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747B1 -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 Google Patents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747B1
KR102153747B1 KR1020200044450A KR20200044450A KR102153747B1 KR 102153747 B1 KR102153747 B1 KR 102153747B1 KR 1020200044450 A KR1020200044450 A KR 1020200044450A KR 20200044450 A KR20200044450 A KR 20200044450A KR 102153747 B1 KR102153747 B1 KR 10215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d
incision
cutou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윤준
Original Assignee
(주)누리팩
원윤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팩, 원윤준 filed Critical (주)누리팩
Priority to KR102020004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65D41/3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having tear-of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을 위해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용기; 상기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 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 뚜껑; 및 상기 제1 뚜껑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 뚜껑의 상측에 체결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BOTTLE CAP STRUCTURE FOR SEPARATE DISCHARGE}
본 발명은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을 위해 분리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식용유, 참기름, 물엿, 간장 등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개구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기와 마개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데, 가공 및 여러 여건에 따라 상기 용기와 마개는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는 통상 페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마개는 PP 혹은 PE의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액상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고 난 후에는 상기 용기와 그 용기의 개구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를 분리하여야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용기의 개구에 설치되어 있는 마개는 상기 용기의 개구에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에 의해 그 분리가 매우 어려웠다. 즉, 상기 용기의 개구에 고정되어 있는 마개를 그 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분리하여야 함으로 재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558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5124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개구에 설치된 마개를 그 용기의 개구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재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제2 덮개부를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본체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본체 용기와 개별적으로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찌든 음식물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세정액이 담겨있는 세정액 공급부를 발명 자체에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는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 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뚜껑은,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토출구의 상측을 덮는 제1 덮개부;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덮개부;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대향면을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까지 일측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상기 덮개 본체를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 절개부;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덮개부와 대향하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절개부; 및 상기 경사 절개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절개부는, 일측과 다른 일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는, 상측과 하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 절개부와 만나는 부분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부에는 상기 경사 절개부의 일측 절개홈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측 절개홈과 하측 절개홈을 연결하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용기; 상기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 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 뚜껑; 및 상기 제1 뚜껑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 뚜껑의 상측에 체결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뚜껑은,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토출구의 상측을 덮는 제1 덮개부;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덮개부; 상기 토출구에 상기 제1 덮개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덮개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1 덮개부의 하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내측면을 덮는 제3 덮개부; 상기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덮개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개구부의 상측 출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제1 덮개부의 상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덮개부의 외부로 흘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부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덮개부의 상측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출 유도부; 및 상기 제1 덮개부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밀봉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유도부는, 상측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뒤집힌 고깔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의 상하 높이가 다른 일측의 상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 본체에 체결된 상기 제2 뚜껑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걸림턱; 상기 덮개 본체를 덮는 상기 제 2 뚜껑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나사산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 상기 덮개 본체를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걸림턱으로부터 상기 덮개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른 뒤,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대향면을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 및 상기 덮개 본체가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부착 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덮개 본체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걸림턱으로부터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까지 일측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덮개 본체를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 절개부; 상기 덮개 본체를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덮개부와 대향하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절개부;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절개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절개부는, 일측과 다른 일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절개부는, 상측과 하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 절개부와 만나는 부분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부에는 상기 경사 절개부의 일측 절개홈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측 절개홈과 하측 절개홈을 연결하는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걸림턱은, 상기 파지부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인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는, 상측 입구 일부가 절개되어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본체 용기의 세척에 필요한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가 상기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을 상기 본체 용기의 내측으로 배출시켜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ㄱ" 형태로 절곡된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안착되는 수용 탱크; 상기 수용 탱크로부터 세정액이 배출되는 상기 수용 탱크의 상부 전단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탱크를 밀폐시키며, 상기 수평 절개부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수용 탱크의 입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용 탱크의 입구를 개방시켜 주는 밀폐 덮개; 상기 수평 절개부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밀폐 덮개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수평 절개부로부터 상기 밀폐 덮개의 상부 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 바아;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비닐팩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세정액이 수용되는 수용팩; 상기 수용 탱크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밀폐 덮개가 상기 수용 탱크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수용 탱크의 내부 공간을 따라 승강하여 세정액이 수용된 상기 수용팩을 하측으로부터 압착하여 상기 수용 탱크의 입구를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압착 플레이트; 및 상기 밀폐 덮개가 상기 수용 탱크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압착 플레이트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밀폐 덮개로부터 상기 압착 플레이트까지 연장 형성되는 분리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재질이 상이한 용기와 마개의 분리를 쉽게 함에 의해 재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부를 제1 덮개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본체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본체 용기와 개별적으로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찌든 음식물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세정액이 담겨있는 세정액 공급부를 발명 자체에 구비함으로써, 유리병 등의 세척을 위해 이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1 뚜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2 덮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제2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세정액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10)는, 본체 용기(100), 제1 뚜껑(200) 및 제2 뚜껑(300)을 포함한다.
