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282A -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282A
KR20180060282A KR1020160159601A KR20160159601A KR20180060282A KR 20180060282 A KR20180060282 A KR 20180060282A KR 1020160159601 A KR1020160159601 A KR 1020160159601A KR 20160159601 A KR20160159601 A KR 20160159601A KR 20180060282 A KR20180060282 A KR 20180060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central manag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희
김은용
전요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282A/ko
Priority to EP17874599.8A priority patent/EP3520506B1/en
Priority to CN201780073491.4A priority patent/CN110024452B/zh
Priority to PCT/KR2017/013432 priority patent/WO2018097624A1/en
Priority to US15/822,031 priority patent/US10681647B2/en
Publication of KR2018006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predicting future states of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관리 장치의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처리량(throughput)을 증대 시키기 위해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여 커버지리 조정 및 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 조절 시 데이터 송신 전력뿐 아니라 셀의 커버리지에 관계된 기준 신호(예를 들어, LTE의 CRS, common reference signal 및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5G 시스템의 BRS, Beam Reference System 및 CSI-RS) 송신 전력도 동시에 조절하였다. 이는 각 셀(cell) 간 부하 밸런싱(load balancing) 및 단말(UE, user equipment)의 채널 품질 조절에 적절한 방법이며, 이를 통해 UE에 대한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적용 시 셀의 커버리지에 관계된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력도 조절되기 때문에 셀의 커버리지(coverage)에 영향을 주어 UE의 핸드오버(Handover)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잦은 핸드오버 발생을 막기 위해 송신 전력 조절 주기가 길어져야 하며, 이는 UE의 채널 정보 및 전송 트래픽의 빠른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UE의 성능 향상이 제한적이다. 또한 셀의 커버리지에 관계된 기준 신호의 송신 전력 변경에 따른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하여 송신 전력 조절 범위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단말의 잦은 핸드오버를 막고 커버리지 홀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면서, 단말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신 전력 조절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처리량 성능 메트릭(metric) 최대화를 위한 기지국의 실시간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데이터 송신 포인트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관리 장치의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관리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단말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CRS 송신 전력 및 서빙 셀(Serving cell)은 고정된 상태로 실시간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용 망에서의 실시간 UE 처리량 성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 기지국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성화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TE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LTE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래픽 관리를 통해 혼잡 제어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5G Node B,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커넥티드 드라이브,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 수단,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운로드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의미하고, 업로드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의미할 수 있다. 하향링크 세션과 다운로드 세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세션과 업로드 세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트래픽이란 특정 전송로상에서 일정 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data)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통신 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송신 포인트는 단말에 대한 서빙 기지국 또는 서빙 세롤 해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eNB(105 ~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반송파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반송파(315)와 중심 주파수가 f3(310)인 반송파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반송파 중 하나의 반송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반송파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305)은 반송파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반송파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반송파와 하나의 역방향 반송파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반송파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반송파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반송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반송파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반송파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 기지국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는 중앙 관리 장치 (41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420, 43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중앙 관리 장치 (410)는 센트럴 유닛(central unit)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중앙 관리 장치(410)는 제1 기지국(420), 제2 기지국 (430) 및 제3 기지국(430)과 연결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기지국은 송신 포인트(TP, transmission point)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지국이라 하면 제1 기지국 (410), 제2 기지국(420), 제3 기지국(430)에서 수행하는 동작임을 가정한다.
