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55B1 -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155B1
KR102157155B1 KR1020200000205A KR20200000205A KR102157155B1 KR 102157155 B1 KR102157155 B1 KR 102157155B1 KR 1020200000205 A KR1020200000205 A KR 1020200000205A KR 20200000205 A KR20200000205 A KR 20200000205A KR 102157155 B1 KR102157155 B1 KR 10215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용
Original Assignee
(주)럭스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콘 filed Critical (주)럭스콘
Priority to KR102020000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카드의 인식수단으로서 배달사원이 소지하는 모바일단말을 활용함으로써 무선 카드결제 단말기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결제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정보와 주문정보 및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바일단말; 상기 모바일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송신하는 입력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제카드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제카드와 서명정보로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무선결제단말; 상기 무선결제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밴사 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무선결제단말로 송신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Card payment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결제카드의 인식수단으로서 배달사원이 소지하는 모바일단말을 활용함으로써 무선 카드결제 단말기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족 중심의 외식산업이 발달함과 더불어 음식점의 규모도 점차 대형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작은 규모의 음식점이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는 매장의 규모가 매우 넓은 대형음식점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렇게 대형화된 음식점에서는 손님들의 주문을 받고 음식등을 운반하기 위한 종업원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또한, 대형 음식점에서는 주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님이 주문한 음식이 누락되어 손님들에게 불만의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손님의 수가 많은 복잡한 음식점일 경우에는, 추가 주문이 많게 되어 계산시 복잡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근래에는 음식점에서도 포스(POS)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원래 '포스(POS: Point of Sales) 시스템'이라 함은 판매시점 관리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로 유통업체 매장에서 판매와 동시에 품목, 가격, 수량 등의 유통정보를 입력시키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종 자료를 분석 활용하는 유통업체 전산시스템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즉, 상품의 포장지에 바 코드(Bar code)를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이를 바 코드 스캐너를 통과시키면, 해당 상품의 각종 정보가 자동적으로 메인 컴퓨터에 입력되로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포스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판매 흐름을 단위품목별로 파악할 수 있고, 신제품과 판촉제품의 판매경향과 시간대, 매출부진 상품, 유사품과 경쟁제품과의 판매경향 등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따라서, 포스 시스템은 판매가격과 판매량의 상관관계, 주요 공략 대상, 광고 계획 등의 마켓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고, 발주, 배송관리 체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근래 들어 배달 문화의 활성화에 따라 요식 사업의 배달 업무량 역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카드 사용의 급증으로 배달 사원은 배달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결제를 위한 별도의 이동형 결제 단말기를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
이러한 이동형 결제 단말기는 상술한 포스 시스템과 연계되어 결제 내역 및 결제 금액 등의 정보들이 포스 시스템으로 전달됨으로써 운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이동형 결제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결제의 경우 결제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장치나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사인패드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그 부피가 커져 배달사원이 휴대하기에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이동형 결제 단말기를 배달사원이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의 앱형태로 구성할 경우 소비자의 카드정보가 배달사원의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9280호(2011.11.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제카드의 인식수단으로서 배달사원이 소지하는 모바일단말을 활용함으로써 무선 카드결제단말기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 소비자의 카드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결제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정보와 주문정보 및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바일단말; 상기 모바일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송신하는 입력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제카드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제카드와 서명정보로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무선결제단말; 상기 무선결제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밴사 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무선결제단말로 송신하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결제단말은, 상기 모바일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된 입력데이터에 있어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문자판독모듈; 상기 문자판독모듈에서 인식된 결제카드의 고유정보와 상기 입력데이터에 포함된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금액과 서명정보를 취합하여 결제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밴사서버로 송신하는 결제요청모듈; 및 상기 