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552B1 -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 Google Patents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552B1
KR102155552B1 KR1020190115397A KR20190115397A KR102155552B1 KR 102155552 B1 KR102155552 B1 KR 102155552B1 KR 1020190115397 A KR1020190115397 A KR 1020190115397A KR 20190115397 A KR20190115397 A KR 20190115397A KR 102155552 B1 KR102155552 B1 KR 10215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e
terminal block
block
tw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집
Original Assignee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블럭을 단순한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우수한 품질의 단위블럭을 균일하게 생산 및 제공할 수 있고, 단위블럭에 일체로 형성된 코로나 방지턱에 의하여 이웃하는 단위블럭과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체결력이 우수하고 통전 접속금구 부분에서 발생되는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발화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통전 접속금구에 형성된 돌출노치에 의하여 충격 및 진동에 따른 볼트의 자연이탈을 방지하고, 터미널 블럭을 단자의 체결시 터미널 블럭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어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구성적 특징을 갖는 개선된 형태의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Modular terminal block with improved discharge}
본 발명은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블럭을 단순한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우수한 품질의 단위블럭을 균일하게 생산 및 제공할 수 있고, 단위블럭에 일체로 형성된 코로나 방지턱에 의하여 이웃하는 단위블럭과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체결력이 우수하고 통전접속금구(通電接續金具)) 부분에서 발생되는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발화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통전접속금구의 접속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노치에 의하여 충격 및 진동에 따른 볼트의 자연이탈을 방지하고, 터미널 블럭을 단자의 체결시 터미널 블럭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어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구성적 특징을 갖는 개선된 형태의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블럭은 단자를 활용하여 신호선이나 전원선의 배선연결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다.
즉, 작업현장에서는 많은 전선류를 사용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전선들을 배선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블럭을 설치한다. 이러한 터미널블럭은 각종 전선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해주고, 간편하게 지지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터미널 블럭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10-1638385호(등록일: 2016년 07월 05일)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 블럭은, 배선 연결시 단락이 방지되도록 격벽으로 구분되고, 단자함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터미널블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와, 상기 전선연결부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양벽단부와, 상기 전선연결부와 양벽단부의 저면부에 구비된 결합공에 요입되어 상기 양벽단부와 전선연결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기 단자함의 고정면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사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브라켓은 상기 양벽단부의 양단 외측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통공된 고정공이 구비된 한 쌍의 외측고정부와, 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에 요입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절곡된 중앙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고정부는상기 고정공이 구비된 벽단부결합단과, 상기 벽단부결합단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각도로 절곡된 단자함고정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등록된 또 다른 특허문헌인 특허등록 제10-1754834호(등록일: 2017년 06월 30일) 터미널 블럭은, 전선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외부단자와 결합가능토록 중앙부에 단자공이 천공된 결착판과, 상기 결착판의 상부에서 상기 단자공에 요입된 나사와, 상기 결착판의 하면에서 상기 나사와 조임되는 너트가 구비된 단자와, 상기 단자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과, 상기 안착부와 격벽의 전방으로 연장된 확장부로 이루어진 단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터미널 블럭은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전선열결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프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하더라도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조립이 어렵고, 복수 개의 전선열결부를 밀착하여 하나의 터미널 블럭을 제작 시 전선연결부의 연결부분이 쉽게 이격되어 정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전선연결부에 형성된 통전 접속금구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불꽃이 발생하는 등 발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코로나 방전은 통전 접속금구에 나사체결된 볼트의 체결상태가 터미널 불럭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연속된 진동에 의하여 느슨하게 변형되는 경우 더욱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볼트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한 발화가 물리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터미널블럭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8385호(등록일: 2016년 07월 05일)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등록특허공보 제10-1754834호(등록일: 2017년 06월 30일) "터미널 블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208호(등록일: 2017년 04월 10일) "터미널 블럭" 등록특허공보 제10-1543741호(등록일: 2015년 08월 05일)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등록특허공보 제10-1407703호(등록일: 2014년 06월 09일) "모듈 방식의 방폭형 터미널 블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938호(등록일: 2011년 12월 28일)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블럭을 단순한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품질이 