기지국은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송신 제어는 데이터 송신 전력 조절 및 송신 포인트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전력 조절은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포인트 조절은 네트워크 내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 포인트 조절은 제1 기지국(420)이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 제2 기지국(430)이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 제3 기지국(440)이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기지국은 수집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410)에 보고한다. 중앙 관리 장치(41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수집 및 보고는 중앙 관리 장치(410)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중앙 관리 장치(410)는 기지국이 수집해야 되는 정보, 주기, 보고 시점 등을 결정하여 기지국에 설정할 수 있고, 기지국은 중앙 관리 장치(410)로부터의 설정에 따라서 정보 수집 및 보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4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데이터 송신 전력 및 중앙 관리 장치(410)가 관리하는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에 속한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앙 관리 장치(410)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중앙 관리 장치(410)는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였으면, 결과를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각 기지국은 중앙 관리 장치(4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송신 전력 및/또는 자신이 서빙해야 하는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중앙 관리 장치(4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50 동작에서 기지국 1 (510)은 단말 (540)로부터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정보 및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단말 (540)은 하나의 엔티티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기지국 1 (510)이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555 동작에서 기지국 2 (520)는 단말 (540)로부터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에서 단말 (540)은 하나의 엔티티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기지국 2 (520)가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은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1 (510)과 기지국 2 (520)가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들은 상이할 수 있고, 일부 단말은 중복될 수 있다. 기지국 1 (510) 및 기지국 2 (520)가 수집한 정보는 이후 중앙 관리 장치 (530)로 전달될 수 있고, 중앙 관리 장치 (530)는 기 설정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지기국의 송신 전력 및 각 단말에 대한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과 기지국 2(520)가 수집하는 방법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기지국 1 (510)과 기지국 2 (520)의 동작이 동일하기 때문에 기지국 1의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기지국 2 (520)는 기지국의 1 (5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은 데이터 수집 주기 관리, 활성화 단말 리스트 관리, 다운링크 처리량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은 데이터 수집 주기를 관리한다. 데이터 수집 주기는 기지국 1 (510)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는 주기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는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미리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주기는 수집된 정보를 보고하는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수집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주기는 활성화 단말을 확인하고, 활성화 단말 리스트(active UE list)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은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관리한다. 기지국에서는 일정 주기로 활성화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는 일정 주기로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활성화 단말 리스트는 기지국이 서비스 하는 단말 중 활성화 상태인 단말의 목록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활성화 단말을 새롭게 정의한다. 활성화 단말은 현재 기지국으로부터의 자원 할당이 가능한 상태(예를 들어, RRC 연결 상태)이고, 데이터 수집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downlink, DL) 전송 버퍼량이 있는 또는 있었던 단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 버퍼량에 따라서 활성화 단말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 활성화 단말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은 본 발명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및 단말에 대한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단말들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성화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모든 단말은 RRC 연결 상태임을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동안 기지국은 활성화 단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기의 끝 에서 수집 결과를 중앙 관리 장치로 보고한다. 도 6에서 아래 화살표는 기지국의 버퍼에 단말에 대한 패킷이 도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위 방향 화살표는 기지국의 버퍼에 해당 단말에 대한 버퍼가 빈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1에서 UE1에 대해서는 버퍼에 패킷이 도착 후에, 버퍼가 비워진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1의 보고 시점에 UE 1에 대한 버퍼량은 없지만, UE1에 대해서는 데이터 수집/정보 전송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전송 버퍼량이 있었기 때문에 활성화 단말에 해당한다. 데이터 전송이 있었던 단말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고 시점에 일시적으로 버퍼가 비워졌다고 하더라도, 데이터 수집 주기에서 다운링크 버퍼가 존재한 단말은 활성화 단말로 관리한다. UE 2 및 UE 3은 다운링크 전송 버퍼량이 있는 단말이기 때문에 활성화 단말에 해당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1의 끝에서 기지국은 활성화 단말 리스트로서 UE 1, UE 2, UE 3을 보고한다.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2에서 UE1에 대한 다운링크 버퍼가 없다. 따라서 UE 1은 활성화 단말이 아니다. UE 4는 다운링크 버퍼가 존재하기 때문에 활성화 단말에 해당한다. UE 2, UE 3은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2에서 버퍼가 비워진 경우이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2 에서 버퍼가 존재하다 비워진 경우이기 때문에 활성화 단말에 해당한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전송 주기 2의 끝에서 기지국은 활성화 단말 리스트로서 UE 2, UE 3, UE 4를 보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 활성화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간다. 한편,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관리하는 중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활성화 단말 리스트 변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 변경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 1 (510)이 직접 생성하여 관리하는 단말 활성화 리스트에 우선한다. 즉, 기지국 1 (510)이 직접 생산 하여 관리하는 단말 활성화 리스트와 기지국 1 (510)이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가 상이한 경우,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적용한다. 이는, 중앙 관리 장치 (530)에서 각 기지국이 서비스 해야 하는 단말을 결정할 수 있고 (송신 포인트 결정), 이 경우 해당 기지국이 서비스 해야 하는 단말의 활성화 리스트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지국 1 (510)은 단말의 처리량을 관리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이 관리하는 처리량은 다운링크 필터 및 인지된 처리량(downlink filtered perceived throughput, DL FP 처리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다운링크 필터 및 인지된 처리량을 DL PF 처리량으로 명명한다. 기지국 1 (510)은 매 서브프레임 마다 DL FP 처리량 (
Figure pat00001
을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대상 단말은 DL 버퍼량이 있는 단말 (버퍼량>0)들로서, 매 서브프레임 마다 업데이트 대상 단말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기지국 1(510)은 활성 단말에 대해서 DL FP 처리량을 업데이트 한다. 해당 subframe에 UE
Figure pat00002
가 전송할 DL 버퍼량이 있는 경우, UE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에 할당된 data 량을
Figure pat00005
라 할 때, DL FP 처리량 (
Figure pat00006
은 아래 수식 1과 같이 IIR-filteriing에 의하여 업데이트 된다. 수학식에서 화살표 왼쪽 편이 업데이트 된 처리량을 의미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7
이 때,
Figure pat00008
는 IIR filtering Window Size로 미리 설정해 놓는 값이다. 해당 서브프레임에 전송할 DL 버퍼량이 없는 UE는 DL FP 처리량 (
Figure pat00009
을 업데이트하지 않는다.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단말의 DL FP 처리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수식 2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수학식에서 화살표 왼쪽 편이 업데이트 된 처리량을 의미한다.
