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03B1 -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 Google Patents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03B1
KR101796903B1 KR1020170112424A KR20170112424A KR101796903B1 KR 101796903 B1 KR101796903 B1 KR 101796903B1 KR 1020170112424 A KR1020170112424 A KR 1020170112424A KR 20170112424 A KR20170112424 A KR 20170112424A KR 101796903 B1 KR101796903 B1 KR 10179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erm
main body
permanent
fil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남
Original Assignee
박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남 filed Critical 박옥남
Priority to KR102017011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1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in the form of spools or bob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27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with a wrapping strip, e.g.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가 개시된다. 개시된 파마로드는 모발을 감아 와인딩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액배출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을 따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파마로드본체; 일단은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설치되어 모발의 끝단을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바; 상기 파마로드본체가 삽입되며, 모발이 통과되는 모발통과슬릿공이 형성되고, 끝단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오목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볼록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와인딩된 모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된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캡부재; 내부에 파마액 충진챔버와 중화제 충진챔버가 서로 구획형성되며,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충진된 파마액을 배출시키는 제1피스톤부;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충진된 중화제를 배출시키는 제2피스톤부;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PERMANENT ROD HAVING SUPPLY UNIT FOR PERMANENT LIQUID AND NEUTRALIZING AGENT}
본 발명은 파마 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마 로드에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파마액과 중화제를 모발에 공급하면서도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모발에서 바닥으로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 로드에 관한 것이다.
헤어스타일은 사람의 인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며,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고 있다.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는 방법 중에 파마(permanent wave)가 있으며, 이러한 파마는 보통 열이나 화학약품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모발에 원하는 모양의 웨이브를 만들거나 직선으로 펴거나 함으로써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은 연출하는 방법이다.
파마를 하기 위해서는 파마 로드(permanent rod)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파마 로드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로드와, 이 원통형 로드 양단 외주부에 일정간격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공개특허 10-2013-0015752호, 공개특허 10-2017-0073872호)
이러한 종래의 파마 로드를 이용한 파마 방법은, 모발에 적당량의 파마액을 도포한 후, 파마액이 도포된 모발에 파마지를 대고, 이 파마지와 함께 모발을 파마 로드에 필요한 길이만큼 감아 말아주고, 파마 로드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고무줄을 걸어 파마 로드에 감겨진 모발을 파마 로드에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어드라이어, 전용 파마가열기 등을 통해 모발에 열을 가한 다음,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파마 로드에 감긴 모발에 중화제를 뿌려 도포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파마 로드의 굵기와 같은 웨이브가 모발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개특허 10-2013-0015752호 및 공개특허 10-2017-0073872호에 개시된 종래의 파마 로드를 이용하여 파마를 하는 경우, 모발을 말아주는 과정, 고주줄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모발이 꺽이거나 손상되며 심지어 모발이 절단되는 문제가 있으며, 고무줄로 고정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 10-2013-0015752호 및 공개특허 10-2017-0073872호에 개시된 파마 로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무줄을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파마 로드에 감겨진 모발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클립부재를 구비한 파마 로드가 등록실용 20-0415909호에 제시되었고, 밴드부재를 구비한 집게 형태의 파마 로드가 등록특허 10-1456417호에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파마 로드를 이용하게 되면, 파마 로드에 와인딩된 모발을 고무줄, 고정클립부재, 밴드부재 등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모발을 좀 더 파마 로드에 와인딩할 경우, 고정수단을 파마 로드에서 분리한 후, 모발을 파마 로드에 더 감아주고 다시 고정수단으로 와인딩된 모발을 고정시켜 주어야 했기 때문에 대단히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파마 로드를 이용하는 경우, 파마액이 담긴 용기를 모발에 대고 짜서 모발에 파마액을 분사하고, 파마액이 도포된 모발을 파마 로드에 와인딩 하고, 일정시간이 흐른 후, 중화제가 담긴 용기를 파마 로드에 와인딩된 모발에 대고 짜서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해야 하므로, 파마액이나 중화제를 용기로부터 짜서 머리에 도포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발에 도포한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파마 로드로부터 많이 흘러내려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에 파마액과 중화제가 떨어져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파마하는 사람의 옷이나 피부 등에 떨어져 옷을 손상시키거나 피부염을 일으키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3-0015752호 공개특허 10-2017-0073872호 등록실용 20-0415909호 등록특허 10-14564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와인딩하는 모발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파마액과 중화제를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모발에서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 로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모발을 감아 