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345B1 -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45B1
KR102153345B1 KR1020130061520A KR20130061520A KR102153345B1 KR 102153345 B1 KR102153345 B1 KR 102153345B1 KR 1020130061520 A KR1020130061520 A KR 1020130061520A KR 20130061520 A KR20130061520 A KR 20130061520A KR 102153345 B1 KR102153345 B1 KR 10215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ssue
radiation
weight
contrast enha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746A (ko
Inventor
이강의
오현화
김성수
성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45B1/ko
Priority to US14/291,903 priority patent/US9799109B2/en
Publication of KR2014014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746A/ko
Priority to US15/632,900 priority patent/US1071992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2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multiple energy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61B6/524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combining overlapping images of the same imaging modality, e.g. by sti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16X-ray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52Varying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68Mammography; Bre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96Tumor; Le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새로 입력 받는 가중치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영상을 다시 합성하는 재 합성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이 다시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재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esentation of radioacitve image of the same}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인체나 물건과 같은 피사체에 조사하여 상기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시스템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이 피사체에 조사될 때 피사체 내부의 물질이나 구조의 특성에 따라서 방사선이 흡수되어 감쇠되거나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인체 등의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피사체 내부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한 후, 수광된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방사선 신호를 획득하여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 digital radiography), 형광 투시 영상 장치(fluoroscopy), 심전도 측정기(cardiography), 혈관 조영 장치(angi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T, Computed tomography)나 유방 촬영 장치(마모그라피, mammography) 등이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 내부 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분야 등에서 인체 내부의 병변 등을 검출하거나, 물체나 부품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되곤 한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공항 등에서 수하물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서로 상이한 방사선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방사선 영상을 합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적합한 합성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새로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부는 상기 새로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을 다시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의 대조도를 향상시킨 대조도 향상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에 대해 조직을 강조시킨 조직 강조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양자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합성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새로 입력 받는 가중치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영상을 다시 합성하는 재 합성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이 다시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재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방사선 영상을 합성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사선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대조도가 향상된 영상과 조직이 강조된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적절하게 피사체 내부의 구조, 조직, 병변 등의 확인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진단용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의사 등의 사용자가 환부에 대한 적절한 진단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중 에너지 방사선 영상의 합성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방사선 영상을 합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피사체 내부의 조직, 구조나 병변의 확인을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방사선 조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방사선 조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이다.
도 5는 감쇠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이다.
도 6은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영상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 화면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선을 피사체(ob)로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100), 피사체(ob)를 투과하거나 또는 직접 도달하는 방사선을 수광하여 방사선 신호를 출력하는 방사선 검출부(200), 방사선 검출부(200)에서 출력되는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300),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나 명령,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는 인체 등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 장치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 조사부(100), 방사선 검출부(200), 방사선 조사부(100)와 방사선 검출부(200) 사이에 위치하고 피사체(ob)가 거치되는 거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ob)는 인체일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를 제어하고 방사선 신호를 방사선 검출부(200)로부터 전달받아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콘솔 장비(10)와 사용자로 방사선 영상 또는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나 명령,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의하면 콘솔 장비(10)에는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영상처리부(300) 및 제어부(50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구체적으로 입력부(420) 및 출력부(4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420) 및 출력부(410)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장비(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부(100)의 외장 하우징에 마련된 입출력모듈(ie)일 수도 있다.
