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68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682B1
KR102152682B1 KR1020130143697A KR20130143697A KR102152682B1 KR 102152682 B1 KR102152682 B1 KR 102152682B1 KR 1020130143697 A KR1020130143697 A KR 1020130143697A KR 20130143697 A KR20130143697 A KR 20130143697A KR 102152682 B1 KR102152682 B1 KR 10215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s
scheduling
information
interfering
c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652A (ko
Inventor
이희광
권호중
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6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가 다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각각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파워를 나타내는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서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PERFORMING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오 스펙트럼(spectrum)의 효율적인 사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다수의 셀들이 밀집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 간 간섭은 성능 향상을 제한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셀 간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셀(multi-cell) 간 협력 전송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멀티 셀 간 협력 전송 기술 중 하나로서 3GPP LTE Rel.11 표준에 도입된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기술이 있다.
상기 CoMP 기술은 셀 간 간섭 신호를 동적으로(dynamic) 제거(blank)하거나 셀 간 협력을 통해 간섭 신호를 수신 희망 신호(desired signal)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CoMP 기술이 사용될 경우 셀 에지(cell-edge)의 성능이 향상되고 셀 커버리지(coverage)가 확장되어 스펙트럼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oMP 기술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멀티 셀 간 협력으로 인해 제공되는 새로운 자유도(Degrees Of Freedom: DOF)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CoMP 협력(cooperating) 셀들 간의 간섭 상황을 아는 중앙 집중형 스케줄러(centralized scheduler, 이하 '중앙 스케줄러'라 칭함)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의 주요한 역할은 레이트(rate)의 합이 최대화 되도록 셀 별로 best UE를 선택하고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와 연결된 다수의 셀들(일 예로, 다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또는 다수의 RRH(Radio Remote Head)들 또는 매크로(macro) 셀 또는 스몰(small) 셀 기지국(eNB)들, 이하'TP들'이라 칭함)로 구성된 클러스터(cluster) 안의 UE들에게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상기 클러스터 안의 모든 UE들과 TP들 간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획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스케줄러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와 TP들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즉, 백홀(backhaul)을 통해 상기 TP들로부터 상기 CSI를 수신한다.
상기 백홀로서 이더넷(Ethernet) 백홀이나 광 파이버(Optical fibers) 백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백홀(특히, 이더넷 백홀)을 통한 CSI 송수신은 지연(delay)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CSI 송수신이 지연되면, 지연된 CSI 기반으로 스케줄링(해당 클러스터 내의 UE들에게 무선 자원 및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할당)이 수행되므로 CoMP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중앙 스케줄러를 이용한 스케줄링 방식은 백홀 지연에 상당히 취약하며, 시시각각 변하는 무선 환경에서 정확한 CSI를 기반으로 하는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줄이고 셀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해당 무선 환경에 따라 보다 정확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가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각각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파워를 나타내는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서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가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TP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다수의 TP들을 제어하는 중앙 스케줄러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스케줄러로부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UE들 중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수행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파워를 나타내는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에 있어서, 다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각각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각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백홀 인터페이스와,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파워를 나타내는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서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에 있어서, 상기 TP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다수의 TP들을 제어하는 중앙 스케줄러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로부터 제1스케줄링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백홀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UE들 중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수행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파워를 나타내는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을 