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53B1 - 도시락 용기 - Google Patents

도시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53B1
KR102153453B1 KR1020190070027A KR20190070027A KR102153453B1 KR 102153453 B1 KR102153453 B1 KR 102153453B1 KR 1020190070027 A KR1020190070027 A KR 1020190070027A KR 20190070027 A KR20190070027 A KR 20190070027A KR 102153453 B1 KR102153453 B1 KR 10215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heating
plate
section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오이
Priority to KR102019007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30Devices for warming by making use of burning cartridges or other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바닥부를 수용하고 내측에 가열부가 구비되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열부는 물 및 물과 접촉할 시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인 가열 분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취식자로서는 상기 물과 상기 가열 분말을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에 투여한 후, 음식물이 수용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용시키기만 하면, 상술한 가열부의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열 증기가 제 3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간의 대향구간을 통해 전도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전도열은 결국 제 1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된 음식물로 전달되어, 이를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시락 용기는 발열 수단을 자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음식물 가열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도시락 용기{Lunch box}
본 발명은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음식물을 보관 및 이송시키기 위한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락 용기는 나들이 또는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음식물을 수용시킬 수 있는 용기이다.
이러한 도시락 용기는 일회용으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섭취 후 뒤처리가 매우 간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시락 용기는 별도의 보온이 어려워, 이로 인해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식혀진 음식물을 그대도 섭취해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식감과 신선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시락 용기를 별도의 보온통에 보관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보온통에는 발열팩이나 온수 등이 구비되어 음식물 보온을 위한 온도가 조성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발열팩이나 상기 온수 등은 주기적으로 교체되어야 그 보온 효과가 지속 유지되는 바, 이로 인해 설비의 증가 및 번잡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를 시, 필연적으로 많은 양의 도시락 용기가 하나의 보온통에 구비되어야 하는 바, 이로 인해 보온통의 내측에서 각 도시락 용기간 열교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이에 따라 그 보온 효율 또한 보장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발열 수단이 자체 구비된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는, 제 1 바디부재와, 상기 제 1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수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 2 바디부재와, 상기 제 2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용구간은, 보온을 필요로 하는 음식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수저가 수용되는 수저 수용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시락 용기는, 제 3 바디부재와, 내측에 상기 제 1 바디부재가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높이와 외측 바닥면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 3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는 보온구간과, 상기 보온구간의 내측에 함몰형성되는 가열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각각이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인 가열 액체와, 물과 접촉할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인 가열 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가열구간에 구비되는 제 1 팩과, 상기 가열 분말을 수용하고 상기 가열구간에 구비되는 제 2 팩을 포함하고, 상기 도시락 용기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도록 각각이 상기 가열구간의 내외측 벽면을 관통하며 각각의 말단은 상기 가열구간의 외부로 노출되고 각기 원터치 가압 방식으로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을 천공하는 한 쌍의 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시락 용기는,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을 액체 수용구간, 분말 수용구간 및 혼합구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에서 격벽 구조로 형성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팩은, 상기 액체 수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액체 수용구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팩은, 상기 분말 수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분말 수용구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케이싱부재와, 상기 각 케이싱부재를 관통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고 각각의 말단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외부로 소정 길이 이상 노출되는 한 쌍의 누름축과, 상기 각 누름축의 일단에 구비되고 뾰족구조로 형성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상기 각 누름축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각 누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각 케이싱부재의 내측 벽면과 대향하는 걸림턱과, 상기 각 누름축의 타단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 천공부재가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을 천공하지 않도록 상기 각 케이싱부재의 내측 일단 벽면과 상기 각 걸림턱을 소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되 압축 가능한 탄성 지지체 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누름축의 타단을 커버하는 누름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바닥부를 수용하고 내측에 가열부가 구비되는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열부는 물 및 물과 접촉할 시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인 가열 분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취식자로서는 상기 물과 상기 가열 분말을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에 투여한 후, 음식물이 수용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수용시키기만 하면, 상술한 가열부의 발열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열 증기가 제 3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간의 대향구간을 통해 전도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전도열은 결국 제 1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된 음식물로 전달되어, 이를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시락 용기는 발열 수단을 자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음식물 가열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락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3 플레이트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A 구간을 따라 도시락 