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088B1 -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7088B1 KR102157088B1 KR1020200048381A KR20200048381A KR102157088B1 KR 102157088 B1 KR102157088 B1 KR 102157088B1 KR 1020200048381 A KR1020200048381 A KR 1020200048381A KR 20200048381 A KR20200048381 A KR 20200048381A KR 102157088 B1 KR102157088 B1 KR 1021570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front plate
- plate
- tray
- transf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중성화)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근접되는 리어판(32); 리어판(32)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프론트판(30);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스페이스바(33);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일측에 양단이 지지되는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60);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타측에 양단이 지지되는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 상부구동축(40)에 설치되는 상부이송풀리(42); 하부구동축(50)에 설치되는 하부이송풀리(52);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에 설치되는 상부피동풀리(43)와 하부피동풀리(53); 상부이송풀리(42)와 상부피동풀리(43)에 감겨서 순환회전되는 상부이송벨트(44); 하부이송풀리(52)와 하부피동풀리(53)에 감겨서 순환회전되는 하부이송벨트(54); 상부이송벨트(44)의 하부직선부(44a)에 접촉해서 상부이송벨트(44)의 선형을 유지하는 상부아이들롤러(45); 하부이송벨트(54)의 상부직선부(54a) 저면에 접촉해서 하부이송벨트(54)의 선형을 유지하는 하부아이들롤러(55);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는 트레이(70); 콘크리트 가루(21)를 트레이(70)로 안내하는 방풍안내관(8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중성화)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안전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가루를 받기 위한 트레이를 상하부에 위치한 벨트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표면으로부터 공기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탄산화 또는 중성화라 하며,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해 철근표면을 감싸고 있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면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고 콘크리트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메커니즘은, 콘크리트로 탄산가스 침투 → 탄산화(중성화) → 철근의 부동태피막 파괴 → 철근 부식 → 철근 부피 팽창 → 콘크리트 균열 순으로 진행되며, 화학식으로는 Ca(OH)2(수산화칼슘) + CO2 = CaCO3(탄산칼슘) + H2O 이다.
탄산화가 진행되기 전 수산화칼슘은 원래 수소이온농도가 pH 12~13 정도의 강알칼리성이나 탄산화 현상으로 탄산칼슘으로 변화된 부분은 pH 8.5~10 정도로 낮아져 중성화 된다.
콘크리트 내부의 pH가 11 이상에서는 산소가 존재해도 녹슬지 않지만 pH가 11보다 낮아지면 철근에 녹이 발생하고 철근이 원래의 체적보다 약 2.5배까지 팽창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 된다.
콘크리트의 탄산화 검사방법으로는, 검사시약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이 알칼리성 물질과 만나서 반응하면 붉은색으로 변화하는 점에 착안하여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콘크리트에 분사하여 색상변화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단하게 된다.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콘크리트에 분무하였을 때 pH 9 이하에서는 무색, 이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적색을 나타내므로 매우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 측정법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공시체를 코어 형태 또는 가루 형태로 채취해서 검사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해서 현장에서 직접 검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해서 밑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를 이용해서 탄산화 깊이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작업자가 한조가 되어 작업하게 되는데, 한 사람은 구멍 천공 부위 아래쪽에서 중성화 시험지(14)를 손으로 받친 상태에서 천천히 손으로 돌리고, 나머지 다른 작업자는 해머드릴(13)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탄산화 시험구멍(11)을 천공하게 되면, 탄산화 시험구멍(11)으로부터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12)가 중성화 시험지(14)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후 탄산화 시험구멍(11)의 천공을 마친 상태에서 검사시약인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중성화 시험지(14) 위에 분무하게 되면, 탄산화가 진행되지 않은 곳은 적색반응을 보이고 탄산화가 진행된 곳은 무색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이때 무색반응을 보인 부분의 원호길이를 측정한 다음 콘크리트 가루(12)가 떨어진 전체 부채꼴모양의 원호길이와 탄산화 시험구멍(11)의 깊이의 비를 무색반응을 보인 원호길이에 적용하게 되면, 탄산화 깊이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측정법은 두 사람이 한조가 되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탄산화 시험구멍(11)을 천공하는 속도와 중성화 시험지(14)를 돌리는 속도가 서로 맞지 않으면 측정이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두 사람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측정에 소요되는 인건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밑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가 바람에 의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중성화 시험지의 이송중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근접되는 리어판; 리어판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프론트판;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프론트판과 리어판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스바;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일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구동축과 하부구동축; 상부구동축과 하부구동축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타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피동축과 하부피동축;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상부구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풀리;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하부구동축에 설치되고, 상부이송풀리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하부이송풀리; 상부피동축과 하부피동축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부이송풀리과 하부이송풀리에 각각 대응해서 서로 짝을 이루는 상부피동풀리와 하부피동풀리; 상부이송풀리와 상부피동풀리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벨트; 하부이송풀리와 하부피동풀리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고, 상부이송벨트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이송벨트; 상부이송벨트의 하부직선부 상면에 각각 접촉해서 상부이송벨트의 선형을 유지하고,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내측에서 