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53B1 - 뷰티 다기능 헤어롤 - Google Patents

뷰티 다기능 헤어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53B1
KR102155453B1 KR1020190075334A KR20190075334A KR102155453B1 KR 102155453 B1 KR102155453 B1 KR 102155453B1 KR 1020190075334 A KR1020190075334 A KR 1020190075334A KR 20190075334 A KR20190075334 A KR 20190075334A KR 102155453 B1 KR102155453 B1 KR 10215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hair
essence
ba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정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245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means for applying liquid there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2457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sliding part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뷰티 다기능 헤어롤은,
고데기나 헤어드라이기 없이도 모발의 볼륨감 있는 세팅을 할 수 있도록 가열됨은 물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에센스액이 분사되어 모발의 볼률감을 유지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옆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외부롤; 및 원통 형상으로 외부롤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면은 개폐할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되고 타면은 중앙부가 볼록한 요철부로 구성되며, 열선이 내장된 내부롤;을 포함하되,
외부롤은, 타면 내측에 도넛 형상의 튜브로 위치하며 모발영양제 에센스액을 저장하는 에센스백; 에센스백의 일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관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노즐이 다수의 통공에 배치되어, 에센스백에서 유입되는 에센스액을 통공을 통해 모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에센스백의 타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에센스백의 내측에 위치하고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된 도넛 형상의 튜브로써, 에센스백에 공기압을 가압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며,
내부롤은, 배터리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며 일면 커버의 내측 중심을 양극단자로 하고, 타면 내측 중심을 음극단자로 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홈; 및 배터리홈에 수용된 배터리가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이 발생하고, 열은 통공을 통해 모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뷰티 다기능 헤어롤{Multi Functional Beauty Hair Roll}
본 발명은 뷰티 다기능 헤어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데기나 헤어드라이기 없이도 모발의 볼륨감 있는 세팅을 할 수 있도록 가열됨은 물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에센스액이 분사되어 모발의 볼률감을 유지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롤(Hair Roll)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모발을 말아 고정할 수 있도록 브러쉬 또는 부직포 재질의 헤어핀을 형성한 것으로써, 이러한 헤어롤에 모발을 권취하여 고정시킨 후 모발에 부가적인 열을 가하거나, 소정의 시간동안 모발의 권취상태를 유지하여 모발에 컬링을 부여하게 된다.
즉, 이러한 헤어롤은 부가적인 시술용 약품 없이도 모발에 컬링을 부여해 볼륨이나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고 별도의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용에 관심이 많은 10~20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어롤은 부가적인 시술용 약품 또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헤어롤에 모발을 권취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나야만 충분한 컬링을 제공받을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헤어롤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젊은 여성들은 헤어롤을 휴대하여 대중교통, 직장, 학교 등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틈틈이 모발에 사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이러한 헤어롤에 열선 등을 설치하여 컬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하였다.