[수식 2]
Figure pat00010
기지국 1 (510)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처리량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 (510)은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60 동작에서 기지국 1 (510)은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 활성화 단말 리스트
- 활성화 단말의 ID, DL FP 처리량
-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 (CQI 등의 채널 품질 정보, RSRP/UL SRS received power 등의 링크 품질 정보)
상기 각 정보들은 각 정보의 성질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기지국 1 (510)은 각 정보에 대하여 설정된 주기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정보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 활성화 리스트, 활성화 단말이 DL FP 처리량, 채널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중앙 관리 장치 (530)로 보고하기 위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563 동작에서 기지국 2 (520)은 기지국 1 (5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앙 관리 장치 (530)로 보고하기 위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566 동작에서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처리량,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고, 각 정보들이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활성화 단말 리스트 보고, DL FP 처리량 보고, 채널 정보 보고가 각각 이루어 질 수도 있다.
569 동작에서 기지국 2 (520)은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고 방법은 기지국 1 (5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기지국 1 (510)과 기지국 2 (520)가 정보는 정보의 양식, 주기, 전송 방법, 메시지 포맷 등은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575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 (530)는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 (530)는 기지국 1 (510) 및 기지국 2 (520)로부터 수신한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 및/또는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 (530)은 기지국(510, 520)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모든 전송 포인트의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모든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 (535)는 단말의 인지된 처리량 (UE perceived throughput) 성능 메트릭 (metric)이 최대화되도록 데이터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결정 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5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제어를 위한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채널 정보, DL FP 처리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정보 수신 후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정한다.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데이터 송신 포인트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은 기 설정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710 동작에서 현재 중앙 관리 장치가 제어하는 기지국들의 활성화 단말에 대한 전력 조합을 Pcurrent로 설정하고 이 때의 메트릭(Metriccurrent)을 결정한다.
중앙 관리 장치는 715 동작 내지 735 동작을 통해서 여러 파워 조합에 대하여 UE 별 데이터 송신 포인트 및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UE 처리량 성능 metric을 계산한다. 이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따른다.
715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전력 조합 후보군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1에 전력 TxP1, 기지국 2에 전력 TxP2, 기지국 3에 전력 TxP3을 설정할 수 있다.
720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결정된 파워 조합에 대해서 단말 별 데이터 송신 포인트 및 SINR을 예측한다. Cell
Figure pat00011
의 데이터 송신 전력을
Figure pat00012
, 셀 특정 기준 신호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송신 전력(LTE에서의 CRS를 예로)을
Figure pat00013
, Cell j에서 송신한 셀 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UE
Figure pat00014
에서의 수신 전력 피드백을
Figure pat00015
라 할 때, UE
Figure pat00016
데이터 송신 포인트 및 SINR은 아래와 와 같이 예측한다.
UE
Figure pat00017
데이터 송신 포인트(DP(i))는 아래 수식 3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18
UE가 각 송신 포인트로부터 수신 전력을 측정할 때, LTE의 CRS 또는 CSI-RS, 5G의 BRS 또는 CSI-RS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송신 전력 변화에 관계없이 셀의 커버리지에 관계된 기준 신호 출력을 기반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가정한다. UE의 수신 피드백은 CRS/CSI-RS 기반의 RSRP가 될 수 있다. 기지국은 셀의 송신 전력과 단말의 수신 전력 피드백 값에 기반하여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UL SRS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포인트에서 수신한 UL SRS 전력 (
Figure pat00019
) 을 이용하여 아래 수식 4와 같이 UE의 수신 전력을 계산한다.
