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976B1 -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976B1
KR102152976B1 KR1020157013246A KR20157013246A KR102152976B1 KR 102152976 B1 KR102152976 B1 KR 102152976B1 KR 1020157013246 A KR1020157013246 A KR 1020157013246A KR 20157013246 A KR20157013246 A KR 20157013246A KR 102152976 B1 KR102152976 B1 KR 102152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composite material
renewable raw
particles
wet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608A (ko
Inventor
발터 뤼프
크리스토프 군트슈니크
Original Assignee
몬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디 아게 filed Critical 몬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9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vegetable or animal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그 안에 임베딩되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예컨대 목질 섬유, 아바카, 셀룰로즈 섬유, 펄프 섬유, 재생 셀룰로즈 섬유, 헴프 섬유 또는 아마 섬유, 및 임의로 결합제로 제조된 복합 물질에 있어서,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다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된 습윤제가 추가로 함유된다.

Description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RENEWABLE RAW MATERIAL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플라스틱 베이스(base) 물질 및 그 안에 임베딩(embedding)되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예컨대 아바카(abaca), 셀룰로즈 섬유, 펄프 섬유, 비스코스 섬유(viscose fiber), 헴프 섬유(hemp fiber) 또는 아마 섬유(flax fiber), 및 임의로 결합제로 제조된 복합물질, 및 천연 섬유, 예컨대 셀룰로즈 섬유, 재생 셀룰로즈 섬유, 펄프 섬유, 헴프 섬유 또는 아마 섬유를 혼합 장치에서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임의로 첨가제와 혼합하고, 몰딩 프레스(molding press) 또는 압출기에서 복합 물질로 프레싱(pressing)하는, 복합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ABS 등)로 이루어지고,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예컨대 펄프, 비스코스, 헴프, 목재, 아마 등을 함유하는 복합 물질 또는 복합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러한 복합 물질은 여전히 빈번하게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와 플라스틱 간의 긴밀한 결합(bond)을 제공하기 위해 다량의 결합제를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상에 그라프트된 말레산 무수물 기가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간의 충분한 결합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물질이 직면한 또 다른 문제점은 복합 물질이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함유하면, 이의 생성된 생성물의 충격 강도 또는 노치드(notched) 충격 강도가 급격히 감소됨으로써 이러한 물질의 사용 용도가 제한되는 데 있다.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연질의 폴리머 또는 보다 저분자량을 지닌 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플라스틱과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매트릭스를 연화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이는 단지 제한적으로 성공을 이루었으며, 특히 연질 베이스 폴리머가 제공되지 않거나 처음부터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그러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산업, 전기/전자 산업, 물류 산업과 같은 분야에 이러한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충전되거나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보충되는 복합물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동시에 다른 특성 또는 특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WO 03/035393 A1로부터, PVC 및 목질(wood) 섬유로 제조된 복합물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물에는 첨가제,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및 윤활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를 목질 섬유에 첨가하는 것은 제조하려는 복합물의 가공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인데, 왜냐하면 이것들이 저온에서 성형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US 2011028060 A1로부터, 섬유성 물질 및 매트릭스-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복합 구조물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 구조물은 섬유성 물질 이외에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수지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그 자체가 폴리아미드 수지, 및 2 개 초과의 하이드록실기를 지닌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다.
WO 02/083824 A1은 셀룰로즈 섬유, 열가소성 결합제, 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 무수물 작용기를 함유하는 커플링제, 및 카르복실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윤활제를 포함하는, 성형품용 복합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베이스 폴리머 및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첨가제로 제조된 통상적인 복합 물질에 비해 증가된 (노치드) 충격 강도를 지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적어도 통상적인 복합 물질의 물질 결합 및 물성 만큼 우수한 물질 결합 및 물성을 제공하는 복합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질은 본질적으로, 그것이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다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된 습윤제(wetting agent)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습윤제를 첨가함으로써, 적어도 천연 섬유가 습윤제로 함침됨으로써 복합 물질 중 각각의 섬유가 습윤 또는 연질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화되고, 이것이 로드(load)가 있는 경우 섬유의 팽창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섬유의 증가된 팽창 또는 팽창성은 추가로 동시에 섬유와 플라스틱 사이 계면에 대해 증진된 윤활 및 습윤 효과를 유발시킬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섬유가 함침되지 않은 통상적인 조성물과 비교하여 전체 복합물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증가되게 할 것이다.