이하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게시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단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전신, 팔, 다리 또는 치아 등을 촬영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사선 촬영 장치, 여성의 유방을 압착하고 압착된 유방을 촬영하는 마모그라피 촬영 장치, 형상 투시법을 이용하는 형광 투시 영상 장치, 심전도 측정기, 혈관 조형술을 이용하는 혈관 조영 장비 또는 복수의 방향에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단면 영상을 획득하는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방사선 촬영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술한 복수의 방사선 촬영 장치 중 두 종류 이상의 방사선 영상 장치가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종류나 촬영 부위, 촬영 목적 또는 생성되는 방사선 영상의 종류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조사부(1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방사선 조사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조사부(100)는 소정 에너지의 방사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사선을 소정의 방향, 일례로 피사체(ob)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부(100)는 방사선을 생성하기 방사선 튜브(110) 및 방사선 튜브(11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튜브(110)는 다른 부품을 내장하고 있는 관체(111), 음극(112) 및 양극(애노드, 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극(112)에는 전자가 집결되는 필라멘트(11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양극에는 필타멘트(113)에서 발생된 전자가 충돌하면서 감속하는 타겟(1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관체(111)는 소정의 규산 경질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관일 수 있으며, 관체(111) 내의 음극(112) 및 양극(11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관내의 진공도를 10-7mmHg 정도로 높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음극(112)의 필라멘트(113)는 전원(120)과 연결되어 전원(120)에서 인가되는 관전압에 따라 가열되어 소정 에너지의 전자를 관체(111) 내부로 방출시킨다. 음극의 필라멘트(113)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텅스텐(W)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112)는 필요에 따라서 방출되는 전자를 집속시키는 집속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음극(112)은 필라멘트(113) 대신에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음극(112)의 필라멘트(113)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관체(111) 내에서 가속되면서 양극(1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양극(114) 방향으로 이동하던 가속 전자는 양극(114)에 형성된 타겟(115)에 충돌하면서 쿨롱힘에 의해 급격하게 감속하게 되는데, 전하가 감속될 때 에너지 보전 법칙에 따라서 인가된 관전압에 상응하는 에너지의 방사선이 발생하게 된다.
양극(114)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고정 양극(114)은 소정의 각도로 절삭되어 있을 수 있고, 절삭된 부위에 필라멘트(113)에서 방출되어 가속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타겟(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양극(114)의 절삭각은 관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20도 정도일 수 있다. 타겟(115)에는 가속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충돌면인 초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초점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초점에서는 가속된 전자의 충돌에 따라 소정의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극(114)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겟(115)은 텅스턴(W), 크롬(Cr), 철(Fe), 니켈(Ni)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양극은 회전 가능한 원판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양극은 가속 전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은 1분 당 3,600회 내지 10,800회로 회전할 수도 있다. 양극의 원판의 경계면은 소정의 각도로 절삭되어 있을 수 있다. 원판의 경계면의 절삭된 부위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필라멘트(13)에서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타겟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극은 양극에 결합된 로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양극의 회전에 따라 타겟 역시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극의 회전에 따라 타겟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경우와 비교하여 열 축적율의 증대 및 초점 크기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더욱 선명한 방사선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양극(115)에서 방사선이 발생하면 발생된 방사선은 소정의 방향, 일례로 피사체(ob)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의 조사 방향 상에는 소정의 콜리메이터(1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콜리메이터(139)는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통과시키고 특정 방향 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흡수하거나 반사시켜 필터링(filtering)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콜리메이터(139)는 방사선 조사부(100)가 소정의 범위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139)는 예를 들어 납(Pb)과 같이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콜리메이터(139)를 통과한 방사선은 소정의 필터를 투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필터는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소정의 필터는 콜리메이터(139)를 통과한 방사선을 일정 정도로 감쇠시킬 수도 있다.
전원(120)은 방사선 튜브(110)의 양극(114)과 음극(112)에 소정의 전압, 즉 관전압을 인가하여 양극(114)에서 방생하는 방사선 에너지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100)는 전원에서 방사선 튜브(110)에 인가되는 관전압과, 관전류, 방사선 노출 시간에 따라서 방사선의 에너지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방사선 조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이다.
방사선 조사부(1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을 생성하여 피사체(ob)에 각각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조사부(100)는 방사선 튜브(110)에 서로 다른 관전압을 복수 회수로 인가하여 상이한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을 피사체(ob)로 조사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100)에 의한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 조사에 따라 적어도 이 회 이상의 방사선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피사체(ob) 내부의 각각의 조직은 조사된 방사선의 일부는 흡수하고 일부는 투과시킨다. 투과된 방사선은 방사선 검출부(20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ob) 내부의 각각의 조직마다 조직의 특성에 따라서 방사선을 흡수하거나 투과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하다. 피사체(ob) 내부의 각 조직마다 방사선을 흡수하거나 투과하는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 감쇠계수이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사선 강도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주어진다.
