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25B1 -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 Google Patents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25B1
KR102157625B1 KR1020200066660A KR20200066660A KR102157625B1 KR 102157625 B1 KR102157625 B1 KR 102157625B1 KR 1020200066660 A KR1020200066660 A KR 1020200066660A KR 20200066660 A KR20200066660 A KR 20200066660A KR 102157625 B1 KR102157625 B1 KR 10215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ler
thin plate
aluminum thin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정
Original Assignee
이원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정 filed Critical 이원정
Priority to KR102020006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변형되어 차열 기능을 제공하는 알루미늄박판층; 알루미늄박판층의 상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의 파열이나 파단을 억제하는 TPO층; TPO층의 상면에 구성되고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는 바인더층; 바인더층에 구성되어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미끄럼방지층; 알루미늄박판층의 하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이 노면에 부착되도록 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접착층; 및 단열접착층의 하면에 구성되어 단열접착층을 보호하는 라이너층을 포함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Reinforced aluminum sheet without slipping}
본 발명은 노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O층이나 패브릭층에 알루미늄박판의 베이스층이 구성되어 베이스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동시에 베이스층의 상부에 잉크층과 야광층 등이 구성되어 해당 표시 기능을 제공하며 베이스층에 의해 차열 기능이 제공되어 노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는 각종 도로교통표시정보나 금역구역이나 스쿨존, 실버존 및 레드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노면 표지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노면 표지는, 대부분 상온형 도료나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시공기를 조작하여 표시하거나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온형 도료나 융착식 도료의 경우 도막의 두께가 얇아 내구성이 떨어지고 소정의 건조시간 소요와 해당 장비 사용에 따라 통행에 지장을 주게 되며, 접착 시트의 경우 노면의 공극을 처리하고 수분의 침투를 억제한다고 하더라도 지열에 의해 노면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218876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8158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PO층이나 패브릭층에 알루미늄박판의 베이스층이 구성되어 베이스층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베이스층의 상부에 잉크층과 야광층 등이 구성되어 해당 표시 기능을 제공하며 베이스층에 의해 차열 기능이 제공되어 노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층이 노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이 단열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노면의 지열에 의해 잉크층과 야광층의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변형되어 차열 기능을 제공하는 알루미늄박판층; 알루미늄박판층의 상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의 파열이나 파단을 억제하는 TPO층; TPO층의 상면에 구성되고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는 바인더층; 바인더층에 구성되어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미끄럼방지층; 알루미늄박판층의 하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이 노면에 부착되도록 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접착층; 및 단열접착층의 하면에 구성되어 단열접착층을 보호하는 라이너층을 포함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노면 표시 시트는, 바인더층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흡수한 빛을 축적하고 발광시키는 야광도료층과; 야광도료층을 포함한 바인더층의 상면에 구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TPO층이나 패브릭층에 알루미늄박판의 베이스층이 구성되어 베이스층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베이스층의 상부에 잉크층과 야광층 등이 구성되어 해당 표시 기능을 제공하며 베이스층에 의해 차열 기능이 제공되어 노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이 노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층이 단열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노면의 지열에 의해 잉크층과 야광층의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면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노면 표시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는, 노면이나 다양한 소재의 피착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변형되어 차열 기능을 제공하는 알루미늄박판층(10), 알루미늄박판층(10)의 상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파열이나 파단을 억제하는 TPO층(20), TPO층(20)의 상면에 구성되고 문자나 도안 등의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는 바인더층(30), 바인더층(30)에 구성되어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미끄럼방지층(40),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이 노면이나 피착물에 부착되도록 하며 노면이나 피착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접착층(50) 및 단열접착층(50)의 하면에 구성되어 단열접착층(50)을 보호하고 선택적으로 박리되는 라이너층(6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노면시트는, 바인더층(30)의 여백 공간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흡수한 빛을 축적하고 발광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야광도료층(70)과, 야광도료층(70)을 포함한 바인더층(30)의 상면에 구성되어 야광도료층(70)과 바인더층(30)의 오염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호층(80) 등을 더 포함한다.