상부이송벨트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상부아이들롤러; 하부이송벨트의 상부직선부 저면에 각각 접촉해서 하부이송벨트의 선형을 유지하고,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내측에서 하부이송벨트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하부아이들롤러; 상부이송벨트와 하부이송벨트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고,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를 받는 트레이; 콘크리트 구조물 천공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가루를 트레이로 안내하는 방풍안내관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구는, 프론트판에 설치되는 이송모터; 이송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 하부구동축에 설치되는 외접풀리; 상부구동축에 설치되는 내접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벨트 바깥쪽 면에 의해 외접풀리에 전달하고, 벨트 안쪽면으로는 내접풀리에 동력을 전달해서 외접풀리와 내접풀리의 회전방향을 서로 상반되게 하는 엔드리스 형태의 구동벨트; 구동벨트와 구동풀리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판에 설치되는 간섭방지풀리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이의 진행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안쪽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안내바; 트레이 안내바의 입출입측 양단 하부에 설치되고, 프론트판과 리어판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바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판과 리어판의 상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 걸림홈에 양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평행안내봉; 평행안내봉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고, 방풍안내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 평행안내봉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봉연결바; 봉연결바와 슬라이드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링; 평행안내봉의 전방측 단부가 관통되고, 프론트판의 상단을 일부분 덮는 ㄷ자 단면의 채널형 클램프; 채널형 클램프에 나사결합되어 프론트판을 압박하는 클램프볼트; 슬라이드블록과 채널형 클램프의 사이에서 반발해서 방풍안내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향해 가압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안내관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비트가 통과되는 비트구멍이 후면에 형성되는 중공헤드부; 중공헤드부의 하단에서 전방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경안내부; 이경안내부의 하단에서 트레이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출구; 중공헤드부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개방구; 중공헤드부에 형성되고, 개방구의 하부에 위치되는 걸림턱; 개방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자석; 개방구를 개폐하고, 걸림턱에 하단이 걸리며, 비트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투명판; 투명판에 설치되고 자석에 흡착되는 철핀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는, 하부이송벨트 위에 지지되고,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된 중성화 시험지를 올려놓는 장방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부이송벨트에 접촉되어 이송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평행마찰벽;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기구(60)를 구성하는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 및 구동벨트(66)에 의해 상부구동축(40) 하부구동축(50)의 회전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트레이 안내바(90)에 의해 트레이(70)가 진행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이 지지바(91)에 의해 트레이(7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에 의해 상부이송벨트(44)의 상부직선부(54a)와 하부이송벨트(54)의 하부직선부(44a)의 직선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이(70)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트레이(70)가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중 트레이(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풍안내관(80)의 전후좌우 및 상부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콘크리트 가루(21)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석(85)과 철핀(87)에 의해 투명판(86)을 개방구(81c)로부터 자유롭게 분리/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판(86)의 교환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를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을 향해 가압하는 밀착스프링(106)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과 중공헤드부(81)의 사이로 콘크리트 가루(21)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채널형 클램프(104)와 클램프볼트(105)에 의해 평행안내봉(100)과 슬라이드블록(101) 및 방풍안내관(8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30g)(32g)에 의해 평행안내봉(100)의 위치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라이드블록(101)와 봉연결바(102)의 사이에 설치된 완충링(103)에 의해 슬라이드블록(101)가 봉연결바(10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트레이(70)에 형성된 평행마찰벽(72)과 측벽(73)에 의해 트레이(70)에 담은 중성화 시험용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에 설치된 크로스 브래킷(112)과 손잡이(110)에 의해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에 형성된 비트구멍(81h)이 테이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가루(21)가 비트구멍(81h)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해머드릴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하고 있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구를 보인 정면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이송풀리와 하부이송풀리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아이들롤러와 하부아이들롤러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안내바와 트레이 지지바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반대편에서 본 부분 확대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분리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풍안내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인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리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와 중성화 시험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리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리어판과 프론트판에 연결하는 것을 보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구를 보인 정면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이송풀리와 하부이송풀리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아이들롤러와 하부아이들롤러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안내바와 트레이 지지바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반대편에서 본 부분 확대 저면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분리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풍안내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를 보인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리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와 중성화 시험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리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리어판과 프론트판에 연결하는 것을 보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근접되는 리어판(32); 리어판(32)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프론트판(30);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스바(33)를 포함한다.