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91B1 -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91B1
KR102156591B1 KR1020190067936A KR20190067936A KR102156591B1 KR 102156591 B1 KR102156591 B1 KR 102156591B1 KR 1020190067936 A KR1020190067936 A KR 1020190067936A KR 20190067936 A KR20190067936 A KR 20190067936A KR 102156591 B1 KR102156591 B1 KR 10215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as cock
gas
closing device
contro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권
이남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랜
Priority to KR1020190067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16K31/0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장치에서 가스콕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의 회전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가스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노브부는 상기 기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브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스콕에 결합되는 가스콕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a structure for controlling a knob of a gas cock switch device}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장치에서 가스콕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의 회전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가스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하는 가스레인지나 가스오븐기, 그리고 난방을 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가스 보일러 등과 같은 가스기기에 액화석유가스(LPG)나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옥외에 비치된 가스통이나, 도시가스공사 등에서 설치한 가스배관 등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가스는 누출 사고 발생시에 폭발 사고의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양한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옥외에 비치된 가스통이나 도시가스공사 등에서 설치한 가스배관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가스기기가 설치된 건물 내부에도 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중간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가정이나 업소에서 가스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건물 외부에 설치된 가스 개폐밸브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건물 내부에 설치된 중간밸브를 개폐하여 가스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 예로 주방에서 가스레인지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조리를 위한 재료의 준비를 마친 후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를 가스레인지 위에 올리고, 가스레인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중간밸브를 열어준 후, 가스레인지를 작동시키면 가스레인지에서 불이 점화되면서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진 조리기구를 이용해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의 조리를 마친 후에는 가스레인지의 레버를 돌려서 가스레인지의 작동을 멈추는 것은 일반적인데, 실내에 설치된 중간밸브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사용자가 상당히 많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 중에서 간혹 중간밸브에서 가스레인지까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가스 호스의 노후화 또는 손상이나 연결불량 등으로 인해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가스폭발과 같은 대형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중간밸브는 단순히 개폐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스레인지 등을 이용해 장시간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가스레인지가 사용 중인 것을 잠시 잊어버리는 실수를 하는 경우에 가스레인지에 올려진 조리기구의 음식물이 끓어 넘쳐 가스불이 꺼지거나, 음식물이 너무 오랜 시간 조리되면서 조리기구가 타버리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스 폭발 사고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의 위험성도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10-1773809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가스콕에 설치되는 가스콕개폐장치에 있어서, 가스콕(10)의 전면을 커버하는 본체부(100)와, 가스콕(10)의 후면을 커버하되,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브라켓부(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부(200)는 중앙부에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가스콕안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콕안착부(210)는 브라켓부(200)의 중앙부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의 양단에 원호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상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제3안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10-1773809에 기재된 기술은 가스콕의 후면을 커버하는 브라켓부에 다단으로 가스콕안착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가스콕에 설치 시 가스콕과 브라켓부가 밀착되게 됨으로써 설치가 견고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타이머 설정을 통하여 자동으로 가스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가스콕(10)의 손잡이(12)를 회전시키는 노브부(13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리브(132b), 개방감지센서(116), 폐쇄감지센서(117)를 사용하는데, 개방감지센서(116)와 폐쇄감지센서(117)는 모두 포토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에 의해 정확한 감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7738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콕을 회전시켜 밀폐와 개방을 제어하는 노브부는 구동부의 제1기어부에 의해 회전되는데, 노브부를 구성하는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1기어부에 대응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고, 본체를 구성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제1캠과 제2캠이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 각도 이격되어 상하로 구비됨으로써, 정확하게 가스콕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노브부는 상기 기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브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스콕에 결합되는 가스콕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기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브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수용부의 일측에는 노브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가스콕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개방 감지 스위치와 폐쇄 감지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방 감지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폐쇄 감지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방 감지 캠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방 감지 캠과 일정 각도로 이격되도록 밀폐 감지 캠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 감지 캠은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 감지 캠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 