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15B1 - 용접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15B1
KR102155715B1 KR1020190146353A KR20190146353A KR102155715B1 KR 102155715 B1 KR102155715 B1 KR 102155715B1 KR 1020190146353 A KR1020190146353 A KR 1020190146353A KR 20190146353 A KR20190146353 A KR 20190146353A KR 102155715 B1 KR102155715 B1 KR 102155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unit
suction
dust collec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원
신동희
Original Assignee
김시원
신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원, 신동희 filed Critical 김시원
Priority to KR102019014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5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 B23K9/326Purge gas rings, i.e. 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shielding gas inside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e.g. pipes,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접집진장치는 동력을 통해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필터가 설치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선택적으로 이음되어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동력부측으로 흐름시키는 흡입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용접 집진장치{Welding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용접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종류에 맞추어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용접불똥의 수집을 용이하도록 하는 용접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용접 즉, 아크 용접(arc welding)은 저전압을 이용하여 아크 방전을 발생시켜 금속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용접하고자 하는 철판 등과 같은 용접물에 음극을 연결하고 양극에는 용접봉을 연결한 다음 두 전극을 가까이 하면 아크 방전이 일어나 용접봉이 용융되어 음극이 연결된 용접물 사이에 용접봉의 용융물이 몰딩되어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물의 표면은 깨끗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용접 과정 중에 용접물의 표면이나, 용접봉이 용융 상태에서 주위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도면 용접 품질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이산화탄소(CO2) 또는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Ar), 헬륨(He) 등의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전기 용접기이며, 이 중에서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는 용접 토치의 중앙으로 용접봉 즉, 용접 선재인 와이어를 공급하고, 이 와이어의 주변을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용접 부위에 공급함으로써, 용접 부위에서 용접물 또는 용융 상태의 와이어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용접 방식이다.
한편,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튜브형으로 가공하여, 그 내부에 플럭스(flux)를 충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 전기 용접기는 물론,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는 사용 도중에 용접 가스 즉, 용접봉의 외부 또는 와이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플럭스가 증발되어 생성되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 가스(fume)와, 공기 중의 가스들과 플럭스 및 금속 등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유해 가스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용접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하는 주변에 공기 흡입기를 설치하여 주변의 공기를 다른 장소로 배출시켜 주는 장치를 이용하거나, 용접 토치의 주위에 흡입구를 부착 고정하여 용접 도중에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해 가스 처리 방식에 있어서, 전자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주변 공간의 공기를 광범위하게 흡입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유해 가스를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공기 유동량이 커서 주변에 소음 공해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는 용접 토치에 흡입구가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 토치의 방향이 변경되면, 유해 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용접공들이 여전히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작업을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전기 용접의 경우 기화된 물질들이 먼지나 연기 상태로 부유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피해주고 용접시 발생하는 비산하는 용접불똥(슬래그, 스패터)이 공사 자재에 옮겨붙을 경우 화재 위험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10535호,(1999.03.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인 수직 철판에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를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접 부위에 맞추어 이동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물의 철판에 자력을 통해 손쉽게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자세 용접에서 가스 알곤 용접일 경우 유해 가스의 흡입만을 하고, 전기용접일 경우 유해가스와 용접불똥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종류에 맞추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동력을 통해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필터가 설치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선택적으로 이음되어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동력부측으로 흐름시키는 흡입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와 흡입부의 일측단에는 자석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연결부와 흡입부를 선택적으로 이음시켜 상호 연통시킬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와 흡입부의 이음부위를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된 수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납부의 양측단에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연결부와 흡입부가 수납부를 가로질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납부가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 불똥을 집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부가 개구된 둘레에 접철되는 복수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시켜 상기 수납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부재들을 직립되게 확개시키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동력을 통해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필터가 설치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선택적으로 이음되어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동력부측으로 흐름시키는 흡입부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인 수직 철판에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를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접 부위에 맞추어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용접불똥의 수집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물의 철판에 자력을 통해 손쉽게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가스 알곤 용접일 경우 유해 가스의 흡입만을 하고, 전기용접일 경우 유해가스와 용접불똥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종류에 맞추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 100는 다양한 용접 자세 중 수직 자세 용접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용접은 용접 부위 또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자세의 용접 등이 있다.
