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962B1 -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 Google Patents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962B1
KR102156962B1 KR1020170145716A KR20170145716A KR102156962B1 KR 102156962 B1 KR102156962 B1 KR 102156962B1 KR 1020170145716 A KR1020170145716 A KR 1020170145716A KR 20170145716 A KR20170145716 A KR 20170145716A KR 102156962 B1 KR102156962 B1 KR 10215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extract
treatment
pres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379A (ko
Inventor
신영근
배철
장인환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신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근 filed Critical 신영근
Priority to KR102017014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9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과 초산과 프로피온산의 유기산을 이용하여 닭고기의 살모넬라에 대한 항균성과 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지방산 패도 및 단백질 변성도를 낮추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과 유기산을 포함하는 음용수는 도축 전에 소량 급여하여 체내 세균의 살균, 신선도, 보존성 및 육질 명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급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음용수는 치자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쑥 추출물, 연잎 추출물, 박하 추출물과 유기산의 조합을 통해 살모렐라균의 멸균뿐만 아니라 육질 명도를 높이고, 지방 산패도와 단백질 변성도를 낮출수 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는 항생제 성분이나 화합물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수용성 음용수이므로 고기를 먹은 사람에게 항생제 성분이 축적되는 유해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Composition for domestic animal drinking water and Animal drinking wat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과 초산과 프로피온산의 유기산을 이용하여 닭고기의 살모넬라에 대한 항균성과 명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지방산 패도 및 단백질 변성도를 낮추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문화의 변화를 통하여 닭고기의 섭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닭고기 생산 및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닭고기의 소비량은 1990년 17만1,698톤에서 2013년 57만9,944톤으로 3.5배 증가하였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닭고기 소비 증가로 인하여 유통되는 닭고기 양의 증가되고 있으나,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고온기의 증가로 닭고기 생산성 저하 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닭고기 품질저하 및 보존성 저하가 새로운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즉, 여름철 고온스트레스는 닭의 생산성 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생산성 저하는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어 상품성 및 보존성 저하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으며, 국내 양계산업은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온스트레스를 입은 닭은 도계 과정인 탈모작업 중 피부조직이 찢어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더불어 혈액잔류, 근육강직, 육색의 흑화 등의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닭고기 내 지방 침착이 증가하여 보존기간 중 지방산패 등의 문제를 야기 시켜 결국 보존성을 악화시킨다.
한편, 축산 농가에서는 사드나 조류 독감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생제 성분이 가축의 몸에 쌓이고, 그 고기를 사람이 먹을 경우 사람에게도 해가 될 수 있어 유해성 논란이 적지 않았다. 최근에 김치발효 유산균이 조류독감과 사스예방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사료첨가제 업계에서는 기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기존 생균제와 천연물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발효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여름철 고온기의 증가로 야기되는 닭고기 신선도, 보존성 및 육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축용 음수 급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축 전에 급여하여 위나 장(맹장) 등에 서식하는 균을 멸균할 수 있는 가축용 음수 급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축 전에 급여하여 닭고기의 보존성과 명도를 높일 수 있는 음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에게 매일 급여하거나 병균을 치료하기 위해 주입하는 사료나 항생제와 달리 도축 전에 일시적으로 급여하여 체내 세균의 멸균과 보존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급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치자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쑥 추출물, 연잎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
초산 및 프로피온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산 ;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에 관련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물에 0.05~2중량%로 첨가하여 희석시킨 음용수로서, 상기 음용수는 도축 전에 가축에 급여하는 살균 및 보존성 향상을 위한 가축 급여 음용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과 유기산을 포함하는 음용수는 도축 전에 소량 급여하여 체내 세균의 살균, 신선도, 보존성 및 육질 명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급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음용수는 치자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쑥 추출물, 연잎 추출물, 박하 추출물과 유기산의 조합을 통해 살모렐라균의 멸균뿐만 아니라 육질 명도를 높이고, 지방 산패도와 단백질 변성도를 낮출수 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는 항생제 성분이나 화합물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수용성 음용수이므로 고기를 먹은 사람에게 항생제 성분이 축적되는 유해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음용수는 출하 20시간 전부터 음수로 급여하여 육계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고급육을 생산하고, 항산화물질의 닭고기 내 전이를 유도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유기산과 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치자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쑥 추출물, 연잎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살모넬라 균주에 매우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1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mm 이상일 수 있다.