[수식 4]
Figure pat00020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단말의 데이터 송신 포인트가 결정된 후, Cell
Figure pat00021
에서 데이터를 전송 받는 UE의 수는 아래 수식 5와 같이 예측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at00022
[수식 6]
Figure pat00023
이 때,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이면 1, 아니면 0의 값을 갖는 함수이며,
Figure pat00026
는 해당 UE의 SRS 수신정보가 없는 셀로부터의 간섭신호와 열 잡음 (thermal noise) 합의 추정 값이다.
Figure pat00027
는 Cell
Figure pat00028
의 PDSCH 영역 중 Cell
Figure pat00029
의 CRS가 간섭으로 작용하는 영역의 비율을 의미한다. 모든 cell이 동일한 RE (Resource element) 위치에서 CRS를 송신하는 환경에서는
Figure pat00030
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송신 포인트 및 SINR을 예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는 720의 결과를 이용하여, 725 동작에서 각 파워 조합 마다 단말 처리량 성능 메트릭을 계산한다.
UEs 가 균등하게 자원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위의 과정을 통해 계산된 셀 별 데이터 송신 UE 수와 UE 별 SINR을 이용하여 UE가 매 서브프레임에서 할당 받는 데이터량을 아래 수식 7와 같이 단순화할 수 있다.
[수식 7]
Figure pat00031
이 때,
Figure pat00032
은 주어진 SINR에 해당하는 용량(capacity)를 의미한다.
위에서 계산한 UE별 매 서브프레임 데이터 할당량을 이용하여, 본 방법의 수행 주기인
Figure pat00033
시간 이후의 DL FP 처리량 예측 값은 아래 수식 8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식 8]
Figure pat00034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UE throughput 성능 metric 은 위에서 계산한 DL FP 처리량 예측 값을 이용하여 아래 수식 9와 같이 정의한다.
[수식 9]
Figure pat00035
이 때,
Figure pat00036
는 모든 셀의 활성 단말 리스트의 총 사용자 수를 의미한다. 상기 metric은 DL FP 처리량의 로그 합을 통한 시스템의 효율을 계산하는 것으로, 처리량의 합이 클수록 metric의 값도 높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metric의 값이 높은 것은 처리량의 합이 큰 것이고, 처리량의 합이 큰 것은 시스템의 효율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각 파워 조합 중 가장 높은 성능 메트릭을 새로운 메트릭으로 설정하고 이때의 파워 조합을 Pnew로 설정한다.
735 동작에서 metriccurrent와 metricnew를 비교한다. metriccurrent이 metricnew 보다 크면 740 동작으로 진행하고, 크지 않으면 715 동작으로 다시 새로운 메트릭을 계산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metriccurrent이 metricnew 인 경우는 현재 메트릭이 최적인 경우이므로 이 경우 더 이상 메트릭을 계산하는 중단하고 740 동작으로 진행한다.
740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는 Pnew를 새로운 전력 조합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전력 조합과 단말 별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각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송신 포인트의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모든 UE의 데이터 송신 포인트 결정 후 아래의 정보를 각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 해당 기지국에서 사용할 Data 송신 전력 (
Figure pat00037
)
- 해당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UE들의 ID, DL FP 처리량 (
Figure pat00038
), 예측되는 채널 품질 및 achievable data rate 에 필요한 정보 (
Figure pat00039
등의 정보)
다시 도 5로 돌아가 설명한다.
