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36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364B1
KR102155364B1 KR1020180039403A KR20180039403A KR102155364B1 KR 102155364 B1 KR102155364 B1 KR 102155364B1 KR 1020180039403 A KR1020180039403 A KR 1020180039403A KR 20180039403 A KR20180039403 A KR 20180039403A KR 102155364 B1 KR102155364 B1 KR 10215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utton
elevator
down button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6014A (en
Inventor
백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아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아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아앤테크
Priority to KR102018003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364B1/en
Publication of KR2019011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UP)/하(DOWN)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UP)/하(DOWN) 버튼 입력되면,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면,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된 후, 상(UP)/하(DOWN) 버저(BUZZER)를 출력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erefor are disclosed. Specifically, in the elevator control method in the elevator control metho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UP/DOWN button has been input, and when the UP/DOWN button is input, the UP/DOWN button is input. Detecting whether the DOWN button lamp is turned on, and when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n, detecting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 is turned off, and After the (UP)/DOWN button lamp is turned off, the UP/DOWN buzzer is output and the UP/DOWN button lamp (LAMP) flashes. It may include step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Eleva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장애인 엘리베이터의 타는 곳(이하 "승장" 또는 홀(Hall)"이라고 함)에서 엘리베이터 도착 알림 경보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승장에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면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에 따라 음향을 달리하여 알려주고, 시각적으로 표시장치를 점멸하는 장치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rrival notification alarm and display device at a boarding place of an elevator for a disabled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ard" or a hall"), and the arrival of an elevator when an elevator arrives at the elevator platform for the visually and deaf peo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device for visually blinking a display device informing different sounds according to directions.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과 같은 종래 구성도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데이터 전송을 하는 통신 네트워크(22)를 구성하여 각 층의 승장(Hall 이라고도 함)의 홀 네트워크(HN: Hall Network) 제어 보드(21)는 상(UP)/하(DOWN) 각 버튼(27, 28)의 입력을 받아 통신 네트워크(22)로 데이터를 제어반으로 전송한다. 제어반은 등록 가능 층을 확인하여 버튼 점등신호를 HN 제어 보드(21)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의 램프(LAMP)를 점등한다. 1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diagram as shown in FIG. 1, a communication network 22 that transmits data with an elevator control panel is configured, so that the Hall Network (HN) control board 21 of each floor (also referred to as Hall) is (UP)/DOWN (DOWN) It receives the input of each button (27, 28)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2) to the control panel. The control panel checks the registerable floor and transmits the button lighting signal to the HN control board 21 to light the elevator button lamp (LAMP).

엘리베이터가 도착 전에 승객에게 알림을 주기 위하여 청각적으로 UP 챠임(25) 또는 DOWN 차임(26)을 방향에 따라 다른 소리로 알려주며, 시각적으로는 UP HALL 랜턴(23) 또는 DOWN HALL 랜턴(24)를 깜박이며 알려주게 된다. In order to notify passengers before the elevator arrives, it audibly informs the UP chime (25) or the DOWN chime (26) with different soun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visually uses the UP HALL lantern (23) or the DOWN HALL lantern (24). It flashes and informs you.

엘리베이터가 거의 도착되면 (통상 30cm 정도) 되면 버튼의 램프가 소등된다. When the elevator almost arrives (usually around 30cm), the button lamp goes out.

출원번호 10-1997-0044048 특허에 따르면 일반용 엘리베이터 2대 이상의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그룹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식에 있어서, 승장 부름 콜(call)에 대응하여 할당 받은 엘리베이터의 할당 여부를 표시하는 홀 랜턴(Hall Lantern), 엘리베이터 도착 예보를 알려주는 HALL 챠임(Hall Chime)을 각 층에 설치된 홀 제어기에서 신호를 출력해주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patent application No. 10-1997-0044048, in an elevator control method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elevators of two or more general elevators as a group, a hall lanter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ssigned elevator is assigned in response to a call Hall Lantern), a hall chime that informs the elevator arrival forecast, and a method of outputting a signal from a hall controller installed on each floor was proposed.