와인딩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액배출공이 형성되며, 일측단부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을 따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파마로드본체; 일단은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힌지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벨크로방식에 의해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모발의 끝단을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외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 상기 파마로드본체가 삽입가능하도록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모발이 통과되는 모발통과슬릿공이 형성되고, 끝단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오목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볼록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와인딩된 모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된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캡부재;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파마액 충진챔버와 중화제 충진챔버가 서로 구획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와 연결되는 제2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액배출공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삽입되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충진된 파마액을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상기 액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1피스톤부;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삽입되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충진된 중화제를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상기 액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2피스톤부; 전기의 공급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을 진동시켜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이 진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에 분사된 상기 파마액이나 상기 중화제가 상기 모발에 용이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진동자;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서 파마액이 완전히 배출된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1피스톤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피스톤부의 선단이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의 끝단에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촉센서;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서 중화제가 완전히 배출된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2피스톤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피스톤부의 선단이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의 끝단에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촉센서; 상기 캡부재의 외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히팅부재, 상기 진동자, 상기 제1접촉센서, 상기 제2접촉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접촉센서로부터 상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를 10초 동안 구동후 상기 히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열공급 경과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접촉센서로부터 상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히팅부재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동자를 10초 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파마로드는 파마로드본체에 모발을 와인딩해주고 캡부재를 파마로드본체에 씌어주면 와인딩된 모발이 풀어지지 않게 고정지지되는 구조로서, 손쉽게 모발 와인딩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이 와인딩된 상태에서, 캡부재에 대해 파마로드본체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추가적으로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되는 모발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한 웨이브 파마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마로드는 주사기와 같이 제1피스톤부와 제2피스톤부를 순차적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손쉽게 모발에 파마액과 중화액을 도포할 수 있는 파마액과 중화제의 공급기능을 가지고 있어, 신속하고 용이한 파마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피스톤부를 누름완료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진동자를 가동시켜 파마액이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져 도포되게 해주고, 히팅부재를 구동시켜 모발에 열처리를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지 않고 손쉽게 파마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에 열처리 시간이 표시됨으로써, 해당 모발의 열처리 시간을 체크하여 정확한 시간에 열처리를 마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뚜렷하고 원하는 웨이브 파마가 형성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피스톤부의 누름완료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히팅부재를 자동정지시키고, 진동자를 구동시켜 중화제가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지게 도포되게 해주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파마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마로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마로드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파마로드에서 파마로드본체에 모발이 와인딩된 상태에서, 캡부재가 파마로드본체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파마로드에서 캡부재에 형성된 볼록돌기가 파마로드본체에 형성된 오목홈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셔터부재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파마로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마로드(100)는 파마로드본체(110), 고정바(120), 실린더부재(130), 제1피스톤부(140), 제2피스톤부(150), 캡부재(160), 셔터부재(170), 히팅부재(181), 진동자(182), 디스플레이부(183), 제1접촉센서(186), 제2접촉센서(187) 제어부(18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파마로드본체(1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 상에는 복수의 액배출공(111a)이 관통형성된다.
파마로드본체(110)는 양측부에 외경이 확장되는 제1확장부(112) 및 제2확장부(113)가 구비되며, 제2확장부(113)는 제1확장부(112) 보다 외경이 크도록 구성되며, 제2확장부(113)에는 단차부(114)가 구비되고, 이 단차부(114)는 제1확장부(112)와 외경이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단차부(114)의 외주면에는 균등간격으로 복수의 오목홈(114a)이 형성된다.