결제요청모듈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사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 및 출력하는 승인결과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결제단말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입력데이터에 포함되는 주문정보와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승인결과를 가맹점에 구비되는 매장POS단말로 송신하는 결제완료보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문자판독모듈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출력된 재촬영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모바일단말은, 상기 입력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결제카드에 대한 영상정보와 서명을 삭제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결제단말에 연결되어 인식된 카드 정보를 전달하는 카드리더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드리더기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이 통과하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단말본체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부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의 타면에 구성되며 상기 리더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어 삽입홈에 결제카드의 비삽입시는 삽입홈에서 리더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제카드의 삽입시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전 영역이 상기 리더부를 거치도록 유도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패킹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타면에서 상기 리더부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라인을 따라 장착되는 테두리부와, 탄성재질로 상기 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일면까지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단말본체는,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여 리더부로 삽입되는 결제카드를 상기 리더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타면에서 상기 밀폐판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결제카드의 인식수단으로서 배달사원이 소지하는 모바일단말을 일부 활용함으로써 무선 카드결제단말기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모바일단말을 통한 인식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결제가 완료되는 삭제되도록 명령함으로써 소비자의 카드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결제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결제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모바일단말(10)과 무선결제단말(20)과 밴사서버(30) 및 카드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단말(10)은 배달 사원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무선결제단말(20)과의 데이터 접속은 물론 결제카드 인식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앱(App)을 설치 및 실행한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단말(10)은 배달 상품을 현장에서 결제하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무선결제단말에 있어 결제카드의 인식 기능을 대체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0)와 입력부(110) 및 메모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소비자의 결제카드(1)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모바일단말(10)에 사전 설치되는 앱(App)으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가 자동 입력되도록 하며, 이에 더하여 배달 상품에 대한 주문정보와 소비자의 서명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문정보는 배달 상품의 상품명, 가격, 개수, 총 결제대금, 주문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정보는 물론 상기 입력부(110)에서 입력되는 주문정보 등을 임시 저장한다.
이러한 모바일단말(10)은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 주문정보 및 서명정보 등을 하나의 입력데이터로 취합하고 이를 무선결제단말(2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단말(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달 사원의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소비자의 카드정보 등이 배달사원의 스마트폰에 기록되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단말(10)은, 상기 입력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입력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부(100)로부터 촬영된 결제카드(1)에 대한 영상정보와 서명을 삭제하도록 명령하여 상기 메모리부(12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결제단말(20)은 상기 모바일단말(10)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모바일단말(10)의 입력부(110)에서 송신하는 입력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입력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제카드(1)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결제단말(20)은 인식된 결제카드(1)와 서명정보로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를 상기 밴사서버(30) 또는 카드사서버(40)로 요청하고 이에 회신되는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무선결제단말(20)과 모바일단말(10) 간의 무선 통신은 공지의 근거리 통신 방식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결제단말(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200)과 문자판독모듈(210)과 결제요청모듈(220) 및 승인결과출력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모바일단말(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밴사서버(30)나 카드사서버(40) 뿐 아니라 가맹점에 구비되는 매장POS단말(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200)은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2G, 3G, 4G, LTE),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적합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문자판독모듈(210)은 상기 통신모듈(200)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10)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된 입력데이터에 있어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1)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한다.
