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979B1 -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979B1
KR102153979B1 KR1020190035437A KR20190035437A KR102153979B1 KR 102153979 B1 KR102153979 B1 KR 102153979B1 KR 1020190035437 A KR1020190035437 A KR 1020190035437A KR 20190035437 A KR20190035437 A KR 20190035437A KR 102153979 B1 KR102153979 B1 KR 102153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rol
valve
open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841A (ko
Inventor
이언우
Original Assignee
이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언우 filed Critical 이언우
Publication of KR2019011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통되는 파이프와, 그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방제 약품의 유입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방제라인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그 방제라인으로 방제 약품이나 물을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와,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제라인의 파이프 일단을 개방하여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방제라인의 파이프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물의 통한 세척이 요구되면 파이프 내부에 저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개방하여 파이프로 유통되는 물이 파이프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간편히 방제라인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무인 방제시스템에서 방제라인을 세척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Unmanned control of insect pests system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방제라인의 파이프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물의 통한 세척이 요구되면 파이프 내부에 저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개방하여 파이프로 유통되는 물이 파이프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간편히 방제라인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무인 방제시스템에서 방제라인을 세척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에서 농작물을 재배할 때는 적절한 시기에 농약 등과 같은 방제 약품을 분무하여, 농작물에 병충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통상 방제 약품의 분무는 방제 약품이 저장되는 약액통과, 약액을 분무하는 분무기와, 분무기를 통해 방제 약품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무실린더를 포함하는 수동식 분무기를 작업자가 등에 짊어지고 이동하면서 방제 약품을 분무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수동식 분무기를 통한 방제 약품의 분무는 방제 약품의 분무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방제 약품을 분무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호흡기를 통해 방제 약품을 흡입하게 되어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무인으로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무인 방제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상기 무인 방제시스템은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통되는 파이프와, 그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방제 약품의 유입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방제라인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그 방제라인으로 방제 약품이나 물을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와,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무인 방제시스템은 방제라인을 통해 방제 약품을 분무한 후, 방제라인의 파이프 및 분사노즐에 잔류 방제 약품이 존재하게 되는데, 그 잔류 방제 약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어 파이프나 분사노즐을 막아버려 이후의 사용에 크게 지장을 주는 일이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제라인의 파이프로 세척을 위한 물을 유통시키면, 그 물이 분사노즐을 통해 방제 약품이 분사된 농작물로 분사되어 방제 약품을 통한 방제 효과를 저감 또는 제거하는 폐단이 있어 상기와 같이 잔류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제 효과의 저감없이 해결할 수 있는 방제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방제라인의 파이프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물의 통한 세척이 요구되면 파이프 내부에 저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개방하여 파이프로 유통되는 물이 파이프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간편히 방제라인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무인 방제시스템에서 방제라인을 세척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은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통되는 파이프와, 그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로 방제 약품의 유입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방제라인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그 방제라인으로 방제 약품이나 물을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와,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제라인의 파이프 일단을 개방하여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 일단의 출구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 상의 분사노즐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 일단의 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방제라인의 파이프 타단의 상부를 개방하여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 일단의 출구와 타단의 공기 유입구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 상의 분사노즐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 일단의 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체크밸브의 개방으로 인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파이프로 유입되므로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파이프로 물의 유입이 중지되면 상기 파이프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출구와 분사노즐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파이프의 깨끗한 세척을 유도하며,
상기 제1,2체크밸브는 내부에 관통된 유통로가 형성되며, 그 유통로는 개폐볼을 통해 개폐되되, 상기 개폐볼은 개폐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면, 고압에 의해 상기 개폐볼과 함께 상기 개폐스프링이 밀리면서 상기 개폐볼에 의해 상기 유통로가 폐쇄되며,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에 물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에 저압이 형성되면, 상기 개폐스프링이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개폐볼을 원위치로 이송 복귀시켜 상기 유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의하면,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방제라인의 파이프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파이프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이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물의 통한 세척이 요구되면 파이프 내부에 저압을 형성하여 파이프 일단의 제1체크밸브를 개방하여 파이프로 유통되는 물이 파이프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간편히 방제라인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무인 방제시스템에서 방제라인을 세척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은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통되는 파이프(1a)와, 그 파이프(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b)과, 상기 파이프(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의 유입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밸브(1c)로 구성되는 방제라인(1)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그 방제라인(1)으로 방제 약품이나 물을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2)와,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를 포함하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 일단을 개방하여 출구(1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a)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출구(10)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1a) 상의 분사노즐(1b)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2)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방제라인(1)은 3개의 라인으로 형성 구현하고, 그 3개의 방제라인(1)을 순차적으로 제1방제라인(101), 제2방제라인(102), 제3방제라인(103)으로 설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을 통해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1방제라인(101)의 개폐밸브(1c)는 개방하고, 나머지 상기 제2,3방제라인(102,103)의 개폐밸브(1c)는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2)를 작동시켜 방제 약품이 상기 제1방제라인(101)의 파이프(1a)로 유입 유통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의 압력(수압)이 고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는 약품의 압력에 자동 폐쇄(잠금)되므로,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방제 약품은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분사노즐(1b)을 통해 농작물로 배출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되는 압력의 설정은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는 방제 약품의 용량, 상기 파이프(1a)의 내부 직경, 길이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펌프(2)를 통해 어느 하나의 방제라인(1)으로 방제 약품이 유입되면, 그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되어야 상기 파이프(1a)의 분사노즐(1b)로 방제 약품의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펌프(2)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 압력에 폐쇄될 수 있는 정도의 폐쇄 압력을 갖는 상기 제1체크밸브(20)를 사용해야만 한다.