고정바(120)는 소정길이를 갖는 스틱형태로 이루어지며 파마로드본체(1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고정바(120의 일단은 파마로드본체(110)의 일측 외주면 상에 형성된 회전지지편(122)과 힌지핀(h)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고정바(120)의 타단은 벨크로부재(124)가 구비되어, 파마로드본체(110)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벨크로부재(124)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구성되며, 암벨크로가 고정바(120)의 타단에 구비되고, 수벨크로는 고정바(120)의 타단과 마주하는 파마로드본체(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암벨크로와 수벨크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 고정바(12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120)를 파마로드본체(110)에 대해 벌린 후, 모발의 끝단을 파마로드본체(110)에 놓고, 고정바(120)를 파마로드본체(110)에 오므려지도록 회전시킨 후, 벨크로부재(124)의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를 결합함으로써, 고정바(120)가 모발의 끝단을 파마로드본체(110)의 외면에 가압함으로써, 모발의 끝단이 파마로드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실린더부재(130)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두 공간으로 구획되어 파마액충진챔버(132)와 중화제충진챔버(1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부재(130)의 선단에는 파마액충진챔버(132)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134)가 형성되고, 중화제충진챔버(133)와 연결되는 제2배출구(135)가 형성된다.
실린더부재(130)는 파마로드본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부재(130)와 파마로드본체(110) 사이에 연결유로(s)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 연결유로(s)는 제1배출구(134) 및 제2배출구(135)와 액배출공(111a)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배출구(134)에는 고무재질의 제1개폐판(136)이 설치되고, 제2배출구(135)에는 고무재질의 제2개폐판(137)이 구비된다. 제1개폐판(136)은 일부분이 제1배출구(13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제1피스톤부(140)의 푸쉬동작에 의해 파마액충진챔버(132)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제1개폐판(136)이 제1배출구(134)를 개방시킴으로써, 파마액충진챔버(132)에 충진된 파마액(L1)가 제1배출구(134)를 통해 연결유로로(s)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출구(134)를 통해 파마액(L1)이 배출되어 파마액충진챔버(132) 내의 압력이 원상태로 복귀되면 제1개폐판(136)은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제1배출구(134)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개폐판(137)은 일부분이 제2배출구(135)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제2피스톤부(150)의 푸쉬동작에 의해 중화제충진챔버(133)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제2개폐판(137)이 제2배출구(135)를 개방시킴으로써, 중화제충진챔버(133)에 충진된 중화제(L2)가 제2배출구(135)를 통해 연결유로(s)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배출구(135)를 통해 중화제(L2)가 배출되어 중화제충진챔버(1132) 내의 압력이 원상태로 복귀되면 제2개폐판(137)은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제2배출구(135)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1피스톤부(140)는 통상의 피스톤과 같이 지지대(141)와, 이 지지대(141)의 선단에 형성된 피스톤몸체(143)와, 지지대(141)의 후단에 형성된 누름판(145)으로 구성된다. 피스톤몸체(14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파마액충진챔버(132)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누름판(145)을 가압하면, 피스톤몸체(143)가 전진하여 파마액충진챔버(132) 내의 파마액(L1)이 제1배출구(134)를 통해 연결유로(s)로 배출된 후, 액배출공(114a)을 통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될 수 있다.
제2피스톤부재(150)는 제1피스톤부재(1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피스톤부재(150)는 지지대(151), 피스톤몸체(153), 누름판(155)으로 구성되며, 이 피스톤몸체(153)는 중화제충진챔버(133)의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제2피스톤부재(150)의 누름판(155)을 누르면, 피스톤몸체(155)가 전진하여 중화제충진챔버(133) 내의 중화제(L2)가 제2배출구(134)를 통해 연결유로(s)로 배출된 후, 액배출공(114a)을 통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될 수 있다.
캡부재(16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모발이 통과되는 모발통과슬릿공(162)이 형성된다. 캡부재(160)의 개방된 부분의 끝단 내주면에는 복수의 오목홈(114a)에 삽입되는 복수의 볼록돌기(163)가 돌출형성된다.