즉, 단순히 모발에 감아놓아 모발에 컬을 부여하는 기존 헤어롤에서 컬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기능적, 구조적으로 개선된 것들이 제안되고 있고, 그러한 헤어롤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695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157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데기나 헤어드라이기 없이도 모발의 볼륨감 있는 세팅을 할 수 있도록 가열됨은 물론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에센스액이 분사되어 모발의 볼륨감을 유지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옆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외부롤; 및 원통 형상으로 외부롤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면은 개폐할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되고 타면은 중앙부가 볼록한 요철부로 구성되며, 열선이 내장된 내부롤; 을 포함하되,
외부롤은, 타면 내측에 도넛 형상의 튜브로 위치하며 모발영양제 에센스액을 저장하는 에센스백; 에센스백의 일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관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노즐이 다수의 통공에 배치되어, 에센스백에서 유입되는 에센스액을 통공을 통해 모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에센스백의 타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에센스백의 내측에 위치하고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된 도넛 형상의 튜브로써, 에센스백에 공기압을 가압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며,
내부롤은, 배터리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며 일면 커버의 내측 중심을 양극단자로 하고, 타면 내측 중심을 음극단자로 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홈; 및 배터리홈에 수용된 배터리가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이 발생하고, 열은 통공을 통해 모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롤이 외부롤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요철부가 에어백을 가압하고, 에어백에 저장되었던 공기압이 에센스백으로 송압되고, 송압된 공기압에 의해 에센스액이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은, 외부와 통하는 관 형상의 공기구멍이 구비되어 공기를 흡인하되, 공기구멍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는 흡인하되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으며, 에센스백과 연결된 관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에어백에서 에센스백으로 공기가 유출되되 에센스백에서 에어백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롤은, 음극단자에 구비되어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는 배터리스프링; 푸쉬락 방식의 스위치로 내부롤의 요철부에 매립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배터리스프링과 접하는 하단부에 전도체를 부착한 푸쉬락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푸쉬락스위치는 눌려져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스프링과 열선을 연결하여 전원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롤은, 폐구부 내측면 중심에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롤이 외부롤에 삽입될 때 푸쉬락스위치를 눌러 전원이 연결되게 하는 전원구동부; 전원구동부 주위에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내부롤이 외부롤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내부롤과 외부롤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내부롤이 외부롤로부터 분리될 때 쉽게 분리되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뷰티 다기능 헤어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데기나 헤어드라이기가 없이도 모발에 열기를 제공하여 모발의 볼륨감 있는 세팅을 할 수 있다.
둘째, 모발을 컬링하는 것과 동시에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에센스액이 공급되어 모발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셋째, 간편하게 휴대하고 장소에 구애 없이 고데와 영양공급을 수시로 할 수 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넷째, 헤어롤의 전열 기능을 통해 기존 헤어롤 대비 컬링의 효과는 극대화 되고 소요시간은 최소화된다.
다섯째, 수시로 고데와 영양공급을 자가 처리하며 관리하므로, 헤어숍 등 전문업체 이용 대비 경제적 이득이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단면을 구성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외부롤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내부롤과 외부롤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내부롤과 외부롤이 결합된 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의 실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단면을 구성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외부롤(100)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내부롤(200)과 외부롤(100)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내부롤(200)과 외부롤(100)이 결합된 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전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실제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은 외부롤(100)과 내부롤(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롤(100)은 사용자의 모발이 직접적으로 권취되는 부분으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본 발명의 효과가 직접 나타나는 부분이다.
외부롤(100)은 전원구동부(110), 스프링부(120), 에어백(130), 에센스백(140), 에센스주입구(141), 분사노즐(150), 통공(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롤(200)은 외부롤(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을 발생시켜 외부롤(100)에 열을 공급하고 에센스 분사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부롤(200)은 배터리홈(210), 배터리스프링(211), 푸쉬락스위치(212), 내부롤커버(220), 열선(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롤(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진 원통의 형상을 지닌다.
외부롤(100)은 사용자의 모발에 직접 접촉하여 권취되는 부분이므로, 모발과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외면은 부직포 형태의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롤(100)은 사용자의 모발에 권취된 후 형태 유지를 위한 고정부재로써 집게 또는 밴드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롤(100)의 형태는 연출하고자 하는 모발의 컬링유형에 따라 원통형 뿐 아니라 타원통형, 둥근 모서리를 가진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외부롤(100)의 폐구부 내측면에는 전원구동부(110)가 막대 돌기와 같은 형상으로 중앙에 구비되고, 전원구동부(110)의 주위에 스프링부(120)가 구비된다.
스프링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프링이 전원구동부(110) 좌,우 주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20)의 주위로는 에어백(130)이 도넛 모양의 튜브 형태로써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에어백(130) 주위로는 에센스백(140)이 도넛 모양의 튜브형태로 구비되어 둘러싼다.
