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09B1 - 오픈상자 제함기 - Google Patents

오픈상자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09B1
KR102155709B1 KR1020190145002A KR20190145002A KR102155709B1 KR 102155709 B1 KR102155709 B1 KR 102155709B1 KR 1020190145002 A KR1020190145002 A KR 1020190145002A KR 20190145002 A KR20190145002 A KR 20190145002A KR 102155709 B1 KR102155709 B1 KR 10215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lding
pusher
transf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파스
Priority to KR102019014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상자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방향으로 박스의 바깥 전체면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재단박스가 이송되는 로딩컨베이어로 구비되고 끝단 양 측면에는 박스가이드바가 포함되는 제품진입부와 말단으로 흡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박스가이드바에 진입된 재단박스측을 향하는 흡착푸셔가 포함되는 흡착이송부와 상기 흡착이송부에 옮겨진 재단박스의 하단 측면에는 이송푸셔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푸셔가 밀어내는 측으로는 이송벨트가 구비되는 박스이송부와 상기 박스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재단박스가 정위치에 될 수 있는 정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재단박스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밀어내는 접이푸셔가 구비되는 접이이송부와 상기 접이푸셔에 의해 밀어지는 재단박스의 접이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접이가이드판이 포함되고 접이가 완료된 후 재단박스 상단면을 접는 절곡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절곡되어 겹쳐지는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접이부로 이루어져 외포장재가 되는 상자를 완성함에 있어서 장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자동화를 통해 상자 완성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오픈상자 제함기{Machine for making Box}
본 발명은 오픈상자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판지와 같은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외포장하는 상면이 오픈된 상자를 만들기 위하여 밑판에서 사방으로 연장된 측면부가 절곡될 수 있도록 재단하고 접혀졌을 시 각 중첩부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한 상자를 만드는 오픈상자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골판지를 재단하여 전개된 위치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을 위한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제조되는데, 박스를 구성하는 박스 본체의 상하부에 본체와 연결된 4장의 덮개판으로 구성된 형태의 박스와, 본체의 상부는 본체와 연결된 4장의 덮개판으로 구성되면서 본체 하부의 밑판은 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형태의 박스가 있고, 또 본체의 상부에는 양쪽으로 연결된 부분덮개판으로 구성되고, 본체 하부의 밑판은 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형태의 박스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 상자를 제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276호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에 가이드봉이 서로 직교한 채 설치되어 가이드봉에 둘러쌓인 공간에 세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세팅공간의 둘레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과;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포장박스 제조를 위해 공급된 용지를 세팅공간 상부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테이블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용지의 상부에 접착을 위한 수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부와; 테 이블 일측의 세팅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와 실린더로드를 구비하여 세팅공간 상부에 위치되는 용지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세팅부와;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실린더와, 실린더에 연결 된 실린더로드로 구성되어 있고, 세팅부의 실린더에 의해 세팅공간에 위치된 용지의 측벽면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고정부와; 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회전봉과, 