일 예로 상기 문자판독모듈(210)는 영상정보의 이미지로부터 결제카드(1)에 나타난 문자 및 기호 등을 판독하여 결제카드(1)의 카드번호, 유효기간, 식별코드, 주문자명 등과 같은 고유의 카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판독모듈(210)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1)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출력된 재촬영신호를 상기 통신모듈(200)을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10)로 송신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촬영신호의 송신 명령은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할 수 있으며, 설정된 n번째 판독에도 카드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결제카드(1)의 사용 불가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모듈(220)은 상기 문자판독모듈(210)에서 인식된 결제카드(1)의 고유정보와 상기 입력데이터에 포함된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금액과 서명정보를 취합하여 결제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밴사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230)은 상기 결제요청모듈(220)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사서버(40)로부터 회신되는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 및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230)은 인쇄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결과로서 생성되는 결제처리결과 내지 승인결과 정보 등을 상기 인쇄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장치는 미리 정의된 인쇄양식에 맞게 인쇄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프로토콜 및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230)은 무선결제단말(20)의 부피와 구성을 더욱 간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되는 소비자의 휴대폰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휴대폰번호로 결제처리결과 내지 승인결과 등을 포함하는 영수증 내역을 전송함으로써 소비자의 휴대폰에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무선결제단말(20)은 결제완료보고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완료보고모듈(240)은 상기 통신모듈(200)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10)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입력데이터에 포함되는 주문정보와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230)에서 출력되는 승인결과를 가맹점에 구비되는 매장POS단말(50)로 송신함으로써, 매장 관리자로 하여금 배달 상품에 대한 결체 처리 여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사서버(30)는 상기 무선결제단말(2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상기 카드사서버(40)는 상기 밴사서버(30)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무선결제단말(20)로 송신한다.
상기 밴사서버(30)는 상기 무선결제단말(20)과 무선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해당 가맹점에 계약 체결된 특정 밴사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며 상기 무선결제단말(20)와 카드사서버(40) 간 카드 결제 등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사서버(40)는 상기 밴사서버(30)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전달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사서버(40)는 상기 밴사서버(30)로부터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전문을 수신하여, 일반적인 인증에 관한 사항(카드한도초과 여부 등)을 인증하고, 특히 결제요청전문에 포함된 인식정보와 기 저장된 비교인식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승인결과전문을 생성하고, 승인결과전문을 밴사서버(30)로 회신하거나 직접적으로 상기 무선결제단말(20)로 전송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면, 결제카드(1)의 인식수단으로서 배달 사원이 소지하는 모바일단말(10)을 일부 활용함으로써 상기 무선결제단말(20)이 카드 인식을 위한 리더장치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피와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단말(10)의 경우, 결제카드(1)의 인식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결제가 완료되는 즉시 자동 삭제되도록 명령함으로써 소비자의 카드정보가 배달사원의 스마트폰이 기록되는 것이 방지되어 배달 상품의 결제 과정에서 소비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단말(10)과는 별개로 상기 무선결제단말(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결제카드(1)를 인식하고, 인식된 카드 정보를 연결된 상기 무선결제단말(20)로 전달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6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카드리더기(60)는 상기 모바일단말(10)을 통한 결제카드(1)의 인식이 곤란할 경우나, 인식 대상 문자의 식별이 어려울 경우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을 리딩하여 결제카드(1)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무선결제단말(2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카드리더기(60)는 상기 무선결제단말(20)에 착탈 방식 등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결제단말(20)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리더기(60)의 경우, 배달 상품에 대한 현장 결제의 특성 상, 외부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결제카드(1)의 인식수단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이는 기기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인식 과정에서 잦은 오류가 발생되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카드리더기(6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부분이 통과하는 삽입홈(601)이 구비되는 단말본체(600)와,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601)을 통과하는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부(610)와,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의 타면에 구성되며 상기 리더부(6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어 삽입홈(601)에 결제카드(1)의 비삽입시는 삽입홈(1)에서 리더부(6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제카드(1)의 삽입시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삽입홈(601)을 통과하는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전 영역이 상기 리더부(610)를 거치도록 유도하는 패킹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리더기(6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단말본체(600)에 스피커, 마이크, 터치패널, 안테나 등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구성으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말본체(600)에는 마그네틱을 구비한 결제카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삽입홈(601)이 형성된다.
상기 리더부(610)는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 일면에 구성되어 상기 삽입홈(601)을 통과하는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정보를 읽어 내는 구성에 해당한다.
