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351B1 - 에어워셔 - Google Patents

에어워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351B1
KR102155351B1 KR1020200016169A KR20200016169A KR102155351B1 KR 102155351 B1 KR102155351 B1 KR 102155351B1 KR 1020200016169 A KR1020200016169 A KR 1020200016169A KR 20200016169 A KR20200016169 A KR 20200016169A KR 102155351 B1 KR102155351 B1 KR 10215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ort member
air pipe
dispos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용
Original Assignee
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용 filed Critical 박재용
Priority to KR102020001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에어워셔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워셔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 금속 플레이트가 놓이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을 향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관;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모듈; 상기 에어관 내 유로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감지하는 금속 센서; 및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상기 에어관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워셔{Air washer}
본 실시예는 에어워셔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에서 출력되고 변속기에서 변환된 토크로 전륜 또는 후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리어 액셀이 설치된다.
리어 액셀은 프로펠러 샤프트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차동장치를 구비한다.
리어 액셀은 액셀 하우징에 내장되는 피니언 기어, 링기어, 차동기어 및 액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 샤프트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가 구동되면 피니언 샤프트에 결합된 링기어가 구동되고 링기어에 연결되는 차동기어를 통하여 액셀 샤프트가 구동되므로 구동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액셀 하우징은 피니언 기어, 링기어, 차동기어 및 액셀 샤프트를 커버하면서 윤활유의 누유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액셀 하우징은 종감속 기어(ring & pinon)와 차동기어 캐리어(differential gear carrier), 액셀샤프트를 감싸고 있는 주철로 된 구조물로서, 기어장치들이 들어 있는 부분의 형식에 따라 빌드업(build up)형, 스플릿(split)형, 밴조(banjo)형으로 나뉜다.
빌드업형은 액셀 하우징의 중간 부분에 기어장치들을 압입한 형식으로 내부가 복잡하고 가공도 비교적 어렵다. 스플릿 형은 액셀 하우징을 거의 중앙에서 좌우로 분할한 구조이다. 그리고, 밴조형은 액셀 하우징의 중간부분을 둥글게 하여 차동 기어 캐리어를 액셀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한 형식으로 종감속 기어를 조정하는데 다루기 쉽고 대량 생산에 알맞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액셀 하우징은 작업 대상물인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생산된다. 그러나, 단일의 판재를 성형을 위한 다수의 분할 판재로 절단 시, 절단 영역에서 다수의 금속 이물질이 생성된다. 이 중 일부의 금속 이물질은 성형체에 부착 또는 잔존하게 되어, 완성된 액셀 하우징의 품질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액셀 하우징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액셀 하우징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되는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어워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 금속 플레이트가 놓이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을 향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관;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모듈; 상기 에어관 내 유로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감지하는 금속 센서; 및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상기 에어관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에어관이 결합되는 안착홈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장변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의 단면적은 상기 에어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에어관의 장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장변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관의 단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단변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홀은 상기 에어관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네 변이 정의되는 가상의 사각형 내 배치되고, 상기 에어관에는 상기 유로 내 에어를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시키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3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3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토출홀의 배치 구조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 내 잔존하는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및 지지부를 통하여 금속 플레이트를 에어워셔 내 설정 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관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관의 일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100)는, 액셀 하우징의 제조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액셀 하우징의 제조 공정에는 상기 에어워셔(100)가 동작에 의해 금속 이물질이 제거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에어워셔(100)가 동작되는 단계는 금속 판재가 다수의 분할 판재로 절단되는 단계의 다음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분할 판재에 부착 또는 수용된 금속 이물질은 상기 에어워셔(1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분할 판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할 판재를 금속 플레이트로 이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워셔(100)는, 베이스(110), 지지부재(140), 에어관(160), 에어펌프(196), 가이드(132), 이송모듈(200) 및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금속 재질의 판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지지부재(140) 및 상기 에어관(16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 및 상기 에어관(160)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하면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와 상기 베이스(110)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으로부터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다리부(10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02)는 상대적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가깝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02)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부(104)가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10)가 보다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04)는 상기 다리부(10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접한 두개의 다리부(102)를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3)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113)을 통해 상기 에어관(160)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베이스(110)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113)을 통해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된 금속 이물질이 외부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홀(113)의 형상 및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관(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상기 액셀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금속 플레이트가 놓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에어관(16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길이 방향은 상기 베이스(110)의 단변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단변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 하면의 단면적이 양 측면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에어관(170)이 결합되는 안착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45)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홈(145)의 배치 방향은 상기 베이스(110)의 단변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홈(145)은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상기 안착홈(145)은 2개씩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4개의 안착홈(145)은 2개씩 쌍을 이루어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쌍을 이루는 동일 그룹 간 안착홈(145) 사이의 이격 거리는, 타 그룹 간 안착홈(145)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제1지지부재(142), 제2지지부재(146) 및 제3지지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재(142, 146, 150)는 상기 베이스(150)의 장변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42)와 상기 제2지지부재(146)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제2지지부재(146)와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동일 할 수 있다.