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019B1 - 차량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019B1
KR102156019B1 KR1020140052477A KR20140052477A KR102156019B1 KR 102156019 B1 KR102156019 B1 KR 102156019B1 KR 1020140052477 A KR1020140052477 A KR 1020140052477A KR 20140052477 A KR20140052477 A KR 20140052477A KR 102156019 B1 KR102156019 B1 KR 10215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ehicle
connector
resistance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795A (ko
Inventor
원재선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019B1/ko
Priority to PCT/KR2014/007063 priority patent/WO2015167075A1/ko
Publication of KR20150125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동작 상태나 동작 이력을 검출함에 있어 별도의 신호선이나 커넥터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에 장착되는 블랙박스는 사고 순간의 비행기의 동작 상태와 운행자의 신체 상태, 그리고 사고 순간에 운행자들 사이에 주고 받은 음성데이터 등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그래서, 비행기의 사고 이후에 블랙박스를 수거하여 분석하면, 사고 순간의 상태를 역추적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사고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녹화하여 기록할 뿐만 아니라, 주차 상태에서도 상시 녹화모드를 통하여 차량의 소손 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통상적으로 블랙박스와 같은 차량용 전자장치는 2개의 전원선(배터리전압, 접지전압) 외에 차량의 조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1개의 신호선을 구비한 전원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1개의 신호선은 악세서리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브레이크등의 점멸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블랙박스 등의 차량용 전자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1개의 신호선만을 사용하여 이 신호선을 통해 하나의 신호만을 입력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악세서리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는 용도 또는 브레이크등의 점멸 여부를 파악하는 용도 중 어느 하나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악세서리 전원의 입력여부, 브레이크등의 점멸 여부 외에 좌측/우측방향 차선변경 알람의 점멸 여부나 기타 차량의 다양한 동작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확장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차량 동작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의 신호선을 추가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추가하여야 하지만, 전원 커넥터의 표준 사양에 맞추기 위해서는 임의로 이러한 신호선이나 커넥터를 추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차량의 동작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기존의 OBD(on board diagnotics)-II 시스템을 이용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이나 장치를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소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2-0019881호(2012.03.07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동작 상태나 동작 이력을 검출함에 있어 하드웨어적으로 별도의 신호선이나 커넥터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설치되는 기준저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기준저항 간의 전압분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저항은 상기 기준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저항값이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저항의 합성저항이 최소일 때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참조전압으로 하여, 상기 제 1 출력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 간의 비율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과 차량의 배터리 전압 간의 비율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 전압을 출력하는 제 2출력단,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접지전압을 출력하는 제 3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자장치는 상기 제 2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저항, 및 상기 제 1저항과 상기 제 3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저항과 제 2저항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전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는 적어도 차량의 악세서리 전압 신호,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 차선 변경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포함한 영상정보와 차량의 각종 동작 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가 각 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배터리 전압 또는 접지전압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정보 신호를 배터리 전압 또는 개방상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는 신호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의 동작 상태나 동작 이력을 검출함에 있어 하드웨어적인 별도의 신호선이나 커넥터의 추가없이도 상이한 저항값을 갖는 복수의 저항에 의한 전압분배 작용을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각각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후 사고발생 등의 유사시에 차량의 동작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고가의 별도의 분석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저항의 추가 및 소프트웨어적 처리만으로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포함된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따라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포함한 각종 비율 정보를 나타낸 표이다.
도 3b는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따라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의 추이를 보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포함된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따라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포함한 각종 비율 정보를 나타낸 표이며, 도 3b는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따라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의 추이를 보인 그래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포함한 영상정보와 차량의 각종 동작 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일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예의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블랙박스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각종 상태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차량으로부터 복수의 동작 정보 신호(B, S, A)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B, S, A)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150); 커넥터(150)의 제 1출력단(OUT1)의 출력신호의 전압(Va)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30); 및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Va)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신호(B)는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이고, 신호(S)는 차선 변경 알람 신호이며, 신호(A)는 차량의 악세서리 전압 신호이며, 이 외에 다른 다양한 종류의 차량 동작 정보 신호로 확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50)는 상기 복수의 동작 정보 신호(B, S, A)가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R1, R2, R3)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복수의 저항(R1, R2, R3)은 기준저항(Ra)에 병렬로 연결되며, 그 저항값이 각각 상이한 값으로 적용된다.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은 커넥터(150)와 기준저항(Ra) 간의 전압분배에 의해 결정된다.
