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959A -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959A
KR20130072959A KR1020110140594A KR20110140594A KR20130072959A KR 20130072959 A KR20130072959 A KR 20130072959A KR 1020110140594 A KR1020110140594 A KR 1020110140594A KR 20110140594 A KR20110140594 A KR 20110140594A KR 20130072959 A KR20130072959 A KR 2013007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om
location
user terminal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왕락
이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4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2959A/ko
Publication of KR2013007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에 접속한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상기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인접한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에 인접한 PC방의 위치 정보 및 사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 및 배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 원하는 매장이나 식당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교통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의 이용 시간이나, 교통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및 게임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PC 산업이 크게 발달하고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PC방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다. PC방은 단순히 PC의 사용 뿐만아니라 친목이나 모임등의 장소로 사용됨으로써 향후에도 계속적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사용자가 PC방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거리, 좌석의 유무, PC의 사양등이다. 그러나, 종래의 위치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PC방의 위치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PC방의 사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PC방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PC방의 위치 정보와 함께 PC방의 사양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게임에 접속한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상기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인접한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동일한 PC방에 배치된 PC에 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는, 상기 인접한 PC방에 배치된 PC의 개수, 상기 인접한 PC방에 배치된 PC 중 최고 사양을 가진 PC에 관한 정보 및 최저 사양을 가진 PC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PC방에 관한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PC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 중 상기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PC가 배치된 PC방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PC가 상기 동행인의 수 이상인 PC방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인접한 PC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게임에 접속한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상기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위치 정보 및 사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획득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인접한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C방의 위치 정보와 PC방의 사양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PC방을 선택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임에 접속한 PC로부터 PC에 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하고, 동일한 PC방에 배치된 PC들에 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 및 동행인의 수에 기초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PC방을 검색함으로써 원하는 PC방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1)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의 사양 정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사양 정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101) 및 PC(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 개의 PC(102)로부터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를 운영할 수 있으며, PC(102)가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거나 게임을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PC(102)에 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게임에 접속한 모든 PC에 대하여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지만, 게임에 접속한 PC가 PC방에 배치된 PC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PC에 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가 PC방에 배치된 PC에 대한 사양 정보만을 획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PC 또는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가 PC 또는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접속된 PC의 접속 IP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PC에 부착된 GPS 모듈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PC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유료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를 운영하면서 PC방을 회원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PC방에 대한 과금/관리 등을 위하여 PC방의 영업주등으로부터 PC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으로 획득한 PC에 관한 사양 정보를 종합하여 PC방의 사양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PC방의 사양 정보와 PC방의 위치 정보를 바인딩하여 관리할 수 있다. PC방의 사양 정보에는 PC방에 배치된 PC들의 개수, 해당 PC방의 연속 좌석수, 해당 PC방의 유효 좌석수, 해당 PC방의 연속 유효 좌석수, 해당 PC방의 PC들에 관한 사양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고,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을 검색한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검색된 PC방의 위치 정보 및 PC방의 사양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검색할 PC방에 관한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들 중 수신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PC방을 필터링한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과 해당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원하는 PC방에 관한 조건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더 전송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PC방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기(101)는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에 관한 정보 또는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수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게임을 플레이하기에 가장 적합한 PC방을 추천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스마트폰, 데스크탑, 테블렛 PC, 노트북 등과 같이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PC(102)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게임을 제공한다. PC(102)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PC(102)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PC(102)의 사양 정보가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획득부(110), 데이터베이스(120), 요청 수신부(130) 및 전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정보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정보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10)는 게임에 접속한 PC의 사양 정보를 획득하고, PC의 사양 정보를 종합하여 PC방의 사양 정보를 획득한다. PC의 사양 정보에는 PC에 탑재된 프로세서, 그래픽 카드, 메인보드, 메모리, 네트워크 카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이 PC의 능력을 나타내는 어떠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PC방의 사양 정보에는 PC방의 크기, PC방내의 PC의 배치, PC의 개수(또는, 총 좌석 수), 연속하여 배치된 PC의 개수(연속 좌석 수), 사용 가능한 PC의 개수(또는, 유효 좌석 수), 사용가능하며 연속하여 배치된 PC의 개수(또는, 연속 유효 좌석 수) 흡연석에 배치된 PC의 개수, PC별 사양 정보등과 같이 PC방에 어떠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10)는 PC방에 관한 위치 정보를 더 획득하여 PC방의 사양 정보와 바인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에는 PC방의 위치 정보, PC방의 사양 정보, 게임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필요한 사양 정보)등이 저장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 이 때, 요청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 및 검색하고자 하는 PC방에 관한 상세 조건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14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을 검색하고, 검색된 PC방의 위치 정보 및 해당 PC방의 사양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부(140)는 요청 수신부(130)로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 및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을 검색할 수 있다.