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제2지지부재(146)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142)와 상기 제3지지부재(150)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42)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제1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42)는 상기 에어관(170)의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42)의 상면에는 4개의 안착홈(1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42)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14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43)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배치 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46)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제2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46)는 상기 에어관(170)의 다른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46)의 상면에는 4개의 안착홈(1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46)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14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부(14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47)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배치 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15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제3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150)는 상기 에어관(170)의 또 다른 일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상면에는 4개의 안착홈(14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는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지지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151)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배치 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에어워서(100)에 배치 시,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서로 다른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는, 장방형의 금속 플레이트의 4개의 측면 중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143)와 상기 제3지지부(151)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제1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147)는 상기 제1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제3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단부 영역을 일단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단부 영역을 타단이라 정의할 때, 상기 제1지지부(143)는 상기 제1지지부재(142)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147)는 상기 제2지지부재(146)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부(151)는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형성하는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에어워셔(100)를 상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지그재그(zigza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어워셔(100) 내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에 의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에어워셔(100) 내 설정 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관(160)은 상기 지지부재(140) 내 상기 안착홈(145)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착홈(145)의 단면적은 상기 에어관(16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에어관(160)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상기 에어관(160) 사이에 에어가 원할하게 유동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에어관(160)의 상면까지의 상, 하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까지의 상, 하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은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 내 유로는 상기 에어 공급관(190)과 연통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에어 펌프(19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 공급관(190)을 통하여 상기 에어관(160)으로 에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공급관(190)에는 상기 에어 공급관(190) 내 유로의 개도 조절을 위한 밸브(19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밸브(192)의 조작 시, 상기 에어관(160)으로 에어가 공급되거나, 상기 에어관(160)으로의 에어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 내 유로는 전 영역에서 균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관(160)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또한 전 영역에서 균일한 속도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관(160) 내 유로와 외부 영역을 연통시키는 토출홀(1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167)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관(16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토출홀(167)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전 영역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 공급관(170)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에어관(160)의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167) 사이 이격 거리는, 상기 에어 공급관(170)과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상기 에어관(160)의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167) 사이 이격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관(170)과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상기 에어관(160)의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홀(167)의 단면적은, 상기 에어 공급관(170)과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상기 에어관(160)의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홀(167)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토출홀(167)은 상기 에어 공급관(17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상술한 상기 토출홀(167)의 형상 및 배치 구조로 의해, 상기 에어관(160)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전 영역에서 균일한 공기 토출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은 네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에어관(161), 제2에어관(162), 제3에어관(163) 및 제4에어관(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4에어관(161, 162, 163, 164)은 상기 에어관(160)의 상면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1에어관(161)과 상기 제3에어관(163)은 상기 에어관(160)의 단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에어관(162)과 상기 제4에어관(164)은 상기 에어관(160)의 장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 공급관(190)은 상기 제1에어관(161)과 상기 제4에어관(164)이 만나는 상기 에어관(16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의 장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장변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에어관(161)으로부터 상기 제3에어관(163) 사이의 직선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장변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서 상대적으로 긴 방향의 영역을 상기 에어관(160)이 커버함으로써 상기 금속 플레이트 내 부착된 금속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은 제5에어관(165)과 제6에어관(1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에어관(165)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에어관(161)과 상기 제3에어관(163)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6에어관(166)도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에어관(161)과 상기 제3에어관(163)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에어관(165)과 상기 제6에어관(166)의 길이 방향은 상기 에어관(160)의 장변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5에어관(165)은 상대적으로 상기 제4에어관(16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에어관(166)은 상대적으로 상기 제2에어관(16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에어관(165)과 상기 제4에어관(164) 사이 이격 거리는, 상기 제6에어관(166)과 상기 제2에어관(162) 사이 이격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에어관(165)과 상기 제6에어관(166) 사이 이격 거리는, 상기 제5에어관(165)과 상기 제4에어관(164) 사이 이격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관(162), 상기 제4에어관(164), 상기 제5에어관(165) 및 상기 제6에어관(166)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에어관(161)과 상기 제3에어관(163)은 상기 제2에어관(162), 상기 제4에어관(164), 상기 제5에어관(165) 및 상기 제6에어관(16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관(162), 상기 제4에어관(164), 상기 제5에어관(165) 및 상기 제6에어관(166)의 길이는 상기 제1에어관(161) 및 상기 제3에어관(16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에어관(162), 상기 제4에어관(164), 상기 제5에어관(165) 및 상기 제6에어관(166)은 상기 지지부재(140)의 안착홈(14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의 장변 방향 길이는 상기 제1지지부재(142)와 상기 제3지지부재(150) 사이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관(160)의 단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단변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관(160)의 장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110)의 장변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 형성된 상기 홀(113)은 상기 제1지지부재(142)와 상기 제2지지부재(146)의 사이 영역, 상기 제2지지부재(146)와 상기 제3지지부재(150) 사이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110)의 상면 중 상대적으로 금속 이물질이 누적되기 용이한 영역에만 상기 홀(11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금속 플레이트 내 금속 이물질이 용이하게 상기 에어워셔(100)의 외부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홀(113)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에어관(160) 및 상기 지지부재(140)에 의해 네 변이 정의되는 가상의 사각형 내 배치될 수 있다. 