본체 용기(100)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구에 제1 뚜껑(200)이 설치되고, 제2 뚜껑(300)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제1 뚜껑(200)은, 본체 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본체 용기(100)의 토출구(110)에 설치되며, 도 2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활용을 위해 본체 용기(100)로부터 분리된다.
제2 뚜껑(300)은, 제1 뚜껑(200)을 밀폐하기 위해 제1 뚜껑(200)의 상측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10)는, 서로 재질이 상이한 본체 용기(100)와 제1 뚜껑(200)의 분리를 쉽게 함에 의해 재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1 뚜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뚜껑(200)은, 제1 덮개부(210), 제2 덮개부(220), 제3 덮개부(230), 토출부(240), 배출 유도부(250) 및 밀봉씰(260)을 포함한다.
제1 덮개부(210)는, 토출구(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토출구(110)의 상측을 덮는다.
제2 덮개부(220)는, 제1 덮개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구(110)의 외측면을 덮는다.
제3 덮개부(230)는, 토출구(110)에 제1 덮개부(2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2 덮개부(220)와 대향하며 제1 덮개부(210)의 하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구(110)의 내측면을 덮는다.
토출부(240)는, 본체 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덮개부(210)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개구부의 상측 출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토출부(240)는, 밀봉씰(260)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잡아당김에 따라 밀봉씰(260)과 함께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되어 제1 덮개부(210)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줄 수 있다.
배출 유도부(250)는, 토출부(240)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제1 덮개부(210)의 상측면을 따라 제1 덮개부(210)의 외부로 흘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토출부(24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1 덮개부(210)의 상측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유도부(250)는, 상측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뒤집힌 고깔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의 상하 높이가 다른 일측의 상하 높이보다 높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봉씰(260)은, 제1 덮개부(210)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분리되어 제1 덮개부(210)의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뚜껑(200)은, 도 4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덮개부(220)를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본체 용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본체 용기(100)와 개별적으로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2 덮개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덮개부(220)는, 덮개 본체(221), 하부 걸림턱(222), 외부 나사산(223), 스트랩(224) 및 부착 방지 돌기(225)를 포함한다.
덮개 본체(221)는, 제1 덮개부(21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구(110)의 외측면을 덮으며, 스트랩(224)이 분리되어 제거됨에 따라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된다.
하부 걸림턱(222)은, 덮개 본체(221)의 하부 외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덮개 본체(221)에 체결된 제2 뚜껑(3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외부 나사산(223)은, 덮개 본체(221)를 덮는 제 2 뚜껑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나사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체결될 수 있도록 덮개 본체(2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트랩(224)은, 덮개 본체(221)를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부 걸림턱(222)으로부터 덮개 본체(221)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른 뒤, 덮개 본체(221)와 제1 덮개부(210)의 대향면을 일주하며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랩(224)은, 경사 절개부(2241), 수평 절개부(2242) 및 파지부(224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절개부(2241)는, 덮개 본체(22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부 걸림턱(222)으로부터 덮개 본체(221)의 상측까지 일측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덮개 본체(221)를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된다.
수평 절개부(2242)는, 덮개 본체(221)를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경사 절개부(2241)의 상단으로부터 제1 덮개부(210)와 대향하는 덮개 본체(221)의 상측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며 연장 형성된다.
