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537B1 -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537B1
KR102154537B1 KR1020200035630A KR20200035630A KR102154537B1 KR 102154537 B1 KR102154537 B1 KR 102154537B1 KR 1020200035630 A KR1020200035630 A KR 1020200035630A KR 20200035630 A KR20200035630 A KR 20200035630A KR 102154537 B1 KR102154537 B1 KR 10215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housing
eyeball
slider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영
김장미
Original Assignee
임채영
김장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영, 김장미 filed Critical 임채영
Priority to KR102020003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져서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리기 위한 개안유닛과, 선단에 렌즈장착부를 구비하고, 말단에는 버튼부가 구비되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안구로부터 장착 및 분리시키는 착탈유닛 및 상기 개안유닛과 상기 착탈유닛을 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선단 일부는 회전 개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PORTABLE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CONTACT LENSES TO AND FROM THE EY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구의 각막에 장착되어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치료하거나 또는 미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2017년 기준 국내 안경산업 현황 및 통계에 의하면, 대한민국 성인 중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동시에 사용하는 비율이 8.5%로, 해가 갈수록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여가시간 증가와 SNS 등 다양한 매체 증가로, 특히 학생과 젊은 세대들이 미용 목적으로 콘택트렌즈 사용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콘택트렌즈의 착탈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경우 불편하고 오염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콘택트렌즈 사용의 증가 추세와 함께 콘택트렌즈를 위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기구 또는 장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종래 콘택트렌즈 착탈장치 또는 착용장치와 관련하여 안검을 벌리기 위한 개안수단과, 콘택트렌즈를 장착하여 안구 각막 쪽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착용수단이 하나의 디바이스로 일체화된 형태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0914호, 대한민국 특허 제10-19477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556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으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9-0063719호 "콘택트렌즈 착탈장치"가 출원되어 있다.
상기 기출원된 콘택트렌즈 착탈장치에서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암으로 이루어져 상하 안검을 벌리기 위한 개안유닛과, 선단에 렌즈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의 교차점에서 상기 힌지핀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는 착탈유닛 및 상기 개안유닛과 착탈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스프링을 포함하고, 콘택트렌즈 착탈과정에 수반되는 상기 착탈유닛의 전방측 이동은 상기 한 쌍의 암의 벌림 동작시 상기 연결스프링에 의한 1차 이동과 사용자의 전방측 가압 동작에 의한 2차 이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출원된 장치는 개방되어 휴대시 오염에 노출될 수 있으며, 렌즈장착부의 렌즈 흡착력이 떨어지고, 또 렌즈장착부와 안구와의 거리 조절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안 과정이 자연스럽고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착탈유닛이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회전 개방되는 일부 하우징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콘택트렌즈의 분리시 흡착력을 높여 낙하를 방지하였으며, 안구와 렌즈장착부와의 안전 거리 유지로 안전성을 확보하였고, 사용자에 따라 렌즈장착부의 착용 거리 조절이 용이한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져서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리기 위한 개안유닛과, 선단에 렌즈장착부를 구비하고, 말단에는 버튼부가 구비되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안구로부터 장착 및 분리시키는 착탈유닛 및 상기 개안유닛과 상기 착탈유닛을 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선단 일부는 회전 개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안유닛은, 일단에 손가락이 위치되는 제1파지환과, 상기 제1파지환에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인 타원형상에서 장축방향으로 절곡된 제1아암을 구비하는 제1집게와, 상기 제1집게와 동일 형상으로 제2파지환과 제2아암을 구비하는 제2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이 대향하여 피봇포인트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부에는 안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만곡형의 제1,2헤드부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제1,2헤드부에는 실리콘부재의 제1, 2밀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2헤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만곡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콘택트렌즈를 흡착시키기 위한 원판의 흡착판이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렌즈장착부와, 상기 렌즈장착부의 후단에 일부 삽입되며, 외주연에 완충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합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렌즈장착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렌즈장착부를 가압하여 흡착력을 높이는 판스프링이 하우징의 내측에 한 쌍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슬라이더의 단부측에는 나사산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길이조절링이 설치되어, 상기 착탈유닛의 전, 후진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가 수평 상태에서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전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의 90°회전에 따른 수직 상태에서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 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좌, 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착탈유닛의 회전 반경을 제공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안유닛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개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하는 상, 하 한 쌍의 하우징회전몸체와, 하우징회전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탈, 장착되는 하우징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로는 중공의 내부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안유닛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착탈유닛을 관통 위치시켜서 전진 이동을 제한하며, 동시에 상기 착탈유닛의 회전이 90°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개안유닛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암이 통상의 손가락을 벌리는 동작에 연동해 벌어짐으로써 벌림 정도에 대한 용이한 조절 및 자연스런 개안이 가능하고 안정적이다.