그런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방제라인(102)과 제3방제라인(103)을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2,3방제라인(102,103)을 통한 방제 약품의 배출 분사를 완료하여 약액의 방제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2,3방제라인(101,102,103)을 통한 방제 약품의 배출 분사가 완료되어 상기 제1,2,3방제라인(103)의 파이프(1a) 및 분사노즐(1b)의 세척이 요구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는 둘 이상 제1,2방제라인(101,102), 제2,3방제라인(102,103), 제1,3방제라인(101,103)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상기 제1,2,3방제라인(101,102,103) 모두를 개방하는데,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에서는 제1,2,3방제라인(101,102,103)의 개폐밸브(1c)를 모두 개방하여 상기 방제라인(1)을 세척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2,3방제라인(101,102,103)이 모두 개방되면 상기 펌프(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1,2,3방제라인(101,102,103)의 파이프(1a)로 분산 유입되므로 상기 파이프(1a)로 유입 유통되는 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이 저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개방되므로(폐쇄되지 않으므로)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파이프(1a)를 타고 흘러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면서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잔존한 방제 약품이 제거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가 깨끗이 세척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파이프(1a) 상으로 유통되는 물의 일부는 상기 분사노즐(1b)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b)도 함께 세척되는데, 이때 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은 매우 극소량이므로 상기 분사노즐(1b)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한 방제효과의 저감은 매우 미비하여 안정적인 방제 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방제 약품을 분사한 후, 그 방제 약품을 분사한 파이프(1a) 및 분사노즐(1b)을 간편히 세척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이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크밸브(20)는 상기 펌프(2)를 통해 두 개의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로 유입되는 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 압력에 폐쇄되지 않는 정도의 폐쇄 압력을 갖는 밸브를 사용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 타단의 상부를 개방하여 공기 유입구(3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a)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30)를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40)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와 타단의 공기 유입구(30)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1a) 상의 분사노즐(1b)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2)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20)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40)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체크밸브(40)의 개방으로 인해 상기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므로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파이프(1a)로 물의 유입이 중지되면 상기 파이프(1a)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출구(10)와 분사노즐(1b)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파이프(1a)의 깨끗한 세척을 유도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체크밸브(20,40)는 내부에 관통된 유통로(a)가 형성되며, 그 유통로(a)는 개폐볼(b)을 통해 개폐되되, 상기 개폐볼(b)은 개폐스프링(c)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면, 고압에 의해 상기 개폐볼(b)과 함께 상기 개폐스프링(c)이 밀리면서 상기 개폐볼(b)에 의해 상기 유통로(a)가 폐쇄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물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저압이 형성되면, 상기 개폐스프링(c)이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개폐볼(b)을 원위치로 이송 복귀시켜 상기 유통로(a)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작동하는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은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 내부에 고압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이 상기 분사노즐(1b)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고, 물의 통한 세척이 요구되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저압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를 개방하여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물이 상기 파이프(1a)의 출구(10)를 통해 배출되게 하여 간편히 상기 방제라인(1)의 세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 종래에 무인 방제시스템에서 방제라인을 세척하는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무인 방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방제 약품의 분무 및 세척을 수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을 통한 방제 약품의 분무가 요구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는 개방하고, 나머지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는 폐쇄하여 펌프(2)를 통해 유입되는 방제 약품이 개방된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로 유통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에 의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고압이 발생하여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제1체크밸브(20)가 폐쇄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파이프(1a) 상의 분사노즐(1b)을 통해 방제 약품이 농작물로 분사되도록 한다.
반복적으로 나머지 상기 방제라인(1)을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연속적으로 방제 약품의 분무를 수행하면 된다.
