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909B1 -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909B1
KR102156909B1 KR1020200029409A KR20200029409A KR102156909B1 KR 102156909 B1 KR102156909 B1 KR 102156909B1 KR 1020200029409 A KR1020200029409 A KR 1020200029409A KR 20200029409 A KR20200029409 A KR 20200029409A KR 102156909 B1 KR102156909 B1 KR 10215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sub
main imag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아이트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트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트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more than one image, e.g. averaging,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61B2576/02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41Eye; Retina; Ophthalmic

Abstract

본 발명은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안저의 전체적인 모습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Imaging processing method for diagnosis eye disorder}
본 발명은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무산동 촬영방식으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시키는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구 내부의 망막, 황반, 시신경 등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안과병원에서는 산동방식의 검사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산동 검사기법이란 눈동자에 산동제 특수 안약을 넣는 방법이며, 산동제 안약은 부교감 신경 차단제로 동공괄약근을 마비시켜 동공을 확장시킴으로써, 안구 내부의 이미지를 보다 더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산동검사 후에는 눈부심, 거리감 저하, 사물이 흐리게 보이는 현상 등이 발생하며,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약 6시간 정도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심한 경우 가려움, 안압상승, 혈압상승, 쇼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6004호(2011.07.27.)를 살펴보면, 무-산동 또는 산동 상태에서 망막 또는 전 구역의 넓은 시야 및 확대 촬영을 위한 세극등 장착 안구촬영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광원과 이동 가능한 광학요소들을 가지는 광학계와 각 조건에서 영상획득과 동기적으로 상기 광원을 연속적으로 온 및 오프 시키는 제어수단 및 최소한 하나의 상기 광학요소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구의 전 구역 및 후 구역 촬영 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광학요소들은 상기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광축 또는 광학계 중심에서 약간 이탈된 축을 통하여 광학계로 전달하고 망막 또는 기타 안구 부위로부터 영상경로로 돌아오도록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안구 구역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획득된 각 영상에서 해부학적으로 다른 두 구역(area)들에 위치한 전반사 허상들을 가지는 두 영상들이 생성되고, 각 영상의 허상들은 영상처리에 의해 검출되며, 허상들이 있는 영상들은 하나 이상의 영상들로 조합되어 허상들-없는 합성영상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며, 하나 이상의 영상들로부터 선명하고 양호하게-초점이 맞추어진 영상 부분들만이 조합되어 합성영상을 형성할 수 있는, 안구의 전 구역 및 후 구역 촬영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무산동 촬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안저 이미지의 경우, 동공의 확장이 없어 제한적인 특정부위만 촬영할 수 있어 진단에 정확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산동 촬영의 특성상 한번에 넓은 범위의 촬영이 불가하며, 렌즈로부터 5도 내지 8도의 범위로만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의 폭이 제한적인 것이다. 또한, 다각도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어 진단에 필요한 안구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안저 영상의 촬영에는 피검체의 협조와 촬영자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바, 원하는 위치로 된 안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는 수 차례 반복 촬영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체적인 안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6004호(2011.07.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산동 촬영방식으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시킴으로써, 피검자의 전체적인 안저 이미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안저의 전체적인 모습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부는, 황반을 중심으로 메인이미지를 촬영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서브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가 각각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부는,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과,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와 인접한 서브이미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 사이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촬영부를 통해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단계와 상기 영상획득단계 이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를 보정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은, 무산동으로도 진단에 필요한 안저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은, 무산동으로 진단에 필요한 다각도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은,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은, 무산동 촬영방식으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이미지를 합성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시킴으로써, 피검자의 전체적인 안저 이미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특징점을 선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선별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매칭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의 메인이미지와 서브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방법의 영상처리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 촬영부(100)와 상기 촬영부(100)로부터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보정하는 처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310)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310)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310)를 형성함으로써, 안저의 전체적인 모습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촬영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안저, 유리체, 수정체의 관찰과 굴절검사에 사용되는 검안경이나, 동공을 통하여 안저의 상태를 촬영하는 안저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부(100)는 피검자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00)의 촬영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촬영부(100)는 빛이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암실에서 촬영을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100)의 램프 빛의 양을 최대로 설정하고, 피검자의 동공에 램프의 빛을 비춰 반사되는 지점을 찾는다. 이후, 상기 촬영부(100)와 피검자의 동공 간에 거리를 좁히면서 동공 내의 혈관이 촬영되는지 확인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는 획득한 이미지(300)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부(200)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촬영부(100)는 획득한 이미지(300)를 실시간으로 상기 처리부(2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상기 이미지(300)를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처리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전송받고,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 각각에서 상기 특징점(310)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310)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10)를 형성함으로써, 안저의 전체적인 모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310)은 상기 이미지(300)에서 해당 지점이 다른 배경과 구분이 되고 식별이 용이한 지점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특징점(310)은 상기 이미지(300)의 형태나 조도가 바뀌어도 식별이 가능한 지점으로, 상기 이미지(300) 내의 선들의 방향성이 바뀌는 코너점(Corner point)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이미지(300) 내에 가상의 창(350)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창(350) 내부에 선의 방향성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특징점(310)을 선별한다. 일례로, 도 2의 (a)는 상기 가상의 창(350) 내부에 선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특징점(310)으로 선별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의 (b)는 상기 가상의 창(350)이 좌측으로 1픽셀, 상측으로 1픽셀 이동한 모습으로 상기 가상의 창(350) 내부에 선이 감지되지만, 선이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특징점(310)으로 선별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의 (c)는 상기 가상의 창(350)이 상측으로 2픽셀 이동한 모습으로 상기 가상의 창(350) 내부에 선이 감지되며, 선의 방향성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특징점(310)으로 선별된다. 즉,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이미지(300) 내에서 상기 가상의 창(350)을 수직, 수평, 좌대각선, 우대각선의 4방향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이미지 변화량(E)을 계산하고,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의 최소값을 해당 픽셀의 이미지 변화량(E)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의 값이 다른 이미지 변화량(E)에 비해 극대가 되는 지점이 상기 특징점(310)이 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20025127014-pat00001
