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91B1 - 차량용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91B1
KR102157691B1 KR1020140173778A KR20140173778A KR102157691B1 KR 102157691 B1 KR102157691 B1 KR 102157691B1 KR 1020140173778 A KR1020140173778 A KR 1020140173778A KR 20140173778 A KR20140173778 A KR 20140173778A KR 102157691 B1 KR102157691 B1 KR 10215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vehicle
spac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283A (ko
Inventor
이세민
박태용
안용남
원종보
이성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100);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 상기 제1케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부(400); 상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수단(500); 상기 제2케이스(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수단(500)을 통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부(600); 상기 제1케이스(200)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하여 가열되도록 송풍하는 제1송풍부(710); 상기 제2케이스(300)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증발부(600)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송풍하는 제2송풍부; 개폐수단(8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송풍부(710) 및 제2송풍부(7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는 토출덕트(800)를 포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일 장치를 통해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냉난방 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단일 장치를 통해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각의 도어(11d, 12d, 13d)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벤트(11, 12, 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에 연결되어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부(14);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히터코어(H);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14)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증발기(E)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기통로 쪽으로 유동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 사이클이 가동될 경우, 상기 템프도어(15)는 상기 냉기통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온기통로를 개방함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는 온기통로를 통하여 상기 히터코어(H)를 거치면서 상기 히터코어(H)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뀌게 되고 개방된 벤트(11, 12, 13)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로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1), 압축기(1)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2), 응축기(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팽창수단(3), 그리고, 상기 팽창수단(3)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E) 등이 냉매 배관(5)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증발기(E)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2)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냉매를 냉각하기 위하여 자동차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압축기(1)는 엔진 구동 벨트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엔진룸 내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배관(5) 연결이 복합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트럭과 같은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냉방이 가능하도록 차량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작동되는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및 도 4는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도로,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차량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작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기(10a, 10b)와, 상기 제1 및 제2 압축기(10a, 10b)와 각각 연통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응축기 입구(21)와 유입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한 후 토출되도록 응축기 출구(22)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응축부(20a, 20b)로 구성되는 와식 응축기(20)와, 상기 제1 및 제2 응축부(20a, 20b)에 형성된 상기 응축기 출구(22)와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모세관(30a, 30b)과, 상기 제1 및 제2 모세관(30a, 30b)과 각각 연통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기 입구(41)와 유입된 냉매가 내기와 열교환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압축기(10a, 10b)로 각각 토출되도록 증발기 출구(42)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증발기(40a, 40b)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난방을 위하여 엔진 냉각수를 이용하고, 상기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는 엔진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난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히터를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냉방 및 난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엔진이 정지되거나, 엔진을 이용하지 않는 형태에서도 냉방 및 난방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1206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장치를 통해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수단;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수단을 통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하여 가열되도록 송풍하는 제1송풍부;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증발부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송풍하는 제2송풍부;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송풍부 및 제2송풍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는 토출덕트를 포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일 장치를 통해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응축부는 상기 제1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이며, 상기 증발부는 상기 제2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로서, 외부의 공기와 열전달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내부 냉매 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는 타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가 복수개 중공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타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가 복수개 중공된다.
또한,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1송풍부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2송풍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의 제3공간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 상기 제3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제1벤트; 및 상기 제3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제2벤트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외부몸체 내부의 상기 제3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공기 및 상기 제2공간부로 유입된 공기 중 하나가 상기 제1벤트로 공급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2벤트로 공급됨을 조절하는 판형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압축기 및 제2케이스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압축기가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하나의 단위 장치로서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1공간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와 연통되는 제1연장부 및 제2공간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중 하나에 상기 제1벤트가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2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토해,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에 소모되는 동력이 작더라도 원활하게 공기 흐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벤트와 탑승객 측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2벤트와 배출되는 측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탑승객이 차량으로부터 탈착 및 장착가능하여 차량 외부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차량으로부터 탈착하여 차량 외부에서 이용가능하다.