용기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누름축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누름축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 구간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c의 상태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B 구간을 따라 도시락 용기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시락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락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3 플레이트 및 그 주변 구성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1000)는 제 1 플레이트(100), 제 2 플레이트(200), 제 3 플레이트(300), 격벽부(400), 가열부(500) 및 천공부(6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 1 플레이트(100)는 제 1 바디부재(110)와 제 1 수용구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부재(110)의 경우 식판 형성을 위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식판 구조에 음식이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수용구간(120)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수용구간(120)의 경우 주식과 반찬 등 음식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200)는 제 2 바디부재(210)와, 제 2 수용구간(220)과, 수저 수용구간(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디부재(210)의 경우, 상기 제 1 바디부재(110)의 일측으로부터 식판 형성을 위한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구간(220)의 경우, 음식이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 2 바디부재(210)에 함몰 형성되며, 반찬 등 음식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저 수용구간(230)의 경우, 수저가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 2 바디부재(210)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플레이트(300)는 제 3 바디부재(310)와, 보온구간(320)과, 가열구간(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바디부재(310)의 경우, 상기 제 1 바디부재(110)의 정단면에 대응되는 단면 크기를 갖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온구간(320)의 경우, 상기 제 3 바디부재(310)에 함몰 형성되며, 그 내측에 상기 제 1 바디부재(110)가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110)의 높이와 외측 바닥면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열구간(330)의 경우, 상기 보온구간(320)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400)는 상기 가열구간(330)의 내측을 액체 수용구간(440), 분말 수용구간(450) 및 혼합구간(460)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가열구간(330)의 내측에서 격벽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부(400)는 제 1 격벽(410)과, 제 2 격벽(420)과, 제 3 격벽(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격벽(410)의 경우, 일단은 상기 가열구간(330)의 내측 어느 일측 벽면으로부터 격벽 구조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가열구간(330)의 어느 나머지 내측 벽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격벽(420)의 경우, 일단은 상기 제 1 격벽(410)의 타단으로부터 격벽 구조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가열구간(330)의 어느 나머지 내측 벽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격벽(430)의 경우, 일단은 상기 제 1 격벽(410)의 타단으로부터 격벽 구조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가열구간(330)의 어느 나머지 내측 벽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격벽(410)과 상기 제 2 격벽(420) 각각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구간에 상기 액체 수용구간(4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격벽(410)과 상기 제 3 격벽(430) 각각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가열구간(330)의 내측 구간에 상기 분말 수용구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수용구간(440)과 상기 분말 수용구간(450) 이외의 상기 가열구간(330)의 내측 구간에 상기 혼합구간(46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500)는 가열 액체(미도시)와, 가열 분말(미도시)과,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 액체(미도시)의 경우, 물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이다.
상기 가열 분말(미도시)의 경우, 상온에서 분말 상태로 존재 가능하며, 물과 접촉할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이며, 생석회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물질들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팩(530)의 경우, 상기 액체 수용구간(440)에 구비되며, 그 내측에 상기 가열 액체(미도시)를 수용한다.
상기 제 2 팩(540)의 경우, 상기 분말 수용구간(450)에 구비되며, 그 내측에 상기 가열 분말(미도시)을 수용한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A 구간을 따라 도시락 용기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누름축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누름축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 구간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c의 상태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B 구간을 따라 도시락 용기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상기 도시락 용기(1000)의 나머지 구성들 및 상기 도시락 용기(1000)의 사용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600)는 케이싱부재(610)와, 누름축(620)과, 천공부재(630)와, 걸림턱(640)과, 탄성부재(650)와, 누름 방지캡(66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부재(610)의 경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 1 팩(530)과 상기 제 2 팩(54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3 플레이트(3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 케이싱부재(610)는 상기 제 3 플레이트(300)를 관통할 수 있고, 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 구간은 상기 혼합구간(46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축(620)의 경우, 각각이 상기 각 케이싱부재(610)를 관통하며, 상기 제 1 팩(530)과 상기 제 2 팩(540)에 대향하는 상기 각 누름축(620)의 일단에는 뾰족구조를 갖는 상기 천공부재(6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축(62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 구간은 상기 제 3 플레이트(30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640)의 경우, 상기 각 누름축(62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각 누름축(62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각 케이싱부재(610)의 내측 벽면과 대향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50)의 경우, 상기 각 케이싱부재(610)의 내측 일단 벽면과 상기 각 걸림턱(640)을 소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되 압축 가능한 탄성 지지체 구조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탄성 지지체는 스프링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a를 참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기 각 누름축(620)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술한 탄성부재(650)의 탄성지지 기능에 의해 각 천공부재(630)는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천공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도 5a에서 도 5b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누름축(620)의 타단에 상기 탄성부재(650)의 탄성 지지력을 초과하는 크기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650)는 압축된다.