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은 도 2 내지 도 4, 도 10,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판재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바(33)는 직선형의 환봉 또는 파이프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체결공(30h)(32h)을 천공한 다음 스페이스바(33)의 양단에 나사구멍(33t)을 형성하고, 체결공(30h)(32h)으로 통과시킨 체결볼트(33a)(33b)를 나사구멍(33t)에 결합하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이 스페이스바(33)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일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60);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타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을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각각 형성된 축지지구멍(30a)(30b)(32a)(3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특히 프론트판(30)으로 삽입된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의 한쪽 단부는 축지지구멍(30a)(30b)을 관통해서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면서 구동기구(60)와 연결된다.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의 외주면에 환형의 멈춤홈(40a)(40b)(50a)(50b)을 각각 형성한 다음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외측면에 걸리는 스냅링(40c)(40d)(50c)(50d)을 멈춤홈(40a)(40b)(50a)(50b)에 설치하면,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상부구동축(4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풀리(42);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하부구동축(50)에 설치되고, 상부이송풀리(42)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하부이송풀리(52);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부이송풀리(42)과 하부이송풀리(52)에 각각 대응해서 서로 짝을 이루는 상부피동풀리(43)와 하부피동풀리(53)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된 상부이송풀리(42)에 탭구멍(42t)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이송풀리(4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부구동축(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세트스크류(42s)를 탭구멍(42t)에 결합해서 조이면, 상부이송풀리(42)가 상부구동축(40)에 고정되며, 한 쌍의 상부이송풀리(42)가 상부구동축(40)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으로 구성된 하부이송풀리(52)에 탭구멍(52t)을 각각 형성하고, 하부이송풀리(5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으로 하부구동축(50)을 삽입한 상태에서 세트스크류(52s)를 탭구멍(52t)에 결합해서 조이면, 하부이송풀리(52)가 하부구동축(50)에 고정되며, 한 쌍의 하부이송풀리(52)가 하부구동축(50)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피동풀리(43)와 한 쌍의 하부피동풀리(53)도 세트스크류(43s)를 이용해서 각각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에 각각 고정되며, 한 쌍의 상부피동풀리(43)가 상부피동축(41)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고, 한 쌍의 하부피동풀리(53)가 하부피동축(51)에 의해 동시에 회전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이송풀리(42)와 하부이송풀리(52)의 중심에는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이 삽입되는 구멍(42h)(52h)이 형성되고, 상부피동풀리(43)와 하부피동풀리(53)의 중심에는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이송풀리(42)와 상부피동풀리(43)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벨트(44); 하부이송풀리(52)와 하부피동풀리(53)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고, 상부이송벨트(44)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이송벨트(54)를 포함한다.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는 예를 들면 원형의 단면을 갖는 라운드벨트로 구성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된 상부이송벨트(44)는 상부이송풀리(42)와 상부피동풀리(43)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움직이게 되고, 한 쌍으로 구성된 하부이송벨트(54)도 하부이송풀리(52)와 하부피동풀리(53)에 의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이송벨트(44)의 하부직선부(44a) 상면에 각각 접촉해서 상부이송벨트(44)의 선형을 유지하고,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내측에서 상부이송벨트(44)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상부아이들롤러(45); 하부이송벨트(54)의 상부직선부(54a) 저면에 각각 접촉해서 하부이송벨트(54)의 선형을 유지하고,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내측에서 하부이송벨트(54)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하부아이들롤러(55)를 포함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는 상부지지축(300)과 하부지지축(320)의 일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리벳결합부(302)(322)를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형성된 리벳구멍(30e)(30f)으로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리벳결합부(302)(322)를 해머와 같은 성형도구를 이용해서 두툼하게 성형하면 상부지지축(300)과 하부지지축(320)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설치된다.
상부지지축(300)과 하부지지축(320)의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롤러지지부(304)(324)를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45h)(55h)으로 삽입해서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롤러지지부(304)(324)의 외주면에 환형의 멈춤홈(306)(326)을 형성하고, 롤러지지부(304)(324)를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에 형성된 구멍(45h)(55h)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냅링(308)(328)을 멈춤홈(306)(326)에 끼우면,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가 상부지지축(300)과 하부지지축(3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고, 콘크리트 구조물(20) 천공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21)를 받는 트레이(70); 콘크리트 구조물(20) 천공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가루(21)를 트레이(70)로 안내하는 방풍안내관(80)을 포함한다.