파마로드본체(110)에 소정길이의 모발을 끝단부터 와인딩 한 상태에서, 와인딩되지 않은 모발이 모발통과슬릿공(162)에 측단부터 끼워지면서 파마로드본체(110)가 캡부재(16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되도록 캡부재(160)를 파마로드본체(110)에 씌울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복수의 오목홈(114a)에 복수의 볼록돌기(163)가 삽입됨으로써,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반고정상태로 고정된다. 사용자는 캡부재(160)와 파마로드본체(11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캡부재(160)와 파마로드본체(110)를 소정각도 회전조작한 후 회전조작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복수의 블록돌기(163)가 삽입되어 있던 오목홈(114a)을 타고 넘어 외주방향의 다음에 위치한 오목홈(114a)에 삽입되어 회전된 상태에서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반고정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셔터부재(170)는 캡부재(160)에서 모발통과슬릿공(162)의 폭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설치되어, 모발통과슬릿공(162)에 모발이 통과된 상태에서 모발과 모발통과슬릿공(162) 사이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캡부재(160)는 모발통과슬릿공(162)이 형성하는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홈(164)이 형성되고, 셔터부재(170)가 이 슬라이딩홈(164)에서 인출되거나 이 슬라이딩홈(164)으로 인입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캡부재(160)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홈(164)과 연결되는 소정길이의 절개공(166)이 형성되고, 셔터부재(170)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절개공(166)을 통해 캡부재(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레버(17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조작레버(173)를 전진시킴으로써, 도 5의 (b)와 같이, 셔터부재(170)가 슬라이딩홈(164)에서 인출되도록 하여 셔터부재(170)의 끝단(171)이 모발통과슬릿공(162)에 통과되어진 모발(10)에 접촉됨으로써, 캡부재(160)의 밀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히팅부재(181)는 전기의 공급에 따라 발열하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지며, 캡부재(160)의 내주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히팅부재(181)가 발열되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진동자(182)는 도 1과 같이 파마로드본체(11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제어부(188)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파마로드본체(110)가 진동되게 함으로써,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된 파마액 또는 중화제가 모발에 신속하게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83)는 캡부재(16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88)에 의해 제어되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열이 공급된 경과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1접촉센서(186) 및 제2접촉센서(187)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며, 제1접촉센서(186)는 제1피스톤부(140)의 선단 즉, 제1피스톤몸체(143)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피스톤몸체(143)가 전진하여 파마액충진챔버(132)의 끝단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를 제어부(188)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접촉센서(186)는 제1피스톤몸체(143)가 진진하여 파마액충진챔버(132)의 끝단에 접촉됨으로써, 파마액충진챔버(132) 내의 파마액(L1)이 완전히 배출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접촉센서(187)는 제2피스톤부(150)의 선단 즉, 제2피스톤몸체(153)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2피스톤몸체(153)가 전진하여 중화제충진챔버(133)의 끝단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를 제어부(188)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접촉센서(187)는 제2피스톤몸체(153)가 진진하여 중화제충진챔버(133)의 끝단에 접촉됨으로써, 중화제충진챔버(133) 내의 중화제(L2)가 완전히 배출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88)는 히팅부재(181), 진동자(182), 디스플레이부(183), 제1접촉센서(186), 제2접촉센서(187)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88)는 캡부재(16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88)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8)는 제1접촉센서(186)로부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진동자(182)를 10초 동안 구동한 후 히팅부재(181)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83)에 열이 모발에 공급되는 경과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8)는 제2접촉센서(187)로부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히팅부재(181)에 전원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진동자(182)를 10초 동안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팅부재(181) 및 진동자(182), 디스플레이부(183) 등의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유선방식으로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캡부재(160)에 배터리(192)를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이 배터리(19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192)의 교체를 위해 캡부재(160)의 측단에는 배터리교체용 도어(193)가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마로드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파마액을 파마액충진챔버(132)에 소정량 충진하고, 중화제를 중화제충진챔버(133)에 소정량 충진한 후, 제1피스톤부(140)를 파마액충진챔버(132)에 삽입하고, 제2피스톤부(150)를 중화제충진챔버(133)에 삽입하여 준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바(120)를 파마로드본체(110)에 대해 벌리고, 그 사이에 파마대상자의 모발을 파마로드본체(110)에 올려 놓고 고정바(120)를 오므려 벨크로부재(124)를 결합하여, 모발의 끝단을 파마로드본체(1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파마로드본체(110)를 회전시켜, 파마로드본체(110)에 소정길의 모발을 와인딩 한 후, 캡부재(160)를 파마로드본체(110)에 씌워서 감싸도록 조립한다. 