특히 승온을 견뎌야만 하는 복합물에 대해,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사용될 경우,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90 내지 40,000, 특히 120 내지 2,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섬유와 플라스틱 간의 계면에 대한 윤활 효과가 특히 현저히 증가될 것이고, 이는 또한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첨가되지 않은 통상적인 복합물과 비교하여 복합물의 전체 충격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것이다.
용어 습윤제, 여러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본 명세서에서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고/거나 섬유의 표면으로 침투함으로써 섬유를 습윤화시키거나 모이스쳐닝(mostening)하게 하고, 이에 따라 습윤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섬유를 보다 연질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예에 따르면, 복합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습윤제로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이 소르비톨,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정의된 군으로부터의 다가 알코올은 한편으로는, 이들이 가공 동안 복합 물질로부터 의도치 않은 증발, 및 이에 따른 내부 구조의 교란을 안전하게 피하도록 충분히 낮은 휘발성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망하는 충격 강도 보유 효과를 달성하도록 섬유를 충분히 습윤화시키거나 모이스쳐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유리한 결과는 습윤제가 전체 복합 물질의 0.1 wt% 내지 6 wt% 범위의 양으로 함유되는 복합 물질로 달성될 것이다. 이러한 양을 사용하는 경우, 습윤제를 함유하지 않은 복합 물질과 비교하여 (노치드) 충격 강도에서의 현저한 증가, 특히 150% 까지의 증가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높은 (노치드) 충격 강도는 하기 성분 비를 지닌 복합 물질로 달성될 것이다: 30 내지 95 wt%의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5 내지 70 wt%의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및 섬유, 0.5 내지 21 wt%의 습윤제, 및 20 wt% 이하의 첨가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보다 대략 2배 내지 4배 정도로 많은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사용되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30%, 특히 10 내지 20 wt%의 습윤제를 함유하는 복합물질은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로 충전된 플라스틱 또는 복합 물질의 충격 강도를 훨씬 더 증가시킬 수 있다.
개별 물질들의 혼합, 및 특히 의도치 않은 분해 또는 분리, 또는 복합물 중에 함유된 베이스 물질의 분리를 안전하게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질은 추가로 첨가제가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제로부터 선택된다는 취지로 개발된 것이다. 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개별 성분들의 어떠한 박리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아주 높은 로드(load)를 견디고, 특히 상승된 노치드 충격 강도 이외에 충분한 강성(rigidity)을 지닌 복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30 내지 95 wt%의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이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PLA), 쌀겨틸-메타크릴레이트, ABS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POM),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고, 5 내지 70 wt%의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셀룰로즈, 목재, 재생 셀룰로즈, 헴프, 아마로부터 선택되고, 0.5 내지 21 wt%의 습윤제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되고, 추가의 첨가제가 냄새 흡수제, 가공 보조제, UV 안정화제, 착색제 또는 결합제로부터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우수한 결과가 달성될 것이다. 이러한 복합 물질 또는 이러한 복합 물질들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노치드) 충격 강도를 100% 또는 심지어 그 초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질의 경우, 4.5 내지 14 kJ/m2 범위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치드 충격 강도를 지닌 복합물은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 전기/전자 산업, 및 물류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물질의 경우, 이러한 분야는 낮은 충격 강도로 인해 가능하기 어렵거나, 단지 불충분하게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추가로 통상적인 물질과 비교하여 상승된 노치드 충격 강도를 나타내는,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및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본질적으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습윤제로 함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습윤제로 함침시킴으로써, 혼합 전 및 혼합 동안 섬유의 모이스쳐닝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섬유의 연화가 달성됨으로써 함침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에 의해 제조된 복합물의 증가된 팽창성을 함께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바람직한 개발예에 상응하여,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이 내부 믹서에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및 적어도 일부의 습윤제로 함침되도록 본 방법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복합 물질을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성분들을 접촉시키고, 긴밀하게 혼합함으로써,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습윤제에 의한 충분한 습윤화를 보장하는 것과 복합물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들의 분해, 및 의도치 않은 분리를 안전하게 방지하는 것 둘 모두가 가능하게 되었다.
