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604B1 -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604B1
KR102152604B1 KR1020190063731A KR20190063731A KR102152604B1 KR 102152604 B1 KR102152604 B1 KR 102152604B1 KR 1020190063731 A KR1020190063731 A KR 1020190063731A KR 20190063731 A KR20190063731 A KR 20190063731A KR 102152604 B1 KR102152604 B1 KR 10215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ing form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adjacent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훈
이경구
김강석
추동균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9006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1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462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roller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46Cages for rollers or needles
    • F16C33/46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roller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16C33/6651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in recesses or cavities provided in retainers, races or rol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와; 상기 제1 링부보다 직경이 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부와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부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링부와; 축 방향 일측은 상기 제1 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링부에 연결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창살부와; 이웃하는 상기 창살부 사이에 구비되고 롤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부는 상기 창살부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창살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링 형성부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링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를 연결시키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A CAGE FOR TAPERED ROLLER BEARING}
본 발명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과정에서 롤러의 손상이 방지되며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테이퍼 롤러 베어리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크게 슬라이딩 베어링,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상대적으로 회전속도가 저속이며, 지지하중이 크고, 강한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롤러 베어링은 그 형태에 따라 원통형 롤러 베어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니이들 베어링, 구면 롤러 베어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는 롤러(30)를 내륜(20)과 외륜 사이의 원주면 전체에 고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롤러(30) 상호 간의 접촉을 막아 이로 인한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는 제1 링부(11)와, 제2 링부(12)와, 창살(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스틱 케이지(10)는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링부(11)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링부(12)는 상기 제1 링부(11)보다 지름이 작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부(11)와 동심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링부(12)는 제1 링부(11)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창살(14)의 일측은 제1 링부(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링부(12)에 연결된다. 상기 창살(14)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창살(14) 사이에는 롤러(30)가 삽입되는 포켓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3)는 제1 링부(11), 제2 링부(12), 창살(14)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포켓부(13) 각각에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인접한 롤러(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격리된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를 사용하는 베어링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의 포켓부(13)에 롤러(30)가 삽입된다. 그리고 롤러(30)가 삽입된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에 축 방향으로 내륜(20)이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10)는 베어링 내륜(20)의 조립 단계에서 내륜 소턱(21)이 롤러(30)에 접촉되어 케이지(10)의 제2 링부(12) 전체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30)의 궤도면에 찍힘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크게 대두된다. 또한, 삽입되는 내륜(20)의 소턱(21)에 의하여 롤러(30)가 가압될 때 발생되는 간섭(A)으로 제2 링부(12)에 무리한 팽창(확장)이 야기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2 링부(12)에 창살(14)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였으나, 이 홈이 작동 중 노치로 작용하여 케이지(10)의 파손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454909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6-0129214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과정에서 롤러의 손상이 방지되며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와; 상기 제1 링부보다 직경이 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부와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부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링부와; 축 방향 일측은 상기 제1 링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링부에 연결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창살부와; 이웃하는 상기 창살부 사이에 구비되고 롤러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부는 상기 창살부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창살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링 형성부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링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를 연결시키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링 형성부는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호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연결본체와 연결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원호홈부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링부는 상기 창살부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창살부의 축 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 형성부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링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를 연결시키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링 형성부는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와, 복수 개의 상기 연결본체와 연결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원호홈부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본체의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링 형성부의 축 방향 일측 