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725B1 -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725B1
KR102154725B1 KR1020200042767A KR20200042767A KR102154725B1 KR 102154725 B1 KR102154725 B1 KR 102154725B1 KR 1020200042767 A KR1020200042767 A KR 1020200042767A KR 20200042767 A KR20200042767 A KR 20200042767A KR 102154725 B1 KR102154725 B1 KR 10215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transmitted
information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석
Original Assignee
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석 filed Critical 노진석
Priority to KR102020004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01Acoustic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vibrating st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1/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combining techniqu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1V1/00 - G01V9/00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은, 임의의 높이로 퇴적된 토양의 변위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심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2 감지 정보를 기초로 산지토사재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MOUNTAIN LAND DISASTER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임의의 높이로 퇴적된 토양의 변위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산지토사재해 삼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예로부터 산사태, 토석류 등 산지토사재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1976년도 이래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산사태 발생면적은 692ha이다. 최근에는 국지성 호우, 태풍 등과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연간 산사태 발생면적이 231ha(1980년대), 350ha(1990년대), 713ha(2000년대)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명피해는 연평균 58명으로 전반적으로 감소경향을 보이지만, 2011년 우면산, 마적산 산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에는 도심지역의 산사태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산사태를 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많은 경보, 예보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미소파괴음 센서 구비 계측장치(국제출원공개 WO 2009/136754 A2, 2009. 11. 12, 공개)는 심층의 지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미소 파괴음을 계측하여, 산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상술한 계측장치를 활용하는 감지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지반 변형 및 예외적인 상황에 대해서 분석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확하게 지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은, 임의의 높이로 퇴적된 토양의 변위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심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2 감지 정보를 기초로 산지토사재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소정 기준 이상의 산사태 또는 땅밀림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만 전달되거나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만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의 판단을 기초로 산지토사재해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의로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는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고,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가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공간인 낙하 공간 상에서 낙하되는 중량부 및 상기 중량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중량부의 낙하 속도를 증가시키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가 고장 났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 땅밀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에 임의의 외력을 인가하는 제2 고장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제1 기준부, 상기 지표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기준부 및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축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는, 상기 제2 기준부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는 고장 제어부 및 상기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제어부는,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분석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신축 센싱부가 신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준부가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말리게,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제1 기준부, 상기 지표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기준부,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축 센싱부 및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에 인가하는 외력 이외의 상기 제2 기준부에 인가되는 외력을 감지하는 외력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어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판단 결과 상기 제2 감지부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력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 정보를 기초로 외부 물체에 의해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 센싱부는,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며, 압전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는, 상기 제2 기준부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는 고장 제어부,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지표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하였다고 상기 분석 장치가 판단하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로부터 제거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여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소정 기준 이하의 산사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은 정확하게 산지토사재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산지토사재해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감지부와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2 감지부와 제2 고장 판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도 3의 제2 고장 판단 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1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2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에 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2 감지부의 상세 분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적으로 산사태(표층붕괴), 토석류, 땅밀림으로 분할 수 있다.
일례로, 산사태(표층붕괴)는 빗물로 인해 무거워진 토층이 암반경계면을 따라 일시적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할 수 있다.
일례로, 토석류는 유역 내 다수의 산사태로 발생한 토석 및 유목이 빗물과 함께 섞여 계곡하류로 빠르게 이동하는 현상을 말할 수 있다.
일례로, 땅밀림은 땅속 깊은 곳에서 점토층이나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해 토괴가 천천히 이동하는 현상을 말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감지부와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2 감지부와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3의 제2 고장 판단 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은 임의의 높이로 퇴적된 토양의 변위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100),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200) 및 상기 제1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심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2 감지 정보를 기초로 산지토사재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임의로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는 인가하는 제1 고장 판단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200)에 임의의 외력을 인가하는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00), 제2 감지부(200), 분석 장치(300),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400) 및/또는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감지부(100)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공간인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측정부(110), 상기 측정부(110)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음향 센서부(120), 상기 음향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분석하여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제1 감지 분석부(130) 및 상기 제1 감지 분석부(130)에서 분석하여 산출한 제1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장치(300)로 전달하는 제1 송수신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부(100)는 상기 음향 센서부(120), 상기 제1 감지 분석부(130) 및/또는 상기 제1 송수신부(140)는 제어하는 제1 감지 제어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치 공간 상에 상기 측정부(110)가 채워질 수 있다.