트레이(70)는 방풍안내관(80)을 통해 밑으로 안내되는 콘크리트 가루(21)를 받아서 수거하거나 페톨프탈레인 용액과 같은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된 중성화 시험지(23)를 트레이(70) 위에 올려놓고 작업하면 중성화 시험지(23) 위로 떨어진 콘크리트 가루(21)가 중성화 시험용액에 의해 유색 또는 무색반응을 보이면서 콘크리트 구조물(20)의 중성화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방풍안내관(80)은 강한 바람에 의해 콘크리트 가루(21)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고 전후좌우가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방풍안내관(80) 전체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가루(21)가 원활하게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비트(22)로 콘크리트 구조물(20)에 구멍을 천공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20)에 천공되고 있는 구멍을 볼 수 있으므로 작업을 좀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기구(60)는, 프론트판(30)에 설치되는 이송모터(61); 이송모터(61)의 모터축(62)에 설치되는 구동풀리(63); 하부구동축(50)에 설치되는 외접풀리(64); 상부구동축(40)에 설치되는 내접풀리(65); 구동풀리(63)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벨트 바깥쪽 면에 의해 외접풀리(64)에 전달하고, 벨트 안쪽면으로는 내접풀리(65)에 동력을 전달해서 외접풀리(64)와 내접풀리(65)의 회전방향을 서로 상반되게 하는 엔드리스 형태의 구동벨트(66); 구동벨트(66)와 구동풀리(63)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판(30)에 설치되는 간섭방지풀리(67)를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63), 외접풀리(64), 내접풀리(65), 간섭방지풀리(67)의 중심에는 구멍(63h)(64h)(65h)(67h)이 각각 형성되며,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에 형성된 구멍(65h)(64h)으로는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을 삽입해서 세트스크류(65s)(64s)에 의해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를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에 각각 고정하고, 구동풀리(63)에 형성된 구멍(63h)으로 모터축(62)을 삽입한 다음 세트스크류(63s)에 의해 구동풀리(63)를 모터축(62)에 고정한다.
간섭방지풀리(67)는 프론트판(30)에 설치되는 고정축(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러한 고정축(400)의 일측단에 형성된 수나사부(402)를 프론트판(30)에 형성된 구멍(30w)으로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수나사부(402)에 너트(404)를 결합해서 고정축(400)을 프론트판(30)에 설치한다.
또, 고정축(400)의 타측단에 형성된 지지부(406)를 간섭방지풀리(67)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67h)에 삽입한 다음 지지부(406)의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407)에 스냅링(408)을 끼워서 간섭방지풀리(67)가 고정축(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70)의 진행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안쪽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안내바(90); 트레이 안내바(90)의 입출입측 양단 하부에 설치되고,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바(91)를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안내바(90)에 형성된 탭구멍(90t)과 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공(30m)(32m)을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각각 형성하고, 체결스크류(90a)를 체결공(30m)(32m)을 통해 삽입해서 탭구멍(90t)에 결합하면 트레이 안내바(90)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설치된다.
트레이 지지바(91)의 전후방 양단에 탭구멍(91t)을 형성하고,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는 트레이 지지바(91)에 형성된 탭구멍(91t)과 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구멍(30n)(32n)을 형성한 다음 체결구멍(30n)(32n)을 통해 체결스크류(91a)(91b)를 삽입한 후 탭구멍(91t)에 결합하면 트레이 지지바(91)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설치된다.
트레이 안내바(90)의 단부 모서리에 면취부(90c)를 형성해서 트레이(70)의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트레이 지지바(91)의 상면을 트레이 안내바(90)의 저면에 밀착시켜서 트레이(70)를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로 진입시킬 때 트레이(70)가 트레이 지지바(91)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진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상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30g)(32g); 걸림홈(30g)(32g)에 양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평행안내봉(100); 평행안내봉(1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고, 방풍안내관(8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101); 평행안내봉(10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봉연결바(102); 봉연결바(102)와 슬라이드블록(101)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링(103)을 포함한다.
걸림홈(30g)(32g)은 예를 들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블록(101)은 방풍안내관(80)의 좌우측면에 접착되거나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완충링(103)은 하기의 밀착스프링(106)에 의해 방풍안내관(80)이 봉연결바(102)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봉연결바(102)는 예를 들면 평행안내봉(100)에 용접되거나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완충링(103)은 예를 들면 도넛 형태의 고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형성된 구멍으로 평행안내봉(100)이 삽입된다.