감지 캠과 밀폐 감지 캠 사이의 각도는 가스콕의 밀폐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어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기어부재에 설정된 힘보다 큰 부하가 걸리면 기어부재가 슬립될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콕을 회전시켜 밀폐와 개방을 제어하는 노브부는 구동부의 제1기어부에 의해 회전되는데, 노브부를 구성하는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1기어부에 대응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고, 본체를 구성하는 기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제1캠과 제2캠이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 각도 이격되어 상하로 구비됨으로써, 정확하게 가스콕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콕 개폐장치가 가스콕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가스콕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부와 스위치의 작용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부와 스위치의 작용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구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가 적용된 가스콕 개폐장치의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가스콕(10) 전면을 커버하는 본체부(100)와 가스콕(10) 후면을 커버하되,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브라켓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본체부(100)가 가스콕(10)에 고정 설치되어 가스콕(1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기판(111) 및 구동부(120)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구동부(12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노브부(130)와 상기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와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부(200)가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15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기판(111)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모터(122)와 상기 모터(122)의 회전축(123)에 설치되는 기어부재(1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110)에는 기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튼부(113), 표시창(114), 엘이디표시등(115)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111)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113)를 누르는 동작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120)를 작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른 시간 및 작동상태 등을 표시창(114) 및 엘이디표시등(115)에 표시하게 된다.-
물론, 상기 버튼부(113)를 통하여 가스콕(10)이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시키기 까지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어 가스콕(10)이 개방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가스콕(10)이 폐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13)가 구비된 본체(110)의 전면에는 버튼부(113)에 해당되는 명칭이 점자로 형성되어 시각장애인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40)는 건전지나 충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콘센트에 직접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노브부(130)는 상기 기어부재(12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안내부재(132)와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브(134)와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스콕(10)에 결합되는 가스콕 결합부(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와 가스콕 결합부(138) 사이에는 스프링(136)이 구비되어 가스콕 결합부(138)를 가스콕(1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스콕(10)과의 결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124)에는 제1기어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125)에 대응되도록 제2기어부(132a)가 형성되어 모터(122)의 제어에 의해 노브부(1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111)의 단부에는 상기 노브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111)에는 노브 수용부(112)의 일측에 개방 감지 스위치(118)와 폐쇄 감지 스위치(119)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 감지 스위치(118)와 폐쇄 감지 스위치(119)는 노브부(1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가스콕(1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개방 감지 스위치(118)는 상기 기판(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폐쇄 감지 스위치(119)는 상기 기판(1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방 감지 캠(133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안내부재(132)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기 개방 감지 캠(133b)과 일정 각도로 이격되도록 밀폐 감지 캠(133a)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 감지 캠(133b)은 상기 기판(1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 감지 캠(133a)은 상기 기판(11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방 감지 캠(133b)과 밀폐 감지 캠(133a) 사이의 각도는 가스콕(10)의 밀폐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각도 차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노브부(130)가 회전하여 가스콕(10)이 완전히 폐쇄되면, 상기 폐쇄 감지 캠(133a)은 폐쇄 감지 스위치(119)를 작동시키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노브부(130)가 회전하여 가스콕(10)이 완전히 개방되게 되면 상기 개방 감지 캠(133b)은 개방 감지 스위치(118)를 작동시키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124)는 모터(122)의 회전축(123)에 고정볼트(127)를 사용하여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127)는 상기 기어부재(124)에 설정된 힘보다 큰 부하가 걸리면 기어부재(124)가 슬립될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22)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부(140)에서 모터(122)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모터(122)를 멈추기 위해서는 전원부(140)에서 모터(12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가스콕(10)이 왼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이를 상기 개방 감지 스위치(119)와 폐쇄 감지 스위치(118)를 통하여 확인하더라도 즉시 모터(122)가 멈추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의 제어가 있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스콕(10)이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된 이후에도 모터(122)가 회전하기 때문에 가스콕(10)의 손잡이(12)가 과도하게 회전하게 되어 가스콕(10)이 손상되거나 꽉 끼이게 되어 개방 또는 폐쇄 작동시에 손잡이(12)가 회전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가스콕(10)이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된 상태에서 모터(122)가 회전할 때, 기어부재(124)가 슬립되도록 함으로써, 가스콕(122)의 손잡이(12)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콕(10)이 손상되거나 손잡이(12)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12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2)의 회전축(123)에 설치되는데, 상기 기어부재(124)의 하부에는 회전축(123)이 삽입되는 