먼저, 요청 수신부(130)로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전송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임계 범위 이내에 있는 PC방을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다른 지역에 있는 PC방을 검색하거나, 좀 더 넓은 범위 이내에 있는 PC방을 검색할 수 있다.
이번에는 요청 수신부(130)로 검색하고자 하는 조건 정보가 수신된 경우를 가정해보자. 전송부(140)는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 중에서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PC방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조건 정보에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송부(140)는 해당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PC를 보유한 PC방을 검색할 것이며, 조건 정보에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수가 포함된 경우 전송부(140)는 유효 좌석수(또는, 유효 연속 좌석수)와 동행인의 수를 비교하여 동행인의 수보다 유효 좌석수가 더 큰 PC방을 검색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1)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1)는 유/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싱부(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01)와 정보 제공 장치(100)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31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의 위치 및 해당 PC방의 사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통신부(310)가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 또는 PC방을 검색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예를 들면,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수/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을 정보 제공 장치(1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하나 이상의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315)은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30)를 통하여 PC방을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을 선택하거나, 검색 결과에서 PC방을 선택하거나, PC방의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340)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기(101)의 방위, 사용자 단말기(101)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01)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기(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1)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사용자 단말기(101)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101)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기(101)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1)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3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51)와 음향 출력 모듈(3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에는 PC방을 검색하기 위한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특정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특정 지역에 인접한 PC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PC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선택된 PC방에 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1)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1)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팬, 손가락 등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는 센싱부(34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드래그"라 함은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된 지점이 이동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는 경우를 말한다. 터치 드래그와 구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지점을 포인터를 통해 두드리는 행위를 "탭 터치(tap-touch)"라 부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예를 들어, 촉각 센서)는 터치 드래그(touch-drag)의 드래그 방향, 드래그 속도, 드래그 길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포인터의 위치 및 포인터와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 센서는 포인터의 근접 거리가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이를 근접 터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근접 거리라 함은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근접 거리는 화면과 포인터와 떨어진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화면의 소정 지점이 근접 터치 된다"는 말은 상기 소정 지점과 수직으로 대응되는 공간상의 위치에 포인터가 위치하여, 근접 터치로서 인식된다는 말을 의미한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352)은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80)는 특정 지역의 PC방을 검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위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의 사양 정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의 사양 정보는 각각의 PC방에 대하여 좌석수, 연속 좌석수, 유효 좌석수, 연속 유효 좌석수, 최고 사양, 최저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수 항목은 해당 PC방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좌석의 수 또는 해당 좌석에 배치된 PC의 개수를 나타낸다.
연속 좌석수 항목은 연속하여 배치된 좌석의 개수 또는 해당 좌석에 배치된 PC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유효 좌석수 항목은 점유되지 않은 자리로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좌석수를 나타낸다.
유효 연속 좌석수 항목은 유효 좌석수 중 연속하여 배치된 좌석의 수 또는 해당 좌석에 배치된 PC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최고 사양 항목은 해당 PC방내에서 최고 사양을 갖는 PC에 관한 정보 및 해당 PC의 사양 정보를 나타낸다. 최고 사양 항목에는 최고 PC의 사양 정보와 동일한 사양을 갖는 PC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최저 사양 항목은 해당 PC방내에서 최저 사양을 갖는 PC에 관한 정보 및 해당 PC의 사양 정보를 나타낸다. 최저 사양 항목에는 최저 PC의 사양 정보와 동일한 사양을 갖는 PC의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A' PC 방은 총 20석의 좌석이 있으며, 연속 좌석수는 5개이다. 따라서, 연속 좌석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의 수는 5명이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10석의 유효 좌석이 있으며, 이 중 연속 유효 좌석수는 3개이므로 3명의 사용자만이 연속 좌석에서 게임을 동반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A' PC 방의 최고 사양의 PC는 10대이며, 최저 사양의 PC는 3대이다.
한편, 'B' PC 방은 총 15석의 좌석이 있으며, 연속 좌석수는 7개이다. 따라서, 연속 좌석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의 수는 7명이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6석의 유효 좌석이 있으며, 이 중 연속 유효 좌석수는 6개이므로 6명의 사용자만이 연속 좌석에서 게임을 동반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B' PC 방의 최고 사양의 PC는 7대이며, 최저 사양의 PC는 8대이다.