파지부(2243)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경사 절개부(224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절개부(2241)는, 일측과 다른 일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L1, L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절개부(2242)는, 상측과 하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L3, L4)이 형성되되, 경사 절개부(2241)와 만나는 부분(L5)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부에는 경사 절개부(2241)의 일측 절개홈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측 절개홈과 하측 절개홈을 연결하는 절개홈(L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걸림턱(222)은, 파지부(2243)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인 파지홈(2221)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 방지 돌기(225)는, 덮개 본체(221)가 토출구(110)의 외측에 밀착된 상태로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덮개 본체(22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도 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덮개부(220)는, 경사 절개부(2241)의 분리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절개공간(S1)과 수평 절개부(2242)의 분리에 따라 형성되는 제2 절개공간(S)를 통해 스트랩(224)을 덮개 본체(221)로부터 분리시킴으로 덮개 본체(221)를 제1 덮개부(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제2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덮개부(220)는, 덮개 본체(221), 하부 걸림턱(222), 외부 나사산(223), 스트랩(224), 부착 방지 돌기(225) 및 세정액 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덮개 본체(221), 하부 걸림턱(222), 외부 나사산(223), 스트랩(224) 및 부착 방지 돌기(225)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액 공급부(400)는, 본체 용기(100)의 세척에 필요한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덮개 본체(221)가 제1 덮개부(2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을 본체 용기(100)의 내측으로 배출시켜 공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출구(110)는, 상측 입구 일부가 절개되어 안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병의 재활용의 경우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던 음식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뒤 배출시켜는 것이 유리병의 재활용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장시간 음식물 등이 담겨있던 유리병의 경우 내측면에 잔여하는 찌든 음식물 등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물을 이용한 세척만으로는 세척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덮개부(220)는, 찌든 음식물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세정액이 담겨있는 세정액 공급부(400)를 발명 자체에 구비함으로써, 유리병 등의 세척을 위해 이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는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 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뚜껑은,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토출구의 상측을 덮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뚜껑은,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덮개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덮개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대향면을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까지 일측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상기 덮개 본체를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은,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덮개부와 대향하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절개부; 및 상기 경사 절개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 절개부는, 일측과 다른 일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절개부는, 상측과 하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절개부는 상기 경사 절개부와 만나는 부분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부에는 상기 경사 절개부의 일측 절개홈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측 절개홈과 하측 절개홈을 연결하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세정액 공급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세정액 공급부(400)는, 수용 탱크(410), 밀폐 덮개(420), 연결 바아(430), 수용팩(440), 압착 플레이트(450) 및 분리 와이어(460)를 포함한다.
수용 탱크(410)는, "ㄱ" 형태로 절곡된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안착홈(120)에 안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토출구(110)의 외측에 안착된다.
밀폐 덮개(420)는, 수용 탱크(410)로부터 세정액이 배출되는 수용 탱크(410)의 상부 전단 입구에 설치되어 수용 탱크(410)를 밀폐시키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절개부(2242)가 분리됨에 따라 분리되는 연결 바아(430)에 의해 수용 탱크(410)의 입구로부터 분리되어 수용 탱크(410)의 입구를 개방시켜 준다.
연결 바아(430)는, 수평 절개부(2242)가 분리됨에 따라 밀폐 덮개(42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수평 절개부(2242)로부터 밀폐 덮개(420)의 상부 일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바아(430)는, 수용 탱크(410)의 상부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431)에 안착될 수 있다.