에어백(130)과 에센스백(14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으로 연결되어 에어백(130)의 공기가 에센스백(140)으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에어백(130)은 또한 외부롤(100)과 접한 부분에도 관을 구비하며, 상기 관은 해당 위치에 구비된 공기구멍에 삽입되어 외부의 공기를 에어백(130)으로 흡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외부롤(100)의 내측면에 구비된 전원구동부(110),스프링부(120),에어백(130),에센스백(140)을 도시하고 있다.
전원구동부(110)는 돌출된 바 또는 돌기의 형태로써 고정된 형상을 지닌다.
전원구동부(110)는 외부롤(100)의 폐구부 내측면에서 내부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즉 외부롤(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지닌다.
전원구동부(110)는 후술하는 내부롤(200)의 푸쉬락스위치(212)를 누를수 있도록 위치하며, 이를 통해 내부롤(200)에 구비된 배터리와 열선(230)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부(120)는 전원구동부(110)와 에어백(130) 사이에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부(120)는 내부롤(200)이 외부롤(10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내부롤(200)과 외부롤(100)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롤(200)이 외부롤(100)로부터 분리될 때 쉽게 분리되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스프링부(120)는 내부롤(200)이 에어백(130)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도록 저항하고, 동시에 적정 수준으로 압박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스프링부(120)는 내부롤(200)이 외부롤(100)의 내부 공간에서 헐겁지 않고 타이트하게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에어백(130)은 관을 통해서 외부와 소통되며, 또 다른 관을 통해서 에센스백(140)과 소통될 수 있다.
우선, 에어백(130)은 외부롤(100)과 접하는 부분에 관이 구비되고, 해당 위치에 공기구멍이 구비되며, 에어백(130)의 관은 상기 공기구멍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백(130)의 관의 출입구는 체브밸브(142)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는 에어백(130)으로 흡인할 수 있으나, 에어백(130)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써 에어백(130)은 내부에 공기가 충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30)은 에어백(130)의 주위를 둘러싼 에센스백(140)과 관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에어백(130)과 에센스백(140) 간의 연결 관에도 체브밸브(142)가 구비되어, 에어백(130)에서 에센스백(140)으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나, 에센스백(140)에서 에어백(130)으로 흡인되지는 못한다.
에어백(130)은 상기에서 언급한 관과 체브밸브(142)의 구비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내부에 저장하고, 에센스백(140)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역할을 한다.
이는 내부롤(200)이 외부롤(100) 내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상기 에어백(130)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130)은 압축과 복원 등 유연한 형태변화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어백(130)은 탄성이 높고 유연한 재질, 가령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 등으로 구비되어 쉽게 압축되고 빠르게 복원되는 성질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롤(200)이 공기가 충만한 상태의 에어백(130)을 압박하면, 에어백(130)내의 공기는 에센스백(140)으로만 송풍될 수 있다.
이때 내부롤(200)이 에어백(130)을 과도하게 압박하여 손상시키지 않도록 스프링부(120)가 내부롤(200)을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전원구동부(110)가 상술한 푸쉬락스위치(212)를 누르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내부롤(200)이 적정 깊이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막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외부롤(100)의 길이방향으로 전원구동부(110)의 길이는 에어백(130)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원구동부(110)가 에어백(130)보다 길다면 내부롤(200)은 전원구동부(110)에 막혀 에어백(130)을 압박하지 못하고 에센스백(140)에 송풍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전원구동부(110)가 너무 짧게 구비되면 내부롤(200)이 스프링부(120)에 막혀 푸쉬락스위치(212)가 닿지 않거나, 에어백(130)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질 수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에센스백(140)은 내부에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에센스액을 포함하고 있다.
에센스백(140)의 일단은 외부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분사노즐(150)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체브밸브(142)가 구비된 관으로 에어백(13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센스백(140)은 내부롤(20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에센스주입구(141)가 마개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다.