추가의 개발예에 상응하여,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습윤제의 일부로 함침되고, 이어서 함침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및 섬유가 내부 믹서에서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나머지 습윤제, 및 임의로 첨가제와 혼합되도록 본 방법이 수행된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습윤제에 의한 충분하고 균일한 습윤화를 보장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모이스쳐닝 및 연화가 달성될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물질이 긴밀하게 혼합됨으로써 모든 물질의 균질하고 견고한 복합물을 제공하도록 보호할 것이고, 이는 완료 후, 통상적인 물질과 비교하여 현저히 증가된 (노치드) 충격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특히 우수한 결과, 및 특히, 노치드 충격 강도의 특히 현저한 증가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내부 믹서로 도입되기 전에 30 내지 60 wt%의 습윤제로 함침되도록 수행되는 경우에 달성될 것이다.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내부 믹서로 도입되기 전에 전체 사용되는 습윤제의 30 내지 60 wt%로 함침되는 경우,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충분한 모이스쳐닝이 보장되면서, 동시에 충분한 습윤제가 균질한 물질의 복합물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예에 따르면, 첨가제가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제로부터 선택되도록 본 방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이 프레스(press)로부터 습윤 상태로 방출되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내부 믹서에 충전되기 전에 습윤제로 함침되도록 수행된다는 점에서 훨씬 더 우수한 분포, 및 특히 훨씬 유리한 효과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것이다. 이러한 공정 제어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의 표면 상에 습윤제의 훨씬 더 균일한 분포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그 용적 전반에, 그리고 전체 표면에 걸쳐 완전히 균질한 특성을 나타내는 복합 물질을 생성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추가의 개발예에 상응하여, 본 방법은 내부 믹서로부터 물질 혼합물을 몰딩 프레스 또는 압출기에 공급하고, 대기압에 비해 상승된 압력, 특히 5 내지 40 bar에서 프레싱(pressing)함으로써, 완전히 균질한 성질을 나타내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물에 의해 여러 요망하는 형상 및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구체예 또는 도면에 의해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습윤제의 첨가에 의한 노치드 충격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2는 상이한 습윤제의 첨가에 대한 노치드 충격 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최종 생성물의 노치드 충격 강도에 대한 상이한 공정 제어의 영향을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복합 물질, 즉, 80 wt% 폴리프로필렌 및 20 wt% 셀룰로즈 섬유의 출발 물질을 180℃에서 4분 동안 내부 믹서에서 반죽하고, 복합물로 프레싱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복합물의 노치드 충격 강도는 3.27 kJ/m2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후, 2 wt%의 폴리프로필렌을 습윤제로 대체함으로써 출발 물질을 변경하고, 동일한 공정 제어를 사용하여 복합물을 생성시켰다. 첨부되는 도 1로부터 알 수 있드시, 2 wt%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한 경우, 노치드 충격 강도가 4.77 kJ/m2로 증가하였고, 2 wt%의 디에틸렌 글리콜을 첨가한 후, 노치드 충격 강도가 5.79 kJ/m2로 증가하였고, 프로판디올을 첨가한 경우, 노치드 충격 강도가 6.51 kJ/m2로 상승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절차 방식을 반복하되, 단, 노치드 충격 강도에 대한 습윤제 양의 영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된 습윤제의 양을 달리하였다.
실시예 1의 출발 물질에 습윤제로서 2 wt%의 글리세롤을 혼합하였으며, 이 때 10.55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가 달성되었다. 동일한 출발 혼합물에 4 wt%의 글리세롤을 첨가하는 경우, 도 2로부터 알 수 있드시, 노치드 충격 강도가 13.82 kJ/m2로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비교로부터, 첨가량의 증가가 또한 노치드 충격 강도를 증가시킬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어떠한 습윤제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베이스 복합 물질을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베이스 복합 물질을 20% 섬유 부분 및 2% 습윤제를 함유하는 복합물질과 비교하였으며, 여기서 공정 제어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한차례 선택된 것이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습윤제가 첨가되지 않은 복합물질에 의한 4.75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와 비교하여 5.85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얻었다. 습윤제는 평균 분자량이 15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이었다.