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윤활제베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베스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창살부 사이에 위치하는 베스본체와, 상기 베스본체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두 번 절곡되어 상기 베스본체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베스벽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링 형성부는 원주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축 방향으로 윤활안내홈을 형성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제2 링 형성부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제2 링 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시키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로 이루어진 제2 링부를 구비함으로써, 내륜 조립과정에서 롤러가 내륜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어 내륜 조립과정에서 롤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륜 조립과정에서 롤러가 내륜에 의해 가압될 때,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가 쉽게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퍼 롤러의 대단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많은 윤활제가 오래 머무르게 하는 윤활제베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유막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시저(Seizure)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사용한 베어링의 내륜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들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서, 창살부와, 제1 링 형성부와, 제2 링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서, 창살부와, 제1 링 형성부와, 제2 링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가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윤활제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를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들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서, 창살부와, 제1 링 형성부와, 제2 링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에서, 창살부와, 제1 링 형성부와, 제2 링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가 내륜과 외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윤활제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는 내륜(도 9의 10)과 외륜(도 9의 20)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도 9의 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서로 이웃하는 롤러(도 9의 30)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원주면 전체에 복수 개의 롤러(도 9의 3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는 제1 링부(110)와, 제2 링부(120)와, 창살부(130)와, 포켓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링부(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링부(110)는 제2 링부(120)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링부(110)는 제2 링부(120)와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며, 제2 링부(120)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1 링부(110)는 축 방향으로 창살부(13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제1 링부(110)는 창상부(13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링부(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부(110)는 PA6 또는 PA66에 그라파이트 섬유가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링부(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링부(120)는 제1 링부(110)보다 직경이 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링부(120)는 제1 링부(110)와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며, 제1 링부(110)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2 링부(120)는 축 방향으로 창살부(13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창살부(13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제2 링부(120)에 연결된다.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제1 링부(110)에 연결된다. 이때, 제1 링부(110)와 제2 링부(12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 양측이 이들과 각각 연결되는 창살부(130)는 축 방향과 경사를 이루면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창살부(13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창살부(130)는 제1 링부(1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살부(130)는 PA6 또는 PA66에 그라파이트 섬유가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140)는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창살부(130) 사이에 구비된다. 포켓부(140)는 제1 링부(110)와, 제2 링부(120)와, 서로 이웃하는 창살부(130)에 의해 구획되고, 대략 사각테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포켓부(140)는 롤러(도 9의 3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한다. 롤러(도 9의 30)는 포켓부(140)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반경 방향으로 포켓부(140)의 외측에서는 외륜(20)과 접하고, 포켓부(140)의 내측에서는 내륜(10)과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는 이종재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 링부(120)를 구비한다. 이는, 내륜(도 9의 10) 조립과정에서 롤러(도 9의 30)가 내륜(도 9의 10)에 의해 가압될 때 발생되는 간섭으로 인해 제2 링부(120)에 무리한 팽창(확장)이 야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2 링부(120)는 제2 링 형성부(121)와 제1 연결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링 형성부(121)와 제1 연결부(150)가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어, 링 형상의 제2 링부(120)를 이루게 된다.
제2 링 형성부(12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 형성부(121)는 창살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창살부(13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 링 형성부(121) 또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의 단부들은 서로 이격된다. 이때,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링 형성부(121)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룬다.
또한, 제2 링 형성부(121)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링 형성부(121)는 제1 링부(110)와, 창살부(130)와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 형성부(121)는 PA6 또는 PA66에 그라파이트 섬유가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 형성부(12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된다. 제2 링 형성부(12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2 링 형성부(121)의 축 방향 단부면에는 제1 원호홈부(121a)가 구비된다. 제1 원호홈부(121a)는 제2 링 형성부(121)의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링 형성부(121)는 절곡부(123)를 포함한다. 절곡부(123)는 제2 링 형성부(121)의 원주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절곡부(123)는 제2 링 형성부(121)의 원주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다. 이를 통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는 축 방향으로 윤활안내홈(124)을 형성시킨다. 윤활제는 이러한 윤활안내홈(124)을 통해 롤러(도 9의 30) 측으로 공급된다.