Figure 112013048109370-pat00001
여기서 I0는 방출되는 방사선의 강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피사체(ob)가 부재할 경우에 방사선 검출부(200)에 도달할 수 있는 방사선의 강도를 의미한다. I는 피사체(ob)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피사체(ob)를 투과하면서 일부 흡수되어 감쇠된 방사선의 강도를 의미한다. 한편 여기서 μ는 피사체(ob) 내부 조직 등에 따른 감쇠계수를 의미하고, t는 방사선이 투과하는 피사체(ob) 내부 조직의 두께를 의미한다.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 내부 조직의 두께가 크거나 또는 감쇠 계수가 클수록 방사선이 더욱 많이 감쇠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쇠 계수는 방사선의 에너지 대역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 5는 인체 내부의 각종 조직에 대한 감쇠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피사체(ob) 내부의 조직, 일례로 연조직 중 선조직과 지방질의 감쇠계수는 동일한 에너지, 일례로 제1 에너지(E1)에서 서로 차이(도 5의 (b))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병변 등과 같이 견조직과 다른 선조직의 감쇠계수 역시 동일한 에너지, 일례로 제1 에너지(E1)에서 차이(도 5의 (a))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병변이나 각 조직의 감쇠계수의 차이에 따라서 피사체(ob) 내부의 각종 조직이나 구조를 분류하여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피사체(ob) 내부의 조직, 일례로 연조직 중 선조직의 감쇠계수는 방사선의 에너지 대역이 크면 클수록 점점 감소하고, 동일하게 피사체(ob) 내부의 다른 조직, 일례로 지방질의 감쇠계수 역시 방사선의 에너지 대역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 일례로 제1 에너지 대역(E1) 및 제2 에너지 대역(E2)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감쇠계수의 차이(도 5의 (b), (d))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피사체(ob) 내부의 조직이나 구성은 조사된 방사선의 에너지 대역에 따라서 방사선을 흡수하거나 투과시키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피사체(ob)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에너지 대역, 일례로 제1 에너지(E1) 및 제2 에너지(E2)의 방사선을 조사하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에너지 대역 별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너지 대역 별 방사선 영상은 각 에너지 대역 별 흡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방사선 조사부(10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에너지 스펙트럼을 갖는 방사선을 피사체(ob)에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사선 검출부(200)를 이용하여 광대역 에너지를 복수 개의 에너지 영역(E1 내지 E3)으로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에너지 대역 별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되고 피사체(ob)를 투과한 방사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검출부(2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하 방사선 검출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방사선 검출부(200)는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고, 수광한 방사선을 방사선 신호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검출부(20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광되는 방사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방사선 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광된 방사선을 가시 광선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시 광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방사선 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검출부(200)는 콜리메이터(201)와 방사선 검출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210)의 이면에는 소정의 기판(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피사체(ob) 내부를 투과하는 경우 피사체 내부 조직의 특징, 성질이나 구조에 따라서 굴절하거나 산란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방사선의 굴절이나 산란에 기인하여 방사선 검출부(200)의 방사선 검출 패널(210)은 이상적인 상황에서 소정 위치의 조직을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위치의 조직을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영상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201)는 피사체(ob)를 투과한 방사선 중 특정 방향의 방사선만이 방사선 검출 패널(21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산란되거나 굴절된 방사선을 필터링 함으로써, 소정의 조직을 투과한 방사선이 방사선 검출 패널(210)의 적절한 지점, 즉 픽셀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2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을 흡수하는 납(Pb)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은 산란되거나 굴절된 방사선을 흡수하여 산란되거나 굴절된 방사선이 방사선 검출 패널(21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210)은 제1 전극(21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pixel electrode, 223a)이 배치되는 평면판(213)과, 제1 전극(211)과 평면판(213) 사이에 배치되는 반도체 물질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11)은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211)의 극성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 역시 음(-)극 또는 양(+)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21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 사이에는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방사선의 입사 및 흡수에 따라서 반도체 물질층(222)은 전하 정공 쌍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하 정공 쌍은 제1 전극(2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의 극성에 기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광 퍼짐 현상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도체 물질층(222)은 광도전체(photo conductor)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정질 셀레늄(Amorphous Selenium)일 수 있다.