또 다른 공정 제어에 있어서, 내부 믹서로 도입하기 전에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최종적으로 셀룰로즈 섬유를 함침시키는데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함침된 셀룰로즈 섬유를 이후 내부 믹서에 충전시키고,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과 혼합하고, 복합물로 프레싱하였다. 도 1에서 기술된 제조 방법과 비교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복합물은 실시예 1의 공정 제어에 의한 5.85 kJ/m2과 비교되는, 6.23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노치드 충격 강도가 선택된 공정 제어에 따라서 추가로 증가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시예 4 내지 8에서, 실시예 1의 공정 제어가 유지되고, 상이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및 상이한 습윤제를 사용하여 복합 물질의 노치드 충격 강도의 전개를 조사하였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치드 충격 강도 값을 23℃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4: 45 wt% 폴리프로필렌, 50 wt% 목질 섬유 및 5 wt%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복합 물질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합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4에서 사용된 조성물로 실온(23℃)에서 측정된 노치드 충격 강도는 6.46 kJ/m2였고, 이는 습윤제,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되는 복합물질에 의한 3.4 kJ/m2와 대조된다.
실시예 5: 67 wt% 폴리프로필렌, 30 wt% 헴프 섬유 및 3 wt% 프로판디올의 복합 물질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합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5에서 사용된 조성물로 실온(23℃)에서 측정된 노치드 충격 강도는 5.5 kJ/m2였고, 이는 습윤제, 즉 프로판디올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되는 복합물질에 의한 2.2 kJ/m2와 대조된다.
실시예 6: 67 wt% 폴리프로필렌, 30 wt% 쌀겨 및 3 wt% 글리세롤의 복합물질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합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6에서 사용된 조성물로 실온(23℃)에서 측정된 노치드 충격 강도는 3.2 kJ/m2였고, 이는 습윤제, 즉 글리세롤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되는 복합물질에 의한 2.1 kJ/m2와 대조된다.
실시예 7: 67 wt% 폴리프로필렌, 30 wt% 아마 섬유 및 3 wt% 글리세롤의 복합 물질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합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7에서 사용된 조성물로 실온(23℃)에서 측정된 노치드 충격 강도는 6.1 kJ/m2였고, 이는 습윤제, 즉 글리세롤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되는 복합물질에 의한 3.2 kJ/m2와 대조된다.
실시예 8: 67 wt% 폴리프로필렌, 30 wt% 비스코스 섬유 및 3 wt%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복합 물질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복합물로 가공하였다. 실시예 8에서 사용된 조성물로 실온(23℃)에서 측정된 노치드 충격 강도는 6.2 kJ/m2였고, 이는 습윤제,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되는 복합물질에 의한 4 kJ/m2와 대조된다.

Claims (14)

  1.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plastic base material); 그 안에 임베딩되는(embedded)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및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로 제조된 복합 물질로서, 복합 물질이 9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다가 알코올로부터 선택된 습윤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복합 물질이 복합 물질의 총 양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 wt%의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5 내지 50 wt%의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20 wt% 이하의 첨가제 및 3 wt% 내지 6 wt%의 습윤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질.
  2. 제 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소르비톨,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합 물질이 3.2 내지 14 kJ/m2의 노치드 충격 강도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물질.