본 발명은 평행안내봉(100)의 전방측 단부가 관통되고, 프론트판(30)의 상단을 일부분 덮는 ㄷ자 단면의 채널형 클램프(104); 채널형 클램프(104)에 나사결합되어 프론트판(30)을 압박하는 클램프볼트(105); 슬라이드블록(101)과 채널형 클램프(104)의 사이에서 반발해서 방풍안내관(80)을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을 향해 가압하는 밀착스프링(106)을 포함한다.
도 8,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 클램프(104)에 형성된 슬릿()의 폭을 프론트판(3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해서 채널형 클램프(104)를 프론트판(30)의 상단에 끼울 때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밀착스프링(10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판(32)을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근접시킬 때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 후면이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방풍안내관(80)과 슬라이드블록(101)이 콘크리트 구조물(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는데, 이때 밀착스프링(106)이 압축되면서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 후면이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서 콘크리트 가루(21)가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과 중공헤드부(81)의 후면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밀착스프링(106)은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안내관(80)은, 콘크리트 구조물(20)를 천공하기 위한 드릴비트(22)가 통과되는 비트구멍(81h)이 후면에 형성되는 중공헤드부(81); 중공헤드부(81)의 하단에서 전방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경안내부(82); 이경안내부(82)의 하단에서 트레이(7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출구(83); 중공헤드부(81)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개방구(81c); 중공헤드부(81)에 형성되고, 개방구(81c)의 하부에 위치되는 걸림턱(84); 개방구(81c)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자석(85); 개방구(81c)를 개폐하고, 걸림턱(84)에 하단이 걸리며, 비트구멍(81h)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86h)을 갖는 투명판(86); 투명판(86)에 설치되고 자석(85)에 흡착되는 철핀(87)을 포함한다.
도 8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구멍(81h)은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으로 형성해서 콘크리트 가루(21)가 비트구멍(81h)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경안내부(82)의 내측 후면은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해서 이경안내부(82)의 내부를 통과하는 콘크리트 가루(21)가 경사진 면을 타고 부르럽게 미끄러지면서 배출구(83)와 트레이(70)를 향해 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86h)의 내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 투명판(86)을 복수로 구성한 다음 드릴비트(22)에 맞는 관통구멍(86h)이 형성된 투명판(86)으로 교체하면, 관통구멍(86h)을 통해 누출되는 콘크리트 가루(21)의 양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투명판(86)을 교체할 때 자석(85)과 철핀(87)에 의해 투명판(86)의 분리/결합이 자유롭게 되며, 걸림턱(84)에 의해 결합시 위치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70)는, 하부이송벨트(54) 위에 지지되고,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된 중성화 시험지(23)를 올려놓는 장방형의 베이스 플레이트(71);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전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부이송벨트(44)에 접촉되어 이송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평행마찰벽(72);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73)을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평평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판재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트레이(70)에 올려놓은 중성화 시험지(23)에 중성화 시험용액을 분무하거나 트레이(70)에 중성화 시험지(23)를 올려놓고 중성화 시험용액을 트레이(70)에 담아서 중성화 시험지(23)가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70)는 도 7 및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거나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및 도 8,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탭구멍(112t)이 형성된 크로스 브래킷(112)을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하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고, 손잡이(110)의 상단에 형성된 스터드볼트(114)를 손잡이 탭구멍(112t)에 결합해서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크로스 브래킷(112)의 전후면 양단에 나사구멍(112a)을 형성하고,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는 나사구멍(112a)과 중심이 일치되는 체결구멍(30y)(32y)을 형성한 다음 체결나사(115)(116)를 체결구멍(30y)(32y)을 통해 나사구멍(112a)에 결합하면 크로스 브래킷(112)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도면 중 부호 200은 전동드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30g)(32g)에 평행안내봉(100)을 끼우면서 채널형 클램프(104)로 프론트판(30)의 상단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클램프볼트(105)를 조이면, 평행안내봉(100)과 채널형 클램프(104)이 프론트판(30)과 리어판(32)에 고정된다.
이때 손잡이(110)를 손으로 잡고 리어판(32)을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근접시키면서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 후면을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밀착시키면, 슬라이드블록(101)과 방풍안내관(80)이 평행안내봉(100)을 따라 밀리면서 밀착스프링(106)이 압축된다.