다만, 위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방식을 이용할 때, 종래 홀 랜턴, 홀 챠임을 고급용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면 승장에 홀 랜턴 및 승강로에 챠임 설치가 고가의 비용이 들고, 홀 랜턴 과 홀 챠임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도 필요하며, 특히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는 단독호기(그룹제어 운전을 하지 않고 단독적으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로 운영하므로 홀 랜턴 및 챠임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However, when using the above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method, if the conventional hall lantern and hall chime are applied to high-end elevators, installing hall lanterns and chimes on the hoistway is expensive, and driving hall lanterns and hall chimes is expensive. There is also a need for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in particular, the elevator for the disabled is operated by a single unit (an elevator that operates independently without group control operation), so hall lanterns and chimes are not applied.

장애인 노인 인신부등의 편의증진 보장에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지부) 9항 장애인용 승강기 항목에는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기의 도착 여부를 표시하는 점멸등, 음향신호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이하생략)."라고 명시한다.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Ensuring Convenience Improvement for the Disabled, Elderly Women, etc.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aragraph 9, in the item of elevators for the disabled, "In the platform of each floor, flashing lights and sound signal devices must be installed to indicate the arrival of the elevator. Omitted)."

법규에 명시된 바를 가격적 문제로 인하여 홀 챠임 및 홀 랜턴을 설치하지 않고 장애인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As specified in the law,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vator for the disabled is installed without installing a hall chime and a hall lantern due to a price problem.

KR 10-1997-0044048KR 10-1997-0044048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용 엘리베이터의 법률 시행 규칙에 적합하도록 저 가격으로 기능을 구현하며, 엘리베이터 제조사나 엘리베이터 제어방식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고, 현장에서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프로그램 등의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법규를 만족하는 기능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가 고장이 난다고 해도 엘리베이터는 정상적 운행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at a low price to comply with the law enforcement rules of an elevator for the disabled,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an elevator manufacturer or elevator control method, and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function that satisfies the law without changing the program of, and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elevator is to operate normally even if th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ai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중들이 기존의 번호표를 이용하며 느꼈던 필요를 충족시켜 획기적으로 환경적, 경제적 이점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이 번호표로는 할 수 없었던 편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needs that the public felt while using the existing number tags, thereby remarkably securing environmental and economic advantages, and to provide convenience that could not be achieved with paper number tags.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엘리베이터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UP)/하(DOWN)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UP)/하(DOWN) 버튼 입력되면,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면,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된 후, 상(UP)/하(DOWN) 버저(BUZZER)를 출력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by an elevator control device, determining whether an UP/DOWN button is input, when the UP/DOWN button is input, Detecting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n, and when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n, detecting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ff. After the step and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ff, the UP/DOWN buzzer is output, and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ff. ) May include flashing.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UP)/하(DOWN) 버튼,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상(UP)/하(DOWN) 버저(BUZZER), 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 및 상기 상(UP)/하(DOWN) 버튼, 상기 상(UP)/하(DOWN) 버저(BUZZER),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UP)/하(DOWN)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입력되면,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었는지 검출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점등되면,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되었는지 검출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가 소등된 후, 상(UP)/하(DOWN) 버저(BUZZER)를 출력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점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 elevator, an up (UP) / down (DOWN) button, an up (UP) / down (DOWN) buzzer (BUZZER) for generating a beep, and a light emitting signal are provided. The UP/DOWN button to generate a lamp (LAMP) and the UP/DOWN button, the UP/DOWN buzzer, the UP/ Includes a processor that controls a down button lamp (LAMP),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up (UP) / down (DOWN) button is input, and when the up (UP) / down (DOWN) button is input , Detects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n, and if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n,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ff. After detection, the UP/DOWN button lamps are turned off, the UP/DOWN buzzer is output, and the UP/DOWN button lamps ( LAMP) can be configured to flash.

바람직하게, 상기 상(UP)/하(DOWN) 램프의 점등으로부터 소등되는 시간이 3초 이상이면, 상기 상(UP)/하(DOWN) 버저(buzzer)가 출력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가 점멸될 수 있다. Preferably, if the time to be turned off from lighting of the UP/DOWN lamp is 3 seconds or more, the UP/DOWN buzzer is output, and the UP/ The DOWN button lamp (LAMP) may flash.

바람직하게, 상기 상(UP)/하(DOWN) 램프의 점등으로부터 소등되는 시간이 3초 미만이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초기 상태로 리셋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elevator control device may be reset to an initial state when the time to be turned off from lighting of the UP/DOWN lamp is less than 3 seconds.