우수한 단위블럭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품질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블럭에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쇼트사고의 방지를 위한 코로나 방지턱을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웃하는 단위블럭과 상호보합하는 형태로 형성된 방지턱 삽입홈에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체결력을 향상시켜 터미널 블럭에 전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체결상태를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통전접속금구 부분에서 발생되는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한 발화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통전접속금구의 접속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노치에 의하여 충격 및 진동에 따른 볼트의 자연이탈방지 및 터미널 블럭의 설치가 단지로부터 경사지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배선작업이 용이한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은, 배선 연결시 단락이 방지되도록 격벽으로 구분되고, 단자함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터미널블럭에 있어서, 배선이 연결되며 관통공(11a)이 형성된 가압판(11)과 안착돌기(12a)가 형성된 지지판(12)이 일측의 연결바(13)로 연결되어 "ㄷ" 형태를 이루는 접속본체(17)와, 연결바(13)에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홈(15a)과 내측에 하부로 연장된 암나사공(15b)이 일체로 형성된 통전플레이트(15)와,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14)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15)의 암나사공(15b)에 체결되는 볼트(16)로 구성된 통전 접속금구(10)와,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며 전면(25)에 상기 통전플레이트(15)가 안착되는 안착턱(29)을 갖는 안착공간(29)과 하부에 관통장공(24)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블럭(20)과, 상기 단위블럭(20)의 전면에 밀착되며 하부에 장홈(31)이 형성된 커버(30)와, 상기 단위블럭(20)이 복수 개 밀착되고 단부에 커버(30)가 밀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단위블럭(20)의 일면에 밀착되며 일자형통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41)과, 커버(30)의 일면에 밀착되며 쌍형통공(43)이 형성된 제2브라켓(42)으로 구성된 브라켓(40)과, 일측에 하방으로 절곡된 일자형절곡단(51)과, 타측에 상하방으로 각각 절곡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 쌍형절곡단(52)이 일체로 형성된 중앙고정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일자형절곡단(51)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쌍형절곡단(52)부분이 제1브라켓(41)의 일자형통공과, 단위블럭(20)의 관통장ㄱ공24)과, 커버(30)의 장홈(31) 및 제2브라켓(42)의 쌍형통공(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쌍형통공(43)의 외부로 노출된 쌍형절곡단(52)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절곡하여 각각의 적층상태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단위블럭(20)은, 전면(25)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3)와 코로나방지턱(2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면(28)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공(27)과 방지턱삽입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25)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3)와 코로나방지턱(22)이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후면(28)에 형성된 끼움공(27)과 방지턱삽입홈(26)에 끼움되어 단위블럭(20)의 적층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통전접속금구(10)에서 발생되는 방전에 의한 발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전접속금구(10)의 접속본체(17)의 가압판(11) 하면에 복수 개의 돌출노치(11b)와 지지판(12)에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라켓(41)과 제2브라켓(42)은 중앙부분이 절곡되어 상부면(41a, 42a)이 단위블럭(20)과 커버(30)의 일면에 밀착되고 하부면(41b, 42b)이 터미널블럭(100)이 설치되는 단자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브라켓(41)과 제2브라켓(42)의 절곡부분은 터미널 블럭(100)이 설치되는 단자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은,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블럭을 재질의 변화에 따른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우수한 품질의 단위블럭을 균일하게 생산 및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더욱이, 상기 단위블럭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코로나 방지턱의 구성을 통하여 통전 접속금구에서 발생되는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발화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위블럭에 형성된 통전접속금구는 볼트가 나사체결되는 통전플레이트와 사이에 상부가 끼움되며 하부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하여 통전접속금구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볼트와 통전접속금구의 밀착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유지되어 코로나 방전에 따른 발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통전접속금구의 접속본체의 상부 저면에는 한 쌍의 돌출노치에 의하여 볼트의 자연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터미널 블럭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불트가 느슨하게 풀림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처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은 단자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의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사람이 선상태에서 케이블의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용이함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상태에 따른 배선작업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단위블럭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단위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5a, 5b,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통전접속금구의 접속본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 볼트의 고정단면도, 볼트고정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단위블럭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단위블럭의 코로나 방전의 차단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중 단위블럭의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인 걸이끈 조절기능을 갖는 마스크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이하, '터미널 블럭'라 