에센스백(140)은 내부롤(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에센스주입구(141)를 오픈하여 에센스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에센스액 종류별로 별도의 에센스백(140)을 각기 구비하여 상황에 맞춰 원하는 에센스백(140)을 교체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에센스백(140)은 에어백(130) 및 분사노즐(150)과 자유로이 분리되고 결합되도록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센스백(140)은 바림직한 실시예로, 가볍고 강하며 내부를 체크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 가령 PV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센스백(140)은 에어백(130)이 가압되고 압축되면서 발생시킨 공기가 순간적으로 유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저장된 에센스액을 분사노즐(150)로 압송한다.
에센스백(140)에서 외부로 분사되는 에센스액의 양은 에어백(130)이 내부롤(200)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에센스백(140)으로 송풍되는 공기량에 비례한다.
에센스백(140)에서 에센스액이 분사되는 횟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부롤(200)이 외부롤(100) 내부에 장착되는 한 차례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헤어롤을 머리에 권취하고 본 발명을 구동시킨 초기에만 에센스액을 모발에 공급하고, 이후에는 후술하는 내부롤(200)의 열선(230)에 의한 열기에 의해서만 모발 컬링을 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에센스액의 분사 횟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분사노즐(150)은 에센스백(140)에서 방출되는 에센스액의 이동 통로인 노즐관과, 노즐관을 따라 다수의 노즐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150)의 각 노즐들은 에센스액을 공급받아 외부롤(100)의 외부, 즉 모발을 향해 에센스액을 분사한다.
이를 위해 외부롤(100)에는 분사노즐(150)의 다수의 노즐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다수의 통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롤(100)의 통공(160)은 외부롤(100) 외측 전체에 걸쳐 다수가 분포될 수 있으나, 분사노즐(150)은 외부롤(100)의 통공(160)에 맞게 배치되되 특정방향의 일정 영역에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부위의 모발에만 에센스액이 제공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사노즐(150)을 외부롤(100)의 통공(160) 전체에 맞춰서 고루 분포시킬 수도 있다.
한편, 분사노즐(150)은 외부롤(100) 내부에 매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롤(100)과 내부롤(200) 사이 공간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롤(200)은 외부롤(10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며, 전원을 발생시켜 열을 공급하고 에어백(130)을 가압하여 에센스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롤(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외부롤(1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외부롤(100)의 형태에 대응되는 다양한 유형을 가질 수 있다.
내부롤(200)은 폐쇄형으로 구성되되, 일단은 배터리의 탈부착을 위해 개폐되도록 덮개 형식의 내부롤커버(220)로 구비된다.
또한 내부롤(200)의 타단은 중앙부가 돌출된 요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롤(200)의 내부에는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홈(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배터리의 종류, 가령 AA 사이즈 또는 AAA 사이즈의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배터리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부피를 줄이기 위해 버튼형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 홈은 버튼형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비되고, 내부롤커버(220)에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홈(210)을 둘러싼 내부롤(200)의 진행방향으로는 열선(230)이 내장되어 있고, 해당 열선(230)은 배터리의 양극(플러스극)과 음극(마이너스극)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터리의 양극이 내부롤커버(220)를 향하도록 배터리홈(210)에 장착되면, 내부롤커버(220)의 중앙에 구비된 양극단자에 배터리의 양극이 접촉된다.
배터리홈(210)의 음극단자에는 절연 상태의 배터리스프링(211)이 구비되고, 내부롤(200)에 내장된 열선(230)이 음극단자까지 연장되어 마주하며 배치되고, 상호 연결은 되지 않은 상태로 구비된다.
즉, 음극단자에 열선(230)의 일단과 열선(230)의 타단이 배터리스프링(2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절연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내부롤(200)의 요철부에 매립된 푸쉬락스위치(212)는 하단부에 전도체를 부착하고 있어, 푸쉬락스위치(212)가 눌려져 음극단자쪽으로 밀리면서 온(ON) 상태가 되면, 음극단자에 배치된 열선(230)의 일단과 타단, 배터리스프링(211)이 푸쉬락스위치(212) 하단부와 접점이 발생하여 모두 연결된다.