심층 내의 토양의 일부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음향을 상기 음향 센서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부(110)는 회석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측정부(11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정부(110)는 모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향 센서부(120)는 상기 측정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센서부(120)는 상기 측정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센싱하여 상기 제1 감지 분석부(130)로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분석부(130)는 상기 음향 신호를 기초로 정보 처리를 통하여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방법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음향 발생의 빈도를 기초로 토양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분석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분석부(130)가 상기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제1 감지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수신부(140)는 상기 제1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고장 판단 장치(400)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공간인 낙하 공간(S400) 상에서 낙하되는 중량부(410) 및 상기 중량부(410)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중량부(410)의 낙하 속도를 증가시키는 외력인가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400)는 상기 낙하 공간(S400)에 배치되어 상기 중량부(4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부(410)가 상기 낙하 공간(S400)의 상단에 위치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중량부(410)를 파지하는 파지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410)는 상기 가이드부(430)를 따라서 하측으로 자유 낙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40)는 상기 제1 감지 제어부(150) 또는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중량부(410)를 파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420)는 상기 제1 감지 제어부(150)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낙하 공간(S400) 상에서 자유 낙하되는 상기 중량부(410)에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량부(410)의 낙하 속도는 자유 낙하하는 것보다 더 빨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량부(410)가 상기 낙하 공간(S400)의 최하단을 이루는 토양에 충돌되는 충격량이 상기 중량부(410)가 자유 낙하할 때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인가부(420)는 압축 공기를 상기 중량부(410)로 분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인가부(420)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감지부(200)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제1 기준부(210), 상기 지표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기준부(220) 및 상기 제1 기준부(210)와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준부(210)와 상기 제2 기준부(220)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축 센싱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200)는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가 상기 제2 감지부(200)에 인가하는 외력 이외의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인가되는 외력을 감지는 외력 센싱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부(200)는 상기 신축 센싱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신장 신호를 기초로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제2 감지 분석부(250) 및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에서 산출되는 제2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장치(300)로 전달하는 제2 송수신부(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200)는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 상기 제2 송수신부(260), 상기 외력 센싱부 및/또는 상기 신축 센싱부(230)를 제어하는 제2 감지 제어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준부(210)는 내부에 임의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부(210)에는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 상기 제2 송수신부(260)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제어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부(210)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기준부(220)는 지표의 일 영역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준부(220)는 메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기준부(22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신축 센싱부(2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기준부(210)에 연결되고, 상기 신축 센서의 타단부는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신축 센싱부(230)는 광섬유 또는 신축계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섬유는 굵기가 약 100Ωm 정도의 석영유리로 만들어지며 광섬유 속으로 들어간 빛은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고 빛의 전반사 원리에 의거해서 광섬유를 따라 진행한다. 보통 광섬유는 전송손실이 매우 적고 주파수 대역폭이 넓다는 점을 활용하여 광통신에 이용되지만 외부의 물리량 변화에 의해 내부에 진행되는 빛에 유도되는 여러 가지 특성 변화가 있는 것을 이용하여 광섬유 센서로도 이용한다. 이런 특성 변화로는 세기, 위상, 편광, 파장 등이 있으며, 이들의 미세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이 동원될 수 있다.