17mm 이상의 항균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은 인진쑥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과 쑥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항균 활성도 평가 방법은 원판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 or Kirby-Bauer disk diffus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원판확산법은 한천배지 표면에 시험균주의 균액을 고르게 도말하고, 그 위에 일정량의 항생물질이 함유된 종이 디스크를 놓으면, 디스크의 항생물질이 한천으로 확산된다. 디스크 주변의 한천에는 항생물질이 고농도로 존재하고 디스크의 먼 곳의 한천에는 항생물질이 저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생물 증식 억제대(growth inhibition zone)가 형성된다. 원판확산법은 미생물 증식 억제대의 크기(단위: mm)로 특정 균주가 디스크에 포함된 항생물질에 대해서 감수성인지 내성인지를 결정하는 시험법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면, 용매 추출법, 가열 가압 추출법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치자, 인진쑥, 자소엽, 쑥, 연잎 및 박하 잎을 분쇄하고, 이를 물에 넣어 끓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끓인 추출 용액을 소정 농도로 농축(농축액)하여 용액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쇄한 식물 10g을 물 150g에 넣어 121℃에서 30분간 끓인 후 여과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여과액을 10g이 되도록 증발시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 추출물(농축액)은 추출된 치자, 인진쑥, 자소엽, 쑥, 연잎 및 박하 잎 추출물 고형분이 10~300g/L, 바람직하게는 20~180g/L로 물에 용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 고형분은 농축액을 좀 더 끓여 물을 증발시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력이 우수한 인진쑥 추출물과 자소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진쑥 추출물과 자소엽 추출물을 2~4 : 1~3, 바람직하게는 3 : 2의 부피비로 혼합한 식물 추출물의 경우,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상기 유기산은 초산 및 프로피온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초산 및 프로피온산은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크다.
본 발명은 상기 인진쑥과 자소엽의 농축액 상호간 첨가 비율과 유기산 함량을 조절하여 균에 대한 활성이 높은 조성을 선별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30~70중량%, 유기산 0.5~2중량%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농축액 25~35중량%, 자소엽 추출물 농축액 15~25중량%, 초산과 프로피온산 합계 0.5~2중량%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농축액은 밀도를 1로 하여 부피비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킨 가축 음용수에 관련된다.
상기 가축 음용수는 상기 조성물을 물에 0.05~2중량%로 첨가하여 희석시킨 음용수이다.
상기 가축 음용수는 도축 전에 가축에 급여하여 가축의 장이나 위 등의 세균을 살균하고, 신선도, 보존성 및 육질 명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용수나 상기 조성물은 돼지, 소, 닭 등의 가축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닭에 급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 시험 방법
항균시험은 tryptic soy broth agar(TSA) 배지에 전배양한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 균주를 1× 106 cfu/ml의 농도로 희석한 액을 100㎕을 분주하여 도말하였다. Paper disk에 1.5%로 제조된 유기산 시험용액을 80㎕를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에 생성된 Clear zone의 지름(mm)을 측정하여 항균활성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기산 선별 시험
유기산제 원료 선별을 위하여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propion acid와 tartaric acid 1.5% 용액을 제조하여 살모넬라(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acetic acid가 20mm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으며, propion acid가 15.3mm로 높게 나타났다.