이로써, 푸쉬락스위치(212)가 전원구동부(110)에 의해 눌려져서 온(ON)이 되면, 배터리에 의해 열선(230)에 전원이 공급된다.
반대로, 푸쉬락스위치(212)가 전원구동부(110)에 의해 재차 눌려지면 오프(OFF) 상태가 되어, 음극단자 부분이 절연상태가 되어 열선(2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한편, 푸쉬락스위치(212)의 동작은 내부롤(200)을 외부롤(100)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내부롤(200)을 외부롤(100)에 끼우면서 내부롤커버(220) 부분과 반대편에 위치한 외부롤(100) 부분에 동시에 힘을 주면, 내부롤(200)이 외부롤(100) 내부로 삽입되고 푸쉬락스위치(212)가 전원구동부(110)에 밀리면서 온(ON) 상태가 된다.
이로써 내부롤(200)은 내장된 열선(2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열을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열은 내부롤(200)과 내부롤(200)을 감싸고 있는 외부롤(10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외부롤(100) 내부에 형성된 열은 외부롤(100)의 통공(160)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되어 모발에 제공되어 컬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내부롤(200)의 온도가 일정 수준이상 과열되는 경우 열선(230)회로를 차단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내부롤(200)에 온도센서와 차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과열에 의한 사고 방지를 위해 외부롤(100)의 재질은 가볍고 단단하면서도 열에 강한 합성수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롤(200)은 외부롤(100) 내부에 장착되면서 에어백(130)을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롤(200)의 요철부는 요철부의 중앙에 위치한 푸쉬락스위치(212)의 좌우에 에어백(130)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의 영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역이 내부롤(200)이 외부롤(100) 내부에 삽입될 때 에어백(130)을 가압하면, 에어백(130) 내부에 저장되어있는 공기는 체브밸브(142)로 인해 외부롤(100)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에센스백(140)으로만 송풍된다.
에센스백(140)은 에어백(130)에서 밀려들어온 공기압에 의해 분사노즐(150)로 에센스액을 압송하게 되고, 에센스액은 노즐을 따라 외부롤(100) 통공(160)을 통해 모발에 분사되어진다.
이때 내부롤(200)의 요철부 좌,우 오목한 부분은 에센스백(140)을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내부롤(200)의 요철부의 폭은 외부롤(100)에 구비된 전원구동부(110), 스프링부(120), 에어백(130)을 커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로 설정되어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을 정리하여 내부롤(200)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롤(200)은 배터리를 수용하고, 열선(230)을 내장한다.
내부롤(200)은 외부롤(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전에는 배터리를 수용해도 절연상태를 유지한다.
내부롤(200)이 외부롤(100)의 내부에 삽입되면, 내부롤(200)의 요철부는 전원구동부(110), 스프링부(120), 에어백(130)과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내부롤(200)의 푸쉬락스위치(212)는 전원구동부(110)에 의해 온(ON)상태가 되어 열선(230)회로가 연결되어 열선(230)에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열선(230)이 발열되고 생성된 열기는 외부롤(100)의 통공(160)을 통해 모발에 제공되어 고데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내부롤(200)은 에어백(130)을 가압하여 에어백(130)의 공기를 에센스백(140)으로 송풍되도록 하여 에센스액이 분사노즐(150)을 통해 외부롤(100)의 외부로 분사되어 모발에 제공되게 한다.
이때 스프링부(120)는 내부롤(200)이 적정 수준에서 에어백(13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저항하고, 내부롤(200)이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롤(200)의 외측면에는 잠금돌기가 구비되고, 외부롤(100)의 내측면에는 잠금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내부롤(200)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잠금돌기와 내부롤(200)고정부재는 내부롤(200)이 외부롤(100)에 완전히 삽입된 후 위치를 고정시켜 내부롤(200)과 외부롤(100)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잠금돌기와 내부롤(200)고정부재는 내부롤(200)을 외부롤(100) 내부로 가압을 할때마다 잠금과 풀림이 반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를 근거로 한, 본 발명의 뷰티 다기능 헤어롤(10)의 바람직한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롤(100)을 모발에 권취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내부롤(200)에 배터리를 장착하고, 내부롤(200)을 외부롤(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소정의 힘을 가하여 내부롤(200)을 외부롤(100)의 내부에 완전히 결합 장착시키면, 외부롤(100)의 전원구동부(110)가 내부롤(200)의 푸쉬락스위치(212)를 눌러 온(ON) 시켜서 회로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내부롤(200)에 내장된 열선(2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열선(230)이 발열된다.