바람직하게, 승장 버튼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같은 신호로 병렬 결선된 확장용 커넥터가 상기 승장 버튼에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seungjang button may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an expansion connec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ame signal as the first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seungjang butt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제조사 나 엘리베이터 기종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고, 제어반 또는 HN 제어기 보드에 별도의 프로그램의 변경이나 배선의 변경 없이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추가하여 간단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elevator manufacturer or elevator model, and the function is simply performed by add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trol panel or HN controller board without a separate program change or wiring change.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장애자용 승장 버튼에 설치되므로 기존 홀(HALL) 챠임이 승강로에 설치됨에 따라 음량이 크고, 별도의 배선 등이 추가되어 비용이 고가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installed on the lift button for the handicapped elevator, the volume is high as the existing Hall chime is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additional wiring, etc. is added to prevent high cos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착 예보용 홀(HALL) 랜턴도 별도로 설치 시 추가로 홀 랜턴 및 배선이 추가로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버튼 램프(LAMP)를 사용하므로 별도 홀(HALL) 랜턴 및 추가 배선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vator arrival forecasting hall (HALL) lantern is installed separately, additional hall lanterns and wiring are additionally genera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elevator button lamp (LAMP) is used, a separate hall ( HALL)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lantern and additional wir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홀(HALL) 랜턴 램프(LAMP)를 사용하려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버튼 램프(LAMP) 출력을 간단히 변경하여 별도의 홀(HALL) 랜턴의 구동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use a separate hall lantern lamp (LAMP), a separate hall lantern is driven by simply changing the button lamp (LAMP) output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makes it possible.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시간 차트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결선도를 예시한다.
1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device.
2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vator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circuit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time char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flowchart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connec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content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the invention. Therefore, although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not clear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understood,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states specifically listed as such. do.

또한,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se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regardless of structur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버튼 내부 회로도이다. 2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vator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버튼은 스위치(10)와 스위치를 누르면 그라운드(GROUND) 출력을 내는 버튼 누름 신호(11), 엘리베이터 등록이 되었음을 표시하는 램프(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동하기 위해 그라운드(GROUND)하는 램프(LAMP) 점등 신호(12), DC 전원 24V의 램프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13), 점등 표시용 램프(14)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vator button includes a switch 10, a button push signal 11 that generates a ground output when the switch is pressed, and a lamp (e.g., a light emitting diode) indicating that the elevator is registered. It may be composed of a lamp (LAMP) lighting signal 12 grounded to drive, a resistor 13 limiting the lamp current of 24V DC power, and a lamp 14 for lighting display.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기존에 설치된 장애자용 엘리베이터의 제조사 나 기종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변경 없이 기존 장애자용 엘리베이터 승장 버튼에 추가 설치하여 저가격으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function at a low price by installing additionally on an existing elevator boarding button for the handicapped without changing a program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model of the existing elevator for the handicapp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예시한다. 3 illustrates a circuit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승장 버튼에 연결되는 커넥터(31)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같은 신호로 병렬 결선된 확장용 커넥터 (32)는 승장 버튼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connector 31 connected to the seungjang button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connector 3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ame signal is connected to the seungjang button.

커넥터(31)와 커넥터(32)는 동일하게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 장치가 고장이 난다고 해도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전혀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The connector 31 and the connector 32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same way, and even i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ails, it show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신호의 입력을 받아 버저(BUZZER) 음을 출력하고, LAMP 출력 기능을 하는 프로세서(41), 입력 신호에 대해 역으로 신호의 신호를 방지하는 다이오드(33, 34, 35, 36)와, 입력 신호를 프로세서(41)의 입력 신호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신호 레벨 변환기(37, 38, 39, 40), 엘리베이터가 도착에 가까워지면 UP 또는 DOWN 신호음을 출력하는 증폭하는 트랜지스터(42), 신호음을 발생하는 버저(BUZZER)(43), UP LAMP를 구동하기 위해 프로세서 출력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44), DOWN LAMP를 구동하기 위해 프로세서 출력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45)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or 41 that receives a signal and outputs a buzzer sound, functions as a lamp output, and a diode (33, 34, 35) that prevents a signal of a signal in reverse to the input signal. , 36), a signal level converter (37, 38, 39, 40) fo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to the input signal voltage level of the processor 41, and a transistor for amplifying that outputs an UP or DOWN signal when the elevator approaches arrival ( 42), a buzzer 43 that generates a beep sound, a transistor 44 that amplifies the processor output to drive the UP LAMP, and a transistor 45 that amplifies the processor output to drive the DOWN LAM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시간 차트를 예시한다. 4 illustrates a time char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UP 또는 DOWN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른 시간 동안 로우(LOW)로 프로세서에 입력된다(51).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or DOWN button, it is input to the processor as LOW during the time the button is pressed (51).