둘째로, 착탈유닛이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회전 개방되는 일부 하우징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로, 최종 렌즈 착탈에 수반되는 착탈유닛의 2차 이동이 버튼 방식으로 동작하되 완충스프링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안구 면에 대한 콘택트렌즈의 장착과 분리가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로, 콘택트렌즈의 제거시 흡착력을 높여 낙하를 방지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줄였다.
다섯째로, 렌즈장착부와 안구 면 사이의 거리를 다양한 사용자의 성향이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안유닛과 착탈유닛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개안 전,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안유닛과 착탈유닛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개안 전,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하우징 일부 제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는, 크게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리기 위한 개안유닛(100)과,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콘택트렌즈를 안구로부터 장착 및 분리시키는 착탈유닛(200)과, 개안유닛(100)과 착탈유닛(200)을 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개안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릴 수 있도록 한 수단이다.
상기 개안유닛(100)은 속눈썹뷰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제1집게(110)와 제2집게(120)가 피봇포인트(140)를 중심으로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각도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작동으로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릴 수 있게 된다.
제1집게(110)는 일단에 손가락이 삽입되어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의 제1파지환(111)이 설치되고, 제1파지환(111)에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제1아암(112)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1아암(112)은 전체적인 타원 형상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축과 단축 중 단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즉 장축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아암(112)의 선단부에는 안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만곡된 호형의 제1헤드부(113)를 형성하며, 상기 제1헤드부(113)에는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실리콘부재의 제1밀착부(114)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아암(112)에는 마주하는 한 쌍의 피봇포인트(140)가 형성되고, 절곡부위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하우징(300)의 일부를 회전 개방시키기 위한 제1아암핀(115)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1파지환(111)과 근접 위치에 제1아암지지핀(11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게(110)에 교차 설치되는 제2집게(120)는, 제1집게(110)와 동일 재질로 하여 동일 형상으로 제작되되, 제1집게(110)와는 대향된 방향에서 피봇포인트(140)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집게(120)는 일단에 손가락이 삽입되어 파지할 수 있는 원형의 제2파지환(121)이 설치되고, 제2파지환(121)에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제2아암(122)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2아암(122)은 전체적인 타원 형상에서 장축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선단부에는 안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만곡된 호형의 제2헤드부(123)를 형성하고, 상기 제2헤드부(123)에 실리콘부재의 제2밀착부(124)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아암(122)에도 역시 마주하는 한 쌍의 피봇포인트(140)가 형성되고, 절곡부위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하우징(300)의 일부를 회전 개방시키기 위한 제2아암핀(125)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2파지환(121)과 근접 위치에 제2아암지지핀(12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제1헤드부(113)와 제2헤드부(123) 중 어느 하나에는 만곡돌출부(130)가 더 형성되어 윗속눈썹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착탈유닛(200)은 다시 도 2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안구로부터 장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렌즈장착부(210)와, 제1슬라이더(220), 제2슬라이더(230) 그리고 버튼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장착부(210)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어느 정도 압축이 가능하며, 내부는 중공의 관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고, 전면으로 원판의 흡착판(212)이 형성되어 콘택트렌즈를 부착시키게 된다.