여기서, 수직 자세 용접은 수직 자세 용접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면 또는 60°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면의 용접선이 밑에서 위로 나아가며 행하는 용접법이다.
상기 수직 자세 용접은 용접 부위가 높은 위치 등의 공사장 또는 조선소에서 많이 적용되는 용접 자세로서, 이러한 수직 자세 용접에는 통상 전기 용접 또는 가스 알곤 용접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전기용접의 특징은 유해 가스와 용접 불똥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고, 가스 알곤 용접의 경우는 용접 불똥은 발생하지 않지만, 많은 양의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국, 본 발명은 가스 알곤 용접에 적용되는 제1실시예와, 전기 용접에 적용되는 제2실시예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제1실시예를 통해서는 유해가스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이고, 제2실시예의 경우 유해가스와 용접불똥을 동시에 수집하기 위한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 100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물의 철판에 자력을 통해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 100는 동력부 110, 연결부 120, 흡입부 130로 구성한다.
상기 동력부 110는 외부에 설치된 펌프 등의 동력을 통해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연결부 120는 상기 동력부 110와 연결되고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 120는 길이 연장이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 120에는 용접시 발생하는 슬래그 등의 금속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가 더 설치된다.
이는, 금속 먼지 또는 이물질로 부터 동력부 1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흡입부 130는 상기 연결부 120와 선택적으로 이음되어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동력부 110측으로 흐름시킨다.
여기서, 흡입부 130는 금속의 주름관으로 적용되어 유연하지 않은 형태로서, 형상 변화는 가능하나, 변화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흡입부 130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 131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유해가스의 발생 위치에 노즐 131의 입구를 항상 정위치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흡입부 130와 연결부 120는 선택적으로 이음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 120와 흡입부 130의 일측단에는 자석부재 140가 각각 설치되어 연결부 120와 흡입부 130를 선택적으로 이음시켜 상호 연통시키거나 분리를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 130와 연결부 120에 설치된 자석부재 140는 제1자석 141과 제2자석 14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자석 141은 흡입부 130 일단에 설치되고, 제2자석 142은 연결부 120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의 자석부재 140는 상호 자력에 의해 접합되면서 흡입부 130와 연결부 120를 상호 이음하는 동시에 내부의 통로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시에 자석부재 140는 수직 철판에 부착되어 흡입부 130를 지지하도록 하여 해당 용접 부위에 맞추어 흡입부 130의 노즐 131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접 집진장치 100는 제1실시예에 적용될 경우 수직 자세 용접에서 철판에 맞대기 용접 부위에 자석부재 140를 부착시켜 용접집진장치를 설치하고, 흡입부 130를 구부려 해당 용접 위치에 상기 흡입부 130의 노즐 131 입구가 위치도록 하여 유해 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부 120와 흡입부 130의 이음 부위를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된 수납부 15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수납부 150의 양측단에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연결부 120와 흡입부 130가 수납부 150를 가로질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납부 150가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 불똥을 집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납부 150는 상부가 개구된 둘레에 접철되는 복수의 연장부재 151를 더 포함시켜 상기 수납부 15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부재 151들을 직립되게 확개시켜 비산되는 용접불똥의 수집력을 더욱 향상시키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제2실시예의 경우 전기 용접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흡입관의 노즐 131을 통해 흡입하고, 용접불똥은 수납부 150를 통해 수집하여 외부로 용접불똥이 비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현장의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통해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인 수직 철판에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를 선택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접 부위에 맞추어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용접불똥의 수집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 100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용접 대상물의 철판에 자력을 통해 손쉽게 부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 집진장치는 수직 자세 용접에서 가스 알곤 용접일 경우 유해 가스의 흡입만을 하고, 전기용접일 경우 유해가스와 용접불똥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종류에 맞추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 : 수직 철판