간단하게는 반사광의 시간 지연을 측정하여 광섬유의 길이를 구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분포형 광섬유 센서(Distributed fiber optic sensor)로서 레일리 후방 산란(Rayleigh back scattering)을 이용하는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 분포형 광섬유 센서로서 브릴루앙 산란(Brillouin scattering)을 이용하는 BOTDR(Brilloui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와 BOTDA(Brillouin Optical Time Domain Analysis)센서, 빛의 브래그 반사 파장의 변화량을 이용하는 FBG(Fiber Bragg Grating) 센서, 페브리-페롯(febry-Perot)과 마하젠저(mach zenhnder)와 마이켈슨(michelson) 등의 간섭형 센서 등을 이용하여 광섬유의 변형률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센싱부(230)는 상기 제1 기준부(210)와 상기 제2 기준부(220)의 이격 거리가 변화될 경우 신장 또는 수축되며, 상기 신축 센싱부(230)의 신장 또는 수축에 대한 신축신호를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력 센싱부(240)는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연결되어, 지면의 이동 이외의 물체에 의해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력 센싱부(240)는 압전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력 센싱부(24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외력 센싱부(240)에서 발생되는 전류가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또는 상기 제2 감지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또는 상기 제2 감지 제어부(270))는 상기 외력 센싱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신호를 기초로 외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3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는 상기 외력 정보를 상기 제2 송수신부(260)를 통해 상기 분석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력 센싱부(24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는 상기 신축 센싱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신축 신호를 기초로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2 감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분석부(250)는 상기 제2 감지 정보를 상기 제2 감지 제어부(270)를 통해 상기 제2 송수신부(260)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송수신부(260)는 상기 제2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방법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신축 센싱부(230)의 신축 정도의 빈도를 기초로 토양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분석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는 상기 제2 기준부(22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510), 상기 고정부(510)를 제어하는 고장 제어부(520), 상기 고정부(510)가 연결되는 하우징부(530) 및 상기 지표로부터 상기 하우징부(5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는 상기 고정부(5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51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550) 및 상기 동력부(55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5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는 소정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알람부(5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510)는 상기 하우징부(530)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하우징부(5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510)를 롤러일 수 있다.
상기 고장 제어부(5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정부(51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530)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510)와 상기 고장 제어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540)는 상기 하우징부(5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조절부(540)는 상기 하우징부(530)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의 하단은 지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하우징부(530)는 상기 지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부(530)는 상기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는 상기 고장 제어부(520)의 제어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40)는 상기 하우징부(53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높이조절부(541)와 상기 하우징부(53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높이조절부(5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동력부(550), 상기 전원부(560), 상기 고정부(510) 및/또는 상기 높이조절부(5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고정부(5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동력부(5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제1 높이조절부(541)와 제2 높이조절부(542)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높이조절부(541)의 길이와 상기 제2 높이조절부(5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분석 장치(300)는 산지토사재해 감지를 위한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분석 저장부(310), 산지토사재해 감지를 위한 정보 처리가 수행되는 분석 연산부(320),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400),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 상기 제1 감지부(100) 및/또는 상기 제2 감지부(200)를 제어하는 분석 제어부(330) 및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400),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 상기 제1 감지부(100) 및/또는 상기 제2 감지부(200)와 송수신하는 분석 송수신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분석 제어부(330)는 상기 분석 저장부(310), 상기 분석 연산부(320) 및/또는 상기 분석 송수신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300)의 각 구성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분석 장치(300)는 상기 제1 감지부(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석 장치(300)는 상기 제2 감지부(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석 장치(300)는 상기 제1 감지부(100)와 상기 제2 감지부(200)에 나누어져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분석 장치(300)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분석 장치(300)는 상기 제1 감지부(100)와 상기 제2 감지부(200)에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장치를 활용하여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분석 장치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분석 장치의 상기 분석 연산부는 소정 기준 이상의 산사태 또는 땅밀림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만 전달되거나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만 전달되는 경우, 상기 분석 장치의 상기 분석 연산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의 판단을 기초로 산지토사재해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감지 분석부에서 제1 감지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분석부는 상기 제1 감지 제어부와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분석 연산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 분석부에서 제2 감지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제2 감지 분석부는 상기 제2 감지 제어부와 상기 제2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감지 정보를 상기 분석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분석 연산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 정보 모두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산지토사재해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 정보 모두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소정 기준 이상의 산사태 또는 땅밀림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소정 기준 이상의 산사태가 발생되는 경우, 표층의 토양과 심층의 토양 모두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땅밀림이 발생되는 경우, 표층의 토양과 심층의 토양 모두가 이동될 수 있다.