줄이고 셀 용량 및 셀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홀 지연이 발생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해당 무선 환경에 따라 보다 정확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P가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가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가 CSI를 수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1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각 UE 별 간섭 TP 셋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스케줄링 비트맵을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P의 내부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의 내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 스케줄러(centralized scheduler, 이하 '중앙 스케줄러'라 칭함)(100)와 특정 클러스터(coordinated cluster)(110)에 포함된 다수의 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셀들은 일 예로, 다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이나 다수의 RRH(Radio Remote Head)들 또는 다수의 서브 셀(sub-cell) 또는 매크로(macro) 셀 기지국(enhanced Node B)들 또는 스몰(small) 셀 eNB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셀들은 모두 동일한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D)를 가지거나 각각 상이한 PCID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다수의 셀들을 다수의 TP들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100)는 다수의 TP들 각각과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일 예로, 백홀)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100)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TP와 UE 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UE들(200), TP들(210) 및 중앙 스케줄러(220) 간의 스케줄링 동작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UE(200)와 TP(210)의 동작은 다수개의 UE들 및 다수개의 TP들 각각에서 수행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도 1에 도시된 중앙 스케줄러(1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상기 UE(200)는 상기 UE(200)와 TP(210) 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203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CSI를 상기 TP(210)로 송신한다. 상기 제1CSI는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Quality Indicator: 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및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P(210)는 205 단계에서 상기 UE(200)와 TP(210) 간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207 단계에서 추정된 채널 상태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제2CSI를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2CSI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하는 기준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상향링크(Uplink: UL)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파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CSI는 상기 UE(200)로부터 수신된 제1CSI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TP(210)를 포함한 다수의 TP들로부터 제2CS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TP들의 제2CSI 역시 상기 TP(210)의 제2CSI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209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TP들로부터 수신된 제2CSI를 기반으로 1단계 스케줄링(가상 스케줄링(Virtual Scheduling): 자원 조정(coordinated)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1단계 스케줄링은 각 TP에 하향링크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및 송신 파워를 할당하고, 간섭 제어를 위해 각 TP 별로 스케줄링 대상 UE(scheduling candidate UE)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각 TP 별로 스케줄링 대상 UE가 결정되면, 211 단계에서 해당 스케줄링 대상 UE에 대한 각 TP 간 간섭을 조정(Inter-TP coordination)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각 TP 별 스케줄링 대상 UE에 대하여 간섭으로 작용하는 TP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TP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구간 동안 파워를 제어하는 동작을 TP 간 간섭 조정 동작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은 일 예로 파워 온(on)/오프(off) 제어 동작 및 블랭크(blank) 온/오프 제어 동작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워 온/오프 제어 동작은 할당된 무선 자원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구간 동안 데이터(일 예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상의 데이터) 및 기준 신호(CRS 및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등)를 모두 송신하지 않도록 파워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블랭크 온/오프 제어 동작은 할당된 무선 자원에서 상기 데이터는 송신하지 않고 상기 기준 신호는 송신할 수 있도록 파워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213 단계에서 스케줄링 비트맵(Scheduling Bit-Map)을 상기 TP(21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특정 시구간 동안의 각 TP의 파워 제어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각 TP에 할당된 무선 자원 별 송신 파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상기 특정 시구간 동안의 파워 온/오프 여부를 비트값 형태로 포함하거나(일 예로 파워 온 일 때 '1'값이 포함되고, 파워 오프 일 때 '0'값이 포함됨), 상기 특정 시구간 동안의 블랭크 온/오프 여부를 비트값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일 예로 블랭크 온(기준 신호만 송신할 수 있는 상황)일 때 '1'값이 포함되고, 블랭크 오프(데이터 및 기준 신호 모두 송신할 수 있는 상황)일 때 '0'값이 포함됨).