더욱이 렌즈장착부(210)는 흡착판(212)의 후단으로 중공의 원통에서 경사면(213)을 따라 직경이 확대되다가 일정 길이의 수평면(214)을 갖게 되되, 상기 경사면(213)과 수평면(214)은 0°와 180°방향에 형성되고, 90°와 270°방향으로는 원통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수직면(215)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면(213)과 수평면(214)은 하우징(300)에 일단이 고정되어 한 쌍으로 마주하는 판스프링(216)에 의한 가압 접촉이 가능하여 진공의 효과가 나타나 흡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착판(212)이 형성된 타단의 렌즈장착부(210)로는 삽입홈(미도시)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삽입홈과 대응 형상을 가지도록 삽입돌기(221)를 일체로 형성시킨 제1슬라이더(22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1슬라이더(2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길이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삽입돌기(2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타단으로는 십자홈(222)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완충스프링(224)이 삽입되어 상기 착탈유닛(200)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고, 복귀를 돕게 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더(220)에 일직선상에 연결 설치되는 제2슬라이더(230)는, 십자홈(222)에 대응되도록 단부측에 십자돌기(231)를 형성시켜서 형합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십자홈(222)과 십자돌기(231)에 의한 결합으로 제2슬라이더(230)의 회전 시 제1슬라이더(220)와 렌즈장착부(210)도 같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제2슬라이더(230)는 제1슬라이더(220)와 동일 재질로 하여 길이는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십자돌기(231)의 반대측 타단에는 일정 길이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에는 길이조절링(233)이 체결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링(233)을 통해 착탈유닛(200)의 전, 후진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슬라이더(230) 중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은 하우징(300)의 외부로 돌출 위치되고, 하우징(300)의 외측에서 길이조절링(233)이 하우징(300)과 가까울수록 착탈유닛(200)의 전진이 제한되며, 길이조절링(233)이 하우징(300)과 멀어질수록 착탈유닛(200)의 전진 길이가 늘어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제2슬라이더(230)는 길이조절링(233)을 사이에 두고 말단부에 버튼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버튼부(240)는 제2슬라이더(230)에 나사 체결되거나 용접 등을 통해 부착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고무재를 포함시켜서 파지력을 높였다.
더욱이 버튼부(240)는 직사각형상으로 수평 회전 상태에서는 렌즈장착부(210)의 방향이 수직면(215)이 상, 하 방향을 향하게 되어 콘택트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전진이 이루어지고, 이와 달리 버튼부(240)의 90°회전에 따른 수직 상태에서는 렌즈장착부(210)의 방향이 경사면(213)과 수평면(214)이 상, 하 방향을 향하게 되어 콘택트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 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40)의 회전을 위하여 제2슬라이더(230)에는 원판 형태의 회전각도유지링(25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각도유지링(250)은 버튼부(240)를 향하는 일면에 톱니면(252)이 형성되고, 톱니면(252)에 맞대어져서 회전이 90°각도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삼각돌기(326)가 하기에서 설명할 내부하우징(3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회전각도유지링(250)의 외주연을 따라 0°, 90°, 180°, 270°마다에 가이드돌기(254)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또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개안유닛(100)과 착탈유닛(200)을 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선단 일부는 회전 개방되어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00)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하여 유선형으로 금형 제작되되, 하우징몸체(310), 하우징회전몸체(312), 하우징덮개(33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몸체(310)는 좌, 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착탈유닛(200) 중 제1아암(112)과 제2아암(122)의 회전 반경을 제공하게 되며, 착탈유닛(200)을 포함하여 좌, 우 한쌍의 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 등이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몸체(310)에는 판스프링(216)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마주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몸체(310)의 선단으로 개안유닛(100)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개방되어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하는 상, 하 한 쌍의 하우징회전몸체(312)는, 내측으로 제1,2아암핀(115)(125)을 일체로 형성시켜서 제1집게(110)와 제2집게(120)의 