한다)(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에 전선이 연결되는 통전접속금구(10)이 설치되며 일면이 서로 밀착되는 복수 개의 단위블럭(20)과,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단위블럭(20)의 일면에 밀착되는 커버(30)와, 상기 각각의 단위블럭(20)과 커버(30)의 외면에 상부면이 밀착되며 하부면이 절곡되어 단자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켓(40)과 단위블럭(20) 및 커버(30)를 관통하여 밀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중앙고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블럭(20)은 성형이 용이하고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통전접속금구(1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통전접속금구(10)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하는 하우징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단위블럭(20)은 내부로 통전접속금구(10)이 설치되는 안착공간(21)과 상부에 안착턱(29)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21)의 하부에 코로나 방지턱(2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21)의 외측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3)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로나 방지턱(22) 하부에 중앙고정부(50)가 관통되는 관통장공(24)이 형성된 전면(25)과, 하부에 관통장공(24)의 상부로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코로나 방지턱(22)이 삽입되는 방지턱삽입홈(26)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가장자리로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결합돌기(23)가 끼움되는 복수 개의 끼움공(27)이 형성된 후면(28)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블럭(20)은 전면(25)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3)와 코로나방지턱(22)이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후면(28)에 형성된 끼움공(27)과 방지턱삽입홈(26)에 끼움되어 실질적으로 단위블럭(20)의 전면(25)과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후면(28)이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테이블 블럭(100)의 전선연결부분을 다양하게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단자함에 설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단위블럭(20)의 전면(25)에 돌출된 코로나 방지턱(22)이 이웃하는 단위블럭(20)의 후면(28)에 형성된 방지턱 삽입홈(26)에 끼워져 연결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통전접속금구(10)의 통전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코로나 방전이나 쇼트 방전에 의한 발화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통전접속금구(10)는 상기 단위블럭(20)의 내부에 각각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입되는 전선을 체결하는 구성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11a)이 형성된 가압판(11)과 안착돌기(12a)가 형성된 지지판(12)이 일측의 연결바(13)로 연결되어 대략 "ㄷ"형태의 접속본체(17)와, 상기 연결바(13)가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홈(15a)과 내부에 하부로 연장된 암나사공(15b)이 일체로 형성된 통전플레이트(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의 저면에는 타측이 코로나 방지턱(22)의 상면에 안착되는 스프링(14)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통전접속금구(10)의 통전플레이트(15)는, 상기 통전플레이트(15)의 끼움홈(15a)에 연결바(13)가 삽입되어 가압판(11)의 관통공(11a)과 통전플레이트(15)의 암나사공(15b)이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16)가 가압판(11)을 관통하여 통전플레이트(15)의 암나사공(15b)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조립되어 단위블럭(20)의 안착공간(21)에 끼움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11)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노치(11b)와 이격돌기(11c)가 형성되어 가압판(11)을 통전플레이트(15)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킴과 동시에 돌출노치(11b)에 의하여 볼트(16)의 자연풀림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노치(11b)는,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1)의 관통공(11a)의 저면에 인접하게 프레스(도시되지 않음)의 가공에 의하여 요홈(11b')이 형성되면서 동시에 돌출노치(11b)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노치(11b)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11a)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볼트(16)의 나사산(16a)과 관통공(11a)의 암나사와 나사결합이 종료되었다고 하더라도 돌출노치(11b)에 의하여 볼트(16)를 파지하는 상태로 잡아주게 되어 고정되므로 볼트(16)의 이탈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통전접속금구(10)이 통전플레이트(15)와 볼트(16)로 연결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단위블럭(20)의 안착공간(21)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통전플레이트(15)의 양측 단부가 안착턱(29)에 안착되고 상면 중앙부분이 단위블럭(20)에 밀착되어 상부와 하부로 이동이 제한되는 형태로 끼움되고, 통전 접속금구(10)의 지지판(12)의 하부에는 스프링(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프링(14)은 지지판(12)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안착돌기(12a)가 스프링(14)의 내부로 끼움되어 스프링(14)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종래에는 지지판(12)상에 안착돌기(12a)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4)이 쉽게 이탈되게 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되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14)이 이탈된 경우에는 통전플레이트(15)와 볼트(16)의 조립시에 상기 통전플레이트(15)와 볼트(16)가 서로 어긋나서 뭉게지게 되는 것을 해결하였다.
상기 지지판(12)의 안착돌기(12a)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2)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그 스프링(14)의 중심(c)에 설치되어 스프링(14)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어, 스프링(14)이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중심(c)을 유지하면서 지지판(12)의 지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서 상부에 나사조립된 볼트(16)와 통전플레이트(15)에 형성된 나사산들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14)은 통전접속금구(10)의 가압판(11)을 관통하여 통전플레이트(15)의 암나사공(15b)에 나사체결된 볼트(16)가 풀림되면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하여 통전 접속금구(10)을 상부로 이동시켜 가압판(11)과 통전플레이트(15)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유입되는 전선이 끼움될 수 있는 공간을 여유롭게 제공한다.