상기 TP(210)는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을 수신하고, 215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2단계 스케줄링(실시간 스케줄링(Real-Time Scheduling): UE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상기 TP(210)에 대한 간섭이 제어되었음(즉, 간섭 TP들의 파워가 제어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상기 TP(210)는 간섭이 제어된 해당 무선 환경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은 백홀 지연(backhaul delay)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케줄링 비트맵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209 단계의 가상 스케줄링과는 별도로을 수행행될 수 있다.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은 해당 TP로부터 서비스 받는 UE들이 보고한 가장 최신의 CSI 정보와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부터 전달받은 간섭 TP들의 특정 시구간 동안의 파워 온/오프 정보(혹은 블랭크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결정(즉,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동작)도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 스케줄러(220)와 각 TP에서 다중 단계 스케줄링(dual-stage scheduling)이 수행됨에 따라 지연 내성(delay-tolerant)(일 예로, 백홀 지연에 강건한(robust))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상기 TP(210)는 스케줄링 수행에 따라 무선 자원 및 MCS 등이 상기 UE(200)에게 할당되면, 217 단계에서 상기 UE(20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UE(200)는 219 단계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TP(210)와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TP(2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P가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TP(210)는 300 단계에서 상기 TP(210)와 상기 UE(200) 간 채널에 대한 CSI를 획득한다. 상기 TP(210)는 상기 UE(200)로부터 상기 CSI를 수신하거나, 상기 TP(210)와 상기 UE(200) 간 채널의 상태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상기 CSI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P(210)는 상기 UE(200)로부터 수신된 CSI와 상기 직접 측정한 CSI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TP(210)가 획득할 수 있는 CSI로는 CRS 또는 CSI-RS를 기반으로 측정된 RSRP, UL SRS 파워, CQI, PMI 및 RI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TP(210)는 302 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CSI를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 송신한다. 이어 상기 TP(210)는 304 단계에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부터 스케줄링 비트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특정 클러스터(110)에 포함된 다수의 TP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파워 온/오프 여부 또는 블랭크 온/오프 여부를 비트값 형태로 나타낸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일 예로, TTI(Transmit Time Interval))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1
상기 표 1은 상기 다수의 TP들 중 제1 TP를 위해 생성된 제1 TTI 및 제2 TTI 의 스케줄링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비트의 위치는 각 TP에 일대일로 매핑되며, 1과 0은 각각 해당 TP의 파워 온/오프(또는 오프/온) 또는 블랭크 온/오프(또는 오프/온)를 나타낸다.
상기 제1 TTI 및 제2 TTI 동안 오프 되는 TP는 상기 제1 TP의 간섭 TP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환경은 계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TTI 별로 간섭 TP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상기 다수의 TP들 전체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다수의 TP들 중 일부의 TP들에 대한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TP(210)는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 비트맵이 수신된 경우, 30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2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즉, 상기 TP(210)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에 의해 간섭이 제어된 무선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TP는 중앙 스케줄러(220)와 각 TP 간의 백홀 지연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 결정을 위한 가상 스케줄링과는 별도로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은 해당 TP로부터 서비스 받는 UE들이 보고해 준 가장 최신의 CSI 정보와 중앙 스케줄러(220)로부터 전달받은 간섭 TP들의 특정 시구간 동안의 파워 온/오프 정보(혹은 블랭크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에 따라 MCS 결정도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와 각 TP에서 다중 단계 스케줄링이 수행됨에 따라 지연 내성(일 예로, 백홀 지연에 강건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가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 단계에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TP와 UE 간 채널에 대한 CSI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TP들(제1 TP(500), 제2 TP(502) 및 제3 TP(504)) 각각이 측정한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 즉, RSRP 및 UL SRS 파워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CSI로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TP들(제1 TP(500), 제2 TP(502) 및 제3 TP(504)) 각각이 해당 셀 내 UE(506)로부터 수신한CQI, PMI 및 RI 등을 상기 CSI로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멀티 CSI 피드백(multi-CSI feedback)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CSI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TP(500), 제2 TP(502) 및 제3 TP(504) 각각의 파워가 제어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UE(506)와 상기 제1 TP(500) 간 채널 상태는 달라지므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각 상황에 따른 다수의 CSI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TP(500), 제2 TP(502) 및 제3 TP(504)의 파워가 모두 온 된 경우, 