만일,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이 '5'임을 나타내는 조건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한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A'PC방 보다는 'B' PC방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추천할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사양 정보는 일 예에 불과하며 PC방내에서 좌석의 배치 또는 각각의 좌석에서 이용할 수 있는 PC의 사양등과 같이 PC방 또는 PC와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사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사양 정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사양 정보는 각각의 게임에 대하여 권장 사양과 최저 사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권장 사양 항목은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PC의 사양을 나타낸다.
최저 사양 항목은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한 PC의 최소한의 조건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고하면, 게임 '가'는 권장 사양이 'a'이고, 최저 사양이 'd'이며, 게임 '나'는 권장 사양이 'c'이고, 최저 사양이 'b'이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PC 사양 정보 및 게임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PC방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게임을 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A' PC방을 'B'PC방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추천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는 게임에 접속된 PC로부터 사양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조건에 부합하는 PC방을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특히, PC방 이용자는 가까우면서도 높은 사양의 PC가 많이 배치된 PC 방을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와 PC의 사양 정보를 조합하여 가장 적합한 PC방을 검색하여 제시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에 인접한 PC방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 때, 각각의 PC방의 사양 정보가 매장명, 연락처, 주소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리스트내에서 PC방을 선택하면, 해당 PC방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방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PC방의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사용자 단말기(101)는 자신의 위치를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고,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임계 거리 이내에 위치한 PC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이 때, PC방의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지도의 일측에 해당 PC방의 사양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710에서는, 게임에 접속한 PC의 사양 정보 및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특정 PC를 통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해당 PC에 사양 정보의 획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승낙하는 경우 해당 PC의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게임에 접속한 PC의 사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유료/무료 게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료/무료 게임의 제공에 따른 조건으로 PC방의 위치, PC방의 구조, PC방에 배치된 PC의 개수, PC방에 배치된 PC의 사양등과 같은 PC방 사양 정보를 PC방 주인에게 요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한 PC방 사양 정보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1)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GPS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자신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써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는 검색하고자 하는 PC방에 관한 조건을 자동/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을 검색하고 해당 PC방의 위치 및 해당 PC방의 사양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하여 입력된 조건을 만족하는 PC방을 선별하여 사용자 단말기(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게임에 접속한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상기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인접한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동일한 PC방에 배치된 PC에 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는,
    상기 인접한 PC방에 배치된 PC의 개수, 상기 인접한 PC방에 배치된 PC 중 최고 사양을 가진 PC에 관한 정보 및 최저 사양을 가진 PC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PC방에 관한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PC방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정보는,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동행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 중 상기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PC가 배치된 PC방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PC방에 관한 사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PC가 상기 동행인의 수 이상인 PC방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인접한 PC방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게임에 접속한 PC에 대한 사양 정보 및 상기 PC가 배치된 PC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위치 정보 및 사양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획득한 사양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인접한 PC방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인접한 PC방에 대한 사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KR1020110140594A 2011-12-22 2011-12-22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72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94A KR20130072959A (ko) 2011-12-22 2011-12-22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94A KR20130072959A (ko) 2011-12-22 2011-12-22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959A true KR20130072959A (ko) 2013-07-02

Family

ID=489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594A KR20130072959A (ko) 2011-12-22 2011-12-22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29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65A (ko) 2015-05-12 2016-11-22 신재승 웹 서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3267A (ko) 2021-01-27 2021-02-03 신재승 웹 서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4427A (ko) 2019-07-30 2021-02-09 이다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제공 및 요금 통합결제 서비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65A (ko) 2015-05-12 2016-11-22 신재승 웹 서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4427A (ko) 2019-07-30 2021-02-09 이다훈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제공 및 요금 통합결제 서비스
KR20210013267A (ko) 2021-01-27 2021-02-03 신재승 웹 서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pc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16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RU2597508C2 (ru) Способ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нтент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этого
KR102147686B1 (ko) 오브젝트 실행 장치 및 방법
AU201330653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RU2603845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захваченных данных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этого
KR20130097486A (ko) 컨텐트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063901B1 (ko) 액티비티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8982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ocesses in a user equipment by using touch patterns
KR102446694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178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19579A1 (en)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execut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mon object attribute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KR20130072959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162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N110532474B (zh) 信息推荐方法、服务器、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12572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US20130254673A1 (en) Agent service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678836B2 (en) Slide show-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101516998B1 (ko) 모바일 기기간 위치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714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상품 검색 방법
CN106257397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13001783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79492B2 (en) Method of sha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sound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21536B1 (ko) 액티비티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