내 용 결 과(단위: mm)
Acetic aicd 20.0±0.0
Citric acid 10.3±0.6
Lactic acid 9.0±0.0
Malic acid 9.0±0.0
Propion acid 15.3±0.6
Tartaric acid 9.0±0.0
식물추출물 원료 선별
분쇄한 식물(하기 표 2 참고) 10g/물150g, 121℃ 30분간 추출한 후 filter paper(NO2, ADVANTEC, TOYO Roshi Kaisha, Japan)로 1차 여과하였으며, 여과액을 거즈 8겹으로 하여 2차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최종 10g이 되도록 농축하였다(농축액). 농축된 시료는 0.20㎛ 필터로 여과하여 항균활성 시험에 이용하였다.
하기 표 2는 식물 추출물의 항균 시험 결과이다. 표 2와 같이, 치자, 인진쑥, 자소엽, 쑥, 연잎과 박하의 항균활성이 각각 15.7, 17.3, 17.7, 16.7, 14.0mm와 17.0mm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추출물 항균활성(단위 mm)
익모초 0
팔각회향 0
치자 15.7±0.6
곽향 12.0±0.6
강황 0
회화나무 열매 0
인진쑥 17.3±0.6
두중 12.7±0.6
조릿대 0
자소엽 17.7±0.6
잔대 0
계피 9.7±1.0
민들래 0
16.7±1.0
연잎 14.0±0.6
솔잎 0
귤껍질 9.0±0.0
박하 17.0±0.6
모과 0
여주 0
어성초 0
모링 가잎차 0
최적 조성 선별 시험
혼합물에 포함된 성분의 농도를 표 3과 같이 조성하여 살모넬라에 대한 항균활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Run 식물추출물, mg(uL) 유기산, mg(uL) SUM 항균 활성,
clear zone (mm)
IGS JSY SSK C2 C3 DW Mean SD
1 20 0 0 1.5 1.5 177 200 12.67 0.94
2 0 10 0 1.5 1.5 187 200 10.67 0.47
3 0 0 10 1.5 1.5 187 200 12.00 0.00
4 10 5 0 1.5 1.5 182 200 12.67 0.47
5 10 0 5 1.5 1.5 182 200 12.00 0.00
6 0 5 5 1.5 1.5 187 200 11.67 0.47
7 7 3 3 1.5 1.5 183.6 200 14.67 0.47
8 13 2 2 1.5 1.5 180.3 200 14.67 1.25
9 3 7 2 1.5 1.5 185.3 200 12.33 0.47
10 3 2 7 1.5 1.5 185.3 200 12.33 0.82
IGS, 인진쑥 ; JSY, 자소엽 ; SSK, 쑥; C2, 초산; C3, 프로피온산
표 3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살모넬라 항균활성에 대한 효과는 인진쑥이 가장 우수하였고(Coefficient = 12.086), 상호작용에서는 인진쑥과 자소엽에서 가장 큰 계수 값을 나타내었다(Coefficient = 10.198).
즉, 식물추출물의 경우, 인진쑥과 자소엽에서 강력한 항균 활성 상승효과가 관찰되었고, 최적화도구를 통하여 항균활성을 극대화시키는 조건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인진쑥과 자소엽을 3:2(0.6:0.4)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하기 표 4는 식물추출물과 유기산을 포함하는 음용수용 조성물의 최적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내 용 첨가량 (ml) 첨가비율 (%)
인진쑥 추출물(농축액) 300 30.0
자소엽 추출물(농축액) 200 20.0
초 산 7.5 0.75
프로피온산 7.5 0.75
정제수 485 48.5
표 4의 인진쑥 추출물 농축액(300ml)에 함유된 인진쑥의 고형분은 34.8g이고, 자소엽 추출물 농축액(200ml)에 함유된 자소엽의 고형분은 17.4g이다.
실시예 2 : 음용수 항균 효과
28일된 육계를 도축하기 전 음수급여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인진쑥 30%, 자소엽 20%, 초산 0.75%, 프로피온산 0.75%, 정제수 48.5% 비율로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Table 8), 혼합물을 표 5와 같이 수준별 처리구를 3처리구로 하여 실험하였다. 각 처리구당 혼합물을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2L 되도록 조성하였으며, 20시간 급여하여 도축 후 실험하였다.