100 : 용접 집진장치 110 : 동력부
120 : 연결부 121 : 필터
130 : 흡입부 131 : 노즐
140 : 자석부재 141 : 제1자석
142 : 제2자석 143 : 제3자석
150 : 수납부 151 : 연장부재
152 : 연통공

Claims (4)

  1. 동력을 통해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110,
    상기 동력부110와 연결되고 필터121가 설치된 연결부120,
    상기 연결부120와 선택적으로 이음되어 용접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동력부측으로 흐름시키는 흡입부130로 구성한 용접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와 흡입부130의 일측단에는 자석부재140가 각각 설치되어 연결부120와 흡입부130를 선택적으로 이음시켜 상호 연통시킬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120와 흡입부130의 이음부위를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된 수납부150의 양측단에는 연통공152이 형성되어 연결부120와 흡입부130가 수납부150를 가로질러 결합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납부가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 불똥을 집진하되,
    상기 수납부는 상부가 개구된 둘레에 접철되는 복수의 연장부재를 더 포함시켜 상기 수납부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부재들을 직립되게 확개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부의 연통공이 연장부재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집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6353A 2019-11-15 2019-11-15 용접 집진장치 KR10215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53A KR102155715B1 (ko) 2019-11-15 2019-11-15 용접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353A KR102155715B1 (ko) 2019-11-15 2019-11-15 용접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15B1 true KR102155715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353A KR102155715B1 (ko) 2019-11-15 2019-11-15 용접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35A (ko) 1997-07-16 1999-02-18 윤종용 컴퓨터 시스템
KR200172357Y1 (ko) * 1999-09-04 2000-03-15 조천영 수직 절단용 쇳물 받이구
JP2009045644A (ja) * 2007-08-20 2009-03-05 Yui Kogyo Kk 吸引ノズル
KR101946025B1 (ko) * 2016-11-23 2019-06-11 강성규 포터블 흄 여과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35A (ko) 1997-07-16 1999-02-18 윤종용 컴퓨터 시스템
KR200172357Y1 (ko) * 1999-09-04 2000-03-15 조천영 수직 절단용 쇳물 받이구
JP2009045644A (ja) * 2007-08-20 2009-03-05 Yui Kogyo Kk 吸引ノズル
KR101946025B1 (ko) * 2016-11-23 2019-06-11 강성규 포터블 흄 여과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27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ld removal, cutting, and gouging with vacuum removal of byproducts
JP2009530112A (ja) 溶接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996523B1 (ko) 퓸 집진기와 용접기가 결합된 용접장치
KR102155715B1 (ko) 용접 집진장치
US6244519B1 (en) Welding torch having its nozzle member provided with fume collecting hood
KR100711710B1 (ko) 용접흄 집진장치
KR100973115B1 (ko) 아르곤가스 용접용 케이블
US7132624B2 (en) Less smoke fume-dispersing device for welding operations
KR200466953Y1 (ko) 용접기용 토치
KR20220076636A (ko) 용접 흄 제거 토치시스템
CN208895411U (zh) 一种带排烟装置的焊接工位
KR102389880B1 (ko) 흄(Fume) 집진 효율이 향상된 차세대 친환경 용접기
CN220971042U (zh) 一种用于氩弧焊的防晃焊枪
KR200259782Y1 (ko) 용접흄 집진장치의 구조
JPS6328710B2 (ko)
JPS5927980Y2 (ja) 高水深中における乾式水中tig・mig溶接用ノズル
JP3330777B2 (ja) 多電極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の吸引除去方法
JP2902571B2 (ja) 溶接ヒューム吸引除去方法
CN214212660U (zh) 一种新型五金加工焊接台
JP3234754U (ja) ヒューム回収装置
CN216829084U (zh) 一种用于钛合金tig焊接的保护装置
JP3030953U (ja) Tig溶接装置
CN217343979U (zh)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点焊机
KR19990006383U (ko) 용접 가스 흡입 장치를 구비한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
JP2843003B2 (ja) すみ肉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吸引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