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414B1 - 고성능 차폐 케이블 - Google Patents

고성능 차폐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414B1
KR102157414B1 KR1020170174986A KR20170174986A KR102157414B1 KR 102157414 B1 KR102157414 B1 KR 102157414B1 KR 1020170174986 A KR1020170174986 A KR 1020170174986A KR 20170174986 A KR20170174986 A KR 20170174986A KR 102157414 B1 KR102157414 B1 KR 102157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single crystal
cable
performan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677A (ko
Inventor
박서영
Original Assignee
박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영 filed Critical 박서영
Priority to KR102017017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14B1/ko
Priority to CN201811517164.6A priority patent/CN109994259B/zh
Publication of KR2019008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차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호전달이 우수하여 고성능 음향 케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 내/외부 차폐 성능이 우수하며,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고성능 차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성능 차폐 케이블{High performance screened cable}
본 발명은 고성능 차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호전달이 우수하여 고성능 음향 케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 내/외부 차폐 성능이 우수하며,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고성능 차폐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폐 케이블의 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폐 케이블은 도체(10)와 상기 도체(10)를 감싸는 절연층(2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코어, 상기 코어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1차 쉬스(40), 상기 코어와 상기 1차 쉬스(40)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충진 개재(30), 상기 1차 쉬스를 감싸는 금속차폐편조(50), 상기 금속차폐편조(50)를 감싸는 2차 쉬스(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케이블용 도체(10)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은 구리이며, 그 중 전기 분해로 정련하여 불순물이 적어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구리가 전기동(Tough Pitch Copper; TPC)이다.
현재 일반적인 케이블의 도체(10)는 거의 대부분이 전기동(TPC)을 사용하고 있으나, 오디오 및 신호 전달용 등의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성능 케이블의 도체는 고가이지만 고품질의 구리 도체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물리학적으로 알려진 사실에 의하면 구리에서 92%는 구리 자체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저항이며 나머지 8%가 불순물 및 결함에 의한 저항이므로, 고해상도, 고출력 등을 구현하기 위해 고순도의 무산소동(Oxygen Free Copper; OFC)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구리 도체의 순도를 99.999 내지 99.9999%로 높이더라도 저항은 1.67×10-8 Ω㎝ 수준에서 더 이상 줄지 않는다.
한편, 고품질의 구리 도체를 얻기 위해서는 불순물의 제거도 중요하지만 구리 금속의 결정 형상도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런 결정들의 경계면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런 결정립들은 전류 및 신호의 흐름에 방해가 된다. 즉, 상기 구리 도체에 있어서 동일 면적 내의 결정이 크면 클수록 결정립의 수는 감소하고 이는 곧 전류 및 신호 흐름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구리 도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리 도체에 있어서 동일 면적 내의 결정이 크면 클수록 결정들의 경계면이 줄어들어 이러한 경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입계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케이블이 복수개의 코어를 포함하는 경우 각 코어에 포함되는 도체(10)에 전류가 흐를 때 상기 코어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케이블 내/외부에서 신호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고, 금속차폐편조(50)를 통해 케이블 외부로의 전자파 방출을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으나 케이블 내부에서의 전자파 방출은 여전히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신호전달이 우수하여 고성능 음향 케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 내/외부 차폐 성능이 우수하며,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고성능 차폐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신호전달이 우수하여 고성능 음향 케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내/외부 차폐 성능이 우수한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을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체의 횡단면인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종단면에서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결정 영역은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모든 결정립의 길이가 1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체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다결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단결정 영역과 상기 다결정 영역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체의 횡단면인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종단면에서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50 내지 90%이고, 상기 다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1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도체의 비저항은 1.72×10- 8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폐층은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는 필라멘트 수가 24 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 중 일부 탄소섬유 필라멘트는 표면이 금속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쉬스층은 호스식 쉬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차폐 케이블은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 신호전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체(self) 차폐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내/외부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차폐 케이블은 자체적인 신호전달 성능이 우수하고 내/외부 차폐 성능이 우수하므로 도체 갯수 및 직경의 감소와 차폐층 두께 감소를 통해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차폐 케이블의 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차폐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체의 부분 종단면 사진 및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에서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차폐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차폐 케이블은 도체(100), 상기 도체(100)를 감싸는 절연층(200), 상기 절연층(200)을 감싸는 차폐층(300), 상기 차폐층(300)을 감싸는 쉬스층(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0)는 구리로 이루어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순도의 무산소동(Oxygen Free Copper; OF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도체(100)의 비저항은 1.72×10-8Ω㎝ 이하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체의 부분 종단면 사진 및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에서의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100)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체(100)의 직경 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영역은 구리 원자들이 빈틈 없거나 빈틈이 최소화된 밀집한 구조로 채워진 주기적 원자 배열을 갖는 결정구조의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결정 영역은 도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모든 결정립의 길이가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 ㎛인 영역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두체(100)의 직경방향으로 모든 결정립의 폭이 3 내지 10 ㎛일 수 있다.
