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092B1 -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092B1
KR102155092B1 KR1020140075121A KR20140075121A KR102155092B1 KR 102155092 B1 KR102155092 B1 KR 102155092B1 KR 1020140075121 A KR1020140075121 A KR 1020140075121A KR 20140075121 A KR20140075121 A KR 20140075121A KR 102155092 B1 KR102155092 B1 KR 10215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location
output unit
user terminal
audio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66A (ko
Inventor
박차라
임윤주
남효신
이주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0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단말과 통신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 단말과 통신 가능한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출현에 따라, 음악 재생에만 한정되던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오디오 시스템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오디오 시스템이 배치되어 있는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향 청취 환경을 추천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카메라, GPS,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콘텐츠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설정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디오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카메라, GPS,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콘텐츠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설정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c)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오디오 시스템이 배치되어 있는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향 청취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최적의 음향 청취 환경을 위한 스피커의 위치와 음향 설정 값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주변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주변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추천되는 음향 설정 값 및 스피커의 위치가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추천되는 스피커의 위치를 보여주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스피커에 대한 음향 설정 값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0)은 음향 출력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무선통신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부(110)는 음향을 출력해주며,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범위는 스피커(110)와 인접한 주변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스피커(110)와 인접한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음향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감지부(120)는 스피커(11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가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20)는 카메라, GPS,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스피커(110)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근접 센서(120)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20)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초음파 센서(12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120)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120)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 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및 음향 출력부(1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음향 출력부(110)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오디오 시스템(100)으로 음악 등을 듣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또는 고정 단말을 의미한다.
실시 예로서, 이동 단말(200)에는 리모컨,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200)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향설정정보는 최적의 오디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추천되는 음향 설정 값이나 조건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특정 범위의 음향 크기나 이퀄라이저(equalizer) 값이 음향설정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복수의 스피커(110)에 대한 그룹핑이나 스테레오 설정 등이 음향설정정보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추천위치는 음향 출력부(110)를 이동시킬 새로운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스피커(110)를 현재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30㎝ 이동시킨 위치가 추천위치로 산출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제어부(130)는 스피커(110)를 현재 위치에서 왼쪽으로 20㎝ 이동시키고 볼륨을 15로 조정하라는 추천위치 및 음향설정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에도 앞서 설명한 감지부(120)와 같은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서 감지된 스피커(110) 주변 객체의 위치가 무선통신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음향설정정보 및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향설정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오디오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200) 사이, 또는 오디오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오디오 시스템(100) 주변에, 오디오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0)과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오디오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오디오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디오 시스템(100)에서 산출된 음향설정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음향설정정보 및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해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카메라, GPS,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110)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오디오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및 음향 출력부(1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음향 출력부(110)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음악을 듣는 사용자의 위치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향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 스피커(110)의 위치, 스피커(110) 주변에 배치된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피커(110)를 왼쪽으로 90°틀어서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향 시스템이 제공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주변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오디오 시스템(100)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시스템(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0)가 오디오 시스템(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스피커(110-1, 110-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스피커(110-1, 110-2)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음향 콘텐츠 이용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물체(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오디오 시스템(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등(120)이 오디오 시스템(10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오디오 시스템(100)은 주변 물체(3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10)를 통해 감지된 오디오 시스템(10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310)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에도 카메라(210), GPS,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오디오 시스템(100)의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주변 객체의 위치 관련 정보와 사용자 단말(200)의 센서로부터 수신한 주변 물체의 위치 관련 정보를 종합하여, 스피커(110-1, 110-2) 주변에 배치된 물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시스템(100)의 적외선 센서(120)에서 감지되는 물체(310)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10)를 통해 감지되는 물체(310)의 위치를 종합하여, 스피커(110-1, 110-2) 전방에 배치된 물체(3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시스템(100)은 직접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받거나, 주변 물체(3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주변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10)로 촬영된 이미지와 이를 분석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10)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스피커(110-1, 110-2)와 주변 물체(410, 420)의 크기, 거리 등을 산출하여 주변 물체(410, 42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오디오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 단말(200)이 이동한 각도, 촬영된 주변 물체(410, 420)의 크기, BLE 신호 세기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스피커(110-1, 110-2)와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즉, 이렇게 산출된 거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또는, 직접 사용자 단말(200)이 자신의 위치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스피커(110)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의 위치, 스피커(1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감지된 위치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주변 물체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음향 감상을 할 수 있는 조건들이 산출될 수 있다.
도 5는 추천되는 음향 설정 값 및 스피커의 위치가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주변 물체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음향 감상을 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equalizer) 값을 포함하고 있는 팝업 창(510)이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512)을 터치하면, 출력된 이퀄라이저 값으로 오디오 음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퀄라이저 값을 조절하는 바(514)를 드래그하여, 직접 그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주변 물체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음향 감상을 할 수 있는 음향 크기를 포함하고 있는 팝업 창(520)이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확인 아이콘(522)을 터치하면, 출력된 음향 크기로 오디오 음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향 크기를 조절하는 바(524)를 드래그하여, 직접 그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스피커를 왼쪽으로 30㎝ 이동시키는 스피커의 추천위치를 포함하는 팝업 창(530)이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스피커를 오른쪽으로 90°회전시키는 스피커의 추천위치를 포함하는 팝업 창(540)이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들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팝업 창(510, 520, 530, 540)이 적어도 하나 동시에 출력되거나, 하나의 팝업 창(510)이 출력된 후, 이어서 다른 팝업 창(530)이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 예들은 오디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부(150)에도 출력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음향 설정 값 및 스피커의 위치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음향 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음향 콘텐츠가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종류에 따라 다른 추천 값이 제시될 수 있다. 즉, 락 음악을 듣고 있는 경우는 클래식보다 크게 음악을 듣는 상황을 고려하여 추천 값이 제시될 수 있다.
도 6은 추천되는 스피커의 위치를 보여주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산출된 스피커(110-2)의 추천위치(610)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10-2)의 추천위치(610)를 카메라(210)로 촬영한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치(610)로의 이동을 추천한다는 메시지 창(620)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스피커에 대한 음향 설정 값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주변 물체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음향 감상을 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110-1, 110-2)의 스테레오 설정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피커(110-1)가 L스피커로, 제2 스피커(110-2)가 R스피커로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설정을 추천한다는 팝업 창(71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팝업 창(710)의 확인 아이콘(72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스피커(110-1)가 L스피커로, 제2 스피커(110-2)가 R스피커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주변 물체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음향 감상을 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110-1, 110-2, 110-3)의 그룹핑 설정이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피커(110-1) 및 제3 스피커(110-3)가 제1 그룹으로, 제2 스피커(110-2)가 제2 그룹으로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그룹핑을 추천한다는 팝업 창(73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팝업 창(730)의 확인 아이콘(740)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스피커(110-1) 및 제3 스피커(110-3)가 제1 그룹으로, 제2 스피커(110-2)가 제2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오디오 시스템(100)이 배치되어 있는 주변 환경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향 청취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최적의 음향 청취 환경을 위한 스피커(110)의 위치와 음향 설정 값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오디오 시스템
110: 음향 출력부
120: 감지부
130: 제어부
140: 무선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4)

