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451B1 -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51B1
KR102155451B1 KR1020190072086A KR20190072086A KR102155451B1 KR 102155451 B1 KR102155451 B1 KR 102155451B1 KR 1020190072086 A KR1020190072086 A KR 1020190072086A KR 20190072086 A KR20190072086 A KR 20190072086A KR 102155451 B1 KR102155451 B1 KR 10215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ckaging sheet
cap
caps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칠
Original Assignee
김호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칠 filed Critical 김호칠
Priority to KR102019007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553/02Shock absorbing
    • B32B2553/026Bubble film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시트를 가압하여 복수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1회의 공정을 통해 상기 포장시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A packaging sheet with improved shelf lif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시트를 가압하여 복수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1회의 공정을 통해 상기 포장시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포장물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 아니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포장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전기전자제품이나 범퍼, 휀다 및 도어 등과 같은 자동차 부품을 포장함에 있어서는 대개 제1발포지시트 또는 에어캡 포장시트를 이용하여 종이박스 내부에서 박스벽체 내면으로부터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부품을 이격시켜, 포장물품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에어캡 포장시트의 경우 셀단위로 폐쇄된 에어캡에 의해 필연적으로 부피가 크고, 이에 배송 등의 물류비용이 과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보관 및 운반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을 각각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52100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52101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2821호(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한다.)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2의 경우, 포장시트의 부피 최소화를 위해 상기 포장시트의 타측부를 절단한 후 한쌍의 회전롤러를 통해 상기 포장시트를 압착하여 상기 포장시트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 2회의 번거로운 공정이 요구되고, 선행기술 3의 경우, 포장시트의 부피 최소화를 위해 상기 포장시트의 일부분을 커팅 또는 바틀로 찌른 후 한쌍의 회전롤러를 통해 상기 포장시트를 압착하여 상기 포장시트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는 2회의 번거로운 공정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52100호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52101호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7282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포장시트를 가압하여 복수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1회의 공정을 통해 상기 포장시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상측으로 볼록한 캡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성형된 캡시트의 바닥면과 하부시트를 접합하고, 상기 캡시트의 캡의 상부면에 상부시트를 접합하여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포장시트를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포장시트의 폐쇄된 복수의 캡을 이루는 벽을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와; c)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가 누출된 포장시트를 롤상태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캡시트의 두께는 상기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상기 포장시트를 공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포장시트의 폐쇄된 복수의 캡을 이루는 벽을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는 상기 포장시트를 제 1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시트의 폐쇄된 복수의 캡을 이루는 벽을 터트리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캡의 벽이 터진 포장시트를 제 2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시트를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복수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1회의 공정을 통해 상기 포장시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캡시트로부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3은 캡시트에 하부시트와 상부시트가 각각 접합되어 제조된 일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포장시트를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포장시트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가압롤러가 포장시트의 공급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가압롤러가 포장시트의 공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공기가 누출된 포장시트를 롤상태로 권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복수의 가압롤러로 포장시트를 가압하여 포장시트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로부터 체크밸브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가장자리부위가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체크밸브를 통해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다른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다른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포장시트 제조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공기 누출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및 c) 포장시트 권취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캡시트로부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3은 캡시트에 하부시트와 상부시트가 각각 접합되어 제조된 일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캡시트(110), 하부시트(120) 및 상부시트(130)로 이루어지는 포장시트(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캡시트(110)의 상부에는 상기 캡시트(110)의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캡(111)이 진공 성형롤러 등에 의해 상기 캡시트(110)의 일측에서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11)은 상기 캡시트(110)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는 환형의 측벽시트(111a)와; 환형의 상기 측벽시트(111a)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어 환형의 상기 측벽(111a)의 상부를 폐쇄하는 마감시트(1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시트(120)는 상기 캡시트(110)의 바닥면에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130)는 상기 캡시트(110)의 캡(111)의 상부면에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캡시트(110), 하부시트(120) 및 상부시트(13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 재질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포장시트를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포장시트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가압롤러(11)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캡시트(110), 하부시트(120) 및 상부시트(130)로 이루어지는 상기 포장시트(10)의 폐쇄된 복수의 상기 캡(111)을 이루는 환형의 측벽시트(111a)를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111) 내의 공기를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이다.