또한, 가압판(11)과 통전플레이트(15) 사이에 전선을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다시 볼트(16)를 조임하면, 가압판(11)이 스프링(14)의 탄성을 이기며 하강하여 삽입된 전선을 가압하여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판(11)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이격돌기(11c)에 의하여 전선이 통전 접속금구(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관통공(11a)과 연결되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노치(11b)에 의하여 볼트(16)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볼트(16)의 자연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단위블럭(20)의 일면에 밀착되며 하부에 중앙고정부(50)의 일측이 관통하는 장홈(31)과 상부에 단위블럭(20)의 코로나 방지턱(22)이 끼움되는 끼움홈(32)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단위블럭(20)의 결합돌기(23)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기홈(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0)은 단위블럭(20)의 일면에 밀착되며 일자형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제1브라켓(41)과, 커버(30)의 일면에 밀착되며 쌍형통공(43)이 형성된 제2브라켓(4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41)과 제2브라켓(42)은 중앙부분이 절곡되어 상부면(41a, 42a)이 단위블럭(20)과 커버(30)의 일면에 밀착되고 하부면(41b, 42b)이 터미널블럭(100)이 설치되는 단자(미도시)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41)과 제2브라켓(42)의 절곡부분은 터미널 블럭(100)이 설치되는 단자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형태에 따라서 터미널 블럭(100)을 단자에 설치하는 과정이 쉽고, 터미널 블럭(100)에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자가 선상태에서 케이블의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수월하여 안정적인 연결상태에 따른 배선작업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중앙고정부(50)는 일측에 하방으로 절곡된 일자형절곡단(51)과, 타측에 상하방으로 각각 절곡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 쌍형절곡단(52)이 일체로 형성되며, 일자형절곡단(51)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쌍형절곡단(52)부분이 제1브라켓(41)의 일자형통공(미도시)과, 단위블럭(20)의 관통장공(24)과, 커버(30)의 장홈(31) 및 제2브라켓(42)의 쌍형통공(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쌍형통공(43)의 외부로 노출된 쌍형절곡단(52)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절곡하여 터미널 블럭(1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40)과 단위블럭(20) 및 커버(30)의 적층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럭(20)의 전면(25)에 돌출된 코로나 방지턱(22)이 인접한 커버(30)의 하부에 설치된 끼움홈(32)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안착공간(21)내에 배치된 통전접속금구(10)의 통전플레이트(15)와 지지판(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이 안착공간(21)내에서만 발생되지 않고, 외부로의 코로나 방전이 차단되게 되어 통전접속금구(10)의 통전되는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코로나 방전이나 쇼트 방전에 의한 발화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은 터미널 블럭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블럭을 재질의 변화에 따른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우수한 품질의 단위블럭을 균일하게 생산 및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더욱이, 상기 단위블럭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코로나 방지턱의 구성을 통하여 통전접속금구에서 발생되는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발화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단위블럭에 형성된 통전접속금구는 볼트가 나사체결되는 통전플레이트와 사이에 상부가 끼움되며, 접속본체의 하부가 스프링에 의한 탄성에 의하여 통전접속금구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볼트와 통전접속금구의 밀착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유지되어 코로나 방전에 따른 발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통전접속금구의 상부 저면에는 한 쌍의 돌출노치에 의하여 볼트의 자연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터미널 블럭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불트가 느슨하게 풀림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일정한 처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은 단자와 연결되는 과정에서 브라켓에 의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사람이 선상태에서 케이블의 배선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용이함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상태에 따른 배선작업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통전접속금구 11 : 가압판
12 : 지지판 13 : 연결바
14 : 스프링 15 : 통전플레이트
16 : 볼트 17 : 접속본체
20 : 단위블럭 21 : 안착공간
22 : 코로나 방지턱 23 : 결합돌기
24 : 관통장공 25 : 전면
26 : 방지턱 삽입홈 27 : 끼움공
28 : 후면 29 : 안착턱
30 : 커버 31 : 장홈
32 : 끼움홈 33 : 돌기홈
40 : 브라켓 41 : 제1브라켓
42 : 제2브라켓 43 : 쌍형통공
50 : 중앙고정부 51 : 일자형 절곡단
52 : 쌍형절곡단

Claims (3)

  1. 배선 연결시 단락이 방지되도록 격벽으로 구분되고, 단자함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터미널블럭에 있어서,