이때,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되지 않은 모발의 말단은 모발통과슬릿공(162)을 통과한 형태가 되며, 캡부재(160)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돌기(163)가 파마로드본체(110)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14a)에 삽입되어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반고정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모발이 와인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발을 좀더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하고자 하는 경우, 캡부재(160)를 파마모드본체(11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한손으로 캡부재(160)를 잡고, 다른 손으로 파마로드본체(110)의 측단을 잡아 파마로드본체(110)를 캡부재(160)에 대해 회전시키면, 모발이 좀더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블록돌기(163)가 삽입되어 있던 오목홈(114a)을 타고 넘어 외주방향의 다음에 위치한 오목홈(114a)에 삽입됨으로써, 소정량 회전된 상태에서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에 반고정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파마로드본체(110)를 캡부재(16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 일부를 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피스톤부(140)의 누름판(145)을 눌러주면, 피스톤몸체(143)가 전진하고, 이에 따라 도 6의 점선과 같이 제1개폐판(136)이 열리면서 파마액충진챔버(132)에 충진된 파마액(L1)이 연결유로(s)를 거쳐 액배출공(111a)들을 통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되게 된다. 이때, 액배출공(111a)은 도 3과 같이, 파마로드본체(110)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에 직각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좀더 넓은 범위로 파마액(L1)을 배출시킬 수 있다.
파마액충진챔버(132) 내의 파마액(L1)이 파마액충진챔버(132)에서 전부다 배출된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몸체(143)의 선단이 파마액충진챔버(132)의 끝단에 접촉되면, 제1접촉센서(186)가 이를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가 제어부(188)에 출력되고, 제어부(188)는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진동자(182)를 10초동안만 구동하다가 정지시킨 후, 히팅부재(181)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팅부재(181)가 발열되도록 제어하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83)에 히팅부재(181)가 발열하는 경과시간 표시한다.
진동자(182)가 10초동안 구동되면, 파마로드본체(110)가 진동되면서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된 파마액이 흔들리면서 골고루 퍼지게 되고, 연결유로(s)에 남아 있던 파마액도 액배출공(111a)을 통해 배출되어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인딩된 모발에 파마액이 골고루 도포되게 된다.
이때, 파마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된 파마액이 모발에서 떨어질 수도 있으나, 캡부재(160)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캡부재(160)에 의해 파마액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특히, 파마로드본체(110)에 모발을 와인딩하는 과정 후, 조작레버(166)를 조작하여, 셔터부재(170)를 모발통과슬릿공(170)의 폭방향 내측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캡부재(160)의 밀폐도를 높여줘 더욱더 모발에 도포된 파마액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진동자(182)가 10초 동안 구동 후에는 히팅부재(181)의 열이 파마액이 도포된 모발에 전달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3)를 통해 모발에 대한 열공급 경과시간을 보면서 모발의 열처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일정시간이 흐른 후, 디스플레이부(183)의 열공급 경과시간을 통해 열처리 시간이 끝났다고 생각이 들면, 사용자는 제2피스톤부(150)의 누름판(155)을 누른다.
이렇게 사용자가 제2피스톤부(150)를 눌러주면, 피스톤부(150)가 전진하여 도 6의 점선과 같이 제2개폐판(137)이 열리면서 중화제충진챔버(133)에 충진된 중화제(L2)가 연결유로(s)를 거쳐 액배출공(111a)들을 통해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되게 된다.
중화제충진챔버(133) 내의 중화제(L2)가 중화제충진챔버(133)에서 전부다 완전히 배출된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몸체(153)의 선단이 중화제충진챔버(133)의 끝단에 접촉되면, 제2접촉센서(187)가 이를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가 제어부(188)에 출력되고, 제어부(188)는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히팅부재(181)에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히팅부재(181)의 가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진동자(182)를진동자(182)를 10초동안만 구동하다가 정지시킨다.