도 3b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결정 영역은 이를 통과하는 신호가 산란되거나 소멸되는 결정립 경계면이 없거나 최소화되기 때문에 전송되는 신호가 그대로 유지되어 상기 도체(100)의 신호전송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케이블에서 도체의 갯수 및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결정 영역은 구리 원자들 사이에 빈틈이 존재하여 쌓여진 원자들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게 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다수의 결정립 경계면이 존재하여 상기 단결정 영역으로부터 방출된 전자파 신호 또는 외부 케이블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방출된 전자파 신호를 산란시키고 소멸시켜 자체적으로(self)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차폐층(3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케이블 또는 전자장치로부터 방출된 전자파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다결정 영역은 상기 도체(100)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체(100)의 횡단면인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종단면에서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 상기 종단면의 전체 단면적에서 상기 단결정 영역의 총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50% 이상, 예를 들어, 5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50% 미만인 경우 상기 도체(100)의 신호전달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는 반면, 90% 초과인 경우 자체(self) 차폐 기능이 불충분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0)는 아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 단결정 구리를 성장시키는 단계,
b) 단결정 구리 와이어 형태로 절단하는 단계, 및
c) 단결정 구리 와이어를 목적한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상기 단계 a)와 관련하여, 종래 브리지만법(Bridgemann method)이라는 결정성장법을 이용하여 단결정 구리 와이어를 제조하려고 했던 시도가 있었으나, 이 방법은 수정 튜브를 사용하여 성장시키므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비용이 너무 비싸면서 결정의 질도 좋지 않아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한편, 구리를 단결정으로 성장시키는 방법으로는 초크랄스키법(Czochralski mothod)이라는 잘 알려진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고, 초크랄스키법은 구리 용탕에 단결정 구리 시드(seed)를 접촉시켜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위로 당기면 구리가 냉각되면서 단결정 구리로 성장하게 되는 방법이다. 초크랄스키법으로 단결정 구리를 성장시키는 경우 1시간당 0.1 내지 1 mm 정도의 크기로 원자들이 쌓여간다.
초크랄스키법으로 단결정 구리를 성장시키는 단계 a)는 성장시키고자 하는 구리 덩어리를 석영도가니, 흑연도가니, 알루미나도가니 등의 성장도가니에 넣고, 상기 성장도가니는 유도코일을 이용한 유도코일 또는 탄소히터를 이용하여 구리의 융점(Tm)인 1083℃ 보다 약 30℃ 이상 높은 온도로 상기 구리 덩어리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1000 내지 1100℃에서 구리 용탕에 단결정 구리 시드(seed)를 접촉시켜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위로 당기면 구리가 냉각되면서 단결정 구리로 성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단결정 구리를 방전 가공으로 단결정 구리 와이어 형태로 절단하는 것을 통해 응력에 대한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단결정 구조의 파괴 없이 와이어 형태로 절단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제조 공정에 의해 얻어진 단결정 구리 와이어는 가공 과정에서 형성된 응력의 영향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핸드 브러셔나 알루미나분말을 사용하여 와이어의 표면 응력의 영향을 제거하는 광학적연마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결정 구리 와이어의 표면에 형성된 응력의 영향은 희석된 불산을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방전 가공 중에 형성된 구리 와이어의 표면 응력은 대부분 산화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산화막은 H2O:HF=5:1 배합으로 습식 에칭법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며 습식 에칭 시간은 3분 정도로 유지한다.
한편, 단결정 구리 와이어는 표면에 전기방전방법, 레이저증착방법, 열화학기상증착방법,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방법 등을 통해 DLC(Diamon Like Carbon)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을 하여 상기 와이어의 특성을 개선할 수도 있고, 상기 와이어의 결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500 내지 900℃ 부근에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냉각 인발을 통해 단결정 구리 와이어를 원하는 직경으로 인발함으로써 인발된 도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단결정 영역과 다결정 영역이 혼재하는 도체(100)를 제조할 수 있고, 냉각 인발 공정에서 온도를 10 내지 50 ℃로 조절하고 인발 속도를 10 내지 1,000 m/min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50% 이상, 예를 들어 50 내지 90% 이상인 도체(1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00)은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등의 고분자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체(100)의 직경에 따라 목적한 절연 내력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두께로 압출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300)은 상기 도체(100)의 자체(self) 차폐 기능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체(100) 밖으로 방출된 전자파가 상기 케이블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케이블에 인접한 다른 케이블 또는 전자장치에서의 신호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외부의 다른 케이블 또는 전자장치로부터의 전자파가 상기 케이블 내부로 전달되어 신호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전자파를 차단하는 추가적인 차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층(300)은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는 필라멘트 수가 24 K 이하, 예를 들어 6 내지 24 K일 수 있고, 일부 탄소섬유 필라멘트는 표면이 금속, 예를 들어 구리계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코팅의 두께는 0.03 ㎛ 이상, 예를 들어, 0.03 내지 0.1 ㎛일 수 있고, 이렇게 표면이 금속 코팅된 탄소섬유 표면의 전기전도도는 5.0×103 S/cm 이상, 예를 들어, 5.0×103 내지 1.0×104 S/cm일 수 있으며, 금속 코팅된 탄소섬유 밀도는 4.0 g/㎤ 이하, 예를 들어, 1.0 내지 4.0 g/㎤일 수 있다.
상기 차폐층(300)은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를 고르고 넓게 펼치는 스프레딩 공정을 수행한 후 펼친 탄소섬유를 절연층(200) 위로 방사한 후 그 위에 호스식 쉬스를 압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스층(400)은 충실식 쉬스 공정이나 호스식 쉬스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차폐층(300)이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케이블의 제조공정 편의상 호스식 쉬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도체 200 : 절연층
300 : 차폐층 400 : 쉬스층