Explanation Dose Drinking water, L Mixture, mL
Control 0.00% 2 0
Control 0.00% 2 0
Control 0.00% 2 0
Treatment 1 0.05% 2 4
Treatment 1 0.05% 2 4
Treatment 1 0.05% 2 4
Treatment 2 0.50% 2 40
Treatment 2 0.50% 2 40
Treatment 2 0.50% 2 40
Treatment 3 1.50% 2 120
Treatment 3 1.50% 2 120
Treatment 3 1.50% 2 120
항균 실험 방법
맹장 내 살모넬라균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HROMagar Salmonella(BD, USA) 배지를 멸균하여 분석배지를 제조하였다. 총세균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Trypticas Soy agar(DIFCO, USA) 배지를, 유산균은 MRS(DIFCO, USA)배지를 멸균하여 분석배지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적합한 농도로 희석한 다음 도말법을 이용하여 페트리디쉬에 도말하였다. 도말된 시료는 35℃에서 3일간 배양한 후 계수하였다. 살모넬라는 CHROMagar Salmonella 배지에서 분홍빛을 나타내는 콜로니를 계수하였으며, 총 세균은 Trypticas Soy agar에서 생성되는 모든 콜로리를 계수하였다.
항균 실험결과
도축 후 맹장을 분리하여 맹장 내 총 세균, 살모넬라, 유산균 수를 분석하고 이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을 보면, Control, T1, T2 및 T3의 총 세균은 각각 Log 8.47 CFU/g, Log 8.29 CFU/g, Log 8.27 CFU/g 및 Log 8.25 CFU/g의 함량이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산균은 Control, T1, T2 및 T3 각각 Log 9.39 CFU/g, Log 8.61 CFU/g, Log 9.20 CFU/g 및 Log 9.39 CFU/g의 함량이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표 6을 참고하면, 살모넬라는 Control, T1, T2 및 T3 각각 Log 2.14 CFU/g, Log 2.11 CFU/g, Log 1.80 CFU/g 및 Log 1.20 CFU/g의 생균수가 나타났으며, 이 중 T3 처리구가 Log 1.20 CFU/g 으로 살모넬라 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도축 전 음수급여 하였을 때, 혼합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살모넬라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발명의 음용수를 도축 전 가축에 급여하였을 때, 맹장 내 살모넬라 생균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Group Storage week, Log CFU/g
총 세균 유산균 살모넬라
Control 8.47 9.39 2.14a
Treatment 1 8.29 8.91 2.11a
Treatment 2 8.27 9.20 1.80a
Treatment 3 8.25 9.39 1.20b
SEM 0.25 0.48 0.40
P value 0.07 0.03 0.01
[Treatment 1: 0.05%, Treatment 2: 0.5%, Treatment 3: 1.5%]
실시예 3 : 음용수가 명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방법
실시예 2에서 도축한 시료의 육색은 chromameter(Model CM-2500d, Minolta CO.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3번씩(n=5) 측정하였다.
도축 전 음수 급여 시 처리농도의 차이가 가슴육의 명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과 같이 0주차에서 Control 53.6, Treatment 1, 55.4, Treatment 2, 58.6과 Treatment 3, 57.5로, Control 처리구의 명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저장 1주 경과 시, Treatment 2, 57.8과 Treatment 3, 55.5로 Control 52.4보다 명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저장 2주 경과 시 Treatment 2, 54.9로 명도가 가장 높았으며, Treatment 3, 53.2와 Treatment 1, 53.2로 Control 51.9에 비해 명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7).