한 쌍의 가압롤러(11) 사이를 상기 포장시트(10)가 통과하는 과정 중에 복수의 상기 캡(111)의 측벽시트(111a)가 용이하게 터트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 사이의 상하폭(W1)은 상기 포장시트(10)의 상하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압롤러(11) 사이를 상기 포장시트(10)가 통과하는 과정 중에 복수의 상기 캡(111)의 측벽시트(111a)가 더욱 용이하게 터트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캡시트(110)의 캡(111)의 측벽시트(111a)의 좌우두께(T1)는 상기 하부시트(120)의 상하두께와 상기 캡(111)사이의 상기 캡시트(110)의 부위의 상하두께를 합한 상하두께(T2) 및 상기 상부시트(130)의 상하두께와 상기 캡(111)의 마감시트(111b)의 상하두께를 합한 상하두께(T3)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T1 < T2,T3)
상기 포장시트(10)를 한쌍의 상기 가압롤러(11)로 가압하여 복수의 캡(11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1회의 공정을 통해 상기 포장시트(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가압롤러가 포장시트의 공급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포장시트(10)는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공급되면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포장시트(10)의 공급방향(도 5의 적색화살표 참조.)과 직각을 이루도록 직교방향(도 5의 녹색중심선 참조.)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시트(10)를 가압하여 상기 포장시트(10)의 폐쇄된 복수의 상기 캡(111)을 이루는 측벽시트(111a)를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111) 내의 공기를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로 누출시킬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캡(111)으로터 누출되는 공기가 다른 하나의 캡(111)으로부터 누출되는 공기와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공기누출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가압롤러가 포장시트의 공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 상기 포장시트(10)의 공급방향(도 6의 적색화살표 참조.)에 대해 사선방향(도 6의 녹색 중심선 참조.)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포장시트(10)의 전측부 일측에서 후측부 타측방향으로 경사 또는 상기 포장시트(10)의 전측부 타측에서 후측부 일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선방향(도 6의 녹색 중심선 참조.)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로 상기 포장시트(10)의 가압할 경우 다른 행의 폐쇄된 복수의 캡(111)을 이루는 측벽시트(111a)를 각각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를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로 누출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어느 하나의 캡(111)으로터 누출되는 공기가 다른 하나의 캡(111)으로부터 누출되는 공기와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어 공기누출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7은 공기가 누출된 포장시트를 롤상태로 권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된 상기 포장시트(10)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취롤러(12)의 외면에 롤식으로 권취하는 단계이다.
도 8 및 도 9는 복수의 가압롤러로 포장시트를 가압하여 포장시트의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가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한 쌍의 가압롤러(11)를 통해 상기 포장시트(10)를 복수회로 순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예로, 한 쌍의 가압롤러(1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시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한 쌍의 제 1가압롤러(11a) 및 한쌍의 제 2가압롤러(11b)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 1가압롤러(11a) 사이의 상하폭(W3)은 상기 포장시트(10)의 상하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제 2가압롤러(11b)는 서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b1)1차 포장시트 가압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b2)2차 포장시트 가압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잇다.
상기 b1)단계는 한 쌍의 상기 제 1가압롤러(11a) 사이로 상기 포장시트(10)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상기 제 1가압롤러(11a)의 1차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시트(10)의 폐쇄된 복수의 캡(111)을 이루는 측벽시트(111a)를 터트리는 단계이다.