평면판(213)은 생성된 전하 또는 정공이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 및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213b)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판(213)는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씨모스칩(CMOS chip)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씨모스칩 상에는 하나의 제2 전극(223a) 및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213b)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전극(223a)는 제1 전극(2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23a)의 극성에 따라서 반도체 물질층(222)에서 전달된 정공 또는 음전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전극(223a)에 전달된 정공 또는 음전하는 소정의 저장 소자, 일례로 커패시터(capacitor)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평면판(2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213a)가 적어도 하나의 열(array)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판(213)의 각각의 제2 전극(213a)는 일차원 어레이(1D array)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원 어레이(2D array)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13b)는 제2 전극(223a)에서 전달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 소자에 저장된 전기적 신호를 읽어들이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전극(213a)에는 상응하는 박막 트랜지스터(213b)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콜리메이터(201)와 방사선 검출 패널(210) 사이에는 형광 스크린(phosphor screen)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형광 스크린은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을 수광하고 소정의 빛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평면판(213)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포토 다이오드는 제2 전극(223a)와 마찬가지로 일차원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차원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210)의 이면에 부착되는 기판(220)은 방사선 검출 패널(210)에 의해 검출된 전기적 신호의 독출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0)은 방사선 검출 패널(21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방사선 검출 패널은, 방사선을 수광하고 수광된 방사선에 따라서 소정의 포톤, 일례로 가시 포톤(visible photon)을 출력하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검출 패널은, 신틸레이터에서 출력된 가시 광선 포톤을 감지하는 광 감지 소자, 일례로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는 가시 광선 포톤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 일례로 정공 또는 음전하로 이루어진 전기 전하 패킷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된 전기 전하 패킷은 소정의 저장 소자, 일례로 커패시터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검출부(200)는 포톤 카운팅 디텍터(PCD, photon counting detector)일 수도 있다. 포톤 카운팅 디텍터는 방사선 신호로부터 임계 에너지 이상의 포톤을 계수하여 방사선 영상 생성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톤 카운팅 디텍터는 증폭부, 비교부 및 계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증폭부, 비교부 및 계수부는 소정의 기판에 형성된 소정의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증폭부는 입력되는 방사선 신호를 소정의 충전 소자, 일례로 커패시터에 충전하여 방사선 신호를 증폭하도록 할 수 있다.
비교부는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기적 신호와 임계 에너지를 비교하여 증폭된 전기적 신호가 임계 에너지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전기적 신호인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고 그에 따른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 결과 신호는 이진 신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증폭된 전기적 신호가 임계 에너지보다 큰 경우 비교 결과 신호는 1일 수 있고, 반대로 증폭된 전기적 신호가 임계 에너지보다 작은 경우 비교 결과 신호는 0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적 신호와 비교되는 임계 에너지를 조절하여 방사선의 에너지 스펙트럼을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분할하도록 할 수 있다.
계수부는 비교부에서 전달되는 비교 결과 신호를 이용하여 임계 에너지 이상의 포톤을 계수하고 포톤에 대한 계수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수 결과 정보는 방사선 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획득된 방사선 신호는 영상 처리부(300)에 의해 독출되고, 영상 처리부(300)는 독출한 방사선 신호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영상 처리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영상 처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영상 처리부(300)는 기본 영상 생성부(310), 영상 변형부(320) 및 영상 합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영상 생성부(310)는 독출한 방사선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본 영상 생성부(310)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방사선 에너지 대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기본 영상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방사선 영상은 영상 변형부(320)에서 생성되는 변형된 영상의 기본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영상 변형부(320)는 기본 영상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기본 영상을 변형하여 복수의 