이후 이송모터(61)에 전원을 인가해서 이송모터(61)를 회전시키면 모터축(62)으로부터 구동풀리(63)와 구동벨트(66)를 통해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접풀리(65)는 구동벨트(66)의 내측에 접촉되어 있고, 외접풀리(64)는 구동벨트(66)의 외측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는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내접풀리(65)와 외접풀리(64)가 회전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이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을 통해 상구동풀리(63)와 하구동풀리(63)로 전달되면서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가 순환회전되고,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로 중성화 시험지(23)가 올려진 트레이(70)를 삽입하면 트레이(70)가 상부이송벨트(44)와 하부이송벨트(54)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부아이들롤러(45)와 하부아이들롤러(55)는 상부이송벨트(44)의 상부직선부(54a)와 하부이송벨트(54)의 하부직선부(44a)의 직선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트레이 안내바(90)는 트레이(70)의 전후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70)가 이송되고 있을 때 투명판(86)에 형성된 관통구멍(86h)을 통해 드릴비트(22)를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20)에 구멍을 천공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가루(21)가 방풍안내관(80)의 중공헤드부(81)와 이경안내부(82)를 따라 안내되면서 배출구(83)를 통해 트레이(70)에 놓인 중성화 시험지(23) 위로 떨어지게 된다.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된 중성화 시험지(23)에 의해 무색 또는 유색반응으로 콘크리트 구조물(20)의 중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20 : 콘크리트 구조물 21 : 콘크리트 가루
22 : 드릴비트 23 : 중성화 시험지
30 : 프론트판 32 : 리어판
30g,32g : 걸림홈 33 : 스페이스바
40 : 상부구동축 41 : 상부피동축
42 : 상부이송풀리 43 : 상부피동풀리
44 : 상부이송벨트 44a : 하부직선부
45 : 상부아이들롤러 50 : 하부구동축
51 : 하부피동축 52 : 하부이송풀리
53 : 하부피동풀리 54 : 하부이송벨트
54a : 상부직선부 55 : 하부아이들롤러
60 : 구동기구 61 : 이송모터
62 : 모터축 63 : 구동풀리
64 : 외접풀리 65 : 내접풀리
66 : 구동벨트 67 : 간섭방지풀리
70 : 트레이 71 : 베이스 플레이트
72 : 평행마찰벽 73 : 측벽
80 : 방풍안내관 81 : 중공헤드부
81c : 개방구 81h : 비트구멍
82 : 이경안내부 83 : 배출구
84 : 걸림턱 85 : 자석
86 : 투명판 86h : 관통구멍
87 : 철핀 90 : 트레이 안내바
91 : 트레이 지지바 100 : 평행안내봉
101 : 슬라이드블록 102 : 봉연결바
103 : 완충링 104 : 채널형 클램프
105 : 클램프볼트 106 : 밀착스프링
112 : 크로스 브래킷 112t : 손잡이 탭구멍
110 : 손잡이 114 : 스터드볼트
200 : 전동드릴
22 : 드릴비트 23 : 중성화 시험지
30 : 프론트판 32 : 리어판
30g,32g : 걸림홈 33 : 스페이스바
40 : 상부구동축 41 : 상부피동축
42 : 상부이송풀리 43 : 상부피동풀리
44 : 상부이송벨트 44a : 하부직선부
45 : 상부아이들롤러 50 : 하부구동축
51 : 하부피동축 52 : 하부이송풀리
53 : 하부피동풀리 54 : 하부이송벨트
54a : 상부직선부 55 : 하부아이들롤러
60 : 구동기구 61 : 이송모터
62 : 모터축 63 : 구동풀리
64 : 외접풀리 65 : 내접풀리
66 : 구동벨트 67 : 간섭방지풀리
70 : 트레이 71 : 베이스 플레이트
72 : 평행마찰벽 73 : 측벽
80 : 방풍안내관 81 : 중공헤드부
81c : 개방구 81h : 비트구멍
82 : 이경안내부 83 : 배출구
84 : 걸림턱 85 : 자석
86 : 투명판 86h : 관통구멍
87 : 철핀 90 : 트레이 안내바
91 : 트레이 지지바 100 : 평행안내봉
101 : 슬라이드블록 102 : 봉연결바
103 : 완충링 104 : 채널형 클램프
105 : 클램프볼트 106 : 밀착스프링
112 : 크로스 브래킷 112t : 손잡이 탭구멍
110 : 손잡이 114 : 스터드볼트
200 : 전동드릴
Claims (6)
-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에 근접되는 리어판(32);
상기 리어판(32)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프론트판(30);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스바(33);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일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
상기 상부구동축(40)과 하부구동축(50)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60);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타측에 양단이 지지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상부피동축(41)과 하부피동축(51);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구동축(4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풀리(42);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사이에서 서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구동축(50)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이송풀리(42)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하부이송풀리(52);
상기 상부피동축(41)과 상기 하부피동축(51)에 각각 설치되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상부이송풀리(42)과 상기 하부이송풀리(52)에 각각 대응해서 서로 짝을 이루는 상부피동풀리(43)와 하부피동풀리(53);
상기 상부이송풀리(42)와 상기 상부피동풀리(43)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벨트(44);
상기 하부이송풀리(52)와 상기 하부피동풀리(53)에 엔드리스 형태로 감겨서 순환회전되고, 상기 상부이송벨트(44)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하부이송벨트(54);
상기 상부이송벨트(44)의 하부직선부(44a) 상면에 각각 접촉해서 상기 상부이송벨트(44)의 선형을 유지하고,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이송벨트(44)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상부아이들롤러(45);