제1 연결부(150)는 서로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 사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부(150)는 서로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를 연결시켜 제2 링부(120)를 이룬다. 이러한 제1 연결부(15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50)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5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복수 개의 제2 링 형성부(121)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제1 연결부(1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 즉, 제2 링부(120)가 이종재질의 제2 링 형성부(121)와 제1 연결부(1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면, 내륜(도 9의 10) 조립과정에서 롤러(도 9의 30)가 내륜(도 9의 1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150)의 탄성 변형에 의해 롤러(도 9의 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어 내륜(도 9의 10) 조립과정에서 롤러(도 9의 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롤러(도 9의 30)가 내륜(도 9의 10)에 의해 가압될 때, 제1 연결부(150)가 쉽게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부(150)는 연결본체(151)와 연장부(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본체(151)는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각각, 연결본체(15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더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각각, 연결본체(15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t"만큼 더 돌출된다. 즉, 연결본체(15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와 "t" 높이의 단차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본체(15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와 서로 이웃하는 절곡부(123)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가 단차를 이루게 되면, 윤활제가 이러한 단차 부위를 통해 롤러(도 9의 3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연장부(152)는 복수 개의 연결본체(151)와 연결된다. 연장부(152)는 연결본체(15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52)는 링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링 형상의 연장부(152)는 서로 이격되고 링 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제1 원호홈부(121a)에 위치한다. 제1 연결부(15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므로, 연결본체(151)와 연장부(152)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제1 링부(110)는 제2 링부(120)와 마찬가지로, 이종재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부(11)는 제1 링 형성부(111)와 제2 연결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링 형성부(111)와 제2 연결부(160)가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어, 링 형상의 제1 링부(110)를 이루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는 제1 링 형성부(111)와, 제2 링 형성부(121)와, 창살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단위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열되어 있는 단위체들이 이루는 소경측에는 제2 링 형성부(121)에 제1 연결부(150)가 결합되어 제2 링부(120)를 이루고, 대경측에는 제1 링 형성부(111)에 제2 연결부(160)가 결합되어 제1 링부(110)를 이룬다.
제1 링 형성부(11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의 단위체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제1 링 형성부(111) 또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들은 서로 이격된다. 이때,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 링 형성부(111)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제1 링 형성부(11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제1 링 형성부(111)는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제1 링 형성부(111)는 제2 원호홈부(111a)를 포함한다. 제2 원호홈부(111a)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단부면에 구비된다. 제2 원호홈부(111a)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부(160)는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 사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연결부(160)는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를 연결시켜 제1 링부(110)를 이룬다. 이러한 제2 연결부(16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연결부(160)는 제1 연결부(150)와 동일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160)는 제1 연결부(150)와 마찬가지로, NB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6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복수 개의 제1 링 형성부(111)가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제2 연결부(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 내륜(도 9의 10) 조립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제2 연결부(160)가 쉽게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2 연결부(160)는 연결본체(161)와 연장부(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본체(161)는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보다 "t"만큼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즉,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내측 단부는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와 "t" 높이의 단차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일측 단부와 서로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가 단차를 이루게 되면, 윤활제가 이러한 단차 부위를 통해 롤러(도 9의 3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연장부(162)는 복수 개의 연결본체(161)와 연결된다. 연장부(162)는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62)는 링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링 형상의 연장부(162)는 서로 이격되고 링 형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제2 원호홈부(111a)에 위치한다. 제2 연결부(16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므로, 연결본체(161)와 연장부(162)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60)는 윤활제베스부(16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윤활제베스부(163)는 연결본체(16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윤활제베스부(163)는 테이퍼 롤러(30)의 대단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많은 윤활제를 오래 머무르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윤활제베스부(163)는 윤활제, 예컨대, 오일(oil)의 베스(bath)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윤활제베스부(163)는 베스본체(163a)와, 베스벽면부(163b)를 포함한다.
베스본체(163a)는 연결본체(16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베스본체(163a)는 서로 이웃하는 창살부(130) 사이에 위치한다.
