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699B1 -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699B1
KR102153699B1 KR1020200041089A KR20200041089A KR102153699B1 KR 102153699 B1 KR102153699 B1 KR 102153699B1 KR 1020200041089 A KR1020200041089 A KR 1020200041089A KR 20200041089 A KR20200041089 A KR 20200041089A KR 102153699 B1 KR102153699 B1 KR 10215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plate
mortar
rotating
recycled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헌
전찬수
최원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모르터가 붙어 있는 순환골재를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상의 회전충돌판에 낙하시켜서 충돌에 의해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터를 박리하되, 회전충돌판의 상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회전충돌판의 위쪽에는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상의 덮개판을 이격되게 설치하되 덮개판의 하면에도 단차구조로 형성하여, 투입되어 낙하된 순환골재가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에 반복하여 충돌하되 각각에 형성된 단차구조로 인하여 충돌횟수가 증가되어, 모르터가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複數回)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모르터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Mortar in Recycled Aggregate}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때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모르터를 제거하기 위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와,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표면에 모르터가 붙어 있는 순환골재를 원추형상의 회전충돌판에 낙하시켜서 표면의 모르터를 충돌에 의해 박리하되, 회전충돌판의 상면을 단차구조로 형성하고 회전충돌판의 위쪽에는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상의 덮개판을 이격되게 설치하되 덮개판의 하면에도 단차구조를 형성하여, 투입된 순환골재가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에 반복하여 충돌하되 각각에 형성된 단차구조로 인하여 충돌횟수가 증가되도록 만들어서 모르터를 효율적으로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複數回)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모르터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있어서, 순환골재의 표면에 잔존하는 모르터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0353호에 개시되어 있다.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터를 충분히 박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353호(2012. 12. 10. 공고).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로부터 발생한 순환골재의 표면에서 부착 모르터를 충분하게 그리고 더욱 효과적으로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이루고 있고 원추의 중심에는 순환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하면에는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과, 덮개판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있는 통형상의 챔버를 포함하는 케이싱; 및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면에는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회전충돌판을 포함하며; 덮개판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돌출부와 회전충돌판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하며 회전충돌판의 원추 중심이 덮개판의 투입구와 마주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충돌판이 덮개판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순환골재가 덮개판의 투입구로 투입되어 낙하한 후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복수회 충돌하고 튀어 오르면서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터를 박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를 이용하는데, 회전충돌판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표면에 모르터가 부착되어 있는 순환골재를 모르터 박리기의 덮개판의 투입구로 투입함으로써; 투입된 순환골재가 낙하한 후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복수회 충돌하고 튀어 오르면서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회전충돌판의 단차구조는, 세로면과 가로면이 순차적으로 연속배치되어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하여 존재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가로면은 돌출부에서 오목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의 각각에는 하향 가장자리까지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은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좁아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골재가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복수회의 충돌 과정을 거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모르터가 충분히 박리되어 제거된 상태가 되며,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를 모두 통과한 후에는 덮개판의 아래쪽에 위치한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하여 그 하단에서 모이게 되고, 분류 등의 후속 공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에서는 서로 마주하고 있는 덮개판의 하면과 회전충돌판의 상면에는 각각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입되어 낙하된 순환골재는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에 매우 많은 횟수로 반복하여 충돌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고, 이를 통해서 매우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터 박리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에 구비된 덮개판의 하면이 보이도록 덮개판만을 별도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에 구비된 회전충돌판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에서 순환골재가 투입되어 충돌하면서 모르터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회전충돌판의 상면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르터 박리기(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단면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르터 박리기(100)는, 상부의 덮개판(2) 및 하부의 통형상 챔버(3)를 가지는 케이싱(200)과, 케이싱(200)의 내부에서 덮개판(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는 회전충돌판(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200)은 모르터 박리 공정을 거치게 될 순환골재(G)가 투입되는 부재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의 덮개판(2)과 하부의 통형상 챔버(3)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판(2)은 하향 경사외면을 가지도록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이루고 있는 부재로서, 원추의 중심에는 순환골재(G)가 투입되는 투입구(2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투입구(20)가 관부재(5)로 이루어져서 덮개판(2)과 연통되어 있다. 덮개판(2)의 아래쪽으로는 통형상의 챔버(3)가 일체 구비되어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환골재(G)가 덮개판(2)과 회전충돌판(1) 사이에서 여러 차례의 충돌을 거쳐서 표면의 모르터가 박리된 후 챔버(3)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되어 챔버(3) 하단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3)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는 덮개판(2)의 내부면 즉, 덮개판(2)의 하면이 보이도록 덮개판(2)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판(2)은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덮개판(2)의 내부에 존재하는 덮개판(2)의 하면은 하향 경사져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덮개판(2)의 하면에는 계단형태의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덮개판(2)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가면서 볼록한 모서리 부분인 제2돌출부(22)와 오목한 모서리 부분인 제2오목부(23)가 교번하여 위치함으로써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덮개판(2)에서 단차구조는 경사진 하면의 전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회전충돌판(1)이 설치되었을 때 회전충돌판(1)의 단차구조가 마주하게 되는 구간에만 단차구조가 형성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단차구조가 형성된 구간에 후속해서는 덮개판(2)의 하면에서 경사진 하향 가장자리까지는 단순한 경사면이 존재할 수도 있다.