상기 하부이송벨트(54)의 상부직선부(54a) 저면에 각각 접촉해서 상기 하부이송벨트(54)의 선형을 유지하고,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이송벨트(54)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하부아이들롤러(55);
상기 상부이송벨트(44)와 상기 하부이송벨트(54)의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 천공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콘크리트 가루(21)를 받는 트레이(7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 천공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가루(21)를 상기 트레이(70)로 안내하는 방풍안내관(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60)는,
상기 프론트판(30)에 설치되는 이송모터(61);
상기 이송모터(61)의 모터축(62)에 설치되는 구동풀리(63);
상기 하부구동축(50)에 설치되는 외접풀리(64);
상기 상부구동축(40)에 설치되는 내접풀리(65);
상기 구동풀리(63)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벨트 바깥쪽 면에 의해 상기 외접풀리(64)에 전달하고, 벨트 안쪽면으로는 상기 내접풀리(65)에 동력을 전달해서 상기 외접풀리(64)와 내접풀리(65)의 회전방향을 서로 상반되게 하는 엔드리스 형태의 구동벨트(66);
상기 구동벨트(66)와 상기 구동풀리(63)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판(30)에 설치되는 간섭방지풀리(6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70)의 진행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안쪽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안내바(90);
상기 트레이 안내바(90)의 입출입측 양단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한 쌍의 트레이 지지바(9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판(30)과 상기 리어판(32)의 상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30g)(32g);
상기 걸림홈(30g)(32g)에 양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한 쌍의 평행안내봉(100);
상기 평행안내봉(1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방풍안내관(8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101);
상기 평행안내봉(10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봉연결바(102);
상기 봉연결바(102)와 상기 슬라이드블록(101)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링(103);
상기 평행안내봉(100)의 전방측 단부가 관통되고, 상기 프론트판(30)의 상단을 일부분 덮는 ㄷ자 단면의 채널형 클램프(104);
상기 채널형 클램프(10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프론트판(30)을 압박하는 클램프볼트(105);
상기 슬라이드블록(101)과 상기 채널형 클램프(104)의 사이에서 반발해서 상기 방풍안내관(80)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의 표면을 향해 가압하는 밀착스프링(10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풍안내관(8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0)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비트(22)가 통과되는 비트구멍(81h)이 후면에 형성되는 중공헤드부(81);
상기 중공헤드부(81)의 하단에서 전방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경안내부(82);
상기 이경안내부(82)의 하단에서 상기 트레이(70)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출구(83);
상기 중공헤드부(81)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개방구(81c);
상기 중공헤드부(81)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81c)의 하부에 위치되는 걸림턱(84);
상기 개방구(81c)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자석(85);
상기 개방구(81c)를 개폐하고, 상기 걸림턱(84)에 하단이 걸리며, 상기 비트구멍(81h)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86h)을 갖는 투명판(86);
투명판(86)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85)에 흡착되는 철핀(8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70)는,
상기 하부이송벨트(54) 위에 지지되고, 중성화 시험용액에 침지된 중성화 시험지(23)를 올려놓는 장방형의 베이스 플레이트(7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전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이송벨트(44)에 접촉되어 이송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평행마찰벽(7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381A KR102157088B1 (ko) | 2020-04-22 | 2020-04-22 |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381A KR102157088B1 (ko) | 2020-04-22 | 2020-04-22 |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7088B1 true KR102157088B1 (ko) | 2020-09-17 |
Family
ID=7270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381A KR102157088B1 (ko) | 2020-04-22 | 2020-04-22 |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708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2144A (ko) * | 2022-04-01 | 2023-10-11 | 고정세 | Ect용 보빈형 지그 |
CN117491076A (zh) * | 2023-12-29 | 2024-02-02 | 烟台新旧动能转换研究院暨烟台科技成果转移转化示范基地 | 一种基于蓝碳的海底层水取样器及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102B1 (ko) | 2002-02-21 | 2006-03-24 | 이재용 | 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측정방법 |