577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 (530)는 도 7의 740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 1 (510)으로 결정된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송신 전력은 해당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전력이고, 송신 포인트는 해당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에 대한 리스트 이다. 또한,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각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579 동작에서 중앙 관리 장치 (530)는 기지국 2 (520)로 결정된 송신 전력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581 동작에서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2 (520)는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1 (510) 및 기지국 2 (520)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지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기지국(510)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데이터 송신 전력 및 해당 셀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조절하고, 해당 단말들을 스케쥴링 (scheduling) 한다.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복조 (demodulation)을 위한 기준 신호 (reference signal) (예를 들어, LTE 및 5G의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은 동일한 출력을 사용하며, 셀 커버리지 및 채널 품질 피드백에 영향을 미치는 CRS 및 CSI-RS 등의 송신 전력은 조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기지국 1 (510)은 데이터 송신 및 DMRS를 위한 송신 전력은 중앙 관리 장치(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조절하고, CRS와 CSI-RS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전력은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활성 단말 리스트를 관리한다.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활성 단말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기지국 1 (530)은 현재 관리하는 활성 단말 리스트를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전송 받은 활성 단말 리스트로 갱신한다. 단, 최근
Figure pat00040
시간 동안 활성 단말 리스트로 새롭게 추가된 UE의 경우 활성 단말 리스트에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의 송신 포인트 변경에 따른 버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기존에 기존에 cell
Figure pat00041
의 Active UE인 UE
Figure pat00042
가 중앙 관리 장치 (530)에서의 "Data 송신 전력 및 송신 point 조절 방법" 결과에 따라 cell
Figure pat00043
의 Active UE가 되는 경우 cell
Figure pat00044
을 관리하는 기지국에서 UE
Figure pat00045
의 버퍼 data를 cell
Figure pat00046
을 관리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 1 (510)은 단말 1, 2를 서빙하고, 기지국 2 (520)는 단말 3, 4, 5 를 서빙하고 있었으나, 송신 포인트 변경에 따라서 단말 3은 기지국 1 (510)에서 서빙하도록 결정된 경우 송신 포인트 변경에 따른 버퍼 데이터 교환이 필요하다. 즉, 기지국 2 (520)의 버퍼에 저장된 단말 3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 1 (51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기지국 1 (510)은 중앙 관리 장치 (5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을 스케쥴링 한다. 기지국 1 (510)은 활성 단말 리스트 내에 포함된 UE를 대상으로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각 단말로 전송하는 data 량은 해당 UE의 SINR을 기반으로 예측한다. UE의 SINR은 중앙 관리 장치 (530)으로부터 전송 받은
Figure pat00047
를 사용하거나, 다른 셀에서의 해당 서브프레임에 스케쥴링을 할 것인지 여부를 안다면, 아래 (수식 10)과 같이 예상되는 SINR을 다시 계산한다.
[수식 10]
Figure pat00048
이 때,
Figure pat00049
는 cell
Figure pat00050
에서 해당 서브프레임에 스케쥴링을 하면 1, 아니면 0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중앙 관리 장치 (800)는 송수신부(81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8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 (830)는 중앙 관리 장치 (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 (830)는 다른 엔티티로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엔티티로부터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83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이고, 데이터 수집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버퍼량이 있었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8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및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830)는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을 결정하고, 후보 전력 조합에 대한 송신 포인트 및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송신 포인트 및 SINR에 기반하여 예측 처리량을 결정하고, 상기 예측 처리량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 중 예측 처리량의 성능이 가장 높은 조합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830)는 도 8에서 언급한 동작뿐만 아니라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900)은 송수신부(910) 및 제어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9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 (930)는 기지국 (9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 (930)는 다른 엔티티로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엔티티로부터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930)는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단말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이고, 데이터 수집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버퍼량이 있었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930)는 상기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및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930)는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는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에 우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930)는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리스트와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가 상이하면, 변경된 활성화 단말과 관련된 다른 기지국과 상기 변경된 활성화 단말에 대한 버퍼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930)는 도 9에서 언급한 동작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CRS 및 CSI-RS 송신 전력 및 서빙 셀은 고정된 상태로 실시간 데이터 송신 전력 및 데이터 송신 포인트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용 망에서의 실시간 UE 처리량 성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중앙 관리 장치의 송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활성화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이고, 데이터 수집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버퍼량이 있었던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및 BRS(Beam reference signal) 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을 결정하는 단계,
    후보 전력 조합에 대한 송신 포인트 및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송신 포인트 및 SINR에 기반하여 예측 처리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처리량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 중 예측 처리량의 성능이 가장 높은 조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중앙 관리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송신 전력 및 단말의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활성화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이고, 데이터 수집 주기 내에서 다운링크 버퍼량이 있었던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및 BRS(Beam reference signal) 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제어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을 결정하고, 후보 전력 조합에 대한 송신 포인트 및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송신 포인트 및 SINR에 기반하여 예측 처리량을 결정하고, 상기 예측 처리량에 기반하여 후보 전력 조합 중 예측 처리량의 성능이 가장 높은 조합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관리 장치.