베스벽면부(163b)는 베스본체(163a)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베스벽면부(163b)는 베스본체(163a)와 일체로 형성되며, 베스본체(163a)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베스벽면부(163b)는 적어도 두번 절곡되어 베스본체(163a)와 함께 오목부(163c)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의 표면을 타고 이동하는 윤활제(화살표)는 베스본체(163a)와 베스벽면부(163b)가 이루는 오목부(163c)에 오래 머물게 되고, 이에 따라, 오목부(163c)와 인접한 테이퍼 롤러(30)의 대단부 부위에 유막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시저(Seizure)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110; 제1 링부
111; 제1 링 형성부 120; 제2 링부
121; 제2 링 형성부 130; 창살부
140; 포켓부 150; 제1 연결부
160; 제2 연결부

Claims (6)

  1.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링부(110)와, 상기 제1 링부(110)보다 직경이 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부(110)와 동심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부(110)와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 링부(120)와, 축 방향 일측은 상기 제2 링부(1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링부(110)에 연결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창살부(130)와, 이웃하는 상기 창살부(130) 사이에 롤러(3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포켓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부(120)는 상기 창살부(130)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창살부(130)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링 형성부(121)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2 링 형성부(121)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2 링부(12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 사이에서 양측이 제2 링 형성부(121)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를 연결시키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 형성부(121)는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호홈부(121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150)는 이웃하는 제2 링 형성부(121) 사이에서 구비되는 연결본체(151)와, 복수 개의 상기 연결본체(151)에 연결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원호홈부(121a)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연장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부(110)는 상기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창살부(130)의 축 방향 타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 형성부(111)를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111)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링부(11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111) 사이에 형성되어 양측이 이웃하는 상기 제1 링 형성부(111)를 결합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형성부(111)는 축 방향 단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홈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160)는 이웃하는 제1 링 형성부(111)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본체(161)와, 복수 개의 상기 연결본체(161)와 연결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원호홈부(111a)에 위치하는 연장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본체(161)의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링 형성부(1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160)는 상기 연결본체(16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윤활제베스부(16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베스부(163)는 상기 연결본체(16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원주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창살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베스본체(163a)와, 상기 베스본체(163a)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두 번 절곡되어 상기 베스본체(163a)와 오목부(163c)를 형성하는 베스벽면부(16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 형성부(121)는 원주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축 방향으로 윤활안내홈(124)을 형성시키는 절곡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100).
KR1020190063731A 2019-05-30 2019-05-30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KR10215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31A KR102152604B1 (ko) 2019-05-30 2019-05-30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731A KR102152604B1 (ko) 2019-05-30 2019-05-30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604B1 true KR102152604B1 (ko) 2020-09-07

Family

ID=7247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31A KR102152604B1 (ko) 2019-05-30 2019-05-30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5848A (ja) * 2011-02-18 2014-03-06 アクツィエブーラゲート エスケイエフ 転がり軸受けケージセグメント、転がり軸受けケージおよび転がり軸受けケージの組立て法
JP2014139455A (ja) * 2013-01-21 2014-07-31 Jtekt Corp 保持器及び保持器を備えたスラストころ軸受
KR101454909B1 (ko) 2013-02-26 2014-11-03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20160129214A (ko) 2015-04-29 2016-11-09 셰플러코리아(유)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5848A (ja) * 2011-02-18 2014-03-06 アクツィエブーラゲート エスケイエフ 転がり軸受けケージセグメント、転がり軸受けケージおよび転がり軸受けケージの組立て法
JP2014139455A (ja) * 2013-01-21 2014-07-31 Jtekt Corp 保持器及び保持器を備えたスラストころ軸受
KR101454909B1 (ko) 2013-02-26 2014-11-03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20160129214A (ko) 2015-04-29 2016-11-09 셰플러코리아(유)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플라스틱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49015A (ja) ラジアルころがり軸受
US9683599B2 (en) Tapered roller bearing
US10520033B2 (en) Cage for crankshaft bearing assembly
JP2015059592A (ja) 軸受構造体
US5102242A (en) Roller bearing for supporting shafts with limited axial movement
JP2006322581A (ja) 割り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分割型軸受
JPH05157116A (ja) 保持器付自動調心ころ軸受
CN105202031A (zh) 用于滚动轴承、尤其圆锥滚子轴承的轴承保持架
US10465745B2 (en) Thrust roller bearing cage and thrust roller bearing
US10371207B2 (en) Roller bearings
US7891881B2 (en) Drawn cup roller bearing
KR200410762Y1 (ko) 볼베어링용 케이지 및 이를 구비한 볼베어링
CN108603532B (zh) 滚动轴承用的密封构件及滚动轴承装置
KR102152604B1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케이지
JP3684642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US20110222811A1 (en) Retainer-equipped roller
JP2009275722A (ja) 転がり軸受
JP2017026080A (ja) 密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軸受装置
JP2015121236A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6141606B2 (ja) 自動調心ころ軸受
JP4206883B2 (ja) 斜板式圧縮機用のスラストころ軸受
JP5572952B2 (ja) ケージアンドローラ
JP2019168020A (ja) 円筒ころ軸受
KR102064502B1 (ko)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398984B1 (ko) 롤러 및 이를 이용한 롤러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