커넥터(150)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 전압(VCC)을 출력하는 제 2출력단(OUT2), 및 차량으로부터의 접지전압(GND)을 출력하는 제 3출력단(OUT3)을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제 2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제 1저항(Rc), 및 제 1저항(Rc)과 제 3출력단(OUT3)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R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저항(Rc)과 제 2저항(Rb)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압감지부(130)로는 제 1출력단(OUT1)의 출력신호의 전압(Va)을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압 감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커넥터(150)를 통하여 차량의 퓨즈박스(200)로부터 차량의 각 동작 상태에 관한 동작 정보 신호(B, S, A)를 입력받으며, 이와 함께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과 접지전압(GND)도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3개의 동작 정보 신호(B, S, A)는 차량 동작 정보 신호의 예들로서 적용되었으며, 이들 중 어느 2개만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신호(B)는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이고, 신호(S)는 차선 변경 알람 신호이며, 신호(A)는 차량의 악세서리 전압 신호로서, 이들 신호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동작 정보 신호의 실시예들로 인용되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종류의 차량 동작 정보 신호로 확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차량의 퓨즈박스(200)는 상기 각종 동작 정보 신호(B, S, A)를 제공하는 신호 제공 주체의 한 예로서 인용되었으며, 상기 동작 정보 신호(B, S, A)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모듈이나 장치가 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동작 정보 신호들은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과 동일한 전압값을 가지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른 전압값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정보 신호(B, S, A)는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과 동일한 14[V]의 전압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배터리 전압(VCC), 동작 정보신호(B, S, A) 및 접지전압(GND)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150)의 제 1 내지 제 3출력단(OUT1-OUT3)을 통하여 차량용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된다.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은 커넥터(150)를 통해 전원부(140)에 전달되어 차량용 전자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동작 정보신호(B, S, A)는 각각 저항(R1), 저항(R2), 저항(R3)를 통하여 제 1출력단(OUT1)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접지전압(GND)은 제 3출력단(OUT3)를 통하여 출력된다.
여기서, 저항(R1), 저항(R2), 저항(R3)은 후술하는 기준저항(Ra)과의 전압분배 작용에 의해 제 1출력단(OUT1)의 전압(Va)이 각각 다른 전압값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구현되고, 기준저항(Ra)과는 병렬로 연결된다. 즉, 동일한 기준저항(Ra)에 연결되는 저항(R1), 저항(R2), 저항(R3)의 저항값이 서로 다른 경우, 각 동작 정보신호(B, S, A)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전압분배되는 제 1출력단(OUT1)의 전압(Va)은 각각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저항(Ra)으로 1.2[Ω]의 저항을 사용하고, 저항(R1), 저항(R2), 저항(R3)으로 18[Ω], 9[Ω], 33[Ω]을 각각 사용하며, 물론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저항값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어서, 전압감지부(130)는 커넥터(150)의 제 1출력단(OUT1)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Va)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전압(Va)에 근거하여 어떤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대응하여 차량에서는 어떤 동작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R1), 저항(R2), 저항(R3)은 각각 다른 저항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동작 정보 신호(B, S, A)가 동일한 전압으로 입력된다고 하더라도 어느 동작 정보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Va)의 값은 달라지게 된다. 가령,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서리 전원신호(A)만 입력되는 경우에는 저항(R3)과 기준저항(Ra)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Va)의 값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0.49[V]가 된다.