표층이란 지표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의 토양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심층이란 표층의 하측에 위치되는 토양의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는 5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깊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만일,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었으나,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제1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었으나,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1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가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가 시작되면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가 먼저 분석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낙하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는 중량부를 낙하 공간의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상기 파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가 상기 중량부를 파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중량부는 하측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외력인가부를 제어하여 상기 파지부가 상기 중량부를 파지하지 않는 순간에 상기 외력인가부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상기 중량부를 하측 방향으로 타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중량부는 자유 낙하되는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감지 분석부가 중량부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 신호를 노이즈로 처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중량부가 상기 낙하 공간의 하단의 지면과 충돌되는 경우, 상기 음향 센서부는 상기 측정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감지 분석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분석부는 제1 감지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분석 장치의 상기 분석 연산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연산부가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분석 연산부가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제1 감지부가 고장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땅밀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땅밀림의 징조는 심층의 토양이 미소하게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분석 연산부가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제어한 후, 상기 분석 연산부가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를 전달받지 못한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고장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외력인가부를 제외하여 중량부 만이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토양의 구성 및 설치 장소 등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중량부에는 소정의 줄이 연결되어, 하측으로 하강된 중량부를 상층부로 손쉽게 꺼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2 감지부 상세 분석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토사재해의 감지 시스템의 분석 과정 중 제2 감지부의 상세 분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석 연산부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 및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분석 제어부(330)는 상기 제2 고장 판단부의 상기 고정부(5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부(5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300)가 상기 제2 감지부(2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분석 장치(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신축 센싱부(230)가 신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준부(220)가 상기 고정부(510)의 외면에 말리게, 상기 분석 제어부(330)에 의해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고정부(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5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감지부(200)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부(510)의 외면에 말리게 되며 상기 신축 센싱부(230)는 신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부(550)는 상기 고정부(510)에 일 방향의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550)가 상기 고정부(510)에 더 이상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고정부(510)는 상기 신축 센싱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축 센싱부(230)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제어부(330)가 상기 고장 제어부(520)를 통해 상기 고정부(510)를 제어한 뒤에 상기 감지 분석부로부터 전달되는 제2 감지 정보가 상기 분석 연산부(320)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320)는 상기 제2 감지부(200)가 고장 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분석 제어부가 상기 고장 제어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를 제어한 뒤에 상기 감지 분석부로부터 전달되는 제2 감지 정보가 상기 분석 연산부로 전달된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고장 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연산부가 상기 제2 감지부가 고장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에 외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에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어,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판단 결과 상기 제2 감지부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력 정보를 기초로 외부 물체에 의해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 기준부가 야생 동물 등의 외부 물체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경우, 잘못된 제2 감지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다만, 외부 물체에 의해 제2 기준부가 위치 이동된다면,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된 외력 센싱부에 외력이 인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분석 장치는 외력 정보의 발생 여부를 기초로 하여 제2 기준부가 산지토사재해에 의해 위치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에 외력 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혹은 제2 감지 정보가 발생되었을 시점과 대응되는 시점에 외력 정보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 연산부는 소정 기준 이하의 산사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작은 규모의 산사태는 심층이 아닌 표층의 토양만이 이동되어 발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220)에 외력이 인가하였다고 상기 분석 장치(300)가 판단하는 경우, 상기 분석 장치(300)의 상기 분석 제어부(330)에 의해 상기 고정 제어부는 상기 높이조절부(540)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부(5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높이조절부(540)를 제어하기 전에 상기 알람부(570)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기준부(220) 상에 있는 외부 물체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570)에 의해 경고 알람 후에,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높이조절부(540)를 제어하여 상기 제2 기준부(220)의 위에 존재하는 외부 물체(일례로, 나무 등의 이물질)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평소에는 상기 제1 높이조절부(541)와 상기 제2 높이조절부(542)가 제1 상태에 존재하여, 가장 짧은 길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부(530)의 하면은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제1 높이조절부(541)만 신장되도록 상기 제1 높이조절부(54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부(530)는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에서 상기 제2 높이 조절부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폭에 대해서 양분하여 구분되는 일측의 제2 기준부(22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510)가 상기 동력부(55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신축 센싱부(230)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 제어부는 상기 동력부(5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상기 제2 기준부(2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부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상기 제1 높이조절부(541)를 수축하여 제1 상태로 길이를 제어하고, 제1 상태인 상기 제2 높이조절부(542)를 제어하여 상기 제2 높이조절부(542)를 신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고장 제어부(520)는 미리 정해진 반복 횟수 대로 높이조절부(540)를 제어하여, 외무 물체 제거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400)와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500) 각각은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장치(300)는 상기 분석 연산부(320)에서 판단한 각종 판단 결과들을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고,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제1 감지부 200 : 제2 감지부