상기 제1 TP(500) 및 제2 TP(502)의 파워는 온 되고 상기 제3 TP(504)의 파워는 오프 된 경우, 상기 제1 TP(500) 및 제3 TP(504)의 파워는 온 되고 상기 제2 TP(502)의 파워는 오프 된 경우, 상기 제1 TP(500)의 파워는 온 되고 상기 제2 TP(502) 및 제3 TP(504)의 파워는 오프 된 경우 각각에 따라 상기 UE(506)와 상기 제1 TP(500) 간 채널 상태는 달라지며, 상기 4가지 경우 각각에 따른 CSI가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송신된 CSI가 수신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402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CSI를 사용하여 1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1단계 스케줄링은 간섭 제어를 위해 스케줄링 대상 UE들을 미리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404 단계에서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해당 클러스터 내의 모든 TP들 각각의 스케줄링 대상 UE들에 대해 TP 간 간섭 조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매 TTI 별로 상기 UE들 각각에 간섭의 영향을 미치는 TP의 파워를 제어시킬 것을 결정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TP 간 간섭 조정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406 단계에서 상기 TP 간 간섭 조정 동작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매 TTI 단위로 각 TP 별 파워 온/오프 비트값(혹은 블랭크 온/오프 비트값)을 결정한다. 각 TTI에 대한 TP 별 파워 온/오프 비트값은 각기 다른 블랭크 패턴(Blank Pattern)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408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각 TP 별 파워 온/오프 비트값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비트맵을 TTI 단위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410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해당 클러스터 내의 모든 TP들에게 송신한다. 여기서 각 TP에게 송신되는 스케줄링 비트맵은 해당 TP의 TTI 별 파워 온/오프 비트값 뿐만 아니라 인접 TP들에 대한 TTI 별 파워 온/오프 비트값(혹은 블랭크 온/오프 비트값)을 포함함으로써 간섭 제어 상황을 각 TP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해당 클러스터 내의 모든 TP들 중 해당 TP 셀의 UE에게 간섭의 영향을 많이 미치는(즉, 임계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N개의 TP를 검출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N개의 TP를 해당 TP 셀의 UE에 대한 RSRP를 기반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N개의 TP를 상기 인접 TP들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의 값이 크면 클수록 해당 TP에 미치는 간섭을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스케줄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나,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한 복잡도(complexity)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비트맵은 각 TTI 별로 매번 생성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백홀 지연에 대한 문제 등을 고려하여 해당 TTI에 사용할 스케줄링 비트맵을 유추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미리 설정된 TTI 구간(예를 들어, 제1 TTI ~ 제N TTI 구간) 동안의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블랭크 패턴의 변경 추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해당 TTI 동안의 블랭크 패턴을 유추함으로써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링(filtering)된 블랭크 패턴을 기반으로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버퍼에 저장된 다수의 블랭크 패턴 중 하나를 랜덤(random)하게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블랭크 패턴을 기반으로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수신한 해당 클러스터 내의 모든 TP들은 각각 수신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2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2단계 스케줄링의 결과에 따라 선택된 UE들은 상기 1단계 스케줄링의 결과에 따라 선택되는 UE들과 상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1단계 스케줄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1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600 단계에서 각 UE별 간섭 TP 셋(interference TP set)을 결정한다. 상기 간섭 TP 셋은 각 UE에 대한 간섭 제어를 위해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상기 간섭 TP 셋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602 단계에서 각 UE별 PF metric을 결정한다. 상기 PF metric은 상기 각 UE의 데이터 처리량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일 예로 i번째 TTI동안의 각 UE의 데이터 처리량과 미리 설정된 TTI 구간 동안의 각 UE의 평균 데이터 처리량의 비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번째 TTI동안의 각 UE의 처리량은 각 UE에 대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to-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F metric은 상기 각 UE의 QoS 및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비율 등을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SINR 및 PF metric은 간섭 TP들의 파워가 오프 되었음을 가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PF metric을 기반으로 604 단계에서 각 TP 별로 스케줄링 대상 UE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최대 PF metric을 갖는 UE를 상기 스케줄링 대상 UE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600 단계에서의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각 UE 별 간섭 TP 셋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700 단계에서 각 UE의 간섭 TP들을 검출한다. 상기 각 UE는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간섭 TP들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간섭 TP들은 하나의 매크로 기지국(Base Station: BS)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클러스터 내 모든 TP들을 고려하여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702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간섭 TP들을 간섭 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간섭 신호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상기 검출된 간섭 TP들을 정렬한다.