케이싱(200)의 내부에는 회전충돌판(1)이 구비되는데, 회전충돌판(1) 역시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충돌판(1)은 덮개판(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배치되는데, 뾰족한 원추의 중심이 덮개판(2)의 투입구(2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회전충돌판(1)은 회전장치(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장치(4)는 다양한 공지 형태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서는 편의상 회전장치(4)를 간단한 블럭 형태로 표현하여 회전충돌판(1)의 하면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7에는 회전충돌판(1)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충돌판(1)의 하향 경사진 상면에는 계단형태의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단차구조는 회전충돌판(1)의 전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회전충돌판(1)이 설치되었을 때 덮개판(2)의 하면에서 단차구조가 형성된 구간과 마주하게 되는 구간에만 단차구조가 형성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면에는 회전충돌판(1)의 상면에서 회전충돌판(1)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원추중심에서부터 소정 길이의 구간은 단순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속하여 단차구조가 형성된 구간이 존재한 후, 단차구조가 없는 단순한 경사면이 가장자리까지 존재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충돌판(1)의 단차구조는 세로면(10)과 가로면(11)이 순차적으로 교번하여 연속배치됨으로써, 볼록한 모서리 부분인 제1돌출부(12)와 오목한 모서리 부분인 제1오목부(13)가 교번하여 존재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제1돌출부(12)와 제1오목부(13)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존재하는 가로면(11)은 제1돌출부(12)에서부터 제1오목부(13)로 가면서 점차로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가로면(11)의 위와 같은 경사를 "역(逆)경사"라고 표현하는데, 이와 같이 가로면(11)이 역경사를 가지게 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순환골재(G)의 충돌 횟수가 더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가로면(11)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오목 또는 볼록한 곡선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충돌판(1)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케이싱(200)의 내부에서 덮개판(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덮개판(2)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제2돌출부(22)와, 회전충돌판(1)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제1돌출부(12)가 서로 마주하게 되도록 회전충돌판(1)이 설치된다. 즉, 단차구조의 제1및 제2돌출부(12, 22) 끼리 마주하여 근접하게 되어 돌출부 위치에서는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이 좁아졌다가 후속하여 단차구조의 제1 및 제2오목부(13, 23)끼리 마주하게 되어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가 반복되도록 회전충돌판(1)이 덮개판(2)을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의 각각에서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역시 서로 마주하게 되는데, 이렇게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은 회전충돌판(1)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좁아지게 된다.
도 9에는 케이싱(200)으로 투입된 순환골재(G)가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에서 충돌하면서 모르터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붉은 색의 선(R)은 순환골재(G)가 충돌하면서 움직이는 궤적을 나타낸다.