UP 또는 DOWN 버튼의 입력 신호는 본 발명과 무관하게 HN 제어기 보드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버튼의 LAMP 점등 신호는 제어반에서 HN 제어기 보드를 통해 UP 또는 DOWN 버튼 LAMP 점등 신호가 발생하여 UP 또는 DOWN 버튼 LAMP가 점등되고, 이 신호는 프로세서에 입력된다(52). The input signal of the UP or DOWN button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through the HN controller board regardl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LAMP lighting signal of the elevator button generates an UP or DOWN button LAMP lighting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through the HN controller board, and the UP or DOWN button LAMP turns on, and this signal is input to the processor (52).

이 UP 또는 DOWN LAMP는 엘리베이터가 거의 도착 하면 LAMP의 소등 신호가 제어반에서 HN 제어기 보드로 전송되고 UP 또는 DOWN 버튼의 LAMP가 소등된다(52).For this UP or DOWN lamp, when the elevator almost arrives, the lamp's off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anel to the HN controller board, and the UP or DOWN button lamp turns off (52).

이 LAMP 소등 신호를 프로세서에서 검출 하여 UP 음 또는 DOWN 음으로 버저(BUZZER)를 일정시간 구동을 하게 된다(54).The LAMP OFF signal is detected by the processor, and the buzzer is driven for a certain time with an UP sound or a DOWN sound (54).

또한 UP 또는 DOWN 버튼 LAMP 출력을 플리킹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UP 또는 DOWN 버튼의 LAMP가 HN 제어기 BOARD 신호와 별도로 점멸하게 된다(53).Also, by generating a signal that flickers the UP or DOWN button LAMP output, the LAMP of the UP or DOWN button flashes separately from the HN controller BOARD signal (53).

UP 또는 DOWN 버튼 LAMP 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내 (통상 3초 이내) 소등하면, 엘리베이터의 정상적 동작이 아니고, 엘리베이터가 정지 후 문이 닫히는 중간에 UP 또는 DOWN 버튼을 누르면 잠시 동안 UP 또는 DOWN LAMP 가 점등 및 소등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비 정상적 동작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동작하지 않도록 UP 또는 DOWN 버튼 LAMP 점등 시간을 검출하여 정상적 동작 또는 무시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If the UP or DOWN button LAMP signal turns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sually within 3 seconds), the elevator is not in normal operation, and if you press the UP or DOWN button in the middle of the door closing after the elevator stops, the UP or DOWN LAMP will be displayed for a while. There are cases of turning on and off. In such an abnormal operation sta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normal operation or neglect state by detecting the lighting time of the UP or DOWN button LAMP so that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5 illustrates a flowchart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UP 또는 DOWN 버튼의 입력 상태를 판단한다(S61, S62).5, the elevator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input state of the UP or DOWN button (S61, S62).

S61 또는 S6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UP 또는 DOWN 버튼의 LAMP 점등을 검출한다(S63, S6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 or S62, if there is an input of the butto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detects the lighting of the lamp of the UP or DOWN button (S63, S64).

S63 또는 S6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UP 또는 DOWN 버튼의 LAMP가 점등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UP 또는 DOWN LAMP의 소등을 검출한다(S65, S6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3 or S64, when the lamp of the UP or DOWN button is detected to be lit, the elevator control device detects that the UP or DOWN lamp is turned off (S65, S66).

S65 또는 S6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UP 또는 DOWN 버튼의 LAMP의 소등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버튼 LAMP가 점등에서 소등되는 시간을 검출하여 3초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인지를 판별한다(S67, S68).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5 or S66, when the lamp of the UP or DOWN button is detected to be turned of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detects the time when the button lamp is turned off from lighting to determine whether it is 3 seconds or longer (S67, S68). .