이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704 단계에서 간섭 TP 별 가중치 값을 결정한다. 상기 가중치 값은 간섭 TP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보상 가중치(compensation weight) 값을 나타내며,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α는 UE i의 서빙(serving) TP가 매크로 BS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다른 매크로 BS일 경우에 결정되는 가중치 값을 나타내고, β는 UE i의 서빙 TP가 매크로 BS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저전력 TP(Low-power-TP)일 경우에 결정되는 가중치 값을 나타내고, γ는 UE i의 서빙 TP가 저전력 TP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매크로 BS일 경우에 결정되는 가중치 값을 나타내고, λ는 UE i의 서빙 TP가 저전력 TP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다른 저전력 TP일 경우에 결정되는 가중치 값을 나타낸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가중치 값 α, β, γ, λ를 조정함으로써 해당 클러스터 내의 셀 간 간섭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706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가중치 값을 사용하여 파워 제어를 요청할 간섭 TP의 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 제어를 요청할 간섭 TP의 수는 다음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3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4
는 상기 파워 제어를 요청할 간섭 TP의 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5
는 UE i의 간섭 TP의 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6
는 상기 파워 제어를 요청할 간섭 TP의 수가 k개일 때의 레이트(rate)를 나타내고,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7
는 상기 파워 제어를 요청할 간섭 TP의 수에 따른 보상 가중치 요소(compensation weight factor)를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8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3107087809-pat00009
는 앞서 설명한 가중치 값 α, β, γ, λ 중 하나의 값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igure 112013107087809-pat00010
는 UE i의 서빙 TP가 매크로 BS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다른 매크로 BS일 경우 α가 될 수 있으며, UE i의 서빙 TP가 매크로 BS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저전력 TP일 경우 β가 될 수 있으며, UE i의 서빙 TP가 저전력 TP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매크로 BS일 경우 γ가 될 수 있으며, UE i의 서빙 TP가 저전력 TP이고 파워 제어가 요구되는 TP가 다른 저전력 TP일 경우 λ가 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708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간섭 TP의 수에 따른 간섭 TP들을 포함하는 간섭 TP 셋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간섭 신호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상기 결정된 간섭 TP의 수만큼의 간섭 TP들을 상기 간섭 TP 셋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가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0 단계에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PF metric을 기준으로 UE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스케줄링 대상으로 결정된 각 UE의 PF metric을 기반으로 해당 UE들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TP 별 UE, PF metric 및 간섭 TP에 대한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F metric이 큰 순서대로 해당 UE들을 정렬한다. 상기 PF metric이 클수록 UE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는 높아지게 된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11
Figure 112013107087809-pat00012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02 단계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UE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UE(즉, 가장 큰 PF metric을 갖는 UE B)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04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가 최우선 순위의 UE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선택된 UE가 최우선 순위의 UE인 경우, 80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UE에게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08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에 대응되는 간섭 TP들에게 파워 제어를 요청할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최우선 순위의 UE B에 대한 간섭 TP는 TP 1과 TP 5이므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상기 UE B가 무선 자원을 할당받아 통신을 수행하는 제N TTI 동안에 상기 TP 1과 TP 5에게 파워 제어를 요청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13