순환골재(G)의 모르터를 박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100)를 이용하게 되는데, 우선 표면에 모르터가 부착되어 있는 순환골재(G)를 덮개판(2)의 투입구(20)로 투입하게 된다. 투입구(20)로 투입된 순환골재(G)는 낙하하면서 회전충돌판(1)의 원추 중심에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 때, 회전충돌판(1)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회전충돌판(1)에 1차 충돌한 순환골재(G)는 충돌지점에서의 경사와 중력, 그리고 회전충돌판(1)의 회전에 의해 경사진 형태로 튀겨나가게 되는데, 이렇게 튀겨나간 순환골재(G)는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복수회 충돌하고 튀어 오르면서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된다. 특히, 회전충돌판(1)의 상면과 덮개판(2)의 하면에는 각각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단차구조로 인하여 회전충돌판(1) 또는 덮개판(2)에 충돌한 순환골재(G)는 수평한 방향이 아니라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튀어 오르게 되어 맞은편 표면에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골재(G)가 회전충돌판(1) 또는 덮개판(2)에 반복하여 충돌하되 충돌하는 횟수가 크게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의 박리와 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회전충돌판(1)의 단차구조에서 가로면(11)이 역경사를 가지게 되면, 가로면(11)에 충돌한 순환골재(G)는 더욱 연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튀어 오르게 되고, 그만큼 덮개판(2)과 회전충돌판(1)에 충돌하게 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어, 모르터 박리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회전충돌판(1)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서 좁아지게 되는 바, 순환골재(G)가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를 단순히 통과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순환골재(G)간의 충돌 및 마찰이 증대하여 발생하면서 통과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순환골재(G)에서 모르터를 박리 제거하는 효과가 더욱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회전충돌판(1)의 가장자리로 가면서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서 좁아지는 구성에 의하면, 표면에 모르터가 부착되어 있는 순환골재(G)들이 회전충돌판(1)의 가장자리 즉, 간격이 좁아진 구역에서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에서 충돌하거나 및/또는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에 마찰됨으로써,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더욱 쉽게 박리되어 제거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회전충돌판(1)이 회전하므로, 회전충돌판(1)과 충돌하는 순환골재(G)는 회전충돌판(1)의 회전과 함께 평면에서 볼 때 나선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도 10에는 회전충돌판(1)의 상면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형태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굵은선으로 표현된 것은 회전충돌판(1)과 충돌한 순환골재(G)가 움직이는 궤적을 나타낸다.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회전충돌판(1)과 충돌하는 순환골재(G)는 회전충돌판(1)의 회전력에 의해 충돌점에서 접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순환골재(G)가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에서 복수회 충돌하면서 나선 형태의 행적을 보이게 되며, 그만큼 충돌에 의한 모르터의 박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골재(G)는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를 통과하면서 복수회의 충돌 과정을 거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모르터가 충분히 박리되어 제거된 상태가 되며,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 사이를 모두 통과한 후에는 덮개판(2)의 아래쪽에 위치한 챔버(3)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하여 그 하단에서 모이게 되고, 분류 등의 후속 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모르터 박리기(100)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투입되어 낙하된 순환골재(G)는 회전충돌판(1)과 덮개판(2)에 더욱 증가된 횟수로 반복하여 충돌하게 되며, 그에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며, 이를 통해서 매우 우수한 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 회전충돌판
2: 덮개판
3: 챔버
4: 회전장치
10: 연직부
11: 평면부
12: 제1돌출부
13: 제1오목부
20: 투입구
100: 모르터 박리기
200: 케이싱
G: 순환골재

Claims (5)

  1.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이루고 있고 순환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하향 경사진 하면에는 원주 전체에 걸쳐서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챔버를 포함하는 케이싱; 및
    위쪽으로 뾰족한 원추형태를 이루고 있고 경사진 상면에는 원주 전체에 걸쳐서 단차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하게 되는 회전충돌판을 포함하며;
    덮개판의 경사진 하면과 회전충돌판의 경사진 상면이 마주하게 되어 덮개판에 형성된 단차구조와 회전충돌판에 형성된 단차구조가 서로 마주보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충돌판이 덮개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데;