    배선이 연결되며 관통공(11a)이 형성된 가압판(11)과 안착돌기(12a)가 형성된 지지판(12)이 일측의 연결바(13)로 연결되어 "ㄷ"형태를 이루는 접속본체(17)와, 연결바(13)에 끼움되는 한 쌍의 끼움홈(15a)과 내측에 하부로 연장된 암나사공(15b)이 일체로 형성된 통전플레이트(15)와, 상기 지지판(1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14) 및 상기 통전플레이트(15)의 암나사공(15b)에 체결되는 볼트(16)로 구성된 통전 접속금구(10);와,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며 전면(25)에 상기 통전플레이트(15)가 안착되는 안착턱(29)을 갖는 브라켓 안착공간(21)과 하부에 관통장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25)의 하부에 코로나 방지턱(22)과 가장자리에 복수의 결합돌기(23)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면(28)에 상기 코로나 방지턱(22)이 삽입되는 방지턱삽입홈(26)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돌기(23)가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공(27)이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블럭(20);과,
    상기 단위블럭(20)의 전면에 밀착되며 하부에 장홈(31)이 형성된 커버(30);와,
    상기 단위블럭(20)이 복수 개 밀착되고 단부에 커버(30)가 밀착된 상태에서 양측에 형성되며, 단위블럭(20)의 일면에 밀착되며 일자형통공(미도시)이 형성된 제1브라켓(41)과, 커버(30)의 일면에 밀착되며 쌍형통공(43)이 형성된 제2브라켓(42)으로 구성된 브라켓(40);과,
    일측에 하방으로 절곡된 일자형절곡단(51)과, 타측에 상하방으로 각각 절곡되도록 요철되어 형성된 쌍형절곡단(52)이 일체로 형성된 중앙고정부(50);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자형절곡단(51)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쌍형절곡단(52)부분이 제1브라켓(41)의 일자형통공(미도시)과, 단위블럭(20)의 관통장공(24)과, 커버(30)의 장홈(31) 및 제2브라켓(42)의 쌍형통공(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쌍형통공(43)의 외부로 노출된 쌍형절곡단(52)을 상부와 하부로 각각 절곡하여 각각의 적층상태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접속금구(10)의 가압판(11) 하면에 복수 개의 돌출노치(11b)와 이격돌기(1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에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1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KR1020190115397A 2019-09-19 2019-09-19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KR10215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97A KR102155552B1 (ko) 2019-09-19 2019-09-19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97A KR102155552B1 (ko) 2019-09-19 2019-09-19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52B1 true KR102155552B1 (ko) 2020-09-15

Family

ID=7246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97A KR102155552B1 (ko) 2019-09-19 2019-09-19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322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성화기전 케이블 및 에어 호스 동시 연결형 블럭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938U (ko) 2010-06-21 2011-12-28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407703B1 (ko) 2013-05-02 2014-06-17 삼화기전 주식회사 모듈 방식의 방폭형 터미널 블럭
KR101543741B1 (ko) 2014-03-03 2015-08-11 윤여관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KR101638385B1 (ko) 2016-02-16 2016-07-1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KR200483208Y1 (ko) 2015-11-18 2017-04-20 카이스전자(주) 터미널 블럭
KR101754834B1 (ko) 2016-03-03 2017-07-0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터미널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938U (ko) 2010-06-21 2011-12-28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407703B1 (ko) 2013-05-02 2014-06-17 삼화기전 주식회사 모듈 방식의 방폭형 터미널 블럭
KR101543741B1 (ko) 2014-03-03 2015-08-11 윤여관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KR200483208Y1 (ko) 2015-11-18 2017-04-20 카이스전자(주) 터미널 블럭
KR101638385B1 (ko) 2016-02-16 2016-07-11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경사브라켓이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754834B1 (ko) 2016-03-03 2017-07-06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터미널블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322A (ko)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성화기전 케이블 및 에어 호스 동시 연결형 블럭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608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224430B1 (en) Power supply terminal assembly
KR102567271B1 (ko) 전원 커넥터
KR102155552B1 (ko) 방전기능이 향상된 모듈식 터미널 블럭
US7942706B1 (en) Configurable power distribution block
RU2366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штыря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CN105207032B (zh) 电子设备及其免焊接桥接型连接器
US7142412B2 (en) Bypass connector for a socket assembly
US5999394A (en) Terminal block for a protective relay
KR200259338Y1 (ko) 단자대 지지홀더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KR200445701Y1 (ko) 전선 접속구의 접지단자 구조
KR200194637Y1 (ko) 전구소켓
KR102053273B1 (ko) 정션블록
KR0134469Y1 (ko) P.c.b용 배선접지단자 터미널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490279Y1 (ko) 케이블 연결유닛의 릴리즈 키
KR100373074B1 (ko) 전선고정장치를 갖는 전기제품
KR102029380B1 (ko) 정션블록
KR200386147Y1 (ko) 터미널블록
US4227768A (en) Module for mounting electrical contacts
KR100399751B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체결 구조
KR200187036Y1 (ko) 설치고정구를 교체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대의 도선결속장치
KR20090063007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JPS63408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