이 외의 영역의 경우 외부 영역과 연통되는 영역이므로, 금속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홀이 불필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2)는 상기 제3에어관(16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설정 영역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10)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단변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2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2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32)는 상기 제2연장부(1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부(130)의 내면은, 상기 제2연장부(130)의 측면 중 상기 에어관(160), 상기 지지부재(140), 상기 베이스(110)와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가이드(132)의 단부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연장부(13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일 측면이 상기 경사면(13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어워셔(100) 내 배치 영역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3지지부(143, 147, 15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양 측면과 이웃하는 다른 측면은 상기 가이드(132)의 경사면(13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어워셔(100) 내 배치 영역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0)는 상기 에어워셔(100) 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감지한다. 일 예로, 상기 센서(170)는 금속 감지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17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0)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170)는 상기 제1지지부재(142)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1센서(171)와, 상기 제3지지부재(15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센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71)와 상기 제2센서(173)는 상기 제2지지부재(14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71)와 상기 제2센서(173)는 상기 제1지지부재(142)와 상기 제3지지부재(173)가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0)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의 높이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배치 시, 상기 센서(170)가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에어관(160)으로부터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센서(170) 중 어느 하나의 센서라도 금속 플레이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에어관(160)으로부터 에어는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으로 이송하거나,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배치된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에어워셔(100)의 외부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베이스(110) 및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200)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200)은 이동부(220)와, 상기 이동부(2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자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부(210)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력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210)의 자력에 의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자석부(2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20)가 이동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132)에 의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결합이 가이드됨은 앞서 살펴본 바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170)를 통해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감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관(160)으로부터 소정 시간동안 에어가 토출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 내 금속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금속 이물질이 제거된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자석부(210)의 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이송모듈(200)에 결합되어, 타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 금속 플레이트가 놓이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을 향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관;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송모듈;
    상기 에어관 내 유로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감지하는 금속 센서; 및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상기 에어관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에어관이 결합되는 안착홈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장변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의 단면적은 상기 에어관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에어관의 장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장변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관의 단변 방향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단변 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홀은 상기 에어관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네 변이 정의되는 가상의 사각형 내 배치되고,
    상기 에어관에는 상기 유로 내 에어를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향해 토출시키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3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3지지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3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 및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센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센서와, 상기 제3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에어워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은, 네 변을 형성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에어관, 제2에어관, 제3에어관 및 제4에어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관과 상기 제3에어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에어관의 장변 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제2에어관과 상기 제4에어관의 길이 방향은 상기 에어관의 단변 방향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에어 공급관은 상기 제1에어관과 상기 제4에어관이 만나는 상기 에어관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에어워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은, 일단이 상기 제1에어관과 연통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에어관과 연통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4에어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5에어관과, 일단이 상기 제1에어관과 연통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에어관과 연통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제2에어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6에어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5에어관과 상기 제6에어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5에어관과 상기 제4에어관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제6에어관과 상기 제2에어관 사이의 이격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에어워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3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4개씩 배치되고,
    4개의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제2에어관, 상기 제2에어관, 상기 제5에어관 및 상기 제6에어관이 각각 결합되는 에어워셔.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토출홀은,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에어워셔.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토출홀 중 인접한 토출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깝게 배치되는 에어워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단변 중 어느 하나의 단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연장부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배치되며,
    상기 에어관과 마주하는 상기 제2연장부의 측면에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단부 면에는 상기 제2연장부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하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 시, 상기 경사면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에어워셔.