Group Storage week, Lightness
0 1 2
Control 53.6d 52.4b 51.9b
Treatment 1 55.4c 52.5b 53.2ab
Treatment 2 58.6a 57.8a 54.9a
Treatment 3 57.5b 55.5a 53.2ab
SEM 0.37 0.91 0.78
P value 0.01 0.01 0.07
[Treatment 1: 0.05%, Treatment 2: 0.5%, Treatment 3: 1.5%]
도축 전 음수 급여 시 처리농도의 차이가 다리육의 명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과 같이 0주차에서 Control 51.9, Treatment 1, 55.3, Treatment 2, 54.8과 Treatment 3, 56.1로, Control 처리구의 명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저장 1주 경과 시 Treatment 1, 56.0, Treatment 2, 56.5과 Treatment 3, 57.0로 Control 51.8보다 명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저장 2주 경과 시 Treatment 3, 58.5로 명도가 가장 높았으며, Treatment 2, 55.8와 Treatment 1, 53.4로 Control 51.9에 비해 명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도축 전 본 발명의 음용수을 닭에 급여하였을 때, 가슴육 및 다리육의 명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Group Storage week, Lightness
0 1 2
Control 51.9b 51.8b 51.3c
Treatment 1 55.3a 56.0a 53.4b
Treatment 2 54.8a 56.5a 55.8b
Treatment 3 56.1a 57.0a 58.5a
SEM 0.51 0.73 0.76
P value 0.01 0.01 0.01
Treatment 1: 0.05%, Treatment 2: 0.5%, Treatment 3: 1.5%
실시예 4 : 음용수가 지방산패도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2에서 도축한 시료의 지방산패도의 측정은 TBARS(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측정 표준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Buege and Aust, 1978). 닭고기 가슴육, 다리육은 4℃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2.5g과 증류수 7.5 mL를 혼합한 후에 BHT 용액 0.025mL와 TBA/TCA 용액 10mL를 가한 후, 균질기로 균질화하였다(11,000rpm, 15초). 균질화 된 용액을 회수하여 총액이 30mL이 되도록 TBA/TCA 용액을 첨가하였다. 준비된 균질액은 90℃ 수조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준비된 상등액을 531nm 파장의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에 TBARS 농도를 산출하였다.
지질 산패도는 malondialdehyde mg/kg meat로 표시하였다. 이 모든 실험은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가축영양학 실험실에 분석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닭고기의 지방산패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며, 지질 산패의 증가는 malondialdehyde와 thiobabituric acid의 결합이 증가하여, TBARS로 평가된다. 이러한 지질산패는 근육의 특성뿐만 아니라 저장 상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랩으로 보관할 경우, 0.2 ~ 0.8 malondialdehyde mg/kg meat 수준으로 나타난다.
하기 표 9와 같이, 0주차에서 Control 0.15, Treatment 1, 0.19, Treatment 2, 0.21과 Treatment 3, 0.17 malondialdehyde mg/kg meat로, Control 처리구의 지방산패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Treatment 1과 2의 지방산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장 1주 경과 시 처리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2주 경과 시 지방산패도는 Control 0.46, Treatment 1, 0.26, Treatment 2, 0.26과 Treatment 3, 0.20 malondialdehyde mg/kg meat로 Treatment 3(1.5% 처리)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Treatment 1과 Treatment 2의 지방산패도가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나(p<0.05) 도축 전 혼합물 음수 급여에 의하여 가슴육의 지방산패도에 대한 신선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Group Storage week, malondialdehyde mg/kg meat
0 1 2
Control 51.9b 51.8b 51.3c
Treatment 1 55.3a 56.0a 53.4b
Treatment 2 54.8a 56.5a 55.8b
Treatment 3 56.1a 57.0a 58.5a
SEM 0.51 0.73 0.76
P value 0.01 0.01 0.01
Treatment 1: 0.05%, Treatment 2: 0.5%, Treatment 3: 1.5%
실시예 5 : 음용수가 단백질 변성도에 미치는 영향