이 때,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 공조를 담당하는 것과는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하나의 모듈을 통해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장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압축기가 케이스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어 하나의 단위 장치로서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상기 응축부 및 증발부가 각각의 케이스 감겨진 코일 형태로서, 외부의 공기와 열전달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내부 냉매 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차량 외부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차량으로부터 탈착하여 차량 외부에서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에어컨 냉방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난방 장치의 개략도,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난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냉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의 개략도,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압축기(100), 제1케이스(200), 제2케이스(300), 응축부(400), 팽창수단(500), 증발부(600), 제1송풍부(710), 제2송풍부(720), 및 토출덕트(80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0)(Compressor)는 기상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구성으로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상기 응축부(400)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압축기(100)는 다양한 구동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차량용으로 구비될 경우,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엔진이 정지될 경우에도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가 작동되어 차량 실내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각각 응축부(400) 및 증발부(600)가 내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는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케이스(200)의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210) 및 제2케이스(300)의 일정 영역이 중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가 원통형태이며, 상기 제1유입부(210)가 상기 제1케이스(200)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부(220)가 상기 제2케이스(300)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더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응축부(400)는(Condenser) 상기 제1케이스(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상기 팽창수단(500)으로 토출한다. 이 때, 상기 응축부(400)는 상기 냉매가 응축됨에 따라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원으로 작용된다. 이 때, 상기 응축부(40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가능한 관형태로서, 상기 제1케이스(200)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와의 열전달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수단(500)(Expansion Valve)은 상기 응축부(400)로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하여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하여 상기 증발부(600)로 토출한다.
상기 증발부(600)(Evaporator)는 상기 제2케이스(3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팽창수단(50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킨 후, 상기 압축기(100)로 토출한다. 이 때, 응축부(400)는 상기 냉매가 증발됨에 따라 상기 증발부(60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원으로 작용된다. 이 때, 상기 증발부(60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가능한 관형태로서, 상기 제2케이스(300)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와의 열전달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매는 압축기(100)-응축부(400)-팽창수단(500)-증발부(600)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배관(9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에는 배관(900)과의 연결을 위한 영역이 중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송풍부(710)는 제1팬(711)을 포함하며, 상기 제2송풍부(720)는 제2팬(721)을 포함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송풍부(710)는 상기 제1케이스(200)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하여 가열되도록 송풍하는 수단이며, 상기 제2송풍부(720)는 상기 제2케이스(300)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증발부(600)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송풍하는 수단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제1송풍부(710) 및 제2송풍부(720)는 각각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송풍부(710) 및 제2송풍부(720)는 각각 제1팬(711) 및 제2팬(721)을 포함하는 축류팬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 형태를 포함하여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수단이라면 다양한 형태로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덕트(800)는 상기 제1송풍부(710) 및 제2송풍부(7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이송되는 부분으로, 개폐수단(8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탑승객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조절된다. 즉, 상기 토출덕트(800)는 상기 개폐수단(820)이 구비되어 상기 제1송풍부(710)를 통해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 및 제2송풍부(720)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 중 하나가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고, 나머지 하나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토출덕트(800)는 외부몸체, 제1벤트(801) 및 제2벤트(8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몸체는 상기 토출덕트(800)를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내부에 제1공간부(811) 내지 제3공간부(8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부(811)는 상기 제1송풍부(710)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함에 따라 가열된 공기가 이송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공간부(812)는 상기 제2송풍부(720)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를 통과함에 따라 냉각된 공기가 이송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3공간부(813)는 상기 제1공간부(811) 및 제2공간부(812) 사이의 공간으로서, 개폐수단(82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조절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벤트(801)는 상기 제3공간부(813)로 유입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공급되도록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2벤트(802)는 상기 제3공간부(813)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부분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상기 토출덕트(800)에 제1연장부(814) 및 제2연장부(8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814)는 상기 제1공간부(811)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공간부(811)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813)와 연통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연장부(815)는 제2공간부(812)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공간부(812)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813)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연장부(814) 및 제2연장부(815) 중 하나에 상기 제1벤트(801)가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부에 제2벤트(802)가 형성된다. 상기 도 7에서, 상기 제1연장부(814)에 제1벤트(80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815)에 제2벤트(802)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공기의 흐름에 따라 그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상기 제1연장부(814) 및 제2연장부(815)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폐수단(820)의 작동에 소모되는 동력이 작더라도 원활하게 공기 흐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벤트(801)와 탑승객 측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2벤트(802)와 배출되는 측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상기 제1케이스(200), 압축기(100) 및 제2케이스(300)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압축기(100)에 의해 상기 제1벤트(801)와 탑승객 측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2벤트(802)와 배출되는 측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상기 압축기(100)가 상기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의 외면에 고정되어 하나의 단위체로서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820)은 상기 외부몸체의 제3공간부(8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부(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1벤트(801)를 통해 탑승객으로 공급되고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제2벤트(80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난방) 상기 