  7. 삭제
  8. 5 내지 50 wt%의, 목질 섬유, 아바카, 셀룰로즈 섬유, 펄프 섬유, 재생 셀룰로즈 섬유, 헴프 섬유 또는 아마 섬유로부터 선택된, 임베딩되는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를, 혼합 장치에서 30 내지 80 wt%의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20 wt% 이하의,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말레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와 혼합하고, 몰딩 프레스(molding press) 또는 압출기에서 복합 물질로 프레싱(pressing)하는, 복합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복합 물질의 총 양을 기준으로 하여 3 wt% 내지 6 wt%의 습윤제로 함침되고, 상기 복합 물질이 복합 물질의 총 양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80 wt%의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5 내지 50 wt%의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20 wt% 이하의 첨가제 및 3 wt% 내지 6 wt%의 습윤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이 혼합 장치에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 및 적어도 일부의 습윤제로 함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습윤제의 일부로 함침되고, 함침된 재생가능한 원재료의 입자 또는 섬유가 혼합 장치에서 플라스틱 베이스 물질 및 나머지 습윤제, 및 첨가제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프레스로부터 습윤 상태로 방출되는 습윤된 셀룰로즈 섬유가, 혼합 장치로 도입되기 전에 습윤제로 함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혼합 장치로부터의 물질 혼합물이 몰딩 프레스 또는 압출기에 제공되고, 프레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삭제
KR1020157013246A 2012-10-22 2013-10-18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2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136/2012A AT513561B1 (de) 2012-10-22 2012-10-22 Nachwachsende Rohstoffe enthaltender Verbundwerkstoff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TA1136/2012 2012-10-22
PCT/AT2013/000176 WO2014063175A1 (de) 2012-10-22 2013-10-18 Nachwachsende rohstoffe enthaltender verbundwerkstoff sowie verfähren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608A KR20150094608A (ko) 2015-08-19
KR102152976B1 true KR102152976B1 (ko) 2020-09-08

Family

ID=4958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46A KR102152976B1 (ko) 2012-10-22 2013-10-18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50291784A1 (ko)
EP (1) EP2909256B1 (ko)
JP (1) JP2015532344A (ko)
KR (1) KR102152976B1 (ko)
CN (1) CN104755537A (ko)
AR (1) AR093083A1 (ko)
AT (1) AT513561B1 (ko)
ES (1) ES2642880T3 (ko)
HU (1) HUE036480T2 (ko)
WO (1) WO20140631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5466B (zh) * 2016-06-29 2019-09-27 巢湖鹏远金属焊管有限公司 耐腐蚀铝塑复合管
JP7117181B2 (ja) * 2018-07-11 2022-08-12 旭化成株式会社 セルロース含有樹脂組成物
MX2021006354A (es) 2018-12-18 2021-08-11 SOCIéTé BIC Revestimiento de mina para lapiz y lapiz de este para escribir, dibujar, marcar, trazar y colorear.
CN113165416B (zh) * 2018-12-18 2023-05-16 法国比克公司 铅笔用铅套以及用于书写、绘画、做标记、绘制和上色的包括铅笔用铅套的铅笔
BR112021010571B1 (pt) * 2018-12-18 2023-10-03 Societe Bic Invólucro de núcleo para lápis, e lápis do mesmo para escrever, desenhar, marcar, traçar e colorir
US10557105B1 (en) 2019-08-09 2020-02-11 Bao Tran Extra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153308B1 (ko) * 2019-12-24 2020-09-08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나노셀룰로오스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484B1 (ko) 1992-08-03 2000-11-15 루치아노 카발로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
JP2008019355A (ja) * 2006-07-13 2008-01-31 Chisso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とその成形品
CN101386702A (zh) 2007-09-11 2009-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10028060A1 (en) 2009-07-30 2011-0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resistant semi-aromatic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2011173993A (ja) 2010-02-24 2011-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複合体組成物および複合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8961B1 (en) * 1979-05-04 1983-07-20 Rockwool Aktiebolaget Carrier material
JPS644652A (en) * 1987-06-26 1989-01-09 Nanba Press Kogyo Kk Sisal-hemp-reinforced composit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5051150A (en) * 1989-03-20 1991-09-24 Hercules Incorporated Stabilized synthetic pulp-cellulose blends
US5498478A (en) * 1989-03-20 1996-03-12 Weyerhaeuser Company Polyethylene glycol as a binder material for fibers
US6340411B1 (en) * 1992-08-17 2002-01-22 Weyerhaeuser Company Fibrous product containing densifying agent
CA2122168A1 (en) * 1993-12-16 1995-06-17 David P. Hultman Polymer-reinforced paper having improved cross-direction tear
US6344109B1 (en) * 1998-12-18 2002-02-05 Bki Holding Corporation Softened comminution pulp
US6495225B1 (en) * 1998-12-25 2002-12-17 Konica Corporation Molding material
US20020161072A1 (en) * 2001-01-22 2002-10-31 Philip Jacoby Wood fiber-filled polypropylene