KR1020200016169A 2020-02-11 2020-02-11 에어워셔 KR10215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9A KR102155351B1 (ko) 2020-02-11 2020-02-11 에어워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9A KR102155351B1 (ko) 2020-02-11 2020-02-11 에어워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96A Division KR102078966B1 (ko) 2019-06-13 2019-06-13 금속 이물질 제거용 에어워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351B1 true KR102155351B1 (ko) 2020-09-11

Family

ID=7247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69A KR102155351B1 (ko) 2020-02-11 2020-02-11 에어워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3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796B1 (ja) * 2007-06-13 2008-09-17 福岡県 バリ取り洗浄装置およびバリ取り洗浄方法
KR101274258B1 (ko) * 2011-07-18 2013-06-17 (유)남미전기 사출제품의 게이트 사상장치
KR20160106909A (ko) * 2015-03-03 2016-09-13 (주)에나인더스트리 사출 제품의 버 제거 장치
KR101728979B1 (ko) * 2016-02-24 2017-05-02 이명주 사출물의 버를 제거하는 버 제거장치
KR101769453B1 (ko) * 2017-01-19 2017-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796B1 (ja) * 2007-06-13 2008-09-17 福岡県 バリ取り洗浄装置およびバリ取り洗浄方法
KR101274258B1 (ko) * 2011-07-18 2013-06-17 (유)남미전기 사출제품의 게이트 사상장치
KR20160106909A (ko) * 2015-03-03 2016-09-13 (주)에나인더스트리 사출 제품의 버 제거 장치
KR101728979B1 (ko) * 2016-02-24 2017-05-02 이명주 사출물의 버를 제거하는 버 제거장치
KR101769453B1 (ko) * 2017-01-19 2017-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856B2 (en) Powertrain for a road cleaning vehicle
EP3786036B1 (en) Endless track traveling device and moving body for generator inspection robot equipped with same
KR101584673B1 (ko) 차량용 리어 디퓨져
KR102155351B1 (ko) 에어워셔
CN105773370A (zh) 一种具有锈屑收集功能的钢管矫直除锈装置
KR102078966B1 (ko) 금속 이물질 제거용 에어워셔
CN103341790A (zh) 钻头偏角检测与底板自动调整装置
KR20210078826A (ko) 모듈형 무인운반차
CN103738732A (zh) 等距调节机构
CN105480448A (zh) 移液器吸头装盒辅助装置
CN101704193A (zh) 重型数控立式车床变速箱
SE424047B (sv) Maskin for framstellning av skruvlinjefalsade ror
KR101270178B1 (ko) 자기력 세기 조절 기능을 갖는 비파괴검사용 센서장치
JP5866837B2 (ja) テーブル装置
CN209737605U (zh) 一种移动机器人底盘及全向移动机器人
KR102437290B1 (ko)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CN213202278U (zh) 一种叉车的货叉侧移机构
KR20190083060A (ko) 홀 형성 장치
CN218260190U (zh) 一种可按比例分料的固态散料分料装置
CN210551201U (zh) 一种免导轨桁架机器人
CN109533867B (zh) 分段独立控制输送机及输送系统
KR101806574B1 (ko) 유냉식 하이브리드 모터용 레졸버 로터의 보호장치
SE0302519L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tyrning av en arbetsfunktion hos ett fordon
JP5734817B2 (ja) 変速機ユニット
CN205928179U (zh) 一种数控制动器凸轮轴磨床跳档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