그런데 상기 리더부(610)의 경우 2가지 원인에 의해 그 기능이 저하되는데 수분에 노출되어 리더부(610)가 오염되는 경우와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영역이 리더부(610)에 정확히 거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킹부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의 타면에 구성되고, 상기 리더부(6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어 삽입홈(601)에 결제카드(1)의 비삽입시는 삽입홈(601)에서 리더부(6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결제카드(1) 삽입시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삽입홈(601)을 통과하게 되는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의 전 영역이 상기 리더부(610)에 밀착되어 거치도록 유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패킹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 타면에서 상기 리더부(610)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라인을 따라 장착되는 테두리부(620)와, 탄성재질로 상기 테두리부(620)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 일면까지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판(621)을 포함한다.
즉 상기 패킹부는 삽입홈(601)에 있어 상기 리더부(610)와 대향하면서 상기 리더부(6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결제카드(1)의 비삽입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판(621)이 삽입홈(601)을 밀폐함으로써, 삽입홈(601)을 통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리더부(610)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폐판(621)의 경우 상기 테두리부(620)의 저면에서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로 구성하여 수밀 및 밀폐 성능을 더욱 향상킬 수 있도록 하면서, 결제카드(1)가 삽입홈(601)으로 삽입될 시에는 복수의 밀폐판(621) 각각의 탄성력을 통해 결제카드(1)가 리더부(610) 방향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써, 결제카드(1)가 가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전 영역이 리더부(610)에 완전한 접촉을 도모하고 이에 리딩 에러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즉 리더부(610)의 외측에서 4방향으로 결제카드(1)가 가압됨으로써 정확하게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영역이 리더부(610)에 접촉이 된 상태가 되며, 결제카드(1)를 슬라이딩 함에 따라 마그네틱 전 영역이 리더부(610)에 의해 리딩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어 결제카드(1)의 마그네틱 전 영역은 배달 사원의 조작 실수나 파지력 변화에 상관없이 삽입홈(601)를 통과하기만 하면 리더부(610)를 거치게 되어 정확하게 카드의 리딩이 이루어지고 리딩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본체(600)에는 상기 삽입홈(601)을 통과하여 리더부(610)로 삽입되는 상기 결제카드(1)를 상기 리더부(61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601)의 내주연 타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롤러(630)는 상기 복수의 밀폐판(621)에 의한 가압력이 비교적 저감될 수 있는 영역 즉, 상기 삽입홈(601)에 있어 리더부(610)에 근접하게 되는 패킹부의 내측 영역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밀폐판(621)을 통과한 결제카드(1)의 밀착 상태가 리더부(610)에 위치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딩 에러를 더욱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모바일단말 20 : 무선결제단말
30 : 밴사서버 40 : 카드사서버
50 : 매장POS단말 100 : 카메라부
110 : 입력부 120 : 메모리부
200 : 통신모듈 210 : 문자판독모듈
220 : 결제요청모듈 230 : 승인결과출력모듈
240 : 결제완료보고모듈

Claims (8)

  1. 결제카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정보와 주문정보 및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데이터를 송신하는 모바일단말;
    상기 모바일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송신하는 입력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제카드를 인식하며, 인식된 결제카드와 서명정보로 상기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무선결제단말;
    상기 무선결제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밴사서버;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무선결제단말로 송신하는 카드사서버; 및
    상기 무선결제단말에 연결되어 인식된 카드 정보를 전달하는 카드리더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리더기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단말본체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부와,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의 타면에 구성되며 상기 리더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어 삽입홈에 결제카드의 비삽입시는 삽입홈에서 리더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제카드의 삽입시에는 가압에 의해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는 결제카드의 마그네틱 전 영역이 상기 리더부를 거치도록 유도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부는,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타면에서 상기 리더부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된 라인을 따라 장착되는 테두리부와, 탄성재질로 상기 테두리부의 저면에서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일면까지 연장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판을 포함하여, 결제카드의 비삽입시 하나 이상의 밀폐판이 삽입홈을 밀폐되게 하고 결제카드가 삽입홈으로 삽입될 시 상기 밀폐판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리더부의 외측에서 4방향으로 결제카드가 가압되게 하여 결제카드의 리더부에 대한 밀착을 유도하며,
    상기 단말본체는,
    상기 삽입홈을 통과하여 리더부로 삽입되는 결제카드를 상기 리더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내주연 타면에서 상기 밀폐판보다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결제단말은,
    상기 모바일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된 입력데이터에 있어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문자판독모듈;
    상기 문자판독모듈에서 인식된 결제카드의 고유정보와 상기 입력데이터에 포함된 주문정보에 따른 결제금액과 서명정보를 취합하여 결제요청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밴사 서버로 송신하는 결제요청모듈; 및