변형된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변형부(320)는 기본 영상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변형된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형부(320)는 복수의 영상 각각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성함으로써 특정 부위가 강조되거나 또는 영상의 대조도 등의 개선된 변형된 복수의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영상 합성부(330)는 영상 변형부(320)에서 생성된 복수의 변형된 영상을 합성하여 소정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합성부(33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정의 가중치(wc, wT)를 각각의 변형된 영상에 적용하여 소정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정의 가중치(wc, wT)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입력부(420)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도 8은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부(100)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에너지 대역(E1 내지 E3)의 방사선을 피사체(ob)로 조사하는 경우, 기본 영상 생성부(310)는 상이한 복수의 에너지 대역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선의 에너지 대역에 따라 피사체 내부의 물질의 감쇠계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영상 변형부(320)는 복수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변형된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변형부(320)는 복수의 에너지 대역(E1 내지 E3)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대조도 향상(CE, contrast enhancement) 처리를 수행하는 대조도 강조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조도 향상 처리는 모든 방사선 영상(p1 내지 p3)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의 방사선 영상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에너지 대역(E1 내지 E3)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 모두를 이용하여 대조도가 향상된 새로운 방사선 영상(pc)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조도 강조부(321)는 일반적인 영상 처리에 있어서 기공지된 대조도 향상 기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영상(p1 내지 p3)의 대조도 향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변형부(320)는 복수의 방사선 영상(p1 내지 p3)를 이용하여 영상 내의 소정의 조직을 강조 처리하여 조직 강조 영상(pT)을 생성하는 조직 강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 강조부(322)는 방사선 영상 상에서 특정 조직을 강조하거나 또는 특정 조직 외의 비관심 조직을 제거 또는 저감시켜 조직 강조 영상(pT)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 강조부(322)는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의 감쇠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 조직이 강조된 조직 강조 영상(pT)을 획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직 강조부(322)는 피사체(ob) 내부의 소정의 물질 중 제거하고자 하는 물질의 감쇠계수를 획득하고, 감쇠계수의 비율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으로 획득된 복수의 영상(p1 내지 p3)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한 후, 복수의 영상(p1 내지 p3)을 가중 차감하면 제거하고자 하는 물질이 제거된 방사선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제거하고자 하는 물질 외의 다른 물질은 제거하고자 하는 물질과 각각의 에너지 대역에서의 감쇠계수와 다르고, 또한 에너지의 증가에 따른 감쇠계수의 감소율도 상이하기 때문에 복수의 영상(p1 내지 p3)을 가중 차감하여 획득된 영상에서도 잔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유방 조직의 경우 유방 조직에 다량 분포하는 지방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지방 외의 다른 조직, 일례로 암 조직과 같은 병변 등이 강조된 조직 강조 영상(pT)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영상 합성부(330)는, 영상 변형부(320)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출력하면, 복수의 서로 다른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pf)을 생성한 후 외부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에 대해 각각의 영상에 상응하는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적용하여 가중합(weighted sum)함으로써 소정의 합성 영상(pf)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는 다른 가중치, 일례로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 및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가 결정되면 결정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에 따라서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가 결정될 수도 있다. 그의 역도 마찬가지로 가능할 수 있다.
영상 합성부(330)는 합성될 각각의 영상에 적용될 가중치를 이용하여, 합성될 각각의 영상에 대한 비중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부(330)는 가중치에 따라서 각각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 중 어느 영상을 더욱 강조하여 합성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영상에 가중되는 가중치의 합은 1일 수 있다. 즉, 만약 어느 하나의 영상에 가중되는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에 적용되는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가 0.5인 경우, 다른 영상에 가중되는 가중치, 일례로 조직 강조 영상(pT)에 가중되는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는 0.5일 수 있다. 만약 각각의 영상에 적용되는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가 모두 0.5인 경우, 각각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은 동등한 비중으로 합성될 수 있다.
