15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KR10179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60A KR101792395B1 (ko) 2016-02-15 2016-02-15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PCT/KR2017/000631 WO2017142218A1 (ko) 2016-02-15 2017-01-18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US15/431,979 US10756544B2 (en) 2016-02-15 2017-02-14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EP17156283.8A EP3206276B1 (en) 2016-02-15 2017-02-15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160A KR101792395B1 (ko) 2016-02-15 2016-02-15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78A KR20170095578A (ko) 2017-08-23
KR101792395B1 true KR101792395B1 (ko) 2017-11-01

Family

ID=5805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160A KR101792395B1 (ko) 2016-02-15 2016-02-15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6544B2 (ko)
EP (1) EP3206276B1 (ko)
KR (1) KR101792395B1 (ko)
WO (1) WO2017142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846B1 (ko) * 2016-12-09 2018-10-10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Ess 최적 효율 운영방법
KR102053812B1 (ko) * 2018-03-13 2019-12-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배터리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9193662B (zh) * 2018-08-30 2020-10-09 山东大学 计及不平衡功率分摊的最危险负荷裕度计算方法及系统
CN109256802B (zh) * 2018-10-08 2020-11-10 南京千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峰供电控制方法与装置
WO2020160427A1 (en) * 2019-02-01 2020-08-06 Duke Energy Corporation Advanced power distribution platform
CN109921449B (zh) * 2019-02-14 2021-11-02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液流电池储能电站功率分配装置及方法
CN111799817B (zh) * 2019-04-01 2024-05-10 斗山重工业建设有限公司 发电站连接型能量存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165691B (zh) * 2019-05-27 2021-01-01 重庆大学 采用能量均衡的混合储能功率分配系统及其工作方法
DE102019130683A1 (de) 2019-11-14 2021-05-20 Man Energy Solutions Se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Betreiben eines Batteriesystems sowie Batteriesystem
CN111030150B (zh) * 2019-12-30 2020-12-08 南通大学 一种微电网系统负荷可靠供电的混合储能容量确定方法
CN111313462A (zh) * 2020-02-13 2020-06-19 深圳市德兰明海科技有限公司 一种并离网光伏充电方法、户用储能系统
CN111244996B (zh) * 2020-03-24 2021-10-22 北京双登慧峰聚能科技有限公司 储能并网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450205B1 (ko) * 2020-05-14 2022-10-04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 공급 시스템의 출력 분배 방법
KR102652000B1 (ko) * 2021-12-13 2024-03-27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이종 배터리의 연계를 위한 전력 변환 시스템 기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운용하는 전력 운용 장치에서 수행되는 전력 운용 방법 및 전력 운용 장치
WO2024129642A1 (en) * 2022-12-14 2024-06-20 Ravolt Llc Off-grid electrical power system
DE102023102702A1 (de) 2023-02-03 2024-08-08 Daylight Eco GmbH Eigenverbrauchsoptimierung für haushaltsnetze mit batteriespeic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572A (ja) * 2012-01-24 2013-08-08 Sanyo Denki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JP2014131369A (ja) * 2012-12-28 2014-07-10 Kawasaki Heavy Ind Ltd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6001967A (ja) * 2014-06-12 2016-01-0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8483B2 (ja) 2010-07-09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
JP5353957B2 (ja) 2011-06-14 2013-11-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30003409A (ko) * 2011-06-30 2013-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시스템
KR20130138611A (ko) 2012-06-11 2013-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CA2845684A1 (en) * 2013-03-13 2014-09-13 Manitoba Hydro International Ltd. Heterogeneous energy storag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692234B2 (en) * 2013-10-21 2017-06-27 Stc.Unm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power using photovoltaic resources and a shifting battery system
KR101631065B1 (ko) 2013-12-03 2016-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연결방법
JP6163121B2 (ja) * 2014-02-26 2017-07-12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自立運転システム
WO2016009389A1 (en) * 2014-07-16 2016-01-21 Wayne State University Balanced control strategies for interconnected heterogeneous battery systems in smart gri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572A (ja) * 2012-01-24 2013-08-08 Sanyo Denki Co Ltd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JP2014131369A (ja) * 2012-12-28 2014-07-10 Kawasaki Heavy Ind Ltd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6001967A (ja) * 2014-06-12 2016-01-0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力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7260A1 (en) 2017-08-17
WO2017142218A1 (ko) 2017-08-24
EP3206276A1 (en) 2017-08-16
US10756544B2 (en) 2020-08-25
KR20170095578A (ko) 2017-08-23
EP3206276B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395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시스템 운용 방법
Qiu et al. A field validated model of a vanadium redox flow battery for microgrids
CN101013819B (zh) 将能量储存系统耦合到可变能量供应系统的方法和装置
Zhang et al. Grid-level application of electrical energy storage: Example us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N103457514B (zh) 双模太阳能光伏发电系统
Bao et al.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for energy management in EV and utility integration
Ton et al. Solar energy grid integration systems-energy storage (SEGIS-ES)
US10693304B2 (en) Energy storage system with improved operating ti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48623A (ko) 태양광 기반의 자율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456811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히터 구동 방법
JP2015192566A (ja) 電力システム及び直流送電方法
JP2017051083A (ja) 発電システム、発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iyake et al. Vanadium redox-flow battery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KR101440197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인버터 출력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인버터 출력 제어 방법
Garces et al. Optimal operation of distributed energy storage units for minimizing energy losses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i Piazza et al. Electrical storage integration into a DC nanogrid testbed for smart home applications
CN102097820A (zh) 太阳能峰谷电力调节系统
CN109904875B (zh) 一种含燃料电池发电装置的微电网能量管理方法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46339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Hajizadeh et al. Intelligent power control of DC microgrid
Ciceu et al.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EV Charging Stations Powered by Renewable Energy Sources
Cavallaro et al. Smart photovoltaic UPS system for domestic appliances
Bampoulas et al. A novel dynamic demand control of an electric vehicle integrated in a solar nanogrid with energy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