벌어지는 작동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우징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회전몸체(312)의 전단으로는 탈, 장착 가능한 하우징덮개(330)가 설치되어 미사용시나 휴대시 장착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몸체(310)의 내부 중 중앙측에 내부하우징(3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내부하우징(320)은 중공의 내부에 양단이 개방되어 제1,2슬라이더(220)(230)가 관통 설치될 수 있으며, 외주연으로는 하우징몸체(31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와 같이 제1, 2아암지지핀(116)(126)에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내부하우징돌기(322)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320)의 내부로는 환형의 격벽(324)이 형성되어 제2슬라이더(230)에 설치된 완충스프링(224)의 전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버튼부(240)를 향하는 단부측에는 톱니면(252)과 치합될 수 있는 삼각돌기(326)가 하나 정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내부하우징(320)의 내주연에는 가이드돌기(254)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32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착탈유닛(200)의 전, 후진 이동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의 작용은,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에서 개안 전,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덮개(330)를 제거하고, 버튼부(240)를 수평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버튼부(2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회전각도유지링(250)의 톱니면(252)이 삼각돌기(326)에 접촉되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십자홈(222)과 십자돌기(231)로 연결된 제2슬라이더(230)를 따라 제1슬라이더(220)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며, 렌즈장착부(210)도 회전을 하여 수직면(215)이 상, 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제1밀착부(114)와 제2밀착부(124)를 안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파지환(111)과 제2파지환(121)에 손가락을 넣고 벌리게 되면, 제1,2아암지지핀(116)(126)과 내부하우징돌기(322) 사이의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피봇포인트(140)를 중심으로 선단의 제1,2헤드부(113)(123)가 벌어지게 된다.
제1,2헤드부(113)(123)의 벌어짐 동작과 같이 제1아암핀(115)과 제2아암핀(125)에 결합된 회전몸체연결구(314)로 하여 하우징회전몸체(312)가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파지한 손가락 위치는 벌어지는 안검의 위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안검을 개안하는 과정이 손가락으로 안검을 벌리는 통상의 동작에 자연스럽게 부합되면서도, 개안의 정도는 사용자 감각에 기초해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안 과정은 사용자의 한 손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몸체연결구(314)의 회전 개방으로 노출된 렌즈장착부(210)의 흡착판(212)에 콘택트렌즈를 부착시켜 놓게 된다.
이어서 제1밀착부(114)와 제2밀착부(124)가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안구를 개안하게 되며,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수평 상태의 버튼부(240)를 전진시키게 된다.
착탈유닛(200)의 전진 정도는 길이조절링(233)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며, 전진 작동시 회전각도유지링(250)의 가이드돌기(254)가 내부하우징(320)의 가이드홈(328)을 따라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착탈유닛(200)의 전진이 길이조절링(233)이 하우징(300)에 맞닿기 전에 완충스프링(224)이 격벽(324)에 압축되면서 천천히 전진되며, 전진된 흡착판(212)의 콘택트렌즈가 개안된 눈동자에 부착 되어지게 된다.
콘택트렌즈의 부착이 완료되면, 다시 한 손으로 버튼부(240)를 잡아 당기면, 착탈유닛(200) 전체가 후퇴하며, 파지된 제1집게(110)와 제2집게(120)를 하우징(300)과 같이 안구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그리고 콘택트렌즈를 안구에서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를 도시한 도 7과 도 8에 따르면, 장착할 때와 같이 하우징덮개(330)를 제거하고, 이번에는 버튼부(240)를 수직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버튼부(2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회전각도유지링(250)의 톱니면(252)이 삼각돌기(326)에 접촉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십자홈(222)과 십자돌기(231)로 연결된 제2슬라이더(230)를 따라 제1슬라이더(220)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며, 렌즈장착부(210)도 회전을 하여 경사면(213)과 수평면(214)이 상, 하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제1밀착부(114)와 제2밀착부(124)를 안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파지환(111)과 제2파지환(121)에 손가락을 넣고 벌리게 되면, 제1,2아암지지핀(116)(126)과 내부하우징돌기(322) 사이의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피봇포인트(140)를 중심으로 선단의 제1,2헤드부(113)(123)가 벌어지게 된다.