영상 합성부(33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영상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로 저장부(5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초기 가중치(initial weight)를 이용할 수 있다. 초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합성된 영상(pf)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합성된 영상(pf)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된 후에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400)를 이용하여 새로운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입력한다면, 영상 합성부(330)는 사용자인터페이스(400)를 이용하여 입력된 새로운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다시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상 합성부(330)는 먼저 복수의 초기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에 대한 초기 가중치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에 대한 초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합성하도록 하고,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입력부(4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새로운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에 대한 새로운 가중치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에 대한 새로운 가중치가 입력되면, 입력된 새로운 가중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다시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합성된 영상(pf) 역시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출력된 합성된 영상 또는 재합성된 영상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합성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410) 및 사용자로부터 출력된 영상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는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10)는 합성된 방사선 영상 또는 재합성된 방사선 영상을 영상합성부(330)으로부터 전달받고, 전달받은 합성된 방사선 영상 또는 재합성된 방사선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출력부(410)는 기본 영상(p1 내지 p3)나 변형된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출력부(41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콘솔 장치(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 장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입력부(420)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조작자, 일례로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또는 환자 등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지시 또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20)는 방사선 촬영이나 방사선 영상 처리에 관한 다양한 각종 정보, 지시 또는 명령, 예를 들어 방사선 조사 회수나 방사선 조사량 등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각종 정보, 지시 또는 명령을 제어부(50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20)는, 입력부(420)는 출력부(410)에 의해 초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이 표시된 후, 영상 합성에 대한 피드백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피드백 값은 영상 합성부(330)의 영상 재합성을 위한 새로운 가중치일 수 있다. 입력부(420)는 입력 받은 사용자의 피드백 값에 따라서 가중치 수정 명령 또는 가중치 수정값을 출력하여 영상 합성부(33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420)는 별도의 프로세서(processor)의 도움을 받아 가중치 수정 명령 또는 가중치 수정값을 영상 합성부(33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부(42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에 직접 설치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례로 각종 버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트랙패드(track-pad) 또는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4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부 모듈, 일례로 방사선 조사부(100)에 직접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방사선 촬영 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방사선 촬영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콘솔 장치(10)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표시 및 지시 또는 명령의 입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모듈(4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모듈(43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지시 또는 명령을 입력 받는 입출력 장치이다. 터치스크린모듈(430)은 화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접촉하여 이동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별도의 프로세서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모듈(430)은 터치 감지의 구형 원리 및 동작 방법에 따라서 외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인체 내의 정전기를 이용하는 정전 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적외선을 이용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적외선 방식 터치 스크린, 초음파를 이용하여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방식의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모듈(4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합성부(330)로부터 전달되는 합성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영상 합성에 대한 피드백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피드백 값은 영상 합성부(330)에서 영상을 재합성하기 위한 새로운 가중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터치스크린모듈(430)은 입력 받은 사용자의 피드백 값에 따라서 가중치 수정 명령 또는 가중치 수정값을 출력하여 영상 합성부(330)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표시 화면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의 (a) 내지 (c)와 도 12에 도시된 도면은,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의 출력부(410) 또는 터치스크린모듈(43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화면(412)의 일부 구역(413)에는 영상 합성부(330)에서 합성된 영상, 재합성된 영상 또는 영상 변형부(320)에서 변형된 영상 등 각종 영상(pf)이 표시될 수 있고, 각종 영상(pf)이 표시되지 않는 다른 일부 구역에는 합성 영상(pf)에 적용된 소정의 가중치가 표시될 수 있다.