는 상기 가상의 창(350)에 대한 이동값을 나타내고, W는 상기 가상의 창(350)에 대한 이동량을 의미한다.
Figure 112020025127014-pat00002
또한, 상기 처리부(200)는 선별된 복수개의 상기 특징점(310)에 대하여 정규화 값을 도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특징점(310) 간의 매칭을 위하여, 상기 특징점(310)의 정규화 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정규화 값을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값 또는 양수 유사값을 찾아 매칭한다. 이때, 상기 특징점(310)의 정규화 값은 교차 상관관계(Normalized Cross-Correlation)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20025127014-pat00003
일례로, 도 2의 (d)와 같이 도출된 상기 정규화 값 중,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유사값을 찾아 해당하는 특징점(310)들을 매칭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상기 특징점(310)을 기반으로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이미지(300)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300)의 크기, 위치, 튀틀림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부(200)가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촬영부(100)가 피검자의 안저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획득하고,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촬영부(100)로부터 획득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송신 받는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에서 각각 복수개의 상기 특징점(310)을 선별한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200)는 선별된 상기 복수개의 특징점(310)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매칭한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200)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한 장의 이미지(300) 즉,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로 합성하는 것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부(100)는 황반(50)을 중심으로 하는 메인이미지(330)를 촬영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한다. 즉,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황반(50)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기준으로 안저의 가장자리 부분을 순차적으로 촬영하며, 안저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이미지(300)가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인 것이다. 일례로, 상기 촬영부(100)는 1장의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헥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지점에 대응되는 6개의 상기 서브이미지(34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가 각각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촬영부(100)는 원형의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지름에 0.3배 내지 0.8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340)의 중심 사이의 거리(L)가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지름에 0.3배 내지 0.8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촬영부(100)가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지름에 0.3배 미만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촬영하면, 안저의 가장자리가 촬영되지 않아 전체적인 안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특징점(310)의 수가 감소하여 매칭의 정확성이 낮아지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 간의 특징점(310)이 중복되어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와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합성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가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지름에 0.8배를 초과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촬영하면,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와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특징점(310)의 수가 감소하여 정확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획득할 수 없어 진단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부(100)는 원형의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지름에 0.3배 내지 0.8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3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L1)과,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340)와 인접한 서브이미지(3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L2) 사이의 각도(A)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촬영부(100)는 1장의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45도 내지 60도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A)의 범위가 45도 내지 60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촬영부(100)가 상기 각도(A)를 45도 미만인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하면, 상기 서브이미지(340)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상기 메인이미지(330)와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합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촬영부(100)가 상기 각도(A)가 60도를 초과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하게 되면, 상기 서브이미지(340)의 개수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메인이미지(330)와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의 합성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부(100)는 1장의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45도 내지 60도의 간격으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방법에 있어서, 촬영부(100)를 통해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단계(S1)와 상기 영상획득단계(S1) 이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보정하는 처리단계(S2)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단계(S2)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310)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310)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촬영부(100)를 통해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기 영상획득단계(S1)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획득단계(S1)는 황반(50)을 중심으로 메인이미지(330)를 촬영하는 메인이미지 획득단계(S11)와 상기 메인이미지 획득단계(S11) 이후, 상기 메인이미지(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획득하는 서브이미지 획득단계(S1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보정하는 상기 처리단계(S2)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처리단계(S2)는,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310)을 선별하는 특징점 선별단계(S21)와 상기 특징점 선별단계(S21) 이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 각각의 특징점(310)을 서로 매칭하는 특징점 매칭단계(S22)와 상기 특징점 매칭단계(S22) 이후, 상기 복수개의 이미지(300)를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형성하며, 형성된 상기 파노라마 이미지(32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23)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촬영부(100)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도면 미도시)와 상기 촬영부(100)와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피검자의 황반을 찾고 상기 메인이미지(330)를 촬영한 후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촬영부(100)를 이송시켜,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를 촬영하며, 상기 메인이미지(330)와 복수개의 서브이미지(340) 합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은, 종래와 달리 무산동 촬영방식으로도 피검자의 전체적인 안저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안질환 진단을 용이하게 하며, 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 황반
100 : 촬영부
200 : 처리부
300 : 이미지
310 : 특징점
320 : 파노라마 이미지
330 : 메인이미지
340 : 서브이미지
350 : 가상의 창
S1 : 영상획득단계
S11 : 메인이미지 획득단계
S12 : 서브이미지 획득단계
S2 : 처리단계
S21 : 특징점 선별단계
S22 : 특징점 매칭단계
S23 : 보정단계
E : 이미지 변화량
L : 메인이미지의 중심과 서브이미지의 중심 사이의 거리
L1 : 가상의 선
L2 : 가상의 선
A : L1과 L2 사이의 각도