알루미늄박판층(10)은, 다양한 소재의 노면이나 피착물의 형상에 가변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상이 변형되는 성질을 제공하여 노면의 지열에 의해 단열접착층(50) 등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차열 기능을 제공하는 알루미늄 박판으로서, 알루미늄 재질을 통하여 석재, 목재, 철재,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의 다양한 재질의 노면이나 피착물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박판층(10)은, 0.05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여름철 등에 바인더층(3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겨울철 등에 단열접착층(5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바인더층(30)에 전달하는 전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을 통한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차열 및 전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알루미늄박판층(10)에 의하면, 노면이나 피착물의 소재나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소정의 두께를 통하여 노면의 열이 그대로 바인더층(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바인더층(30)에 복사되는 열을 방열시켜 바인더층(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온도에 따른 형상 가변이나 신축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여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PO층(20)은, 알루미늄박판층(10)의 상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파열이나 파단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PP, PE 및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조되고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TPO층(20)은, 고강도의 폴리올레핀 재질을 가지는 것이 좋고, 0.012mm 내지 0.05mm의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이 노면이나 피착물에 부착을 위한 형상 가변시 알루미늄박판층(10)이 보호하는 기능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박판층(10)의 형상 가변성이 억제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이 노면이나 피착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을 통한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8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보호 및 부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TPO층(20)에 의하면, 노면이나 피착물에 부착되기 위하여 형상이 가변되는 알루미늄박판층(10)의 파단 및 파열을 억제하고 방수 기능을 제공하여 단열접착층(50)의 부착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층(30)은, TPO층(20)의 상면에 구성되어 문자나 도안 등의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해당 문자나 도안 등이 인쇄나 프린팅되도록 하는 프라이머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인더층(30)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프라이머로서, 0.04mm 내지 0.1mm의 두께로 도포되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후술된 미끄럼방지층(40)의 부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화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형상 가변성이 크게 저하되어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사용성 및 부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바인더층(30)에 의하면,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표지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미끄럼방지층(40) 및 후술된 야광도료층(70)의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층(40)은, 바인더층(30)의 도포나 코팅시 바인더층(30)의 조성물과 함께 도포 및 코팅되어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세라믹 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끄럼방지층(40)은, 0.2mm 내지 0.6mm의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인더층(30)의 겔화층이 두꺼워지게 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형상 가변성이 크게 저하되어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미끄럼방지층(40)에 의하면, 노면이나 피착물에 알루미늄박판층(10)을 이용한 부착시 엠보 구조를 통하여 논 슬립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바인더층(30)에 해당 문자가 도안 등의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열접착층(50)은,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이 노면이나 피착물에 부착되도록 하며 노면이나 피착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시키는 접착수단으로서, 단열용 접착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열용 접착제는, 러버형 점착제에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열 경화제 3 내지 5 중량부, 상온 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350 내지 450 메쉬의 평균입자직경을 가지며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무기 미립자 5 내지 10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러버형 점착제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열 경화제 및 상온 경화제와 혼합시 피착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피착면으로부터 박리시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러버형 점착제는, 38%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지의 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열 경화제는, 상기 러버형 점착제나 상온 경화제와의 혼합시 이들과 반응하여 향상된 내충격 강도 및 내열성, 내습성 및 기계적 물성 등의 제반 물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경화부재로서,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너무 빨라 알루미늄박판층(10)에 도포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상기 3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너무 느려지고 장시간 경과후 점착발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가열 경화제는, 공지의 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온 경화제는, 상기 러버형 점착제나 가열 경화제와 혼합시 이들과 반응하여 상온에서 상기 혼합물이 경화되도록 하여 상기 러버형 점착제와 가열 경화제가 피착면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사 방지부재로서,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3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경화 시간이 빠르게 진행되어 제품의 사용 