상기 표 4는 상기 UE B의 간섭 TP인 TP 1과 TP 5의 파워가 제N TTI 동안에 파워 오프되는 형태로 제어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TP 1과 TP 5가 파워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N TTI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우선 순위는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최우선 순위의 UE에 대한 스케줄링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다시 802 단계로 진행하여 스케줄링을 위한 UE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스케줄링이 완료된 상기 최우선 순위의 UE를 제외한 나머지 UE들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UE를 선택할 수 있다. 표 4에서는 상기 UE B에 이어 두 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UE C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04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가 최우선 순위의 UE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UE C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UE가 아니라 두 번째로 우선 순위가 높은 UE이므로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10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의 TP의 우선 순위와 상기 선택된 UE의 간섭 TP의 우선 순위를 비교한다.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1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의 TP의 우선 순위가 상기 선택된 UE의 간섭 TP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814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UE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최하위 우선 순위로 변경한다. 하기 표 5는 상기 UE C의 스케줄링 우선 순위가 최하위 우선 순위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3107087809-pat00014
한편,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12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의 TP의 우선 순위가 상기 선택된 UE의 간섭 TP의 우선 순위보다 낮지 않은 경우, 81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UE에게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818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UE의 간섭 TP에게 파워 제어를 요청할 것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하여 각 TP에게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가 스케줄링 비트맵을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각 클러스터 별로 스케줄링 비트맵을 생성하여 송신함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음영 처리된 셀은 파워 오프(혹은 블랭크 온) 된 TP에 대응되는 셀을 나타내며, 음영 처리되지 않은 셀은 파워 온(혹은 블랭크 오프) 된 TP에 대응되는 셀을 나타낸다. 파워 오프(혹은 블랭크 오프) 된 TP와 파워 온(혹은 블랭크 온) 된 TP는 TTI 별로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P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TP는 송신부(1000), 수신부(1002), 백홀 인터페이스부(1004), 메모리(1006) 및 제어부(1008)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000) 및 수신부(1002)는 UE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일 예로, 상기 송신부(1000)는 CRS 또는 CSI-RS 등의 기준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UE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002)는 상기 UE로부터 송신되는 UL 데이터나 CQI, PMI 및 RI 등의 제1CSI를 수신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004)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004) 상기 UE로부터 획득한 제1CSI 및 상기 TP가 측정한 제2CSI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 스케줄러(200)로 송신한다.
상기 메모리(1006)는 상기 TP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다수의 정보와 상기 TP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006)는 상기 제1CSI 및 제2CSI나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비트맵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08)는 상기 송신부(1000), 수신부(1002), 백홀 인터페이스부(1004) 및 메모리(1006)를 제어하며, 상기 TP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8)는 상기 제1CSI를 상기 UE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TP와 상기 UE 간 채널의 채널 상태 직접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2CSI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1008)는 상기 제1CSI 및 제2CSI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CRS 또는 CSI-RS를 기반으로 측정된 RSRP, UL SRS 파워, CQI, PMI 및 RI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8)는 상기 제1CSI 및 제2CSI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 송신하도록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00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8)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로부터 TTI 별 스케줄링 비트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기반으로 2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스케줄러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는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 메모리(1106) 및 제어부(1108)를 포함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는 해당 클러스터에 포함된 다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CSI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 TTI 별 스케줄링 비트맵을 송신한다.