Claims (10)

  1.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을 감싸는 쉬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는 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결정 영역 및 다결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결정 영역은 원자들이 빈틈 없이 밀집한 구조로 채워진 주기적 원자 배열을 갖고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에서의 일 말단부터 타 말단까지 전체로 연결된 하나의 결정립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에서의 양 말단 사이 전체에 결정립 경계면이 없는 결정구조의 영역이며,
    상기 도체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단결정 영역과 상기 다결정 영역이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다결정 영역은 상부 단결정 영역과 하부 단결정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결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의 횡단면인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의 임의의 종단면에서 상기 단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50 내지 90%이고, 상기 다결정 영역의 면적율이 1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영역은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으로 모든 결정립의 길이가 10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비저항은 1.72×10-8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는 필라멘트 수가 24 K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탄소섬유 개재 중 일부 탄소섬유 필라멘트는 표면이 금속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층은 호스식 쉬스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차폐 케이블.
KR1020170174986A 2017-12-19 2017-12-19 고성능 차폐 케이블 KR102157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86A KR102157414B1 (ko) 2017-12-19 2017-12-19 고성능 차폐 케이블
CN201811517164.6A CN109994259B (zh) 2017-12-19 2018-12-12 高性能屏蔽电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86A KR102157414B1 (ko) 2017-12-19 2017-12-19 고성능 차폐 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27A Division KR102075311B1 (ko) 2019-08-22 2019-08-22 고성능 차폐 케이블용 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677A KR20190087677A (ko) 2019-07-25
KR102157414B1 true KR102157414B1 (ko) 2020-09-17

Family

ID=6712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86A KR102157414B1 (ko) 2017-12-19 2017-12-19 고성능 차폐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7414B1 (ko)
CN (1) CN1099942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753A (ko) 2022-08-03 2024-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음향 케이블용 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386A (ja) * 2011-08-17 2013-02-28 Hitachi Cable Ltd イヤホンケーブル用導体及びイヤホンケーブル
JP2015162301A (ja) * 2014-02-26 2015-09-07 日立金属株式会社 導体、それ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87874U (zh) * 2014-07-18 2015-01-07 焦作市森格高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超柔耐磨防水极低噪音单晶铜多信道音频电缆
WO2017052018A1 (ko) * 2015-09-25 2017-03-30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용 전자파 차폐 케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386A (ja) * 2011-08-17 2013-02-28 Hitachi Cable Ltd イヤホンケーブル用導体及びイヤホンケーブル
JP2015162301A (ja) * 2014-02-26 2015-09-07 日立金属株式会社 導体、それ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677A (ko) 2019-07-25
CN109994259B (zh) 2020-10-23
CN109994259A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38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ngle crystal wire and other single crystal metallic articles
EP0650633B1 (en) Signal cable having metal-plated polymer shielding
US8853540B2 (en) Carbon nanotube enhanced conductors for communications cables and related communications cables and methods
CN101286385B (zh) 电磁屏蔽线缆
EP1335390B1 (en) Communication cables with oppositely twinned and bunched insulated conductors
US7390963B2 (en) Metal/ceramic composite conductor and cable including same
WO2009119339A1 (ja) 同軸ケーブル中空コア体の製造方法、同軸ケーブル中空コア体、並びに同軸ケーブル
CA2545161A1 (en)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US2938821A (en) Manufacture of flexible metal-coated glass filaments
JP5255529B2 (ja) 伝送ケーブル用中空コ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信号伝送用ケーブル
US4689443A (en) Armored cable having mineral insulation
KR102157414B1 (ko) 고성능 차폐 케이블
CN112469848A (zh) 利用经镀覆碳纳米管元件的同轴线缆及其制造方法
KR102075311B1 (ko) 고성능 차폐 케이블용 도체의 제조방법
CN205451803U (zh) 多芯聚酰亚胺绝缘复合膜石墨涂覆护层通信电缆
US2081427A (en) Electric communication cable
KR20180109394A (ko) 단결정 구리 와이어 도체,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CA1220121A (en) Electrical conductor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0825836B1 (ko) 단결정 케이블 제조방법 및 그 단결정 케이블
JP4269374B2 (ja) スズメッキ平型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TW202129662A (zh) 差分信號傳輸用纜線
JP2017045702A (ja) 多心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652426A (zh) 一种高速机车线缆的制备工艺
JP3616652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RU195769U1 (ru)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симметричный кабель с экраном на основе углеродных нанотруб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8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2

Effective date: 2020080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