  11.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및 BRS(Beam reference signal)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는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에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리스트와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가 상이하면,
    변경된 활성화 단말과 관련된 다른 기지국과 상기 변경된 활성화 단말에 대한 버퍼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단말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송신 제어 관련 정보는,
    활성화 단말 리스트, DL FP (downlink filtered perceived) 처리량 및 활성화 단말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및 BRS(Beam reference signal)를 위한 송신 전력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데이터를 위한 송신 전력은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활성화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는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에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생성한 활성화 리스트와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활성화 단말 리스트가 상이하면,
    상기 제어부는 변경된 활성화 단말과 관련된 다른 기지국과 상기 변경된 활성화 단말에 대한 버퍼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60159601A 2016-11-28 2016-11-28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KR20180060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01A KR20180060282A (ko) 2016-11-28 2016-11-28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EP17874599.8A EP3520506B1 (en) 2016-11-28 2017-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CN201780073491.4A CN110024452B (zh) 2016-11-28 2017-11-23 用于调整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PCT/KR2017/013432 WO2018097624A1 (en) 2016-11-28 2017-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US15/822,031 US10681647B2 (en) 2016-11-28 2017-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01A KR20180060282A (ko) 2016-11-28 2016-11-28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82A true KR20180060282A (ko) 2018-06-07

Family

ID=6219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601A KR20180060282A (ko) 2016-11-28 2016-11-28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81647B2 (ko)
EP (1) EP3520506B1 (ko)
KR (1) KR20180060282A (ko)
CN (1) CN110024452B (ko)
WO (1) WO2018097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7052B2 (en) * 2017-08-10 2019-08-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apt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in networks using massive MIMO
CN111757336B (zh) * 2019-03-28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覆盖调整方法、装置及系统
CN116634453B (zh) * 2023-07-26 2023-11-0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网络性能确定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6779B2 (en) * 2002-06-03 2010-06-2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sers to allocate data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s systems
US7602714B2 (en) * 2004-12-30 2009-10-13 Motorola, Inc. Methods for manag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different data regions
EP1717965A1 (en) 2005-04-27 2006-11-02 Alcatel Alsthom Compagnie Generale D'electricite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HSDPA connections
GB0808886D0 (en) * 2008-05-15 2008-06-25 Cambridge Silicon Radio Ltd Dual purpose modulator
WO2011122833A2 (en) * 2010-03-29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34509A (ko)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전력조정을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787464B1 (ko) 2010-11-17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로드 밸런싱 장치 및 방법
US9392550B2 (en) * 2011-11-12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determine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4010987A1 (ko) * 2012-07-12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813730B (zh) * 2012-11-23 2019-03-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调度的方法和装置
IL224926A0 (en) * 2013-02-26 2013-07-31 Valdimir Yanover A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s in the @telecommunications@cellphone network
US9681342B2 (en) * 2014-01-31 2017-06-13 Intel IP Corporation Assistance information for evolved node B (eNB) parameter tuning
KR102301828B1 (ko) 2014-05-02 2021-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US9648569B2 (en) * 2015-07-25 2017-05-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mall cell uplink power control in a netwo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24452A (zh) 2019-07-16
EP3520506A1 (en) 2019-08-07
EP3520506A4 (en) 2019-10-02
US10681647B2 (en) 2020-06-09
CN110024452B (zh) 2022-07-15
US20180152899A1 (en) 2018-05-31
EP3520506B1 (en) 2021-11-10
WO2018097624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1446B (zh) 用于在载波聚合系统中发送下行链路控制信道信息的方法和装置
JP606779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逆方向最大送信電力を報告する方法及び装置
CN107925524B (zh) 确定用于无线终端的操作的模式的方法
US10484997B2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9113491B2 (en) Uplink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in a mixed single and multiple carrier network
US8072918B2 (en)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KR102169540B1 (ko) 다양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rats) 사이에 베어러들을 동적으로 스플릿하기 위한 기법들
KR102284453B1 (ko)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396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8171006A1 (zh) 干扰测量方法及相关设备
US9510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periodic CSI reporting
CN105580416B (zh) Lte-tdd eimta中上报csi的方法和装置
US20160150555A1 (en) Methods for performing antisense oligonucleotide-mediated exon skipping in the retina of a subject in need thereof
JP6553121B2 (ja) キャリア集約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でキャリア別最大送信電力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EP2949166A1 (en)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121005A (ko)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해 송신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7504270A (ja) 電力制御実行方法及びユーザ装置
JP2017516362A (ja) 送信制御実行方法及びユーザ装置
KR2021009560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성능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9061106A2 (en) Method of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694725A (zh) 用于无线电通信网络的节点和操作方法
JP525288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EP35205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EP2517508B1 (en) Interference control
EP3536051B1 (en) Adapting resource element power control dynamic range in downlink for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