Figure 112014041597106-pat00001
또한, 가령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B)와 차선 변경 알람 신호(S)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저항(R1), 저항(R2)의 합성저항과 기준저항(Ra)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Va)의 값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2.33[V]가 된다.
Figure 112014041597106-pat00002
참고로, 도 3a의 표에서 저항값이 100000000[Ω]으로 표시된 경우는 해당 저항에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개방(open)상태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전압(Va)에 근거하여 어떤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제어부(110)는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Va)과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 간의 비율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에서 배터리 전압(VCC)의 정격전압은 정해져 있다고는 하나, 이 배터리전압(VCC)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동작 정보신호(B, S, A)의 전압값은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 또는 제너레이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터리 전압(VCC)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감지 전압(Va)과 배터리 전압(VCC) 간의 비율은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Va)의 절대값이 변하는 경우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 검출을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전압(Va)과 배터리 전압(VCC) 간의 비율이 얼마이냐에 따라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령 감지 전압(Va)과 배터리 전압(VCC) 간의 비율이 0.06인 경우에는 브레이크등이 점멸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항(R1), 저항(R2), 저항(R2)의 합성저항이 최소일 때의 전압을 참조전압으로 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전압(Va)과 참조전압 간의 비율(도 3a에서 "출력비율")이 얼마이냐에 따라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령 감지 전압(Va)과 참조전압 간의 비율이 0.76인 경우에는 차선 변경 알람이 점멸되고 악세서리 전원이 입력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감지 전압(Va)과 배터리 전압(VCC) 간의 비율, 또는 감지 전압(Va)과 참조전압 간의 비율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배터리 전압(VCC)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전압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전압(Va)에 근거하여 어떤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된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차량에서는 어떤 동작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하여 추후 사고발생 등의 유사시에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주행 중에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차량에 급발진 사고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그 상황을 기록할 수 없어 추후 급발진 발생여부를 입증하는 것이 힘들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급발진이 발생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다면,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B)가 입력되었음을 메모리부(120)에 기록함으로써 추후 급발진 발생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행 중 차량의 방향 전환과 관련하여 접촉사고가 발생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0)에 기록된 차선 변경 알람 신호(S)의 입력 이력을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방향 전환시에 운전자의 주행 수칙 준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50)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 전압(VCC)을 출력하는 제 2출력단(OUT2), 및 차량으로부터의 접지전압(GND)을 출력하는 제 3출력단(OUT3)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제 2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제 1저항(Rc), 및 제 1저항(Rc)과 제 3출력단(OUT3)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R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감지부(130)는 제 1저항(Rc)과 제 2저항(Rb)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Vb)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하고, 제어부(110)는 이러한 전압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 전압(VCC)을 연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압감지부(130)로는, 제 1출력단(OUT1)의 출력신호의 전압(Va)을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가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압 감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퓨즈박스(20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각 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배터리 전압 또는 개방(open) 상태의 전압으로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각 신호가 그 입력여부에 따라 배터리 전압 또는 접지 전압으로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100)는 차량의 퓨즈박스(200)와 커넥터(150) 사이, 즉 커넥터(150)의 전단부에 별도의 신호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신호변환부(미도시)는 상기 차량의 퓨즈박스(20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각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배터리 전압 또는 접지전압인 경우 이를 배터리 전압 또는 개방상태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의 동작 상태나 동작 이력을 검출함에 있어 하드웨어적인 별도의 신호선이나 커넥터의 추가없이도 상이한 저항값을 갖는 복수의 저항에 의한 전압분배 작용을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동작 상태 정보를 각각 검출하여 기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후 사고발생 등의 유사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동작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장치는 고가의 별도의 분석장치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저항의 추가 및 소프트웨어적 처리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차량용 전자장치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전압감지부
140 : 전원부
150 : 커넥터
200 : 차량의 퓨즈박스

Claims (10)

  1. 차량으로부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설치되는 기준저항을 포함하되,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기준저항 간의 전압분배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저항은 상기 기준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저항값이 각각 상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에 포함된 둘 이상의 저항의 합성저항이 최소일 때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참조전압으로 하여, 상기 제 1 출력단의 출력전압과 상기 참조전압 간의 비율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과 차량의 배터리 전압 간의 비율에 의해 상기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6. 차량용 전자장치로서,
    차량으로부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 전압을 출력하는 제 2출력단,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접지전압을 출력하는 제 3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자장치는 상기 제 2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 1저항, 및 상기 제 1저항과 상기 제 3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저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저항과 상기 제 2저항에 의해 전압분배된 전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배터리 전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는 적어도 차량의 악세서리 전압 신호, 브레이크등 점멸정보 신호, 차선 변경 알람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자장치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포함한 영상정보와 차량의 각종 동작 정보를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10. 차량용 전자장치로서,
    차량으로부터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 동작 정보 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제 1 출력단의 출력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차량의 동작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입력되는 둘 이상의 동작 정보 신호가 각 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배터리 전압 또는 접지전압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정보 신호를 배터리 전압 또는 개방상태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에 제공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장치.