진동자(182)가 10초동안 구동되면, 파마로드본체(110)가 진동되면서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배출된 중화제가 흔들리면서 골고루 퍼지게 되고, 연결유로(s)에 남아 있던 중화제도 액배출공(111a)을 통해 배출되어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지게 됨으로써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중화제가 골고루 도포되게 된다.
이때,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된 중화제가 모발에서 떨어질 수도 있으나, 캡부재(160)가 파마로드본체(110)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캡부재(160)에 의해 중화제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용자는 캡부재(160)를 파마로드본체(110)에서 분리하고,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을 풀어주어 본 발명의 파마로드를 모발에서 모두 제거한 후, 모발샴푸 및 건조를 하여 웨이브파마시술이 완료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파마로드(100)를 이용하여 파마를 하게 되면, 손쉽게 파마로드본체(110)에 와인딩된 모발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에 따라 쉽게 모발을 좀더 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어, 모발 와인딩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마로드는 주사기 방식으로 제1피스톤부(140)와 제2피스톤부(150)를 누름조작함으로써, 손쉽게 모발에 파마액이나 중화제를 도포할 수 있는 파마액과 중화제의 공급기능을 가지고 있어, 보다 손쉽게 파마를 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제1피스톤부(140)의 누름이 완료되면 제어부(188)가 제1접촉센서(186)의 신호를 감지하여, 10초 동안 진동자(182)를 구동시켜, 파마액이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지게 도포되게 해주고, 히팅부재(181)를 구동하여 모발에 열처리를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지 않고 손쉽게 파마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3)에 열처리 시간이 표시됨으로써, 해당 파마로드의 열처리 시간을 체크하여 정확한 시간에 열처리를 마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뚜렷하고 원하는 웨이브 파마가 형성되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제2피스톤부(150)의 누름이 완료되면 제어부(188)가 제2접속센서(187)의 신호를 감지하여, 히팅부재(181)를 정지시키고 10초 동안 진동자(182)를 구동시켜, 중화제가 와인딩된 모발에 골고루 퍼지게 도포되게 해주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파마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모발
110...파마로드본체
111a...액배출공
112,113...확장부
114...단차부
114a...오목홈
120...고정바
124...벨크로부재
130...실린더부재
132...파마액충진챔버
133...중화제충진챔버
134...제1배출구
135...제2배출구
136...제1개폐판
137...제2개폐판
140...제1피스톤부
150..제2피스톤부
160...캡부재
162...모발통과스릿공
163...볼록돌기
170...셔터부재
181...히팅부재
182...진동자
183...디스플레이부
186...제1접촉센서
187...제2접촉센서
188...제어부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모발을 감아 와인딩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액배출공이 형성되며, 일측단부 외주면에는 소정간격을 따라 복수의 오목홈이 형성된 파마로드본체;
    일단은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힌지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벨크로방식에 의해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모발의 끝단을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외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
    상기 파마로드본체가 삽입가능하도록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모발이 통과되는 모발통과슬릿공이 형성되고, 끝단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오목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볼록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와인딩된 모발이 풀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인딩된 모발에 도포된 파마액이나 중화제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캡부재;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파마액 충진챔버와 중화제 충진챔버가 서로 구획형성되며, 전단에는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와 연결되는 제2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상기 액배출공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삽입되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 충진된 파마액을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상기 액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1피스톤부;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삽입되어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푸쉬조작에 의해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 충진된 중화제를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 상기 액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2피스톤부;
    전기의 공급에 따라 열을 발산하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에 열을 가하는 히팅부재;
    상기 파마로드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마로드본체을 진동시켜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이 진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파마로드본체에 와인딩된 모발에 분사된 상기 파마액이나 상기 중화제가 상기 모발에 용이하게 도포되도록 하는 진동자;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에서 파마액이 완전히 배출된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1피스톤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피스톤부의 선단이 상기 파마액충진챔버의 끝단에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촉센서;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에서 중화제가 완전히 배출된 것을 검출하도록 상기 제2피스톤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피스톤부의 선단이 상기 중화제충진챔버의 끝단에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촉센서;
    상기 캡부재의 외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히팅부재, 상기 진동자, 상기 제1접촉센서, 상기 제2접촉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접촉센서로부터 상기 제1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자를 10초 동안 구동후 상기 히팅부재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열공급 경과시간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접촉센서로부터 상기 제2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히팅부재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진동자를 10초 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마로드.