회전봉에 설치된 브라켓으로 구성 되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용지의 상부덮개면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부와; 테이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 도록 일점 고정된 실린더와,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 더와 연결된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브라켓이 상부덮개면이 접혀진 용지의 모서리강화면을 압박하여 용지의 모서리강화면이 측벽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착부;로 구성된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성이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고, 골판지를 세팅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박스를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된 박스를 적재할 수 없어 수시로 박스를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276호(2011.05.2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재단된 외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제함기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상자의 바닥면에서 사방으로 연장된 장단측면판을 동시에 정확하게 절곡하고 접착하여 상품을 적재할 수 있는 박스를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를 바로 이동되어 적재될 수 있는 오픈상자 제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오픈상자 제함기에 있어서, 이송되는 방향으로 박스의 바깥 전체면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재단박스가 이송되는 로딩컨베이어로 구비되고 끝단 양 측면에는 박스가이드바가 포함되는 제품진입부와 말단으로 흡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박스가이드바에 진입된 재단박스측을 향하는 흡착푸셔가 포함되는 흡착이송부와 상기 흡착이송부에 옮겨진 재단박스의 하단 측면에는 이송푸셔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푸셔가 밀어내는 측으로는 이송벨트가 구비되는 박스이송부와 상기 박스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재단박스가 정위치에 될 수 있는 정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재단박스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밀어내는 접이푸셔가 구비되는 접이이송부와 상기 접이푸셔에 의해 밀어지는 재단박스의 접이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접이가이드판이 포함되고 접이가 완료된 후 재단박스 상단면을 접는 절곡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절곡되어 겹쳐지는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접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흡착푸셔는 재단박스 바닥면의 양 측단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흡착패드는 상기 흡착푸셔 끝단에 복수 개로 구비되고 왕복 직선 운동하는 푸셔실린더에 의해 상기 재단박스 양 측면에 접촉되고 흡착되어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는 외포장재가 되는 상자를 완성함에 있어서 장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자동화를 통해 상자 완성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의 핫멜트분사노즐 부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픈 제함기의 제품진입부 및 흡착이송부 부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픈 제함기의 제품진입부 및 흡착이송부 부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픈 제함기의 이송벨트 부분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픈 제함기의 접이이송부 및 접이부 부분 구성도.
도 1 내지 7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및 부분 구성도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각 부의 실제 제작 구성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픈상자 제함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송되는 방향으로 박스의 바깥 전체면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재단박스(B)가 이송되는 로딩컨베이어(11)로 구비되고 이동 방향 끝단 양 측면에는 박스가이드바(12)가 포함되는 제품진입부(10);와 말단으로 흡착패드(21)가 구비되고 상기 박스가이드바(12)에 진입된 재단박스(B)측을 향하는 흡착푸셔(22)가 포함되는 흡착이송부(20);와 상기 흡착이송부(20)에 옮겨진 재단박스(B)의 하단 측면에는 이송푸셔(3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푸셔(31)가 밀어내는 측으로는 이송벨트(32)가 구비되는 박스이송부(30);와 상기 박스이송부(30)를 통해 이송된 재단박스(B)가 정위치에 될 수 있는 정지판(41)이 구비되고 상기 재단박스(B)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밀어내는 접이푸셔(42)가 구비되는 접이이송부(40);와 상기 접이푸셔(42)에 의해 밀어지는 재단박스(B)의 접이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접이가이드판(51)이 포함되고 접이가 완료된 후 재단박스(B) 상단면을 접는 절곡플레이트(52)가 구성되고 절곡되어 겹쳐지는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플레이트(53)가 구비되는 접이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이다.