냉각부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제1벤트(801)를 통해 탑승객으로 공급되고 상기 응축부(4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2벤트(80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냉방) 수단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개폐수단(820)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판형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난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냉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820)은 상기 제1송풍부(710)를 통해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토출덕트(800) 내부의 제1공간부(811), 제3공간부(813), 제1연장부(814) 및 제1벤트(801)를 통해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통풍부를 통해 상기 증발부(600)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상기 토출덕트(800) 내부의 제2공간부(812), 제3공간부(813), 제2연장부(815) 및 제2벤트(80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방 상태에서, 상기 개폐수단(820)은 상기 제2송풍부(720)를 통해 상기 증발부(600)를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가 상기 토출덕트(800) 내부의 제2공간부(812), 제3공간부(813), 제1연장부(814), 및 제1벤트(801)를 통해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1송풍부(710)를 통해 상기 응축부(400)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토출덕트(800) 내부의 제1공간부(811), 제3공간부(813), 제2연장부(815) 및 제2벤트(802)를 통해 토출되도록 위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탑승객이 차량으로부터 탈착 및 장착가능하여 차량 외부에서 온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차량으로부터 탈착하여 차량 외부에서 이용가능하다. 이 때, 본 발명에서, 상술한 "탑승객 측"으로의 의미는 차량 외부에서 이용할 경우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를 이용하는 "사용자 측"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방향은 상기 제1벤트(801)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측이다. 외부 활동 시, 차량 외부에서 공조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차량 실내에서 탈착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글로브박스(Glove box), 콘솔박스(Console box), 뒷좌석과 뒷유리 사이의 공간, 및 차량 바닥부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면 더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차량의 메인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또, 이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냉난방 장치(1000)는 차량 실내 공조를 담당하는 경우 및 차량 외부에서 이용하는 경우 모두 차량 실내 공조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시스템과는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차량용 냉난방 장치
100 : 압축기
200 : 제1케이스 210 : 제1유입부
300 : 제2케이스 220 : 제2유입부
400 : 응축부
500 : 팽창수단
600 : 증발부
710 : 제1송풍부 711 : 제1팬
720 : 제2송풍부 721 : 제2팬
800 : 토출덕트
801 : 제1벤트 802 : 제2벤트
811 : 제1공간부 812 : 제2공간부
813 : 제3공간부
814 : 제1연장부
815 : 제2연장부
820 : 개폐수단
900 : 배관

Claims (9)

  1.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수단;
    상기 제2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팽창수단을 통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부;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응축부를 통과하여 가열되도록 송풍하는 제1송풍부;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 공기가 상기 증발부를 통과하여 냉각되도록 송풍하는 제2송풍부;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송풍부 및 제2송풍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이송되는 토출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1송풍부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2송풍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의 제3공간부를 형성하는 외부몸체;
    상기 제3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탑승객 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제1벤트; 및
    상기 제3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외부몸체의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제2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기 제1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이며,
    상기 증발부는 상기 제2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감겨진 코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타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가 복수개 중공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타측 외주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가 복수개 중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외부몸체 내부의 상기 제3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공기 및 상기 제2공간부로 유입된 공기 중 하나가 상기 제1벤트로 공급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2벤트로 공급됨을 조절하는 판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 압축기 및 제2케이스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압축기가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1공간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와 연통되는 제1연장부 및 제2공간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공간부와 격리되며 상기 제3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중 하나에 상기 제1벤트가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2벤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탈착 및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냉난방 장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난방 장치.
KR1020140173778A 2014-12-05 2014-12-05 차량용 냉난방 장치 KR10215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78A KR102157691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용 냉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78A KR102157691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용 냉난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283A KR20160068283A (ko) 2016-06-15
KR102157691B1 true KR102157691B1 (ko) 2020-09-21

Family

ID=5613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778A KR102157691B1 (ko) 2014-12-05 2014-12-05 차량용 냉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008A (ja) 2002-12-05 2004-07-02 Shinko Kogyo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13209006A (ja) 2012-03-30 2013-10-1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250A (ja) * 2001-06-22 2003-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01251206B1 (ko) 2011-01-17 2013-04-08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KR20130112335A (ko) * 2012-04-03 2013-10-14 민태국 실외기 없는 냉,난방 공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008A (ja) 2002-12-05 2004-07-02 Shinko Kogyo Co Ltd 空気調和装置
JP2013209006A (ja) 2012-03-30 2013-10-1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283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115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WO2018233259A1 (zh) 一种电动汽车、电动汽车热泵空调总成及其控制方法
CN110520315B (zh) 车用空调
US1171815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619924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2036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33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91227A (ko) 냉난방 모듈
KR20180008977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US10486488B2 (en) Compact air conditioning module for performing cooling and heating through a single module
US10449824B2 (en) Air conditioning module
KR102157691B1 (ko) 차량용 냉난방 장치
KR1025485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74250B1 (ko) 차량용 냉난방 장치
KR102172936B1 (ko) 냉난방 모듈,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8391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087582B1 (ko) 버스용 에어컨 덕트
CN113226811A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6442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77779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KR202000211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485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2604367U (zh) 一种热泵用汽车空调箱
KR1026190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78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