상기 b2)단계는 복수의 상기 캡(111)의 측벽시트(111a)가 터진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상기 제 2가압롤러(11a)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상기 제 2가압롤러(11b)의 2차 가압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를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이다.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가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방향으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예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11)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시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제 1가압롤러(11a), 한 쌍의 상기 제 2가압롤러(11b) 및 한쌍의 제 3가압롤러(11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제 2가압롤러(11b) 사이의 상하폭(W4)은 한 쌍의 상기 제 1가압롤러(11a) 사이의 상하폭(W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상기 제 3가압롤러(11c)는 서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b3)3차 포장시트 가압단계(이하, 'b3)단계'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b3)단계는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상기 제 3가압롤러(11c)사이로 통과시키면서 상기 포장시트(10)를 한 쌍의 상기 제 3가압롤러(11c)의 3차 가압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캡(111)내의 공기를 상기 포장시트(10)의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로부터 체크밸브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권취롤러(12)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포장시트(10)는 절단기 등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일예로, 일정길이로 절단된 상기 포장시트(10)의 하부시트(120)의 일측과 상부시트(130)의 일측 사이에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가장자리부위가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장시트(10)의 일측, 타측,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 13은 체크밸브를 통해 본 발명인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13)를 통해 상기 포장시트(10)의 내측과 상기 캡(111)의 내부로 공기를 충진시켜 상기 포장시트(10)의 부피를 팽창시킬 수 있다.
도 14는 다른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다른예의 포장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a)단계의 상기 포장시트(10)는 다른예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캡시트(110a)와 제 2캡시트(110b)로 이루어지는 캡시트(110), 하부시트(120), 상부시트(130) 및 중간시트(14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캡시트(110a)의 하부에 상기 하부시트(120)가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캡시트(110a)의 캡(111)의 상부면에 상기 중간시트(140)가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시트(140)의 상부면에 상기 제 2캡시트(110b)가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캡시트(110b)의 캡(111)의 상부면에 상기 상부시트(130)가 융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10; 포장시트, 110; 캡시트,
111; 캡, 120; 하부시트,
130; 상부시트, 11; 가압롤러.

Claims (5)

  1. a) 상측으로 볼록한 캡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성형된 캡시트의 바닥면과 하부시트를 접합하고, 상기 캡시트의 캡의 상부면에 상부시트를 접합하여 포장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포장시트를 공급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가압롤러로 가압하여 상기 포장시트의 폐쇄된 복수의 캡을 이루는 벽을 터트리면서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와;
    c)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가 누출된 포장시트를 롤상태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캡시트의 두께는 상기 하부시트 및 상기 상부시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포장시트를 제 1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시트의 폐쇄된 복수의 캡을 이루는 벽을 터트리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캡의 벽이 터진 포장시트를 제 2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캡 내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5. 삭제
KR1020190072086A 2019-06-18 2019-06-18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86A KR102155451B1 (ko) 2019-06-18 2019-06-18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86A KR102155451B1 (ko) 2019-06-18 2019-06-18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451B1 true KR102155451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86A KR102155451B1 (ko) 2019-06-18 2019-06-18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197A (ja) * 2001-04-12 2002-10-23 Bridgestone Corp 接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着方法
KR101752101B1 (ko)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KR101752100B1 (ko)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KR101772821B1 (ko) 2016-09-13 2017-08-29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197A (ja) * 2001-04-12 2002-10-23 Bridgestone Corp 接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接着方法
KR101752101B1 (ko)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KR101752100B1 (ko) 2016-09-13 2017-06-30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KR101772821B1 (ko) 2016-09-13 2017-08-29 김호칠 단열성 및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041B2 (en) Method for producing packing sheet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storage properties
US11020890B2 (en) Method for producing packing sheet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storage properties
US20080193055A1 (en) Inflatable bag for bottles packaging
US62793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ir cell dunnage
KR102155451B1 (ko) 보관성이 향상된 포장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4536B2 (ja)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EP3018071B1 (en) Packaging for protecting obje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6064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sheet
CN109689364B (zh) 隔热性以及保管性得到提升的包装膜的制造方法
JP2002037341A (ja) 商品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982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sheet
KR100731542B1 (ko)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077567A1 (en) Airbag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JP2009137589A (ja) 気体注入式緩衝包装材
CN216510153U (zh) 一种抗震效果好的便捷式气泡袋
JP4334612B2 (ja) 気体収納方法
JP6830780B2 (ja) フィルム包装体およびフィルム包装体の製造方法
JP4397430B2 (ja) 梱包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