영상의 합성에 이용된 소정의 가중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화면(412)의 다른 일부 구역에는 소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합성된 영상에 적용된 가중치를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중치를 입력하여 영상 합성에 필요한 가중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1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표시 마크(414) 및 표시 마크(414)가 이동 가능한 루트를 표시하는 트랙(415)을 포함하는 조절바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시 마크(414)는 트랙(415) 상의 위치에 따라서 합성되는 각각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마크(414)가 트랙(415)의 중간에 위치하면 각각의 영상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0.5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에 적용될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마크(414)가 트랙(415)의 상단에 위치한다면, 각각의 영상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각각 1 및 0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에 있어서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만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조도가 향상된 영상(pc)만이 화면(412)의 일부 구역(413)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마크(414)가 트랙(415)의 하단에 위치한다면, 각각의 영상에 적용되는 가중치가 각각 0 및 1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에 있어서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만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직 강조 영상(pT)만이 화면(412)의 일부 구역(413)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입력부(420)를 조작하거나 터치스크린모듈(430)에 대해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표시 마크(414)를 이동시킴으로써 각 영상에 적용될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에 적용될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pT)에 적용될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마크(414)의 이동을 통해 각각의 영상,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 및 조직 강조 영상(pT) 중 어느 영상에 더 높은 비중을 두어 재 합성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마크(414)를 상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를 더 증가시키고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대조도 향상 영상(pc)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조직 강조 영상(pT)의 비중을 감소시켜 소정의 합성된 영상(pf)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마크(414)를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를 감소시키고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조도 향상 영상(pc)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조직 강조 영상(pT)의 비중을 증가시켜 합성 영상(pf)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디지털 숫자를 표시하는 숫자 표시부(416a, 416b)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숫자 표시부(416a, 416b)는 각 영상에 적용될 가중치, 일례로 대조도 향상 영상(pc)에 적용될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 및 조직 강조 영상(pT)에 적용될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420)를 조작하거나 터치스크린모듈(430)에 대해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숫자 표시부(416a, 416b)에 표시된 가중치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가 터치스크린모듈(430)을 포함하는 경우 화면(412)의 소정의 위치에는 각각의 가중치를 수정할 수 있는 입력 영역(417a, 417b)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영역(417a, 417b)을 가압하는 등의 방법으로 터치 조작을 수행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되는 가중치는 입력 영역(417a, 417b)에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a) 내지 (c) 및 도 12에서는 화면의 우측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의 상측, 좌측 또는 하측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한 화면의 중앙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의 (a) 내지 (c)에서는 표시 마크(414)가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대조도 향상 영상 가중치(wc)를 더 증가시키고, 표시 마크(414)가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조직 강조 영상 가중치(wT)를 더 증가시키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 마크(414)의 이동에 따라 수정되는 가중치의 종류나 크기는 당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11의 (a) 내지 (c) 및 도 12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사용자로부터 가중치에 대한 피드백을 받기 위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모두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위치나 표시 방법, 표시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방사선 조사부의 방사선 튜브에 상이한 관전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되어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이 피사체에 순차적으로 조사된다. 방사선 검출부는 순차적으로 피사체에 조사되고 피사체를 투과하는 서로 다른 에너지의 방사선을 수광하여 방사선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s600)
이이서 생성 및 출력된 방사선 신호를 독출하여 조사된 각각의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에 상응하는 복수의 방사선 영상이 획득된다. (s610) 이와 같이 획득된 복수의 방사선 영상이 기본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획득된 복수의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변형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 획득되는 복수의 변형된 영상은 서로 상이한 영상일 수 있다. 획득되는 복수의 변형된 영상은 각각 조직이 강조된 조직 강조 영상 및 대조도가 개선된 대조도 향상 영상일 수 있다. (s620)
이어서 각각의 영상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초기 가중치를 선택하도록 한다. (s630) 이 경우 초기 가중치는 미리 정의된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시스템의 설정은 사용자나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초기 가중치를 각각의 영상에 가중하여 복수의 영상을 가중합한다. (s640)
복수의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s650)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된 합성 영상을 확인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새로 입력함으로써 합성된 영상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s660)
방사선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다시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s670)
재합성된 합성 영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s680)
100 : 방사선 조사부 200 : 방사선 검출부
300 : 영상처리부 40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500 : 제어부

Claims (17)

  1. 피사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에 대해 대조도를 향상시킨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에 대해 조직을 강조시킨 조직 강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합성 영상에서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중 어느 영상을 더욱 강조하여 합성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가중치를 새로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새로 입력 받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을 다시 합성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은, 서로 상이한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 영상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새로 입력 받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다시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더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의 표시 및 변경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절바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스크린인 방사선 촬영 장치.