음수급여 한 후 도축하여 진공 포장한 닭고기의 가슴육 단백질 변성은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volatile basic nitrogen, VBN)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닭고기 가슴육, 다리육은 4℃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VBN 측정을 위해 시료 10g을 취해서 증류수 70mL와 함께 혼합하고, 100mL volumetric flask로 옮겨 100mL로 맞추었다. 다시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액 1mL를 Conway unit 외실에 넣고, 내실에는 0.01N boric acid 1mL와 Conway reagent 50uL(0.066% methyl red: bromocresol green/EtOH=1:1)를 떨어뜨렸다. 뚜껑과 접착 부위에 글리세린을 바르고 뚜껑을 닫은 후 50% potassium carbonate 1mL를 외실에 주입하였으며, 즉시 밀폐하여 섞어주었다. 이후 37℃에서 120분간 방치 후 0.02N 황산으로 적정하여 무색이 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VBN 함량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S는 시료 무게(g), a는 시료 부피(mL), b는 blank 부피(mL), f는 황산의 소요량이다. 이 모든 실험은 전북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가축영양학 실험실에 분석 의뢰하여 진행하고 측정값을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VBN mg% = (a-b)× f× 0.01× 14.007/S× 100× 100
Group Storage week, VBN mg%
0 1 2
Control 10.1 13.7a 20.8a
Treatment 1 9.0 14.1a 20.6a
Treatment 2 9.8 12.5b 20.1a
Treatment 3 9.3 12.0b 17.8b
SEM 0.226 0.231 0.326
P value 0.321 <0.001 <0.001
표 10을 참고하면, 1주차에서 Control 13.7, Treatment 1, 14.1, Treatment 2, 12.5와 Treatment 3, 12.0mg%로, Treatment 2와 Treatment 3 처리구의 단백질변성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또한, 2주차에서 Control 20.8, Treatment 1, 20.6, Treatment 2, 20.1와 Treatment 3, 17.8 mg%로, Treatment 3 처리구의 단백질변성도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도축 전 혼합물 음수 급여에 의하여 가슴육의 단백질변성도 저장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4)

  1. 도축 전 가축에 급여하여 체내 세균의 멸균과 보존성을 높이는 가축 급여 음용수로서,
    상기 가축 급여 음용수는 음용수용 조성물을 물에 0.05~2중량%로 첨가하여 희석시킨 음용수이고,
    상기 음용수용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농축액 25~35중량%, 자소엽 추출물 농축액 15~25중량%, 초산과 프로피온산 합계 0.5~2중량%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하되, 상기 인진쑥 추출물 농축액과 자소엽 추출물 농축액은 3 : 2의 부피비로 혼합되고,
    상기 인진쑥 추출물 농축액과 자소엽 추출물은 추출물 고형분이 10~300g/L로 물에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급여 음용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5716A 2017-11-03 2017-11-03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KR10215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16A KR102156962B1 (ko) 2017-11-03 2017-11-03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16A KR102156962B1 (ko) 2017-11-03 2017-11-03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79A KR20190050379A (ko) 2019-05-13
KR102156962B1 true KR102156962B1 (ko) 2020-09-16

Family

ID=6658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16A KR102156962B1 (ko) 2017-11-03 2017-11-03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69A (ko) * 2021-01-14 2022-07-21 유일상 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첨가제 및 식수첨가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KR102620485B1 (ko) 2023-06-09 2024-01-03 주식회사 매직바이오 미네랄수 및 오가피추출물을 함유한 동물성장 촉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922B1 (ko) * 2021-07-08 2021-10-07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를 이용한 육계의 면역 및 장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49B1 (ko) * 2006-12-21 2008-02-11 대한민국 약용식물을 이용한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와음수
KR101588163B1 (ko) * 2015-04-14 2016-01-22 김남형 가축 사료의 외관개선 및 사료 이용 효율 향상을 위한 펠렛코팅 오일복합제 및 이의 사료 코팅 용도
KR101750191B1 (ko) 2016-01-29 2017-07-03 주식회사 대원푸드 양파, 도라지, 연잎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돼지사육용 음용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75217T3 (es) * 2009-08-06 2016-06-27 Anitox Corporation Agentes conservantes de agua y piensos
KR101888555B1 (ko) * 2014-09-26 2018-08-16 신대용 생약 및 적색셰일의 혼합건조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49B1 (ko) * 2006-12-21 2008-02-11 대한민국 약용식물을 이용한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가축용 사료와음수
KR101588163B1 (ko) * 2015-04-14 2016-01-22 김남형 가축 사료의 외관개선 및 사료 이용 효율 향상을 위한 펠렛코팅 오일복합제 및 이의 사료 코팅 용도