KR1020140052477A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전자장치 KR10215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77A KR102156019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전자장치
PCT/KR2014/007063 WO2015167075A1 (ko) 2014-04-30 2014-07-31 차량용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77A KR102156019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795A KR20150125795A (ko) 2015-11-10
KR102156019B1 true KR102156019B1 (ko) 2020-09-16

Family

ID=5435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477A KR102156019B1 (ko) 2014-04-30 2014-04-30 차량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019B1 (ko)
WO (1) WO2015167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6806B (zh) * 2021-08-19 2024-01-19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记录的黑匣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4B1 (ko) * 2007-05-14 2008-05-23 유장호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959B1 (ko) * 1998-09-30 2001-11-30 정주호 자동차고장검지를위한블랙박스장치및검지방법
KR20030050719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보 단말기의 입력 검출장치
JP5375060B2 (ja) * 2008-12-09 2013-1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
KR101895866B1 (ko) * 2012-09-03 2018-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위칭 소자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262101B1 (ko) * 2013-01-25 2013-05-14 주식회사 케이엘텔레시스 차량 상태 정보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24B1 (ko) * 2007-05-14 2008-05-23 유장호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795A (ko) 2015-11-10
WO2015167075A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3412B2 (en) Method of recognizing trailer of tractor vehicle
US945932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redundant determination of a batter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les of a battery
CN111670369A (zh) Led灯故障检测电路和方法
KR102227844B1 (ko) 배터리 센서 및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EP3056866B1 (en) Diagnostic reporting for sensor integrated circuits
KR20180137939A (ko) 차량용 전원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43135B2 (ja) 検出システム
KR102156019B1 (ko) 차량용 전자장치
CN107404132B (zh) 充电枪与电动车充电设备
US11440523B2 (en) Detecting electric over hydraulic trailer connectivity
KR100712610B1 (ko) 차량 방향 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검출하는 방향 지시등작동 여부 검출 장치 및 방법
JP4691160B2 (ja) 電子装置
CN109709849B (zh) 单片机安全运行控制方法与装置
US9574943B2 (en) Indicator ligh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4947493B2 (ja) センサ識別機能付き車両用エアコン制御装置
CN103869142B (zh) 用于监视信号电平的方法和设备
KR101256304B1 (ko) 능동형 자가진단 차량용 카메라 모듈
CN104834300A (zh) 汽车车窗卡滞故障监测方法和系统
KR101575257B1 (ko) 차량 기기들 간 연결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40089022A (ko) 자동차 급발진 및 주행 상태 통합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JP6276601B2 (ja) トリガ検出回路及びトリガ検出icチップ
KR102552480B1 (ko) 헤드램프의 단선 검출 방법
CN206421224U (zh) 简易型车辆故障诊断装置
CN112033580A (zh) 一种温度传感单元断线检测系统、断线检测方法及电动车
CN111045692A (zh) 通用模块位置按照电标记的自动识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