KR100686495B1 (ko) | 2005-12-19 | 2007-02-26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콘크리트 탄산화 장치 |
KR20070040473A (ko) * | 2005-10-12 | 2007-04-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
EP2263828A1 (en) * | 2009-06-17 | 2010-12-22 | Tecnoindagini S.r.l. | Improved process for the analysis of materials, particular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device for effecting this process |
KR101578756B1 (ko) | 2015-08-11 | 2015-12-18 |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669616B1 (ko) * | 2016-09-21 | 2016-10-27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코어공시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669614B1 (ko) * | 2016-09-21 | 2016-10-27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벨트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729318B1 (ko) * | 2016-10-17 | 2017-04-24 |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시험지 회전장치 |
-
2020
- 2020-04-22 KR KR1020200048381A patent/KR1021570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102B1 (ko) | 2002-02-21 | 2006-03-24 | 이재용 | 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 측정방법 |
KR20070040473A (ko) * | 2005-10-12 | 2007-04-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
KR100686495B1 (ko) | 2005-12-19 | 2007-02-26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콘크리트 탄산화 장치 |
EP2263828A1 (en) * | 2009-06-17 | 2010-12-22 | Tecnoindagini S.r.l. | Improved process for the analysis of materials, particular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device for effecting this process |
KR101578756B1 (ko) | 2015-08-11 | 2015-12-18 |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 스마트폰을 이용한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669616B1 (ko) * | 2016-09-21 | 2016-10-27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코어공시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669614B1 (ko) * | 2016-09-21 | 2016-10-27 |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 벨트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KR101729318B1 (ko) * | 2016-10-17 | 2017-04-24 |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시험지 회전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2144A (ko) * | 2022-04-01 | 2023-10-11 | 고정세 | Ect용 보빈형 지그 |
KR102672598B1 (ko) | 2022-04-01 | 2024-06-07 | 고정세 | Ect용 보빈형 지그 |
CN117491076A (zh) * | 2023-12-29 | 2024-02-02 | 烟台新旧动能转换研究院暨烟台科技成果转移转化示范基地 | 一种基于蓝碳的海底层水取样器及方法 |
CN117491076B (zh) * | 2023-12-29 | 2024-03-12 | 烟台新旧动能转换研究院暨烟台科技成果转移转化示范基地 | 一种基于蓝碳的海底层水取样器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7088B1 (ko) |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시험장치 | |
JP4402686B2 (ja) | 管劣化コアサンプラー及びサンプルコア採取方法 | |
KR101984502B1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
JP2007205826A (ja) | ワイヤロープの探傷装置 | |
KR101669609B1 (ko) | 회전원반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
MXPA05007349A (es) | Procedimiento e instalacion de laminado y posterior devanado de una banda de metal, especialmente una banda de acero. | |
KR102200583B1 (ko) | Mfl 배관 검사장치 | |
CN113640382B (zh) | 一种钢结构检测设备及使用该设备的检测方法 | |
KR101669614B1 (ko) | 벨트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
KR101669616B1 (ko) | 코어공시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 |
KR101729318B1 (ko)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시험지 회전장치 | |
KR20200085163A (ko) | 절단기와 면취기가 결합된 용접가공용 시스템 | |
CN217033582U (zh) | 一种锅炉检验用的工业内窥镜导向装置 | |
CN112355716B (zh) | 一种轴承套圈外沟槽的检测装置 | |
KR101534795B1 (ko) | 축 전장 검사장치 | |
CN113988510A (zh) | 多车道筒型耐火砖拆垛检测自动一体化生产线 | |
CN209542462U (zh) | 一种房屋安全鉴定装置 | |
CN211205233U (zh) | 一种蜗杆混料识别检测装置 | |
CN214199852U (zh) | 一种爆破振动波能量分析装置 | |
KR100473685B1 (ko) | 주석도금강판을 표면검사하기 위한 시험재 인발장치 | |
KR100525658B1 (ko) | 구형 탱크의 내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 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좌우 회전장치 | |
CN219935751U (zh) | 一种焊缝超声检测缺陷辅助测量工具 | |
JPH0726723B2 (ja) | 熱交換器における非破壊検査装置の位置決め装置 | |
CN215413162U (zh) | 一种轨道交通材料燃烧测试用管式炉 | |
KR200269632Y1 (ko) | 브이벨트형 회전체의 축 정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