내부롤(200)에서 발생된 열기는 내부롤(200)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롤(100)의 통공(16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며, 외부롤(100)을 감싸고 있는 모발에 열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과정 중 전원구동부(110)가 푸쉬락스위치(212)를 누르는 것과 동시에 내부롤(200)이 외부롤(100)의 에어백(130)을 가압한다.
에어백(130)이 가압되면 에어백(13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에센스백(140)으로 밀려들어가고, 에센스백(140)에서는 유입된 공기량만큼 에센스액을 분사노즐(150)로 압송한다.
분사노즐(150)로 압송된 에센스액은 노즐을 따라 외부롤(100)의 통공(16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며, 외부롤(100)을 감싸고 있는 모발에 에센스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에센스액은 모발을 부드럽게 하거나 영양분을 공급하고, 컬링된 모발의 볼륨감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것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를 특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모발 컬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내부롤커버(220) 부분과 반대편 외부롤(100) 부분을 동시에 가압하여 내부롤(200)과 외부롤(100)의 고정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푸쉬락스위치(212)가 재차 눌리면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뷰티 다기능 헤어롤
100 : 외부롤
110 : 전원구동부
120 : 스프링부
130 : 에어백
140 : 에센스백
141 : 에센스주입구
142 : 체크밸브
150 : 분사노즐
160 : 통공
200 : 내부롤
210 : 배터리홈
211 : 배터리스프링
212 : 푸쉬락스위치
220 : 내부롤커버
230 : 열선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옆면에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외부롤; 및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외부롤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면은 개폐할 수 있는 커버로 구성되고 타면은 중앙부가 볼록한 요철부로 구성되며, 열선이 내장된 내부롤; 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롤은,
    타면 내측에 도넛 형상의 튜브로 위치하며 모발영양제 에센스액을 저장하는 에센스백;
    상기 에센스백의 일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관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노즐이 상기 다수의 통공에 배치되어, 상기 에센스백에서 유입되는 상기 에센스액을 상기 통공을 통해 모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에센스백의 타단에 관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에센스백의 내측에 위치하고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된 도넛 형상의 튜브로써, 상기 에센스백에 공기압을 가압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롤은,
    배터리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며 일면 커버의 내측 중심을 양극단자로 하고, 타면 내측 중심을 음극단자로 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홈; 및
    상기 배터리홈에 수용된 배터리가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이 발생하고, 상기 열은 상기 통공을 통해 모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부롤이 상기 외부롤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요철부가 상기 에어백을 가압하고, 상기 에어백에 저장되었던 공기압이 상기 에센스백으로 송압되고, 상기 송압된 공기압에 의해 상기 에센스액이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외부와 통하는 관 형상의 공기구멍이 구비되어 공기를 흡인하되, 상기 공기구멍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는 흡인하되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에센스백과 연결된 관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에어백에서 에센스백으로 공기가 유출되되 에센스백에서 에어백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되는 것을 포함하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롤은,
    상기 음극단자에 구비되어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는 배터리스프링;
    푸쉬락 방식의 스위치로 상기 내부롤의 요철부에 매립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스프링과 접하는 하단부에 전도체를 부착한 푸쉬락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푸쉬락스위치는 눌려져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스프링과 상기 열선을 연결하여 전원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롤은,
    폐구부 내측면 중심에 형성된 돌기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내부롤이 상기 외부롤에 삽입될 때 상기 푸쉬락스위치를 눌러 전원이 연결되게 하는 전원구동부;
    상기 전원구동부 주위에 복수의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내부롤이 상기 외부롤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때 내부롤과 외부롤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내부롤이 외부롤로부터 분리될 때 쉽게 분리되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뷰티 다기능 헤어롤.