가능한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상기 2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피착면 외부로 러버형 점착제와 가열 경화제가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상온 경화제는, 공지의 조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다공성 무기 미립자는, 알루미늄박판층(10)과 노면 사이에 공기층을 제공하는 단열부재로서, 다수의 기공을 통하여 높은 단열성을 제공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공이 폐쇄되는 것을 통하여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무기 미립자는, 상기 러버형 접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러버형 접착제, 상온 경화제 및 가열 경화제들의 접착 기능을 저하시키고, 상기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피버글라스는, 알루미늄박판층(10)과 피착면 사이에 단열층 제공시 피착면의 온도에 의해 휘발성 접착 조성물들이 발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내화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버글라스는, 상기 러버형 접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7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력이 저하되어 알루미늄박판층(20)의 형상 가변성이 억제되어 부착성이 크게 저하되고, 상기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단열접착층(50)에 의하면, 알루미늄박판층(10)과 노면 사이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여름철 등에 노면의 열이 알루미늄박판층(10)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바인더층(30) 등이 지열 등에 신장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열접착층(50)에 의하면, 겨울철 등에 지면 또는 피착물의 열이 알루미늄박판층(10)에 전열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는 바인더층(30)이 낮은 온도에서 수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단열접착층(50)은, 0.04mm 내지 0.1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알루미늄박판층(10)을 통한 열반사율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 겨울철 등에 지면의 온도가 알루미늄박판층(10)으로 전열되는 것이 억제되어 바인더층(30)이 수축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단열 또는 전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라이너층(60)은, 단열접착층(50)의 하면에 구성되어 단열접착층(50)을 보호하고 선택적으로 박리되는 이형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인더층(30)의 여백 공간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흡수한 빛을 축적하고 발광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야광도료층(70)과, 야광도료층(70)을 포함한 바인더층(30)의 상면에 도포 또는 코팅 구성되어 야광도료층(70)과 바인더층(30)을 보호하는 보호층(80) 등을 더 포함하는데,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야광도료층(70)과 보호층(80)은, 0.05mm 내지 0.1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시인성과 보호성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 미끄럼방지층(40)의 엠보 높이가 저하되어 논 슬립 기능이 저하되고 알루미늄박판층(10)의 형상 가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시인성과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알루미늄박판층(10)과 TPO층(20)은, TPO층(20)을 조성하는 조성물이 알루미늄박판층(10)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TPO층(20)을 조성하는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시트와 알루미늄박판층(10) 사이가 방열용 접착제에 의한 방열접착층(미도시)에 의해 접착 구성되어 여름철 등에 바인더층(30)에 전도된 태양열이 알루미늄박판층(10)으로 신속하게 방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방열용 접착제는, 중합체 100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재 30 내지 40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된다.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열전도용 충전재는 제1평균입경을 갖는 제1충전재, 제2평균입경을 갖는 제2충전재 및 제3평균입경을 갖는 제3충전재를 포함하고, 제1평균입경값은 10 내지 30㎛로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며,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17 내지 0.26이고,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09 내지 0.11이며, 상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의 부피저항은 104Ωcm 이상 이고, 상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이고, 상기 제2충전재 질량의 합/제1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재 질량의 합/제1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이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한편, 방열용 접착제는, 적어도 1 종의 중합체 100 질량부와, 팽창화 흑연 분말 1.5 질량부 이하와,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0 mPa/s 이상이고 또한 대기압하에서의 15 ℃ 이상 100 ℃ 이하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액체인 인산에스테르 10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와, BET 비표면적이 1 ㎡/g 이상인 알루미나 50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와, 팽창화 흑연 분말 및 상기 알루미나를 제외한 난연성 열전도 무기 화합물 10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열접착층(미도시)에 의하면, TPO층(20)과 알루미늄박판층(10) 사이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여름철 등에 바인더층(30)으로부터 TPO층(20)에 복사된 열을 알루미늄박판층(10)에 신속하게 확산시켜 바인더층(30)이 태양열에 의해 신장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열접착층(미도시)에 의하면, 겨울철 등에 노면 또는 피착물로부터 알루미늄박판층(10)에 전도된 열을 TPO층(20)이나 바인더층(30)에 신속하게 전열시켜 바인더층(30)이 낮은 온도에서 수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방열접착층(미도시)은, 0.06mm 내지 0.08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얇아 바인더층(30)의 열을 흡수하는 흡수율이 저하되고,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너무 두꺼워 알루미늄박판층(10)으로의 열 확산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최적의 방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알루미늄박판층(10)의 상면에 TPO층(20)이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부직포 등과 같은 패브릭층(90)이 더 구성되고, 이때, 패브릭층(90)에 단열접착층(50)이 함침된 상태로 구성되어 패브릭층(90)이 양면 테이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도 좋다.