300 : 분석 장치 400 : 제1 고장 판단 장치
500 : 제2 고장 판단 장치

Claims (11)

  1. 삭제
  2. 임의의 높이로 퇴적된 토양의 변위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산지토사재해를 감지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심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심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1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표층의 토양의 이동 정보와 관련된 정보인 제2 감지 정보를 기초로 산지토사재해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소정 기준 이상의 산사태 또는 땅밀림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만 전달되거나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만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 또는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의 판단을 기초로 산지토사재해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임의로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는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가 심층에 충격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1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장 판단 장치는,
    소정의 깊이로 파인 공간인 낙하 공간 상에서 낙하되는 중량부 및 상기 중량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중량부의 낙하 속도를 증가시키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가 고장 났다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 땅밀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에 임의의 외력을 인가하는 제2 고장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제1 기준부, 상기 지표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기준부 및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축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는,
    상기 제2 기준부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는 고장 제어부 및 상기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제어부는,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분석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신축 센싱부가 신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기준부가 상기 고정부의 외면에 말리게,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지표의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제1 기준부, 상기 지표의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제2 기준부,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의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라 신장되어 상기 표층의 토양이 이동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축 센싱부 및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어 지면의 이동 이외의 외부 물체에 의해 인가되는 외력을 감지하는 외력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감지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2 감지 정보가 전달되어 상기 제2 감지부의 고장 판단 결과 상기 제2 감지부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력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 정보를 기초로 외부 물체에 의해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센싱부는,
    상기 제2 기준부에 연결되며,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장 판단 장치는,
    상기 제2 기준부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제어하는 고장 제어부, 상기 고정부가 연결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지표로부터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제어부는,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하였다고 상기 분석 장치가 판단하는 경우,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로부터 제거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여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외부 물체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외력이 인가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소정 기준 이하의 산사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KR1020200042767A 2020-04-08 2020-04-08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KR10215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67A KR102154725B1 (ko) 2020-04-08 2020-04-08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67A KR102154725B1 (ko) 2020-04-08 2020-04-08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725B1 true KR102154725B1 (ko) 2020-09-10

Family

ID=7245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67A KR102154725B1 (ko) 2020-04-08 2020-04-08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9189A (zh) * 2022-12-07 2023-01-20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地质灾害自动监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32B1 (ko) * 2017-12-29 2019-05-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32B1 (ko) * 2017-12-29 2019-05-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29189A (zh) * 2022-12-07 2023-01-20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地质灾害自动监测装置
CN115629189B (zh) * 2022-12-07 2023-03-10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地质灾害自动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161B1 (en) Structural monitoring sensor system
US6012337A (en) Structural monitoring sensor system
JP5148589B2 (ja) 振動測定により橋梁構造の安全性を評価する方法
US6181841B1 (en) Structural monitoring sensor system
US9435902B2 (en) Wide area seismic detection
US6487914B1 (en) Structural monitoring sensor system
CN103700221B (zh) 一种油气管道山洪灾害监测方法
JP3894494B2 (ja) 土砂災害予知システム、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土砂災害予知方法
Hill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as): Theory and applications
KR101949822B1 (ko) 비탈면 붕괴 감지 시스템
JP6351279B2 (ja) 地盤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地盤状態監視方法
KR102154725B1 (ko) 산지토사재해 감지 시스템
CN103700223A (zh) 一种油气管道山洪灾害监测系统
JP4027107B2 (ja) 土砂異常検出装置、土砂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土砂異常検出方法
Lanticq et al. Soil-embedded optical fiber sensing cable interrogated by Brillouin 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ry (B-OTDR) and optical frequency-domain reflectometry (OFDR) for embedded cavity detection and sinkhole warning system
CN103177531B (zh) 铁路沿线泥石流灾害监测
Zhang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impact force on a fiber Bragg grating-based device for debris flow warning
KR100991867B1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교량 세굴 측정 방법
KR101584963B1 (ko) Gps를 사용한 경사면의 붕괴 조짐을 예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41570B1 (ko) Ae카운터의 변위속도를 통한 산사태 및 급경사지 붕괴 조기감지 및 예보 시스템
CN103700222A (zh) 一种油气管道山洪灾害监测系统的构建方法
Minardo et al. Soil slope monitoring by use of a Brillouin distributed sensor
KR100620868B1 (ko) 산사태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otdr 계측 시스템
CN103913125A (zh) 防护网监测系统
CN202662131U (zh) 铁路沿线泥石流灾害监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