S67 또는 S68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버튼 LAMP가 점등에서 소등되는 시간이 3초 이내이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그 동안의 동작을 무시하고 초기 상태로 절환(리셋)한다. 즉, S61 단계 또는 S62 단계 이전으로 분기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7 or S68, if the time for the button LAMP to turn off from lighting is less than 3 second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gnores the operation in the meantime and switches (reset) to the initial state. That is, it branches to step S61 or step S62.

반면, 버튼 LAMP가 점등에서 소등되는 시간이 3초 이상이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UP 또는 DOWN 버저(BUZZER) 음을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 발생하고, 버튼 LAMP를 일정시간 점멸한다(S69, S70).On the other hand, if the button lamp is turned off for more than 3 second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generates an UP or DOWN buzzer soun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lashes the button lamp for a predetermined time (S69, S70).

통상 UP 또는 DOWN 버저(BUZZER) 음을 청각적으로 판별이 가능하도록, UP BUZZER 음은 점차 높아가는 음을, DOWN BUZZER 음은 점차 낮아지는 음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램밍될 수 있다.In general, the UP or DOWN buzzer sound can be audibly discriminated, and the UP Buzzer sound may be programmed to generate a gradually increasing sound, and the DOWN Buzzer sound to gradually decreas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결선도를 예시한다. 6 illustrates a connection diagram of an elevat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기존 설치된 HN 제어기 보드(71)와 UP 버튼(74), DOWN 버튼(75)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73)를 커넥터 결선만하면 기존의 제어반 및 HN 제어기 보드 프로그램 변경 없이도 가능하도록 결선되는 구조이다. 6, the existing control panel and HN controller board program by simply connect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7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existing installed HN controller board 71, the UP button 74, and the DOWN button 75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wired without chang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compon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ould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compon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etc.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a memory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Above,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Substitution or addition may be possible.