그리고, 상술한 가압 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650)의 길이가 축소된 것에 대응되는 만큼 각 천공부재(630)는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으로 근접하게되고, 이후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천공시키게 된다.
상술한 탄성부재(650)의 탄성지지 기능을 통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에 발생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아니한 손상이 발생할 경우가 확연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6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축(620)의 타단에는 상기 누름 방지캡(660)이 커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커버 기능을 통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은 보다 더 안전히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즉,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천공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상기 누름 방지캡(660)이 누름축(620)을 커버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킨 뒤, 상기 탄성부재(650)의 탄성 지지력을 초과하는 크기로 상기 누름축(620)의 타단을 가압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은 천공부재(630)에 의해 천공되나, 그 천공 구간은 누름축(620)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5b에서 도 5c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축(62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650)의 탄성 복원 작용에 의해 각 천공부재(630)는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도 5a에서 도 5b의 순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된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의 천공 구간은 개방되는 바, 이러한 천공 구간을 통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의 내용물들인 가열 액체(510)와 가열 분말(520)은 혼합구간(460)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 1 팩(530)은 상기 액체 수용구간(440)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팩(540)은 상기 분말 수용구간(450)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 맞춤형 구조를 통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은 격벽부(400)와 완전히 밀착 가능하게 되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격벽부(400)에 의한 간섭작용을 통해 제 3 플레이트(300)의 내측에서 완전히 밀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밀폐성 보장을 통해, 제 3 플레이트(300) 등에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의 위치 이탈이 최소화되어, 각 천공부(600)가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정확히 천공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액체 수용구간(440)이 제 1 팩(5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고, 분말 수용구간(450)이 제 2 팩(54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격벽부(400)가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밀폐 구조를 구현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을 격벽부(400)의 내측 벽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7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제 1 팩(530)과 제 2 팩(540)으로부터 배출된 가열 액체(510)와 가열 분말(520)은 혼합구간(460)의 내측에서 상호 혼합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혼합 작용을 통해 발열 반응이 발생하게 되어, 제 3 플레이트(300)의 내측에는 가열 증기(h)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플레이트(300)의 내측과 접하는 제 1 플레이트(100)의 바닥면에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가열 증기(h)의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전도열을 통해 제 1 수용구간(120)에 구비된 음식물 등이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축(620)에 대해 가압 및 가압 해제 작용을 하는 것만으로도 음식물 가열을 위한 열이 즉각 발생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원터치 구조를 통해 음식물 가열의 용이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덧붙여, 제 1 플레이트(100)와 제 3 플레이트(300)의 경우, 상기 가열 증기(h)에 의해 손상되지 않되, 상술한 열전도 현상이 원활히 발생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들은 제 3 플레이트(300)가 제 1 플레이트(100)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제 3 플레이트(300)가 제 1 플레이트(100)를 커버함으로써, 이에 따라 제 1 플레이트(100)에만 보온기능이 작용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이에 대해 설명하자면, 음식의 경우 밥 등의 주식, 국 등의 액체성 음식, 육류 등과 같이 보온을 필요로 하는 종류가 있고, 나물류 등과 같이 보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종류가 있다.