또한 상기 흡착푸셔(22)는 재단박스(B) 바닥면의 양 측단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흡착패드(21)는 상기 흡착푸셔(22) 끝단에 복수 개로 구비되고 왕복 직선 운동하는 푸셔실린더(23)에 의해 상기 재단박스(B) 겉면으로 양 측면에 접촉되고 흡착되어 상기 박스 이송부(3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박스가이드바(12) 바깥면 일측부에 정렬푸셔(13)가 구비되되, 상기 정렬푸셔(13)는 상기 푸셔실린더(23)가 당겨질 시 재단박스(B) 측으로 밀어지게 되어 뒷단에 위치하는 재단박스(B)를 정위치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푸셔실린더(23)에 의해 상기 재단박스(B)가 박스 이송부(30)에 위치되되, 상기 흡착패드(21)의 흡착이 해제되어 재단박스(B)는 흡착상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박스 이송부(30)에 맞닿게 세워지며 위치되고, 상기 이송푸셔(31)에 의해 흡착되어 이동된 횡방향으로 밀어져 이동될 시 이송벨트(32)가 상기 재단박스(B)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촉되어 추가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32) 외측 상단과 하단 위치하고 상기 재단박스(B) 내측을 향하는 핫멜트분사노즐(33)이 포함되되, 상기 재단박스(B)가 상기 이송벨트(32)로 진입하여 이송될 시 상기 핫멜트분사노즐(33)에서 접착제가 분사되어 상기 재단박스(B) 내측 지정부에 도포된다. 이를 통해 전개되어 이송되는 재단박스(B)가 최종적으로 절곡되어 중첩되어 가압될 시 각 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해 최종적으로 견고한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이가이드판(51)은 곡면을 이루며 재단박스(B) 양 측면의 접이부 세로 길이 내에서 복수 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53)는 상기 접이푸셔(42)에 의해 절곡된 재단박스(B) 상단과 하단으로 재단박스(B)를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이가이드판(51)을 통과하며 절곡된 박스의 중첩면의 접착을 위해 상기 가압플레이트(53)가 접촉되어 가압시키고, 절곡플레이트(52)를 통해 재단박스(B) 오픈면 세로 날개부가 절곡된 후 날개부 가압플레이트(54)가 하강하여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픈상자 제함기는 외포장재가 되는 상자를 완성함에 있어서 장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자동화를 통해 상자 완성에 있어서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B. 재단박스 10. 제품진입부
11. 로딩컨베이어 12. 박스가이드바
13. 정렬푸셔
20. 흡착이송부 21. 흡착패드
22. 흡착푸셔 23. 푸셔실린더
30. 박스이송부 31. 이송푸셔
32. 이송벨트 33. 핫멜트분사노즐
40. 접이이송부 41. 정지판
42. 접이푸셔 50. 접이부
51. 접이가이드판 52. 절곡플레이트
53. 가압플레이트 54. 날개부 가압플레이트

Claims (6)

  1. 오픈상자 제함기에 있어서,
    이송되는 방향으로 박스의 바깥 전체면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재단박스(B)가 이송되는 로딩컨베이어(11)로 구비되고 이동 방향 끝단 양 측면에는 박스가이드바(12)가 포함되는 제품진입부(10);와
    말단으로 흡착패드(21)가 구비되고 상기 박스가이드바(12)에 진입된 재단박스(B)측을 향하는 흡착푸셔(22)가 포함되는 흡착이송부(20);와
    상기 흡착이송부(20)에 옮겨진 재단박스(B)의 하단 측면에는 이송푸셔(3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푸셔(31)가 밀어내는 측으로는 이송벨트(32)가 구비되는 박스이송부(30);와
    상기 박스이송부(30)를 통해 이송된 재단박스(B)가 정위치에 될 수 있는 정지판(41)이 구비되고 상기 재단박스(B)의 바닥면과 맞닿게 되어 밀어내는 접이푸셔(42)가 구비되는 접이이송부(40);와
    상기 접이푸셔(42)에 의해 밀어지는 재단박스(B)의 접이부가 접혀질 수 있도록 접이가이드판(51)이 포함되고 접이가 완료된 후 재단박스(B) 상단면을 접는 절곡플레이트(52)가 구성되고 절곡되어 겹쳐지는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플레이트(53)가 구비되는 접이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푸셔(22)는 재단박스(B) 바닥면의 양 측단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흡착패드(21)는 상기 흡착푸셔(22) 끝단에 복수 개로 구비되고 왕복 직선 운동하는 푸셔실린더(23)에 의해 상기 재단박스(B) 겉면으로 양 측면에 접촉되고 흡착되어 상기 박스 이송부(30)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가이드바(12) 바깥면 일측부에 정렬푸셔(13)가 구비되되,