KR101750191B1 (ko) 2016-01-29 2017-07-03 주식회사 대원푸드 양파, 도라지, 연잎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돼지사육용 음용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969A (ko) * 2021-01-14 2022-07-21 유일상 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첨가제 및 식수첨가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KR102595215B1 (ko) * 2021-01-14 2023-10-26 유일상 기능성 계란 산란용 사료첨가제 및 식수첨가제, 기능성 계란 및 그의 생산방법
KR102620485B1 (ko) 2023-06-09 2024-01-03 주식회사 매직바이오 미네랄수 및 오가피추출물을 함유한 동물성장 촉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79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i et al. Physicochemical responses and quality changes of red sea bream (Pagrosomus major) to gum arabic coating enriched with ergothioneine treatm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Saba et al. Effect of bottle gourd leaf (Lagenaria siceraria) extract on the quality of beef meatball: bottle gourd leaf extract on meatball.
Arief et al.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of beef sausages with teak leaf extract (Tectona grandis) addition as preservative and natural dye.
KR102156962B1 (ko) 가축 음용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 음용수
KR101806130B1 (ko) 유산균발효분말과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가공용 항균 및 항산화 조성물
El-Deeb Utilization of propolis extract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raw milk
Adegbeye et al. Pawpaw, black cumin, and mustard seed meals dietary supplementation in broiler chickens: effect on performance, gut microflora, and gut morphology
Das et al. Edible oil marination in broiler meat for short term preservation
Kamona et al. Effect of essential oil extract from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leaves on vaiability of some pathogenic bacteria and sensory properties of fish balls
Alarcon-Rojo et al. Use of apple pomace in animal feed as an antioxidant of meat
Nuraeni et al. Characteristics of probiotic koumiss from goat milk with addition of Roselle extract (Hibiscus sabdariffa Linn)
KR101335081B1 (ko) 강황과 캡사이신을 사과부산물과 함께 발효하여 항바이러스와 항균력이 있는 항생제 대체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EP2895177B1 (de) Verwendung eines huminsäurepräparats zur behandlung von warmblütern
KR20100027280A (ko) 식품폐기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사료
KR20090005729A (ko) 식물성 천연성분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무항생제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Jabri et al. Effect of Olive leaves extract supplementation in drinking water on zootechnical performances and cecal microbiota balance of broiler chickens
Bo et al. Growth performance, gut and haemo-microbial study of finishing broilers fed African sweet basil (Ocimum gratissimum) leaf extract
Ahmad et al. Effects of replacing antibiotic growth promoters (AGPS) with botanical extracts and oils in feed of laying hen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some microbial counts in feces.
KR101358036B1 (ko) 옻을 함유하는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7509796A (zh) 一种猪肉保鲜剂
Ezeama et al. The influence of fermentation and salting on the bacterial,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tfish (Clarias buthupogon) based marinate in Nigeria
KR102007090B1 (ko) 천연 침지액을 이용한 도계 처리방법
KR100525681B1 (ko) 육계증체를 저해하는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 억제용 옻나무 추출액 조성물, 상기 옻나무 추출액 조성물을 함유한 사료 및 육계급여방법
El–Aziz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RUIT PEELS EXTRACT ON SOME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AL PROPERTIES OF YOGHURT DURING STORAGE.
KR20200071229A (ko) 소나무 껍질을 함유한 무항생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7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14

Effective date: 202007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