수용팩(440)은, 수용 탱크(41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비닐팩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세정액이 수용하여 두며, 하측에 안착되는 압착 플레이트(450)가 승강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세정액을 수용 탱크(410)의 입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압착 플레이트(450)는, 수용 탱크(4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밀폐 덮개(420)가 수용 탱크(4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수용 탱크(41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승강하여 세정액이 수용된 수용팩(440)을 하측으로부터 압착하여 수용 탱크(410)의 입구를 통해 세정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분리 와이어(460)는, 밀폐 덮개(420)가 수용 탱크(4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압착 플레이트(45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밀폐 덮개(420)로부터 압착 플레이트(450)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100; 본체 용기
200: 제1 뚜껑
300: 제2 뚜껑
400: 세정액 공급부

Claims (1)

  1. 본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본체 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되는 제1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뚜껑은,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토출구의 상측을 덮는 제1 덮개부;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덮개부;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제1 덮개부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측면을 덮는 덮개 본체;
    상기 덮개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부 나사산;
    상기 덮개 본체와 상기 제1 덮개부의 대향면을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까지 일측 또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상기 덮개 본체를 가로지르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 절개부;
    상기 경사 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덮개부와 대향하는 상기 덮개 본체의 상측을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일주하며 연장 형성되는 수평 절개부; 및
    상기 경사 절개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절개부는,
    일측과 다른 일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는,
    상측과 하측을 따라 절개를 유도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 절개부와 만나는 부분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부에는 상기 경사 절개부의 일측 절개홈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상측 절개홈과 하측 절개홈을 연결하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1020200044450A 2020-04-13 2020-04-13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10215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50A KR102153747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50A KR102153747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101A Division KR102106608B1 (ko) 2020-02-19 2020-02-19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747B1 true KR102153747B1 (ko) 2020-09-10

Family

ID=7246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50A KR102153747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7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784A (en) * 1975-02-13 1975-12-23 Ben A Cochrane Tamper-proof bottle cap and container
JPH0737954U (ja) * 1993-12-27 1995-07-14 日本硝子株式会社 改良型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US5460287A (en) * 1994-02-18 1995-10-24 Graham Packaging Corporation Blow-molded wide mouth plastic container and injection-molded lid
KR100625584B1 (ko) 2004-12-29 2006-09-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스트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병뚜껑
KR100667715B1 (ko) * 1999-10-18 2007-01-15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KR101851246B1 (ko) 2017-11-24 2018-04-23 주식회사 종우 비닐봉지 밀폐용으로의 재활용 가능한 페트병 마개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784A (en) * 1975-02-13 1975-12-23 Ben A Cochrane Tamper-proof bottle cap and container
JPH0737954U (ja) * 1993-12-27 1995-07-14 日本硝子株式会社 改良型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US5460287A (en) * 1994-02-18 1995-10-24 Graham Packaging Corporation Blow-molded wide mouth plastic container and injection-molded lid
KR100667715B1 (ko) * 1999-10-18 2007-01-15 니혼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KR100625584B1 (ko) 2004-12-29 2006-09-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스트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병뚜껑
KR101851246B1 (ko) 2017-11-24 2018-04-23 주식회사 종우 비닐봉지 밀폐용으로의 재활용 가능한 페트병 마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1333B1 (en) Two-piece spill proof open cup
WO2019216979A1 (en) Closure with hinge
US20090065377A1 (en) Dual use cup assembly
US20190315532A1 (en) Pour spout
US11858694B2 (en) Overcap for a bottle having an inner skirt and outer skirt
KR102153747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MX2014007980A (es) Tapon para cerrar el cuello de un recipiente, asi como ensamble de empaque que incluye tal tapon.
KR102106608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US20210039838A1 (en) Container preform finish with tethered closure
KR20190001224A (ko) 흘러내림 방지용 토출구를 가지는 병
KR200491157Y1 (ko) 포장용 캔 용기
KR102510503B1 (ko) 봉인수단이 구비된 플라스틱 용기.
JP4349671B2 (ja) 易開栓性中栓及び中栓付容器蓋
CN217625081U (zh) 一种可存贮速溶粉末或浓缩液的水瓶盖子
JP3655348B2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467289Y1 (ko) 용기캡
JP2018111500A (ja) 詰め替え用容器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230100396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100432235B1 (ko) 합성수지 병뚜껑의 밸브식 내용물 유출장치 구조
JP2005067613A (ja) ボトル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
MXPA04011317A (es) Cierre de canilla para envases de liquido.
KR200236134Y1 (ko) 마개 달린 저장용기
KR960003632Y1 (ko) 원뿔형 토출구가 내장된 음료수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