따라서, 제 1 플레이트(100)에 보온을 필요로 하는 음식 종류를 구비시키고, 제 2 플레이트(200)에는 그 외의 음식 종류를 구비시킨다면, 이로써 각 음식 종류의 취식 방법에 적합한 선별적 보온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도시락 용기
h : 가열 증기
100 : 제 1 플레이트
110 : 제 1 바디부재
120 : 제 1 수용구간
200 : 제 2 플레이트
210 : 제 2 바디부재
220 : 제 2 수용구간
230 : 수저 수용구간
300 : 제 3 플레이트
310 : 제 3 바디부재
320 : 보온구간
330 : 가열구간
400 : 격벽부
410 : 제 1 격벽
420 : 제 2 격벽
430 : 제 3 격벽
440 : 액체 수용구간
450 : 분말 수용구간
460 : 혼합구간
500 : 가열부
510 : 가열 액체
520 : 가열 분말
530 : 제 1 팩
540 : 제 2 팩
600 : 천공부
610 : 케이싱부재
620 : 누름축
630 : 천공부재
640 : 걸림턱
650 : 탄성부재
660 : 누름 방지캡

Claims (9)

  1. 제 1 바디부재와, 상기 제 1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수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제 2 바디부재와, 상기 제 2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음식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수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플레이트;
    상기 제 1 수용구간은 보온을 필요로 하는 음식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며 수저가 수용되는 수저 수용구간을 포함하며,
    제 3 바디부재와, 내측에 상기 제 1 바디부재가 삽입 및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재의 높이와 외측 바닥면 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 3 바디부재에 함몰형성되는 보온구간과, 상기 보온구간의 내측에 함몰형성되는 가열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 플레이트; 및
    각각이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주 성분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인 가열 액체와, 물과 접촉할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화합물인 가열 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가열구간에 구비되는 제 1 팩과, 상기 가열 분말을 수용하고 상기 가열구간에 구비되는 제 2 팩을 포함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도록 각각이 상기 가열구간의 내외측 벽면을 관통하며 각각의 말단은 상기 가열구간의 외부로 노출되고 각기 원터치 가압 방식으로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을 천공하는 한 쌍의 천공부;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을 액체 수용구간, 분말 수용구간 및 혼합구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가열구간의 내측에서 격벽 구조로 형성되는 격벽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팩은 상기 액체 수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액체 수용구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팩은 상기 분말 수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분말 수용구간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케이싱부재와, 상기 각 케이싱부재를 관통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에 대향하고 각각의 말단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외부로 소정 길이 이상 노출되는 한 쌍의 누름축과, 상기 각 누름축의 일단에 구비되고 뾰족구조로 형성되는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상기 각 누름축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고 상기 각 누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각 케이싱부재의 내측 벽면과 대향하는 걸림턱과, 상기 각 누름축의 타단이 가압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각 천공부재가 제 1 팩과 상기 제 2 팩을 천공하지 않도록 상기 각 케이싱부재의 내측 일단 벽면과 상기 각 걸림턱을 소정 거리 이상 이격시키되 압축 가능한 탄성 지지체 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천공부는,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누름축의 타단을 커버하는 누름 방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KR1020190070027A 2019-06-13 2019-06-13 도시락 용기 KR10215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27A KR102153453B1 (ko) 2019-06-13 2019-06-13 도시락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27A KR102153453B1 (ko) 2019-06-13 2019-06-13 도시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53B1 true KR102153453B1 (ko) 2020-09-08

Family

ID=7245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27A KR102153453B1 (ko) 2019-06-13 2019-06-13 도시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1919A (ja) * 1987-12-10 1990-06-21 Erugu:Kk 加熱装置
US20180029777A1 (en) * 2015-04-07 2018-02-01 Cedric Jean Duhamel Single use self-heating cup
KR20180106019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아이딜홈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1919A (ja) * 1987-12-10 1990-06-21 Erugu:Kk 加熱装置
US20180029777A1 (en) * 2015-04-07 2018-02-01 Cedric Jean Duhamel Single use self-heating cup
KR20180106019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아이딜홈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113A (en) Self-heating container
GB2523726A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e
EP2883812A1 (en) Thermally insulated package
WO2015145875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7240051B1 (ja) 発熱性積層体および加熱装置
KR102153453B1 (ko) 도시락 용기
KR100843270B1 (ko) 가열 봉투
US20070221197A1 (en) Self-heating package for pre-cooked foods
JP6752497B2 (ja) 長期保存が可能な発熱性積層体
JP2015196520A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KR20190137365A (ko)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KR20060053831A (ko) 가열유니트 및 가열용기
KR102005089B1 (ko) 액체팩 개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발열 용기
JP2007275339A (ja) 発熱性食品加熱容器
JP3191053U (ja) 発熱剤用加熱容器
EP0255308A1 (en) Self-heating container assembly
CA2538446A1 (en) Self-heating package for pre-cooked foods
JP7382685B1 (ja) 加熱保存容器
US10716432B2 (en) Self-heating pouch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57963Y1 (ko) 발열가방
JPH01175816A (ja) 加熱装置
KR200408265Y1 (ko) 전자레인지용 진공 포장지
CN207461622U (zh) 一种两盖自热饭盒
JP2010058815A (ja) 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H02154714A (ja) 発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