제1,2헤드부(113)(123)의 벌어짐 동작과 같이 제1아암핀(115)과 제2아암핀(125)에 결합된 회전몸체연결구(314)로 하여 하우징회전몸체(312)가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어서 제1밀착부(114)와 제2밀착부(124)가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안구를 개안하게 되며, 사용자는 다른 한 손으로 수평 상태의 버튼부(240)를 전진시키게 된다.
착탈유닛(200)의 전진 정도는 길이조절링(233)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며, 전진 작동시 회전각도유지링(250)의 가이드돌기(254)가 내부하우징(320)의 가이드홈(328)을 따라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착탈유닛(200)의 전진이 길이조절링(233)이 하우징(300)에 맞닿기 전에 완충스프링(224)이 격벽(324)에 압축되면서 천천히 전진되며, 판스프링(216)이 경사면(213)을 따라 수평면(214)을 압축하면서 일시적으로 진공 상태가 되어 흡착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전진된 흡착판(212)이 눈동자의 콘택트렌즈를 흡착시켜서 분리시키게 된다.
콘택트렌즈의 분리가 완료되면, 다시 한 손으로 버튼부(240)를 잡아 당기면, 착탈유닛(200) 전체가 후퇴하며, 파지된 제1집게(110)와 제2집게(120)를 하우징(300)과 같이 안구로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로 인해, 개안유닛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암이 통상의 손가락을 벌리는 동작에 연동해 벌어짐으로써 벌림 정도에 대한 용이한 조절 및 자연스런 개안이 가능하고, 안정적이다.
또한, 착탈유닛이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회전 개방되는 일부 하우징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최종 렌즈 착탈에 수반되는 착탈유닛의 2차 이동이 버튼 방식으로 동작하되 완충스프링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안구 면에 대한 콘택트렌즈의 장착과 분리가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콘택트렌즈의 제거시 흡착력을 높여 낙하를 방지하여 분실의 위험성을 줄였다.
또, 렌즈장착부와 안구 면 사이의 거리를 다양한 사용자의 성향이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개안유닛 110 : 제1집게
120 : 제2집게 130 : 만곡돌출부
140 : 피봇포인트 200 : 착탈유닛
210 : 렌즈장착부 220 : 제1슬라이더
230 : 제2슬라이더 240 : 버튼부
300 : 하우징 310 : 하우징몸체
320 : 내부하우징 330 : 하우징덮개

Claims (9)

  1. 상호 교차하는 한 쌍의 아암으로 이루어져서 안검을 상하 방향으로 벌리기 위한 개안유닛;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선단에 렌즈장착부를 구비하고, 말단에는 버튼부가 구비되어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안구로부터 장착 및 분리시키는 착탈유닛; 및
    상기 개안유닛과 상기 착탈유닛을 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선단 일부는 회전 개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장착 및 분리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좌, 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착탈유닛의 회전 반경을 제공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개안유닛에 의해 일정 범위로 회전 개방되어 상기 콘택트렌즈의 낙하를 방지하는 상, 하 한 쌍의 하우징회전몸체 및
    상기 하우징회전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탈, 장착되는 하우징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내부로는 중공의 내부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개안유닛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착탈유닛을 관통 위치시켜서 전진 이동을 제한하며, 동시에 상기 착탈유닛의 회전이 90°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안유닛은,
    일단에 손가락이 위치되는 제1파지환과, 상기 제1파지환에 연결 설치되어 전체적인 타원형상에서 장축방향으로 절곡된 제1아암을 구비하는 제1집게와,
    상기 제1집게와 동일 형상으로 제2파지환과 제2아암을 구비하는 제2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이 대향하여 피봇포인트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의 선단부에는 안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만곡형의 제1,2헤드부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제1,2헤드부에는 실리콘부재의 제1, 2밀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2헤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만곡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콘택트렌즈를 흡착시키기 위한 원판의 흡착판이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렌즈장착부와,