여기서, 패브릭층(90)은, 두께가 단열접착층(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브릭층(90)에 의하면, 노면이나 피착물에 알루미늄박판층(10)의 부착시 소정 두께를 통해 완충 기능이 제공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면 시트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알루미늄박판층(10)에 구성된 TPO층(20)의 상면에 바인더층(30)이 구성되고 바인더층(30)에 미끄럼방지층(40)과 잉크층이나 프린트층 등이 구성되며,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단열접착층(50)이 구성되어 노면 표시 시트가 제조된다.
여기서, 알루미늄박판층(10)은 0.05mm의 두께를 가지고, TPO층(20)은 0.012mm의 두께를 가지며, 바인더층(30)은 0.04mm의 두께를 가지고, 미끄럼방지층(40)은 0.02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단열접착층(50)은 러버형 점착제에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열 경화제 3 중량부, 상온 경화제 2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무기 미립자 5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5 중량부를 포함하고 0.04mm의 두께를 가진다.
먼저, 알루미늄박판층(10)에 구성된 TPO층(20)의 상면에 바인더층(30)이 구성되고 바인더층(30)에 미끄럼방지층(40)과 잉크층이나 프린트층 등이 구성되며,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단열접착층(50)이 구성되어 노면 표시 시트가 제조된다.
여기서, 알루미늄박판층(10)은 0.07mm의 두께를 가지고, TPO층(20)은 0.018mm의 두께를 가지며, 바인더층(30)은 0.07mm의 두께를 가지고, 미끄럼방지층(40)은 0.3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단열접착층(50)은 러버형 점착제에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열 경화제 4 중량부, 상온 경화제 2.5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무기 미립자 7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6 중량부를 포함하고 0.1mm의 두께를 가진다.
먼저, 알루미늄박판층(10)에 구성된 TPO층(20)의 상면에 바인더층(30)이 구성되고 바인더층(30)에 미끄럼방지층(40)과 잉크층이나 프린트층 등이 구성되며,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단열접착층(50)이 구성되어 노면 표시 시트가 제조된다.