  11. 피사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을 획득하는 기본 영상 획득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에 대해 대조도를 향상시킨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에 대해 조직을 강조시킨 조직 강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을 합성하는 합성 단계;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합성 영상에서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 및 상기 조직 강조 영상 중 어느 영상을 더욱 강조하여 합성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가중치를 새로 입력 받는 가중치 입력 단계;
    상기 새로 입력 받은 가중치를 기초로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을 다시 합성하는 재 합성 단계; 및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이 다시 합성된 합성 영상을 표시하는 재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상 획득 단계는, 서로 상이한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을 피사체에 조사하고, 상기 피사체를 투과한 상기 상이한 에너지 대역의 방사선을 수광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기본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또는 재 표시 단계는,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더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또는 재 표시 단계는, 상기 대조도 향상 영상과 상기 조직 강조 영상 각각에 적용되는 가중치의 변경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61520A 2013-05-30 2013-05-30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5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520A KR102153345B1 (ko) 2013-05-30 2013-05-30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4/291,903 US9799109B2 (en) 2013-05-30 2014-05-30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632,900 US10719925B2 (en) 2013-05-30 2017-06-26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520A KR102153345B1 (ko) 2013-05-30 2013-05-30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46A KR20140141746A (ko) 2014-12-11
KR102153345B1 true KR102153345B1 (ko) 2020-09-09

Family

ID=5198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520A KR102153345B1 (ko) 2013-05-30 2013-05-30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799109B2 (ko)
KR (1) KR102153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6058B2 (ja) 2014-09-30 2017-05-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断層画像表示方法、及び断層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1151726B2 (en) * 2018-01-10 2021-10-19 Canon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X-ray diagnostic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EP3629283A1 (de) * 2018-09-28 2020-04-01 Siemens Healthcare GmbH Erzeugung eines mischbilddatensatzes
US11341616B2 (en) * 2020-03-23 2022-05-24 Ge Precision Healthcare Methods and system for selective removal of streak artifacts and noise from images using deep neural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7153A (en) * 1993-07-02 1995-09-05 Eastman Kodak Company Real-time window/leveling on a radiographic workstation
US6594378B1 (en) * 1999-10-21 2003-07-15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puterized processing of contralateral and temporal subtraction images using elastic matching
US7298383B2 (en) * 2003-06-11 2007-11-20 Agfa Healthcar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at least one of contrast and density of pixels of a processed image
US7266229B2 (en) * 2003-07-24 2007-09-04 Carestream Health, Inc. Method for rendering digital radiographic images for display based on independent control of fundamental image quality parameters
DE102005059209B4 (de) 2005-12-12 2010-11-25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isualisierung einer Folge von tomographischen Bilddatensätzen
US8073285B2 (en) * 2007-08-27 2011-12-06 Ancestry.Com Operations Inc. User interface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brightness and contrast
KR101486776B1 (ko) * 2010-07-29 201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의료영상시스템
US8787519B2 (en) 2010-08-12 2014-07-2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a representation of dual energy spectral CT images
KR101689867B1 (ko) 2010-09-15 201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
JP5675257B2 (ja) 2010-10-13 2015-02-25 株式会社東芝 医用画像処理装置、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およ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30342577A1 (en) * 2012-06-20 2013-12-26 Carestream Health, Inc. Image synthesis for diagnostic review
US9320486B2 (en) * 2012-11-14 2016-04-26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for viewing vasculature and perfuse tissue
US9648060B2 (en) * 2013-11-27 2017-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diagnostic collab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46A (ko) 2014-12-11
US20140355860A1 (en) 2014-12-04
US10719925B2 (en) 2020-07-21
US20170294007A1 (en) 2017-10-12
US9799109B2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165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CN104335572B (zh) 放射线图像摄影装置、放射线图像摄影系统、放射线图像摄影装置的控制程序及放射线图像摄影装置的控制方法
JP2019511729A (ja) X線検出システムおよびx線検出方法
US10719925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53182A1 (en) Radiation image obtaining method and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9538973B2 (en) Image reconstruction unit,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onstructing image
KR20150043630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10719A (ja) 小型マンモグラフィ装置、及び関連するマンモグラフィ方法
US20180220987A1 (en) Radiograph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adiography apparatus
KR20160139163A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7079073A1 (en) Bone mineral density assessment using mammography system
JP2020096752A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216440B1 (ko) 엑스선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056194A (ko) 다층 구조 평판형 x선 검출기 및 이를 이용한 다중에너지 x선 영상구현방법
JP6470986B2 (ja) 放射線検出器及び放射線断層撮影装置
US9724062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60036903A (ko) 엑스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72894B2 (en) Medical processing apparatus, X-ray diagnosis system, and medical processing method
WO2012056992A1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20140055948A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영상 복원 방법
Allec et al. Multilayer x-ray detector for contrast-enhanced digital subtraction mammography
JP2011156348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230134187A1 (en) Radi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radi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adiation image processing program
WO2024062894A1 (ja) 医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1013489A (ja) X線ctシステム及び医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