    상기 정렬푸셔(13)는 상기 푸셔실린더(23)가 당겨질 시 재단박스(B) 측으로 밀어지게 되어 뒷단에 위치하는 재단박스(B)를 정위치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실린더(23)에 의해 상기 재단박스(B)가 박스 이송부(30)에 위치되되,
    상기 흡착패드(21)의 흡착이 해제되어 재단박스(B)는 흡착상태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박스 이송부(30)에 맞닿게 세워지며 위치되고, 상기 이송푸셔(31)에 의해 흡착되어 이동된 횡방향으로 밀어져 이동될 시 이송벨트(32)가 상기 재단박스(B)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촉되어 추가 이동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2) 외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재단박스(B) 내측을 향하는 핫멜트분사노즐(33)이 포함되되,
    상기 재단박스(B)가 상기 이송벨트(32)로 진입하여 이송될 시 상기 핫멜트분사노즐(33)에서 접착제가 분사되어 상기 재단박스(B) 내측 지정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가이드판(51)은 곡면을 이루며 재단박스(B) 양 측면의 접이부 세로 길이 내에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53)는 상기 접이푸셔(42)에 의해 절곡된 재단박스(B) 상단과 하단으로 재단박스(B)를 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이가이드판(51)을 통과하며 절곡된 박스의 중첩면의 접착을 위해 상기 가압플레이트(53)가 접촉되어 가압시키고, 절곡플레이트(52)를 통해 재단박스(B) 오픈면 세로 날개부가 절곡된 후 날개부 가압플레이트(54)가 하강하여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상자 제함기.
KR1020190145002A 2019-11-13 2019-11-13 오픈상자 제함기 KR10215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02A KR102155709B1 (ko) 2019-11-13 2019-11-13 오픈상자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02A KR102155709B1 (ko) 2019-11-13 2019-11-13 오픈상자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09B1 true KR102155709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02A KR102155709B1 (ko) 2019-11-13 2019-11-13 오픈상자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83B1 (ko) 2022-07-20 2023-02-10 주식회사 콤파스 오픈박스 자동 제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11Y1 (ko) * 1991-08-13 1993-10-13 김병전 포장박스 제조기의 측면판 접합장치
KR101037276B1 (ko) 2008-09-03 2011-05-26 정봉우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11Y1 (ko) * 1991-08-13 1993-10-13 김병전 포장박스 제조기의 측면판 접합장치
KR101037276B1 (ko) 2008-09-03 2011-05-26 정봉우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83B1 (ko) 2022-07-20 2023-02-10 주식회사 콤파스 오픈박스 자동 제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895B2 (ja) 自動式箱糊付け装置
ITUA20163733A1 (it) Stazione di piegatura per la piegatura di un cartone di imballaggio e macchina per l’imballaggio di un articolo all’interno di una scatola di cartone ottenuta dal cartone di imballaggio
CN103419405B (zh) 一种纸盒成型装置
KR102155709B1 (ko) 오픈상자 제함기
CN209479074U (zh) 纸箱折叠打钉机
US115300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osing boxes with cardboard lids
JP7288685B2 (ja) 段ボール箱に物品を自動梱包する設備
CN212423653U (zh) 封箱机
KR20130136468A (ko) 꼭 맞는 박스를 위한 블랭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세스
US43314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carton
JPS6251667B2 (ko)
KR102211493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JP4607415B2 (ja) 包装用緩衝体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US3146565A (en) Apparatus for forming and filling containers
CN217944485U (zh) 环保纸箱自动订箱糊箱一体机
CN115043049B (zh) 一种一次性手套折叠包装机
KR100885890B1 (ko) 박스 접기 겸용 표면지 부착장치
CN211105890U (zh) 一种包装盒组装机
JPH04112123A (ja) テープ貼付装置用自動移送装置
CN213947561U (zh) 包装纸箱的折叠装置
CN211391885U (zh) 一种用于大型纸箱的纸箱封箱机
KR102313204B1 (ko) 제함기의 포장박스 밴딩장치
US2942532A (en) Apparatus for forming and affixing a divider in a box
JPH052561B2 (ko)
CN112157951A (zh) 包装纸箱的折叠装置及纸箱折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