KR1020170112424A 2017-09-04 2017-09-04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KR10179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24A KR101796903B1 (ko) 2017-09-04 2017-09-04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24A KR101796903B1 (ko) 2017-09-04 2017-09-04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903B1 true KR101796903B1 (ko) 2017-11-14

Family

ID=6038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24A KR101796903B1 (ko) 2017-09-04 2017-09-04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53B1 (ko) * 2019-06-25 2020-09-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뷰티 다기능 헤어롤
KR20210074845A (ko) * 2019-12-12 2021-06-22 김상원 파마용 헤어로드
KR20210127355A (ko) * 2020-04-14 2021-10-22 김상원 피스톤 캡슐 조립체, 로드 바디부 및 그를 갖는 파마용 헤어로드
WO2022131402A1 (ko) * 2020-12-14 2022-06-23 김현태 퍼머용 로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224Y1 (ko) 2001-07-23 2002-01-18 이한성 파마로드
JP2012509705A (ja) 2008-11-25 2012-04-26 パク,ヒャンソク パーマ用ヘアーロッド(haircurlingrodforpermanentwave)
WO2013122308A1 (ko) 2012-02-17 2013-08-22 Seo Yeon O 퍼머롯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224Y1 (ko) 2001-07-23 2002-01-18 이한성 파마로드
JP2012509705A (ja) 2008-11-25 2012-04-26 パク,ヒャンソク パーマ用ヘアーロッド(haircurlingrodforpermanentwave)
WO2013122308A1 (ko) 2012-02-17 2013-08-22 Seo Yeon O 퍼머롯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53B1 (ko) * 2019-06-25 2020-09-11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뷰티 다기능 헤어롤
KR20210074845A (ko) * 2019-12-12 2021-06-22 김상원 파마용 헤어로드
KR102269394B1 (ko) 2019-12-12 2021-06-28 김상원 파마용 헤어로드
KR20210127355A (ko) * 2020-04-14 2021-10-22 김상원 피스톤 캡슐 조립체, 로드 바디부 및 그를 갖는 파마용 헤어로드
KR102366517B1 (ko) * 2020-04-14 2022-02-24 김상원 피스톤 캡슐 조립체, 로드 바디부 및 그를 갖는 파마용 헤어로드
WO2022131402A1 (ko) * 2020-12-14 2022-06-23 김현태 퍼머용 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03B1 (ko) 파마액 및 중화제 공급기능을 구비한 파마로드
KR101796904B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악세사리를 구비한 파마용 헤어컬링장치
US10485319B2 (en)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and associated refill
EP3086687B1 (en)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US20150289622A1 (en) Device for treating hair
CN106061318B (zh) 处理头发的装置及相关的再填充器
JP2017502757A (ja) 毛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補給器
US10238198B2 (en) Automatic hair washing device
WO2013051427A1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3895723B2 (ja) 毛髪製品をハイライト用に塗布する装置
KR101938704B1 (ko) 모발 관리용 헤어클립
US8418882B2 (en) Applicator
US6390101B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EP3086685B1 (en)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and associated refill
US4834120A (en) Hair cosmetic treatment apparatus
USRE30866E (en) Hair curling implement
US20030015210A1 (en) Self-contained applicator for applying fluid
KR102523666B1 (ko) 약액 공급이 가능한 빗
JP6276312B2 (ja) ある量のケラチン繊維上に美容成分を閉じ込めるためのデバイス、キット、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4763528B2 (ja) 毛髪用塗布具
JP2504680Y2 (ja) 液状物の塗布具
KR100442971B1 (ko) 퍼머용 컬러
KR980008102A (ko) 내장용액의 분출이 가능한 빗
US20130092184A1 (en) Hair perming rods
RU624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волосяной и/или кожный покров тела человека или животног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