삽입홈(126)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23)의 상단에는 고정홈(123a)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27)를 사용하여 기어부재(124)가 회전축(123)의 상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127)가 기어부재(124)를 회전축(123)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기어부재(124)와 회전축(123) 사이의 마찰력이 기어부재(124)의 제1기어(125)에 가해지는 힘이 더 클 경우, 모터(122)에 의해 회전축(123)이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기어부재(124)는 회전하지 않고 슬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27)가 기어부재(124)를 회전축(123)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스콕(10)의 손잡이(12)가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었을 때, 손잡이(12)가 회전하지 않도록 저항하는 힘보다 기어부재(124)와 회전축(123) 사이의 마찰력이 적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27)와 기어부재(124) 사이에는 와셔(128)가 더 구비되어 고정볼트(127)가 기어부재(124)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장치에서 가스콕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의 회전정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가스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본체
111 : 기판 112 : 노브수용부
118 : 개방 감지 스위치 119 : 밀폐 감지 스위치
120 : 구동부 130 :노브부
132 : 회전안내부재 133a : 밀폐 감지 캠
133b : 개방 감지 캠 134 : 노브
136 : 스프링 138 : 가스콕 결합부

Claims (6)

  1.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에 있어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노브부는 상기 기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안내부재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노브와,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스콕에 결합되는 가스콕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되,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기어부재에 설정된 힘보다 큰 부하가 걸리면 기어부재가 슬립될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기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브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수용부의 일측에는 노브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가스콕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개방 감지 스위치와 폐쇄 감지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감지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폐쇄 감지 스위치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개방 감지 캠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방 감지 캠과 일정 각도로 이격되도록 밀폐 감지 캠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 감지 캠은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 감지 캠은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감지 캠과 밀폐 감지 캠 사이의 각도는 가스콕의 밀폐와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6. 삭제
KR1020190067936A 2019-06-10 2019-06-10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KR10215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36A KR102156591B1 (ko) 2019-06-10 2019-06-10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36A KR102156591B1 (ko) 2019-06-10 2019-06-10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591B1 true KR102156591B1 (ko) 2020-09-16

Family

ID=7266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936A KR102156591B1 (ko) 2019-06-10 2019-06-10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49A (ko) * 2021-05-27 2022-12-06 이남원 가스 자동 차단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5Y1 (ko) * 2000-12-09 2001-05-15 주식회사두성정공 가스 중간 밸브 시간조절 자동 차단장치
KR200399807Y1 (ko) * 2005-08-01 2005-10-31 임헌북 가스차단기
KR20080011593A (ko) * 2006-07-31 2008-02-05 최범석 자동차단 밸브 조립체
KR100990520B1 (ko) * 2010-01-11 2010-10-29 (주)세이프퀴슬 가스 중간밸브 자동 잠금장치
KR20120140511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가스밸브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41325B1 (ko) * 2015-03-27 2016-07-20 (주)세이프퀴슬 가스 중간밸브 개폐장치
KR20170079378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국제일렉콤 자동 가스밸브 차단장치
KR101773809B1 (ko) 2016-12-01 2017-09-04 주식회사 미랜 가스콕개폐장치
KR20180000973U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엠케이탑 센서링을 이용한 가스차단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085Y1 (ko) * 2000-12-09 2001-05-15 주식회사두성정공 가스 중간 밸브 시간조절 자동 차단장치
KR200399807Y1 (ko) * 2005-08-01 2005-10-31 임헌북 가스차단기
KR20080011593A (ko) * 2006-07-31 2008-02-05 최범석 자동차단 밸브 조립체
KR100990520B1 (ko) * 2010-01-11 2010-10-29 (주)세이프퀴슬 가스 중간밸브 자동 잠금장치
KR20120140511A (ko) * 2011-06-21 2012-12-31 (주)유테크 가스밸브의 자동 잠금장치
KR101641325B1 (ko) * 2015-03-27 2016-07-20 (주)세이프퀴슬 가스 중간밸브 개폐장치
KR20170079378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국제일렉콤 자동 가스밸브 차단장치
KR20180000973U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엠케이탑 센서링을 이용한 가스차단기
KR101773809B1 (ko) 2016-12-01 2017-09-04 주식회사 미랜 가스콕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249A (ko) * 2021-05-27 2022-12-06 이남원 가스 자동 차단기
KR102490859B1 (ko) * 2021-05-27 2023-01-26 이남원 가스 자동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809B1 (ko) 가스콕개폐장치
KR100990520B1 (ko) 가스 중간밸브 자동 잠금장치
US8695621B2 (en) Gas safety device
KR102156591B1 (ko) 가스콕 개폐장치의 노브 제어 구조
US9476595B2 (en) Auto flame-out detection and reignition method for a gas burner of a cooktop appliance
WO1998050736A1 (en) Gas-saving arrangements for gas-fired cooking equipment
JP4023207B2 (ja) 調理器
KR102135639B1 (ko) 가스콕 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62831B1 (ko) 가스자동차단장치
TWM586338U (zh) 爐火開關定時器
KR20170079378A (ko) 자동 가스밸브 차단장치
US20150037737A1 (en) System for gaseous fuel ignition for a cooking appliance
EP2574843A1 (en) A time adjusted mechanical gas shut-off system
KR100393688B1 (ko) 가스밸브 자동 차단장치
KR200382341Y1 (ko) 화재감지기 등 겸용 사람 감지식 가스 중간밸브 자동차단장치
CN201074848Y (zh) 燃气灶的安全自动点火系统
CN221076540U (zh) 一种燃气阀装置及燃气灶
KR200235897Y1 (ko) 가스 안전기
EP0455896A2 (en) Automatic unit for igniting appliances containing gas rings
KR200235896Y1 (ko) 휴즈콕크 조작기
KR101130328B1 (ko) 가스레인지의 자동 가스 차단 장치
TWM485378U (zh) 電子式瓦斯安全斷路器
KR200342628Y1 (ko) 가스레인지의 가스 자동차단장치
CN115682049A (zh) 一种燃气控制阀和燃气灶及其自动烧煮控制方法
KR200225085Y1 (ko) 가스 중간 밸브 시간조절 자동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