US20030100634A1 (en) * 2001-04-16 2003-05-29 Heath Richard B. Composite compositions
JP2003073539A (ja) * 2001-09-06 2003-03-12 Chisso Corp 高強度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US20030096132A1 (en) * 2001-10-25 2003-05-22 Richardson Mark P. PVC/wood fiber composite
KR20020048353A (ko) * 2002-05-24 2002-06-22 김휘주 목질분 고함량의 생분해성 블록·그래프트 혼성중합매트릭스 컴파운드와 컴파운드 제조방법
EP1812233A2 (en) * 2004-11-05 2007-08-01 Osmose, Inc. Polymer and water repellent compositions for wood product dimensional stability
US20080015285A1 (en) * 2006-07-14 2008-01-17 Steven Richard Oriani Process aid for extruded wood composites
CN101735581A (zh) * 2008-11-12 2010-06-16 王世和 一种全生物质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2011201196A (ja) * 2010-03-26 2011-10-13 Dow Corning Toray Co Ltd リグノセルロース材料用処理剤
DE102010031892B4 (de) * 2010-07-21 2019-01-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aserverstärkte Verbund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484B1 (ko) 1992-08-03 2000-11-15 루치아노 카발로 생분해성 중합체 조성물
JP2008019355A (ja) * 2006-07-13 2008-01-31 Chisso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とその成形品
CN101386702A (zh) 2007-09-11 2009-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10028060A1 (en) 2009-07-30 2011-0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 resistant semi-aromatic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2011173993A (ja) 2010-02-24 2011-09-08 Sumitomo Bakelite Co Ltd 複合体組成物および複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42880T3 (es) 2017-11-20
AR093083A1 (es) 2015-05-20
KR20150094608A (ko) 2015-08-19
EP2909256A1 (de) 2015-08-26
US20150291784A1 (en) 2015-10-15
AT513561A1 (de) 2014-05-15
WO2014063175A1 (de) 2014-05-01
JP2015532344A (ja) 2015-11-09
HUE036480T2 (hu) 2018-07-30
EP2909256B1 (de) 2017-07-12
CN104755537A (zh) 2015-07-01
AT513561B1 (de)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976B1 (ko) 재생가능한 원재료를 함유하는 복합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El-Sabbagh Effect of coupling agent on natural fibre in natural fibre/polypropylene composites on mechanical and thermal behaviour
KR100921114B1 (ko) 폴리유산/천연섬유 복합재의 제조방법
CN107540939B (zh) 由再循环和可再生的成分形成的长纤维热塑性塑料
Akter et al. Plant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a review on modification,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Gutiérrez et al. Biocomposites based on cellulose acetate and short curauá fibers: Effect of plasticizers and chemical treatments of the fibers
Lopez-Gil et al. Strategie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tarch-based materials: plasticization and natural fibers reinforcement
KR20130103154A (ko) 폴리프로필렌-폴리락트산 혼합수지/그래핀/천연섬유 바이오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62923A (ja) バイオマスフィルム組成物、バイオマスフィルム、及びバイオマ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avus et al. Effect of wood particle size on selected properties of neat and recycled wood polypropylene composites
Hassan et al. Cells analyses, mechanical and thermal stability of extruded polylactic acid/kenaf bio-composite foams
CN106133032B (zh) 将湿天然纤维和淀粉结合到热塑性塑料中的方法
WO2011014085A2 (en) Fibre-reinforced cork-based composites
Barczewsk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microstructure and surface quality of polypropylene green composites as a function of sunflower husk waste filler particle size and content
DE102010008780A1 (de) Komposit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ormteil und Verwendung
Lucio et al. Manufacturing of composites from chicken feathers and polyvinyl chloride (PVC)
CN109627737B (zh) 一种表面软触的pc/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Hassan et al. Density Measurement, Tensile and Morphology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Biocomposites Foam Reinforced with Different Kenaf Filler Loading
KR101755892B1 (ko) 목분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AM Aridi et al. A review of rice husk bio-based composites
Obasi et al. Biodegrad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waste maize cob flour blends
Mustapa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rice husk composites
Othman et al. Studies on water absorption of polypropylene/recycled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empty fruit bunch composites
Viet et al. Silane-coupled kenaf fiber filled thermoplastic elastomer based on recycled high density polyethylene/natural rubber blends
US20240018343A1 (en) Composite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