    회전충돌판의 단차구조는, 세로면과 가로면이 순차적으로 연속배치되어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가 교번하여 존재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제1돌출부와 제1오목부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존재하는 가로면은 제1돌출부에서 제1오목부로 가면서 점차로 높이가 낮아지는 역경사를 가지며;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의 각각에 형성된 단차구조가 마주하도록 배치될 때, 단차구조의 돌출부 끼리 서로 마주하여 근접하게 되어 돌출부 위치에서는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졌다가 후속하여 단차구조의 오목부끼리 마주하게 되어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가 반복되도록 회전충돌판이 덮개판을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순환골재가 덮개판의 투입구로 투입되어 낙하한 후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복수회 충돌하고 튀어 오르면서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는데, 회전충돌판과 충돌하는 순환골재는 회전충돌판과 충돌하는 순간에 회전충돌판의 회전력에 의해 충돌점에서 접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회전충돌판의 회전과 함께 평면에서 볼 때 나선 형태로 움직이면서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에서 복수회 충돌하여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고;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의 각각에는 하향 가장자리까지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 단차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서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은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좁아지게 되어, 간격이 좁아진 가장자리 구역에서는 순환골재가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에서 충돌하거나 회전충돌판과 덮개판에 마찰됨으로써, 그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순환골재의 표면에 부착된 모르터를 박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청구항 1에 따른 모르터 박리기를 이용하는데, 회전충돌판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표면에 모르터가 부착되어 있는 순환골재를 모르터 박리기의 덮개판의 투입구로 투입함으로써;
    투입된 순환골재가 낙하한 후 회전충돌판과 덮개판 사이의 간격에서 반복적으로 복수회 충돌하고 튀어 오르면서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모르터가 박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KR1020200041089A 2020-04-03 2020-04-03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KR10215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089A KR102153699B1 (ko) 2020-04-03 2020-04-03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089A KR102153699B1 (ko) 2020-04-03 2020-04-03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99B1 true KR102153699B1 (ko) 2020-09-09

Family

ID=724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089A KR102153699B1 (ko) 2020-04-03 2020-04-03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675B2 (ja) * 1996-03-26 2005-12-21 有限会社西鉄工所 製粉機
JP2009082848A (ja) * 2007-10-01 2009-04-23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コーンクラッシャおよびマントル
KR101210353B1 (ko) 2010-11-22 2012-1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추형 마찰판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KR101716455B1 (ko) * 2016-06-23 2017-03-17 합자회사 금강개발 다중 충돌 및 타격에 의한 표면 이물질 제거와 표면 형상 개선 기능을 가지는 순환골재 표면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표면 박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675B2 (ja) * 1996-03-26 2005-12-21 有限会社西鉄工所 製粉機
JP2009082848A (ja) * 2007-10-01 2009-04-23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コーンクラッシャおよびマントル
KR101210353B1 (ko) 2010-11-22 2012-12-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추형 마찰판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KR101716455B1 (ko) * 2016-06-23 2017-03-17 합자회사 금강개발 다중 충돌 및 타격에 의한 표면 이물질 제거와 표면 형상 개선 기능을 가지는 순환골재 표면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표면 박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99B1 (ko) 단차구조에 의한 복수회 충돌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방법
US92164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yratory sifter deblinding
KR101716455B1 (ko) 다중 충돌 및 타격에 의한 표면 이물질 제거와 표면 형상 개선 기능을 가지는 순환골재 표면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순환골재 표면 박리방법
US6267899B1 (en)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99417B1 (ko)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KR100658949B1 (ko) 진동선별기
AU634894B2 (en) A rotary sprinkler
EP0053882A1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foundry moulding sand
JPH0763654B2 (ja) 白下を遠心分離するための連続作動型遠心分離機
KR102208061B1 (ko) 계단형 배플판 및 이를 적용한 분진 분리기
KR101210353B1 (ko) 원추형 마찰판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모르터 박리기
JP4674268B2 (ja) 遊技媒体返却通路、遊技媒体返却通路付の台間機、遊技媒体返却通路の台間機取付方法
JP4086745B2 (ja) ホッパー装置
JP6116606B2 (ja) 細粒物の研磨装置
KR101004738B1 (ko) 순환골재 박리장치
RU2277011C1 (ru) Гранулятор
CN208448918U (zh) 一种钛白粉生产用圆盘气液分离系统
RU2185254C2 (ru) Каскадный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SU1607847A1 (ru) 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SU17366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мывки руды 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шлама
RU2170626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RU21711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ия расплавов
WO1997030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particulate material using ultra high pressure jets
SU1676676A1 (ru) Конический гидрогрохот
SU1299007A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