여기서, 알루미늄박판층(10)은 0.1mm의 두께를 가지고, TPO층(20)은 0.05mm의 두께를 가지며, 바인더층(30)은 0.1mm의 두께를 가지고, 미끄럼방지층(40)은 0.6mm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단열접착층(50)은 러버형 점착제에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열 경화제 5 중량부, 상온 경화제 4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무기 미립자 10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7 중량부를 포함하고 0.15mm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노면 표시 시트의 참고예 또는 평가예로서, A사에서 판매중인 종래의 노면 표시 시트이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노면 표시 시트를 대기온도가 30℃이고 아스팔트온도가 90℃인 여름철의 아스팔트 횡단보도에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부착한 후 Z-박리힘(ASTM D 952-93 기반), 노면 반사 시트의 표면온도, 알루미늄박판층의 표면온도, 노면 반사 시트의 신장길이 및 노면 반사 시트의 수축길이를 측정하였고,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노면 반사 시트를 대기온도가 -10℃이고 아스팔트온도가 -25℃인 겨울철의 아스팔트 횡단보도에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부착한 후 Z-박리힘(ASTM D 952-93 기반), 노면 반사 시트의 표면온도, 알루미늄박판층의 표면온도, 노면 반사 시트의 신장길이 및 노면 반사 시트의 수축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56829972-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노면 반사 시트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가예인 실시예 4의 제품에 비하여, 부착력과 온도에 대한 신장 및 수축 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여름철과 겨울철 높은 온도변화를 가지는 아스팔트 등의 노면에 부착되더라도 피착면의 온도에 큰 영향을 가지지 않고 높은 부착률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알루미늄박판층(10)에 TPO층(20)이 구성됨에 따라 알루미늄박판층(10)의 부착시 파단이나 사용중 파단 가능성이 억제되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박판층(20)의 하면에 단열접착층(50)이 구성됨으로써, 여름철에는 바인더층(30) 등의 열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는 알루미늄박판층(10)으로 방열되고 노면의 열이 바인더층(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며, 겨울철에는 노면으로부터 전도된 소정의 온도를 가지는 알루미늄박판층(10)의 열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는 바인더층(30) 등으로 전열되어, 노면 표시 시트의 열변형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변형되어 차열 기능을 제공하는 알루미늄박판층(10);
    알루미늄박판층(10)의 상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의 파열이나 파단을 억제하는 TPO층(20);
    TPO층(20)의 상면에 구성되고 인쇄나 프린팅을 가능하게 하여 해당 표지 기능을 제공하는 바인더층(30);
    바인더층(30)에 구성되어 미끄러움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미끄럼방지층(40);
    알루미늄박판층(10)의 하면에 구성되어 알루미늄박판층(10)이 노면에 부착되도록 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단열시키는 단열접착층(50); 및
    단열접착층(50)의 하면에 구성되어 단열접착층(50)을 보호하는 라이너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층(30)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흡수한 빛을 축적하고 발광시키는 야광도료층(70)과;
    야광도료층(70)을 포함한 바인더층(30)의 상면에 구성되는 보호층(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단열접착층(50)은,
    단열용 접착제를 포함하고,
    단열용 접착제는,
    러버형 점착제에 상기 러버형 점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열 경화제 3 내지 5 중량부, 상온 경화제 2 내지 3 중량부, 350 내지 450 메쉬의 평균입자직경을 가지며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무기 미립자 5 내지 10 중량부 및 피버글라스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단열접착층(50)은,
    0.04mm 내지 0.06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박판층(10)과 TPO층(20)은,
    방열용 접착제에 의한 방열접착층(미도시)에 의해 접착 구성되고,
    방열용 접착제는,
    중합체 100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재 30 내지 40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고,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열전도용 충전재는 제1평균입경을 갖는 제1충전재, 제2평균입경을 갖는 제2충전재 및 제3평균입경을 갖는 제3충전재를 포함하고, 제1평균입경값은 10 내지 30㎛로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며,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17 내지 0.26이고,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09 내지 0.11이며, 상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의 부피저항은 104Ωcm 이상 이고, 상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이고, 상기 제2충전재 질량의 합/제1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재 질량의 합/제1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이며, 제1충전재, 제2충전재 및 제3충전재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KR1020200066660A 2020-06-02 2020-06-02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KR10215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60A KR102157625B1 (ko) 2020-06-02 2020-06-02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60A KR102157625B1 (ko) 2020-06-02 2020-06-02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625B1 true KR102157625B1 (ko) 2020-09-21