상기 메모리(1106)는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다수의 정보와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06)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제2CSI 및 상기 TTI 별 스케줄링 비트맵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108)는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 및 메모리(1106)를 제어하며, 상기 중앙 스케줄러(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08)는 앞서 설명한 중앙 스케줄러(220)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1104) 및 메모리(1106)를 제어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8)는 상기 다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해당 TP와 UE 간 채널에 대한 제2CSI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CSI를 사용하여 1단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1108)는 TP 간 간섭 조정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TP 간 간섭 조정 동작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매 TTI 단위로 각 TP 별 파워 또는 블랭크 온/오프 비트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8)는 상기 결정된 각 TP 별 파워 또는 블랭크 온/오프 비트값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비트맵을 TTI 단위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케줄링 비트맵을 각 TP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각각 사이의 채널과 관련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송신 전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서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blank pattern)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IIR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은 송신 시간 인터벌(TTI) 구간(section)에 대한 스케줄링 비트맵에 기초하여 블랭크 패턴에서의 변경의 추이(development)의 분석의 결과로서 선택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의해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결정하기 위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TP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게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TP인 간섭 TP를 시구간 단위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구간 단위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간섭 TP에 제로(zero) 파워 및 기준 신호만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중 하나가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에 의해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TP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각각의 사이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복수의 TP들을 제어하는 중앙 스케줄러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스케줄러로부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UE들 중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수행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송신 전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blank pattern)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IIR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은 송신 시간 인터벌(TTI) 구간(section)에 대한 스케줄링 비트맵에 기초하여 블랭크 패턴에서의 변경의 추이(development)의 분석의 결과로서 선택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결정하기 위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UE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TP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게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TP인 간섭 TP를 시구간 단위로 검출하고, 상기 시구간 단위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간섭 TP에 제로(zero) 전력 및 기준 신호만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중 하나가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앙 스케줄러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들 각각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각각의 사이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백홀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1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송신 전력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서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blank pattern)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IIR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은 송신 시간 인터벌(TTI) 구간(section)에 대한 스케줄링 비트맵에 기초하여 블랭크 패턴에서의 변경의 추이(development)의 분석의 결과로서 선택되는, 중앙 스케줄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앙 스케줄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의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이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결정하기 위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앙 스케줄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UE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TP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게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TP인 간섭 TP를 시구간 단위로 검출하고, 상기 시구간 단위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스케줄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간섭 TP에 제로(zero) 전력 및 기준 신호만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중 하나가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중앙 스케줄러.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TP)에 있어서,
    상기 TP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각각의 사이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복수의 TP들을 제어하는 중앙 스케줄러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 스케줄러로부터 제1스케줄링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제1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백홀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UE들 중 통신할 UE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수행되며,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송신 전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는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blank pattern)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IIR 필터링된 블랭크 패턴은 송신 시간 인터벌(TTI) 구간(section)에 대한 스케줄링 비트맵에 기초하여 블랭크 패턴에서의 변경의 추이(development)의 분석의 결과로서 선택되는, TP.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및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TP.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결정하기 위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동작을 수행하는, TP.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케줄링 동작은 상기 중앙 스케줄러에서 상기 복수의 TP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CSI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UE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TP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게 간섭 신호를 송신하는 TP인 간섭 TP를 시구간 단위로 검출하고, 상기 시구간 단위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전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TP.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TP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간섭 TP에 제로(zero) 전력 및 기준 신호만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중 하나가 할당되도록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TP.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30143697A 2012-11-23 2013-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2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077 2012-11-23