21: 홀 네트워크 제어 보드 22: 홀 네트워크
23: UP 홀 랜턴 24: DOWN 홀 랜턴
25: UP 챠임 26: DOWN 챠임
27: UP 버튼 28: DOWN 버튼
10: 스위치 11: 버튼 누름 신호
12: LAMP 점등 신호 13: 저항
14: 점등 표시용 램프 31, 32: 커넥터
33, 34, 35, 36: 다이오드 37, 38, 39, 40: 신호 레벨 변환기
41: 프로세서 42, 44, 45: 트랜지스터
43: 버저 71: 홀 네트워크 제어기 보드
72: 홀 네트워크 73: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4: UP 버튼 75: DOWN 버튼
21: hall network control board 22: hall network
23: UP hall lantern 24: DOWN hall lantern
25: UP chime 26: DOWN chime
27: UP button 28: DOWN button
10: switch 11: button push signal
12: Lamp lighting signal 13: Resistance
14: lighting display lamp 31, 32: connector
33, 34, 35, 36: diode 37, 38, 39, 40: signal level converter
41: processor 42, 44, 45: transistor
43: buzzer 71: hall network controller board
72: hall network 73: elevator control unit
74: UP button 75: DOWN button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UP)/하(DOWN) 버튼;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상(UP)/하(DOWN) 버저(BUZZER);
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 및
상기 상(UP)/하(DOWN) 버튼, 상기 상(UP)/하(DOWN) 버저(BUZZER),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는 점멸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을 알려주고, 상기 상(UP)/하(DOWN) 버저(BUZZER)는 상기 신호음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UP)/하(DOWN) 버튼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가 점등되었는지 검출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가 점등된 후,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가 소등되었는지 검출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가 소등된 후,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 상기 상(UP)/하(DOWN) 버저(BUZZER)를 출력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를 점멸하고,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이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초기 상태로 리셋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에 대해 역으로 신호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의 입력 신호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신호 레벨 변환기;
엘리베이터가 도착에 근접한 경우 상(UP) 또는 하(DOWN) 신호음을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UP) 램프(LAMP)를 구동하기 위해 프로세서 출력을 증폭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하(DOWN) 램프(LAMP)를 구동하기 위해 프로세서 출력을 증폭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상(UP) 또는 하(DOWN) 신호음을 출력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상(UP) 램프(LAMP)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UP)/하(DOWN) 버튼 램프(LAMP)의 점등부터 소등까지의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 경우 하(DOWN) 램프(LAMP)를 구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착 방향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In the elevato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UP/DOWN button;
UP/DOWN buzzer generating a beep sound;
An UP/DOWN button lamp (LAMP) for generating a light emission signal; And
Including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up (UP) / down (DOWN) button, the up (UP) / down (DOWN) buzzer (BUZZER), the up (UP) / down (DOWN) button lamp (LAMP),
The UP/DOWN button lamp (LAMP) indicates the direction of arrival of the elevator through blinking, and the UP/DOWN buzzer indicates the arrival of the elevator through the beep sound. It i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the direc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UP/DOWN button has been input,
When the UP/DOWN button is input, it detects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 (LAMP) is turned on,
After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are turned on, it detects whether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are turned off, and
After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are turned off, the time from turning on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to turn off is detected to determine if i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o judge,
If the time from the ON to the OFF of the UP/DOWN button lamp (LAMP)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UP/DOWN buzzer is output, and the up ( When the UP/DOWN button lamp (LAMP) flashes, and the time from the ON to the OFF of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is turned on. Is configured to reset to the initial stat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 diode for preventing a signal in reverse to the input signal;
A signal level converter converting the input signal into an input signal voltage level of the processor;
A first transistor for outputting an UP or DOWN signal when the elevator approaches arrival;
A second transistor amplifying a processor output to drive a phase (UP) lamp (LAMP);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transistor amplifying the processor output to drive the down (DOWN) lamp (LAMP),
The first transistor outputs an up (UP) or down (DOWN) beep when the time from the ON to the OFF of the UP/DOWN button lamp (LAMP)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informs the direction of arrival,
The second transistor drives the upper (UP) lamp (LAMP) when the time from lighting up to the off (LAMP) of the up/down button lamps (LAMP)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arrival direction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forms visually,
The third transistor drives the down lamp (LAMP) to drive the elevator's arrival direction when the time from the up/down (DOWN) button lamps (LAMP) on to the lights off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Elevat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form visually.
삭제delete
KR1020180039403A 2018-04-04 2018-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KR102155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03A KR102155364B1 (en) 2018-04-04 2018-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03A KR102155364B1 (en) 2018-04-04 2018-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14A KR20190116014A (en) 2019-10-14
KR102155364B1 true KR102155364B1 (en) 2020-09-11

Family

ID=6817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03A KR102155364B1 (en) 2018-04-04 2018-04-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36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0155A (en) *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Landing door safety device fo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8382A (en) * 1985-01-30 1986-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Platform annunciator for elevator
KR970044048A (en) 1995-12-28 1997-07-26 한승준 Structure of cap shaft
JP5626362B2 (en) * 2010-12-14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JP5574048B2 (en) * 2011-06-22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hall call regist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0155A (en) * 2006-12-18 2008-07-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Landing door safety device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14A (en)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1246A (en) Light gu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520046A (en) Automatic power saving switch
KR101970673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KR101027633B1 (en) Pedestrian safety system at pedestrian cross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JPH1167469A (en) Lighting system
KR102155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JP2011195257A (en) Elevator
EP2934069A1 (en) Wall switch
JP2006234526A (en) Optical signal switch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wiring accessories
KR20170046837A (en) Smart switch system
US9832834B1 (en) Toilet seat lighting apparatus
JP4735217B2 (en) Two-wire load control device
JP2011140379A (en) Car inside lighting system for elevator
JP2014216765A (en) Led anomaly detection device
JP3224376U (en) Lamp control circuit
JP6485852B2 (en) LIGHTING SYSTEM, LIGHTING DEVICE, TERMINAL DEVIC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81756B2 (en) switch device
KR0173748B1 (en) Intelligence type lamp
JP4529797B2 (en) Switch with heat ray sensor
JPH10284260A (en) Safety lamp and safety lamp device
KR101312956B1 (en) Illuminating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power in different grades
JP2731232B2 (en) Automatic load control system by human body detection
KR20040075494A (en) Lamp control circuit
JP2772042B2 (en) Automatic load control system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