Claims (5)

  1.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획득된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보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황반을 중심으로 메인이미지를 촬영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서브이미지를 촬영하고,
    원형의 상기 메인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의 지름에 0.3배 내지 0.8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안저의 전체적인 모습을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 내에 가상의 창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창을 수직, 수평, 좌대각선, 우대각선의 4방향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이미지 변화량(E)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의 최소값을 해당 픽셀의 이미지 변화량(E)으로 설정하고, 각 픽셀에 설정된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이 다른 이미지 변화량(E)에 비해 극대가 되는 지점을 상기 특징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과,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서브이미지와 인접한 서브이미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 사이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5. 촬영부를 통해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단계; 및
    상기 영상획득단계 이후,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보정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획득단계는,
    황반을 중심으로 메인이미지가 촬영된 후,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의 서브이미지가 촬영되고,
    원형의 상기 메인이미지가 획득된 후, 상기 메인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이미지의 지름에 0.3배 내지 0.8배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브이미지가 촬영되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 중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특징점을 선별하고, 상기 특징점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안저 이미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안저 이미지 내에 가상의 창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창을 수직, 수평, 좌대각선, 우대각선의 4방향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이미지 변화량(E)을 각각 계산하고,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의 최소값을 해당 픽셀의 이미지 변화량(E)으로 설정하고, 각 픽셀에 설정된 상기 이미지 변화량(E)이 다른 이미지 변화량(E)에 비해 극대가 되는 지점이 상기 특징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방법.
KR1020200029409A 2020-03-10 2020-03-10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15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09A KR102156909B1 (ko) 2020-03-10 2020-03-10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09A KR102156909B1 (ko) 2020-03-10 2020-03-10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909B1 true KR102156909B1 (ko) 2020-09-16

Family

ID=7266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09A KR102156909B1 (ko) 2020-03-10 2020-03-10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87A (ja) * 1998-12-28 2000-07-11 Topcon Corp 眼科撮影装置
JP2000210260A (ja) * 1999-01-22 2000-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眼底画像システム
JP2004254907A (ja) * 2003-02-26 2004-09-16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KR20110086004A (ko) 2008-10-16 2011-07-27 버두너 스티븐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87A (ja) * 1998-12-28 2000-07-11 Topcon Corp 眼科撮影装置
JP2000210260A (ja) * 1999-01-22 2000-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眼底画像システム
JP2004254907A (ja) * 2003-02-26 2004-09-16 Nidek Co Ltd 眼底カメラ
KR20110086004A (ko) 2008-10-16 2011-07-27 버두너 스티븐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3024B2 (en) Hand-held portable fundus camera for screening photography
JP4865257B2 (ja) 眼底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96659B2 (en) Fundus camera
JP6518054B2 (ja) 眼科装置
CN102917634A (zh) 对眼睛成像的装置和方法
US10602926B2 (en)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JP2017012663A (ja)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996761B (zh) 用于执行眼睛的宽视野眼底照相成像的非散瞳、非接触系统和方法
KR102156909B1 (ko) 안질환 진단을 위한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US8752961B2 (en) Fundus photographing apparatus
JP6270312B2 (ja) 眼科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514402A (zh) 一种自拍眼底相机
CN112669357B (zh) 一种眼底图像合成方法以及眼底成像仪
EP3695775B1 (en) Smartphone-based handheld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non-mydriatic retinal images
JP5465210B2 (ja) 眼底撮影装置
CN208551764U (zh) 一种自拍眼底相机
JP2003210409A (ja) 眼底カメラ
CN108230287B (zh) 一种眼前节图像的晶体区域的检测方法及装置
JP2020162926A (ja) 眼科撮影装置、および、眼科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4238482A1 (en) Ophthalmological observ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rogram, and storage medium
WO2023074517A1 (ja) 眼底情報取得方法及び眼底情報取得装置
EP4233689A1 (en) Ophthalmological observation device, ophthalmological image processing device, ophthalmological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560735B2 (ja) 眼科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58367B2 (ja) 眼底撮影装置
JPH10174676A (ja) 眼底観察撮影用コンタクト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