그런 후, 방제 약품의 분무가 완료되어 상기 방제라인(1)의 세척이 요구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를 개방한 후에 상기 펌프(2)를 통해 개방된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로 물을 유통시켜 상기 파이프(1a) 및 분사노즐(1b)을 세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펌프(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유통되는 특성상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물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이 낮아 상기 제1,2체크밸브(20,40)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된 물은 상기 제1체크밸브(20)를 통해 개방된 상기 파이프(1)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a)의 일단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상기 출구(10)를 통해 물의 용이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제라인의 세척이 완료되어 상기 펌프를 통한 물을 공급을 중지하면, 상기 제2체크밸브(40)의 개방으로 인해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어 상기 파이프(1a)에 잔존하는 물이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출구(10) 및 분사노즐(1b)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파이프(1a)의 깨끗한 세척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100)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간편히 방제 약품의 분무 및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방제라인 1a. 파이프
1b. 분사노즐 1c. 개폐밸브
2. 펌프 3. 컨트롤러
10. 출구 20. 제1체크밸브
30. 공기 유입구 40. 제2체크밸브
a. 유통로 b. 개폐볼
c. 개폐스프링
100.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Claims (3)

  1.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통되는 파이프(1a)와, 그 파이프(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통되는 방제 약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b)과, 상기 파이프(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의 유입 유무를 결정하는 개폐밸브(1c)로 구성되는 방제라인(1)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그 방제라인(1)으로 방제 약품이나 물을 강제 유통시키는 펌프(2)와,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를 포함하는 무인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 일단을 개방하여 출구(1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a)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출구(10)를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1a) 상의 분사노즐(1b)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2)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20)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방제라인(1)의 파이프(1a) 타단의 상부를 개방하여 공기 유입구(30)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1a)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30)를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면, 그 유통되는 방제 약품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압력(수압)에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상기 제1체크밸브(20)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40)가 폐쇄(잠금)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방제 약품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와 타단의 공기 유입구(30)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파이프(1a) 상의 분사노즐(1b)로 배출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c)가 개방된 상기 파이프(1a)로 물을 유입 유통되면, 상기 펌프(2)를 통해 유통되는 물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으로 분산 유통되므로 상기 파이프(1a) 내부의 물의 압력에 상기 제1체크밸브(20)와 함께 상기 제2체크밸브(40)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물이 상기 파이프(1a) 일단의 출구(10)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체크밸브(40)의 개방으로 인해 상기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되므로 상기 펌프(2)를 통해 상기 파이프(1a)로 물의 유입이 중지되면 상기 파이프(1a)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파이프(1a)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출구(10)와 분사노즐(1b)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파이프(1a)의 깨끗한 세척을 유도하며,
    상기 제1,2체크밸브(20,40)는 내부에 관통된 유통로(a)가 형성되며, 그 유통로(a)는 개폐볼(b)을 통해 개폐되되, 상기 개폐볼(b)은 개폐스프링(c)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방제 약품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면, 고압에 의해 상기 개폐볼(b)과 함께 상기 개폐스프링(c)이 밀리면서 상기 개폐볼(b)에 의해 상기 유통로(a)가 폐쇄되며,
    상기 컨트롤러(3)를 통해 둘 이상의 상기 방제라인(1)의 개폐밸브(1c)가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물이 유입 유통되어 상기 파이프(1a) 내부에 저압이 형성되면, 상기 개폐스프링(c)이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개폐볼(b)을 원위치로 이송 복귀시켜 상기 유통로(a)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35437A 2018-03-29 2019-03-27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KR102153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6482 2018-03-29
KR1020180036482 2018-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41A KR20190114841A (ko) 2019-10-10
KR102153979B1 true KR102153979B1 (ko) 2020-09-09

Family

ID=682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437A KR102153979B1 (ko) 2018-03-29 2019-03-27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9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02B1 (ko) 2013-12-17 2014-06-02 (주)한성티앤아이 결빙 및 고장 대응 수단을 갖는 방역장비
KR101570801B1 (ko) * 2013-11-18 2015-11-23 대한민국 무인 병충해 방제 및 관수 장치
KR101680228B1 (ko) * 2015-01-19 2016-11-28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과수목 방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54Y1 (ko) * 1994-06-08 1996-08-28 정한택 무인방제기의 노즐 세척장치
KR20140142647A (ko) * 2013-06-03 2014-12-12 전은수 무인 방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01B1 (ko) * 2013-11-18 2015-11-23 대한민국 무인 병충해 방제 및 관수 장치
KR101397402B1 (ko) 2013-12-17 2014-06-02 (주)한성티앤아이 결빙 및 고장 대응 수단을 갖는 방역장비
KR101680228B1 (ko) * 2015-01-19 2016-11-28 주식회사 동부그린테크 과수목 방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41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7103A1 (en) Methods of operating an agricultural sprayer
US7188632B2 (en) Cleaning and sanitizing system
US2018031747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in plant cultivation room
KR101049150B1 (ko) 친환경 방제 시스템
KR20190048354A (ko) 약액분무 시스템
KR20090033291A (ko) 약제 분무 장치
KR102153979B1 (ko) 자동 세척기능을 갖는 무인 방제시스템
CN102511359A (zh) 一种作物喷灌设备
KR101956180B1 (ko)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기 및 그를 구비하는 이류체 압축 방식의 추진 분사식 해충 방제시스템
KR20140142647A (ko) 무인 방제기
KR10190243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가열식 무인 자동 방제기
JP2019146501A (ja) 薬液噴霧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30020075A (ko) 인공 수분장치
KR101178223B1 (ko)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CN107648643A (zh) 一种用于养殖舍的自动清洗系统
US1163635A (en) Spraying device.
CN211379019U (zh) 一种高压喷雾大棚降温系统
KR102483965B1 (ko) 다용도 이류체 포그 분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무방법
KR20180064000A (ko) 약액분무 시스템
US4139156A (en) Recirculating sprayer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KR960007354Y1 (ko) 무인방제기의 노즐 세척장치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KR101433034B1 (ko)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639942B1 (ko) 무인 전자동 연무기를 이용한 방역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