Family

ID=7270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60A KR102157625B1 (ko) 2020-06-02 2020-06-02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484B1 (ko) * 2021-04-08 2021-07-16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데크 설치용 클립
KR20220060658A (ko) * 2020-11-05 2022-05-12 이원정 태양광 발전 필름 구조체
KR102530848B1 (ko) * 2022-07-12 2023-05-10 김영래 알루미늄 논슬립 축광 및 대피안내용 표지 시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904A (ja) * 1991-10-24 1993-05-07 Nippon Steel Chem Co Ltd 鋼製床版およびアスフアルト舗装材を使用した高架道路
JP2003171914A (ja) * 2001-12-04 2003-06-20 Daiichi Fashion Service:Kk 道路標示及び道路標示シート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20070121876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동주티에스엠 노면표시용 부착식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시공방법
KR101470566B1 (ko) * 2014-02-21 2014-12-24 김흠 속건성 유무기 복합 도료를 이용한 공사면 표식재료의 조성물과 표식 방법
KR101800126B1 (ko) * 2016-06-24 2017-11-21 디엑스스퀘어드 주식회사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1585B1 (ko) 2018-02-13 2018-07-25 신승엽 핫멜트 부착식 노면표시시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멜트 부착식 노면표시시트
KR102110951B1 (ko) * 2019-10-22 2020-05-14 (주)리뉴시스템 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904A (ja) * 1991-10-24 1993-05-07 Nippon Steel Chem Co Ltd 鋼製床版およびアスフアルト舗装材を使用した高架道路
JP2003171914A (ja) * 2001-12-04 2003-06-20 Daiichi Fashion Service:Kk 道路標示及び道路標示シート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20070121876A (ko)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동주티에스엠 노면표시용 부착식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시공방법
KR101470566B1 (ko) * 2014-02-21 2014-12-24 김흠 속건성 유무기 복합 도료를 이용한 공사면 표식재료의 조성물과 표식 방법
KR101800126B1 (ko) * 2016-06-24 2017-11-21 디엑스스퀘어드 주식회사 인쇄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1585B1 (ko) 2018-02-13 2018-07-25 신승엽 핫멜트 부착식 노면표시시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멜트 부착식 노면표시시트
KR102110951B1 (ko) * 2019-10-22 2020-05-14 (주)리뉴시스템 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658A (ko) * 2020-11-05 2022-05-12 이원정 태양광 발전 필름 구조체
KR102459169B1 (ko) * 2020-11-05 2022-10-26 이원정 태양광 발전 필름 구조체
KR102278484B1 (ko) * 2021-04-08 2021-07-16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데크 설치용 클립
KR102530848B1 (ko) * 2022-07-12 2023-05-10 김영래 알루미늄 논슬립 축광 및 대피안내용 표지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625B1 (ko) 찢김 없는 내구성 강화 알루미늄박판 미끄럼방지 노면시트
ES2375835T3 (es) Masa adhesiva termoconductora.
CN102002346B (zh) 有机硅导热组合物和有机硅导热贴片
ES2081949T3 (es) Composiciones de revestimiento a base de fluorocarbonos y articulos fabricados a partir de las mismas.
US10245705B2 (en) Printed abrasive article
JP5426873B2 (ja) 両面粘着性シリコーンゴム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02571A5 (ko)
KR101262428B1 (ko) 열전도성 시트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전도성 시트
US20030207128A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ES2960026T3 (es) Laminado amortiguador multicapa de cobertura parcial
GB2351977A (en) Radiation or thermally hardening adhesiv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KR102125306B1 (ko) 알루미늄 박판을 이용한 재귀반사시트
JP2002084083A (ja) 放熱シート製品
JP5042899B2 (ja) 熱伝導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30848B1 (ko) 알루미늄 논슬립 축광 및 대피안내용 표지 시트
CA3094390A1 (en) Multilayer constrained-layer damping
WO2001076855A1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JP2007332293A (ja) 粘着ラベル
KR102640720B1 (ko) 논슬립 알루미늄시트를 이용한 자착식 표지 설치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자착식 표지
JP2017132156A (ja) 装飾フィルム及び積層構造体
CN106189913B (zh) 导热胶带及导热双面胶带
KR960701163A (ko) 반복 탈리가능한 접촉 감응성 파스너(multiple releasable contact responsive fasteners)
ES2304620T3 (es) Plancha multilaminar prensada decorativa autoadhesiva.
KR102408612B1 (ko) 열전도성 복합 시트
CN111511556A (zh) 多层导热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