    상기 렌즈장착부의 후단에 일부 삽입되며, 외주연에 완충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합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렌즈장착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버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 후진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렌즈장착부를 가압하여 흡착력을 높이는 판스프링이 하우징의 내측에 한 쌍으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더의 단부측에는 나사산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길이조절링이 설치되어, 상기 착탈유닛의 전, 후진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수평 상태에서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전진이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의 90°회전에 따른 수직 상태에서는 상기 콘택트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 전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200035630A 2020-03-24 2020-03-24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KR10215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30A KR102154537B1 (ko) 2020-03-24 2020-03-24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30A KR102154537B1 (ko) 2020-03-24 2020-03-24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537B1 true KR102154537B1 (ko) 2020-09-10

Family

ID=7246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30A KR102154537B1 (ko) 2020-03-24 2020-03-24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5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78A (zh) * 2020-11-13 2022-04-15 李太娇 一种眼科护理用眼睑撑开装置
WO2023079107A1 (de) * 2021-11-04 2023-05-11 Sebastian Feller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r kontaktlinse
JP7386939B1 (ja) 2022-07-20 2023-11-27 ヨン リム、チェ コンタクトレンズ着用と分離のための開眼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349A (ja) * 1987-11-19 1989-05-29 Maaketsuto Bureinzu:Kk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具
KR900005964B1 (ko) * 1987-08-07 1990-08-18 강용조 콘택트 렌즈 착탈구
KR20160061679A (ko) * 2014-11-24 2016-06-01 노병진 콘택트 렌즈의 착용 장치
KR101947772B1 (ko) * 2018-08-30 2019-02-14 조민수 콘텍트렌즈 착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964B1 (ko) * 1987-08-07 1990-08-18 강용조 콘택트 렌즈 착탈구
JPH01135349A (ja) * 1987-11-19 1989-05-29 Maaketsuto Bureinzu:Kk コンタクトレンズの着脱器具
KR20160061679A (ko) * 2014-11-24 2016-06-01 노병진 콘택트 렌즈의 착용 장치
KR101947772B1 (ko) * 2018-08-30 2019-02-14 조민수 콘텍트렌즈 착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878A (zh) * 2020-11-13 2022-04-15 李太娇 一种眼科护理用眼睑撑开装置
CN114343878B (zh) * 2020-11-13 2023-09-19 江门新会爱尔新希望眼科医院有限公司 一种眼科护理用眼睑撑开装置
WO2023079107A1 (de) * 2021-11-04 2023-05-11 Sebastian Feller Vorrichtung zum applizieren einer kontaktlinse
JP7386939B1 (ja) 2022-07-20 2023-11-27 ヨン リム、チェ コンタクトレンズ着用と分離のための開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537B1 (ko)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휴대장치
BR112013005366B1 (pt) óculos e respectiva peça nasal
US4798454A (en) Integral rear view mirror for eyeglasses
JP2011005013A (ja) つけまつ毛装着補助具
US4887896A (en) Handy Spectacles
KR101134235B1 (ko) 콘택트렌즈 착용장치
US20210137202A1 (en) A Spectacle Mounting for a Visor on a Helmet
US11911314B2 (en) Portable device for attaching contact lens to the eye
US4790645A (en) Fitted eyeglass frames
US6793208B1 (en) Tool system for repairing eyeglasses
EP0929837B1 (en) Magnifying spectacles
CN112415781A (zh) 仿生眼镜
US4208105A (en) Reflective device and method for viewing one's own facial areas
CN213552846U (zh) 隐形眼镜的佩戴工具
CN210514812U (zh) 速开式眼镜
JP7146299B2 (ja) サロン使用型と従来型との2つの形状を有する眼鏡
KR102187356B1 (ko) 콘택트렌즈 착탈장치
CN217938517U (zh) 便携式软性角膜接触镜佩戴装置
CN219609367U (zh) 一种眼镜及其眼镜腿
CA2156586A1 (en) Eyeglass frame assembly
JP3265373B2 (ja) 眉毛整形補助器
CN217718307U (zh) 一种镜架及眼镜
JP7386939B1 (ja) コンタクトレンズ着用と分離のための開眼装置
CN212009185U (zh) 适用于眼睑下垂及睁眼失用的支具眼镜
CN220064534U (zh) 一种可以快速更换眼镜腿的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