    상기 결제요청모듈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사서버로부터 회신되는 승인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 및 출력하는 승인결과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결제단말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의 입력데이터를 전달받고 입력데이터에 포함되는 주문정보와 상기 승인결과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승인결과를 가맹점에 구비되는 매장POS단말로 송신하는 결제완료보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독모듈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결제카드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재촬영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출력된 재촬영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모바일단말로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단말은,
    상기 입력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됨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결제카드에 대한 영상정보와 서명을 삭제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00205A 2020-01-02 2020-01-02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KR10215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05A KR102157155B1 (ko) 2020-01-02 2020-01-02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05A KR102157155B1 (ko) 2020-01-02 2020-01-02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55B1 true KR102157155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05A KR102157155B1 (ko) 2020-01-02 2020-01-02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620U (ko) * 1996-02-29 1997-09-08 카드 리더기의 카드 정전기 제거장치
KR20110119280A (ko) 2010-04-27 2011-11-02 유비쿼터스 커뮤니케이션(주) 휴대폰에 탈부착하여 결제 및 충전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40128172A (ko) * 2013-04-26 2014-11-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신용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2853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아이러브벨벳아시아 카드리더기
KR101630311B1 (ko) * 2015-03-13 2016-06-14 주식회사 페이콕 신용카드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808844B1 (ko) * 2016-08-31 2017-12-13 권해원 실물 결제카드의 경사 각도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620U (ko) * 1996-02-29 1997-09-08 카드 리더기의 카드 정전기 제거장치
KR20110119280A (ko) 2010-04-27 2011-11-02 유비쿼터스 커뮤니케이션(주) 휴대폰에 탈부착하여 결제 및 충전하는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40128172A (ko) * 2013-04-26 2014-11-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신용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92853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아이러브벨벳아시아 카드리더기
KR101630311B1 (ko) * 2015-03-13 2016-06-14 주식회사 페이콕 신용카드 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808844B1 (ko) * 2016-08-31 2017-12-13 권해원 실물 결제카드의 경사 각도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981B2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US72641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anguage user selection for system user interface
US2017029382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20090084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at a point-of-sale terminal
US201802257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tracking effectiveness of purchase recommendations
KR20140015551A (ko) 인코딩된 그래픽 표현을 통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의 전자 거래
JP2015508201A (ja) モバイル支払い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US201401430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of-sale transactions
US20150012421A1 (en) Electronic transactions with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via encoded acoustic signals
US20150120568A1 (en) Electronic transaction method
KR20140035547A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영수증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57155B1 (ko)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시스템
JP6201420B2 (ja) レシート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40082225A (ko) 코드를 이용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 결제 시스템 및 결제처리 방법
RU273309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онного чека покупателю
US9523977B2 (en) Barcode menu structure advancement
US20200118111A1 (en) Displaying electronic change objects
KR102439120B1 (ko) 키오스크식 쿠폰 포인트 적립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9118B1 (ko) 모바일식 쿠폰 포인트 적립 방법 및 그 시스템
EP3537393A1 (en) Reading device
TWM502914U (zh) 銀行服務系統
JP202103949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8370220B1 (en) Method of completing a transaction using wirelessly transferred payment information
US8950670B1 (en) Barcode to magnetic media converter
US20190205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offline commerce transactions using an encrypted user id bar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