  1. 음향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객체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최종 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향설정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콘텐츠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음향설정정보는,
    음향 크기, 이퀄라이저(equalizer) 값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피커에 대한 그룹핑이나 스테레오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콘텐츠로 출력되는 음악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를 다르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에 의해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객체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7. 삭제
  8.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 구비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객체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의 전방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오디오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최종 위치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출력되는 음향에 대한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재배치를 위한 추천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향설정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 콘텐츠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음향설정정보는,
    음향 크기, 이퀄라이저(equalizer) 값 및 상기 음향 출력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에 대한 그룹핑이나 스테레오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음향 콘텐츠로 출력되는 음악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음향설정정보 및 상기 추천위치를 다르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075121A 2014-06-19 2014-06-19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5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21A KR102155092B1 (ko) 2014-06-19 2014-06-19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121A KR102155092B1 (ko) 2014-06-19 2014-06-19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66A KR20160000466A (ko) 2016-01-05
KR102155092B1 true KR102155092B1 (ko) 2020-09-11

Family

ID=5516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121A KR102155092B1 (ko) 2014-06-19 2014-06-19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971B1 (ko) * 2023-07-03 2024-01-23 주식회사 아트소닉스 하나의 평판으로 균일한 출력이 가능한 평면형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4725B2 (en) * 2018-10-09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boundary detection for speak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728B1 (ko) 1998-07-24 2001-02-01 윤종용 스피커 위치에 따른 음향 조정 장치
JP2005012765A (ja) * 2003-05-26 2005-01-13 Yamaha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9147812A (ja) 2007-12-17 2009-07-02 Fujitsu Ten Ltd 音響システム、音響制御方法および音響システムの設定方法
KR101049812B1 (ko) * 2008-10-13 2011-07-15 주식회사 휴먼인텍 댁내 무선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3361B1 (ko) 2009-08-10 2012-01-05 한국과학기술원 입체 음향 시스템 및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728B1 (ko) 1998-07-24 2001-02-01 윤종용 스피커 위치에 따른 음향 조정 장치
JP2005012765A (ja) * 2003-05-26 2005-01-13 Yamaha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9147812A (ja) 2007-12-17 2009-07-02 Fujitsu Ten Ltd 音響システム、音響制御方法および音響システムの設定方法
KR101049812B1 (ko) * 2008-10-13 2011-07-15 주식회사 휴먼인텍 댁내 무선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3361B1 (ko) 2009-08-10 2012-01-05 한국과학기술원 입체 음향 시스템 및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971B1 (ko) * 2023-07-03 2024-01-23 주식회사 아트소닉스 하나의 평판으로 균일한 출력이 가능한 평면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66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9146B2 (en) Portable terminal, hearing aid, and method of indicating positions of sound sources in the portable terminal
KR102206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47438B1 (ko) 알림 장치 및 알림 장치가 물건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
EP2779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electronic payment applic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2237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150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65176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71447B1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0115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US99109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ata representing structure of room
CN105737804B (zh) 识别电子装置位置的方法、电子装置、和服务器操作方法
KR1022525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4339A (ko) 컨텐츠 업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컨텐츠 다운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들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40071035A (ko) 복수 스크린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2267A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 인식 및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3507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55092B1 (ko) 오디오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81068B1 (ko)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3211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62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N108476261B (zh) 移动装置以及控制移动装置的方法
KR1022106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150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30072959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109725A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