KR1020190075334A 2019-06-25 2019-06-25 뷰티 다기능 헤어롤 KR10215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334A KR102155453B1 (ko) 2019-06-25 2019-06-25 뷰티 다기능 헤어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334A KR102155453B1 (ko) 2019-06-25 2019-06-25 뷰티 다기능 헤어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453B1 true KR102155453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334A KR102155453B1 (ko) 2019-06-25 2019-06-25 뷰티 다기능 헤어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83Y1 (ko) * 2002-12-04 2003-07-16 이만택 퍼머넌트용 로트
CN200976918Y (zh) * 2006-11-17 2007-11-21 黄荣发 无线式电热发卷结构
KR20090006954U (ko) 2008-01-03 2009-07-08 (주)청화메디코스 전열 헤어롤세팅기
JP2012509705A (ja) * 2008-11-25 2012-04-26 パク,ヒャンソク パーマ用ヘアーロッド(haircurlingrodforpermanentwave)
KR20160041578A (ko) 2014-10-08 2016-04-18 박창수 브러시가 결합된 헤어롤
KR101796903B1 (ko) * 2017-09-04 2017-11-14 박옥남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KR101828333B1 (ko) * 2016-01-04 2018-02-20 박경섭 고데기를 겸용한 휴대용 헤어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83Y1 (ko) * 2002-12-04 2003-07-16 이만택 퍼머넌트용 로트
CN200976918Y (zh) * 2006-11-17 2007-11-21 黄荣发 无线式电热发卷结构
KR20090006954U (ko) 2008-01-03 2009-07-08 (주)청화메디코스 전열 헤어롤세팅기
JP2012509705A (ja) * 2008-11-25 2012-04-26 パク,ヒャンソク パーマ用ヘアーロッド(haircurlingrodforpermanentwave)
KR20160041578A (ko) 2014-10-08 2016-04-18 박창수 브러시가 결합된 헤어롤
KR101828333B1 (ko) * 2016-01-04 2018-02-20 박경섭 고데기를 겸용한 휴대용 헤어롤
KR101796903B1 (ko) * 2017-09-04 2017-11-14 박옥남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9106B2 (ja) 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塗布具、及び皮膚表面に製品を塗る際のその使用
US20070135741A1 (en) Massage device including at least two rotary annular lips and method using same
US20180027942A1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US5228465A (en) Hair clamp
US20200397110A1 (en) Hair Treatment Apparatus With Steam Containment
US20150250280A1 (en) Hair wrap devices and methods
KR102155453B1 (ko) 뷰티 다기능 헤어롤
US6278091B1 (en) Removable cloth sleeve with incorporated heating coil
KR100994214B1 (ko) 웨이브 헤어컬용 롯드
KR102219425B1 (ko) 헤어스타일링 및 헤어케어용 헤어브러쉬
CN109965481B (zh) 改善密封的处理头发的装置
KR102111364B1 (ko) 헤어스타일링용 헤어브러쉬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KR100288649B1 (ko) 헤어브러시
KR101671068B1 (ko) 화장용 도구
KR101927304B1 (ko) 화장폼 토출 시스템
KR200496709Y1 (ko) 헤어롯드
KR102236816B1 (ko) 진동 기능을 구비한 모발 관리제 도포 기구
KR102266949B1 (ko) 파마용 롯드
KR102403146B1 (ko) 물결모양 웨이브퍼머 성형기
KR102520920B1 (ko) 기능성 헤어롯드
KR200439323Y1 (ko) 에어브러쉬
KR20130004579U (ko) 안면수축 미용기
KR102490293B1 (ko)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기능을 갖는 속눈썹 고데기
KR101979431B1 (ko) 피부 미용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