KR1020120134077 2012-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652A KR20140066652A (ko) 2014-06-02
KR102152682B1 true KR102152682B1 (ko) 2020-09-07

Family

ID=5077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697A KR102152682B1 (ko) 2012-11-23 2013-11-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9794B2 (ko)
EP (1) EP2923524B1 (ko)
JP (1) JP6348503B2 (ko)
KR (1) KR102152682B1 (ko)
CN (1) CN104813730B (ko)
WO (1) WO2014081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5686A1 (en) * 2013-09-26 2015-03-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based on signal quality measurements
EP3068179B1 (en) * 2013-12-13 2021-0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6010465A1 (en) * 2014-07-16 2016-0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P3225067B1 (en) 2014-11-28 2019-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resources among different networks
KR102355785B1 (ko) * 2015-01-19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2347405B1 (ko) 2015-01-19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GB2539269A (en) * 2015-06-12 2016-12-14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JP6356641B2 (ja) * 2015-08-18 2018-07-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および方法
WO2017038529A1 (ja) * 2015-08-31 2017-03-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関連する装置及びシステム
WO2017039512A1 (en) * 2015-09-04 2017-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ccess points,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CN108293264A (zh) * 2015-12-23 2018-07-17 英特尔公司 基于前传的c-ran无线网络架构的分布式调度方法
CN107801188B (zh) * 2016-08-30 2021-07-0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异构网络中形成虚拟小区的方法、宏基站和传输点设备
US10498593B2 (en) * 2016-09-07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and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80060282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CN107078895B (zh) * 2017-01-24 2020-05-05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用于联合传输蜂窝通信系统中资源分配信令的方法和装置
EP3957108A4 (en) * 2019-04-16 2022-11-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ER OUTPUT CONTROL
US11032841B2 (en) 2019-04-26 2021-06-08 XCOM Labs, Inc. Down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82B1 (en) 2019-04-26 2020-08-25 XCOM Labs, Inc. Up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N113767573A (zh) * 2019-04-26 2021-12-07 艾斯康实验室公司 用于多输入多输出通信的激活集管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1982A1 (en) * 2010-11-10 2012-05-18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measurement signalling
US20120252515A1 (en) * 2009-12-17 2012-10-04 Zte Corporation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5806B2 (en) * 2003-09-26 2011-12-27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ollision in 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reless system
US20070280175A1 (en) * 2006-06-01 2007-12-06 Fang-Chen Cheng Coordinating transmission scheduling among multiple base stations
US8391206B2 (en) * 2008-08-07 2013-03-05 Alcatel Lucent Method of joint resource allocation and clustering of base stations
US20120044849A1 (en) * 2009-02-02 2012-02-23 Ciena Corporation Power allocation in closed-loop downlink cooperative multiple point (comp) transmission
US8144657B2 (en) * 2009-02-26 2012-03-2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luster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in multi-cell OFDMA networks
US8145223B2 (en) 2009-04-09 2012-03-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cell interference mitigation
US8588801B2 (en) 2009-08-21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oint equalization framewor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JP4608705B1 (ja) * 2009-10-29 2011-01-12 京セラ株式会社 大セル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2028180A1 (en) * 2010-08-31 2012-03-08 Fujitsu Limited Scheduling for coordinated multi-cell mimo systems
JPWO2012108153A1 (ja) * 2011-02-10 2014-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小型基地局装置及び干渉制御方法
US10075969B2 (en) * 2011-04-25 2018-09-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dium access control schedul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774074B2 (en) * 2011-11-02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enab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6091B2 (en) *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2515A1 (en) * 2009-12-17 2012-10-04 Zte Corporation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O2012061982A1 (en) * 2010-11-10 2012-05-18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ling measurement signalling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10268*
3GPP R1-112442*
3GPP R1-1231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3524A1 (en) 2015-09-30
CN104813730A (zh) 2015-07-29
JP6348503B2 (ja) 2018-06-27
KR20140066652A (ko) 2014-06-02
US9699794B2 (en) 2017-07-04
EP2923524B1 (en) 2019-04-03
CN104813730B (zh) 2019-03-22
EP2923524A4 (en) 2016-06-15
WO2014081258A1 (en) 2014-05-30
JP2016504823A (ja) 2016-02-12
US20140148181A1 (en)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8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7111089B2 (ja) 基地局、ue及び方法
KR101548577B1 (ko) 채널 품질 지시자의 보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741977B2 (ja) 多地点協調送受信のため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054972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ィードバック生成方法及び装置
KR10129623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인덱스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103814616A (zh) 用于调度用户设备的方法和设备
EP2763446B1 (en) Method,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for measu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KR20150009566A (ko) 협력 다중포인트 전송에서 피드백을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650276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6357314A (zh) 一种下行预编码方法及基站
US10512093B2 (en) Service-specific scheduling in cellular networks
CN108141307B (zh) 用于共享干扰信息的控制实体、接入节点和方法
TW201351940A (zh) 用於協調多點下行鏈路傳輸之網路中心連接調適
CN106489279B (zh) 一种用于对用户设备进行调度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80057516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