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07B1 -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207B1
KR102151207B1 KR1020190038034A KR20190038034A KR102151207B1 KR 102151207 B1 KR102151207 B1 KR 102151207B1 KR 1020190038034 A KR1020190038034 A KR 1020190038034A KR 20190038034 A KR20190038034 A KR 20190038034A KR 102151207 B1 KR102151207 B1 KR 10215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ntrol
flow
control body
flow path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헌
김광기
정태신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9003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2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405 priority patent/WO202020457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위치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제어부는, 유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1흐름제어체 및 제2흐름제어체;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 상기 제2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제2흐름제어체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를 향하는 제1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2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BIDIRECTIONAL 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흐름제어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 압력이 낮을 때는 흐름을 막고 일정한 압력을 넘었을 때에만 흐름을 허용하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또는 체크밸브(check valve)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밸브들은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동작하므로 양방향 모두에서 동작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를 제조하려면 복수개의 밸브를 조합하여 사용하여야만 했다.
또한, 복수 개의 밸브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유로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9806호 (2018년 3월 1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작은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위치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제어부는, 유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1흐름제어체 및 제2흐름제어체;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 상기 제2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제2흐름제어체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를 향하는 제1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2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제1흐름제어체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는 접촉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며, 상기 유로에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서로 이격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제2가압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1가압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가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2가압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흐름제어체의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흐름제어체의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의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가압부재의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밸브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압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압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는 상기 제2흐름제어체를 상기 제2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노출시키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를 상기 제1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노출시키는 제2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는, 독립적으로 원판형상 또는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위치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제어부는, 유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1흐름제어체 및 제2흐름제어체;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 상기 제2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 방향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유체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1흐름제어체가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며, 상기 제2유로 방향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유체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유로를 사용하여 소형화 및 단순화된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의 절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의 분해도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b)는 A-A′의 단면도이며,
도 4의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B-B′의 단면도이며,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의 절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의 분해도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b)는 A-A′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10)는 밸브 본체(100) 및 흐름제어부(200)를 포함하며, 흐름제어부(200)는 제1흐름제어체(210), 제2흐름제어체(220), 제1가압부재(230), 제2가압부재(240), 스토퍼(250), 지지부(262, 26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0)는 내부에 유체 이동이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유로의 방향은 유체흐름에 따라 제1유로 방향 및 제2유로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흐름제어체(220)에서 제1흐름제어체(210)로 흐르는 유체 흐름이 제1유로 방향이며, 반대로 제1흐름제어체(210)에서 제2흐름제어체(220)로 향하는 유체 흐름이 제2유로 방향으로 정의한다.
밸브 본체(100)는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흐름제어부(200)의 형태도 변경될 수 있다.
흐름제어부(200)는 밸브 본체(100) 내 양방향 흐름제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흐름제어부(200)의 구동에 따라 밸브 본체(100) 내 유로의 폐쇄, 개방 및 개방방향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흐름제어부(200)의 구동에 대해서는 하기 도 5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흐름제어부의 동작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는 밸브 본체(100) 내에서 유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마주하고 있다.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의 외주면은 밸브 본체(100)의 실질적으로 유체 흐름을 허용하지 않을 정도로 내주면과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는 원판형상이다.
제1흐름제어체(210)에는 제2흐름제어체(220)를 노출시키는 제1관통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공(212)을 통하여 양 흐름제어체(210, 220)가 밀착한 상태에서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흐름과 제2흐름제어체(220)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흐름제어체(220)에는 제1관통공(212)과 연통하지 않는 제2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관통공(222)을 통하여 양 흐름제어체(210, 220)가 밀착한 상태에서 제1유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흐름과 제1흐름제어체(210)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흐름제어체(210) 중앙부에 하나의 관통공(212)이, 제2흐름제어체(220) 주변부에 다수의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제1흐름제어체(210)와 제2흐름제어체(220)는 밸브 본체(100) 내 유체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서로 접촉하여 유로를 폐쇄하며, 유로에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가 서로 이격하여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재(230)는 제1흐름제어체(210)에 제2흐름제어체(220)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고, 제2가압부재(240)는 제2흐름제어체(220)에 제1흐름제어체(210)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가압부재(230) 및 제2가압부재(24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 예를 들면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50)는 밸브 본체(100)와 결합되어 있으며,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 사이에 위치하고,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와 직접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50)의 일부는 밸브 본체(100)내에서 이동가능하거나, 스토퍼(250)는 흐름제어체(210, 220)의 밀착 상태에서 흐름제어체(210, 22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토퍼(250)가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와 직접 접촉하면, 흐름제어체(210, 220)와 스토퍼(250)의 접촉에 의해 밀착상태에서 밀봉상태가 향상될 수 있다.
스토퍼(250)는 제1흐름제어체(210)의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흐름제어체(220)의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스토퍼(250)는 밸브 본체(100) 내 양방향 유체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토퍼(250)가 밸브 본체(100)와 결합되어 밸브 본체(100) 내 어느 쪽으로도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밸브 본체(100) 내 유체 흐름에 따라 소폭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지지부(262, 264)는 제1가압부재(230) 및 제2가압부재(240)가 밸브 본체(10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가압부재(230)의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지지부(262), 제2가압부재(240)의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지지부(264)로 이루어져 있다.
제1지지부(262) 및 제2지지부(264)는 밸브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다.
제1가압부재(230)는 제1지지부(262)와 제1흐름제어체(210) 사이에 위치하며, 제2가압부재(240)는 제2지지부(264)와 제2흐름제어체(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부(262, 264)는 막대 3개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격자 및 십자가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62, 264)는 양방향 유체흐름에 따른 제1가압부재(230) 및 제2가압부재(240)의 밸브 본체(100) 내 이동 제한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지지부(262)가 제1가압부재(230)와 접촉되어 있으며, 제2지지부(264)가 제2가압부재(240)와 접촉되어 있다.
밀착상태에서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흐름제어체(210, 220) 중 하나는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 다른 하나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딱딱한 재질의 흐름제어체(210, 220)가 가압부재(230, 24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부재(도시하지는 않았지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부재(도시하지는 않았지만)는 제1가압부재(230)와 제1흐름제어체(21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제2가압부재(240)와 제2흐름제어체(22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버퍼부재(도시하지는 않았지만)는 딱딱한 재질의 흐름제어체와 가압부재 사이의 완충역할을 하기 위한 재질로 구성, 예를 들면 실리콘 러버와 같은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흐름제어체(210, 2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B-B′의 단면도이다.
제1흐름제어체(210)는 원판형상으로 제2흐름제어체(220)는 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제1흐름제어체(210) 중앙부에 하나의 관통공(212)이, 제2흐름제어체(220) 주변부에 다수의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흐름제어부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서 흐름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흐름제어체(210)와 제2흐름제어체(220)는 밸브 본체(100) 내 유체 흐름이 발생하지 않거나 일정 수준 이하의 유체 흐름(유체압)이 발생할 경우 서로 접촉하여 유로를 폐쇄하며, 유로에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유체압)이 발생하면,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가 서로 이격하여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유로에 유체 흐름이 발생하지 않은 폐쇄 상태에서는, 흐름제어부(200)의 흐름제어체(210, 220) 및 가압부재(230, 240)는 밸브 본체(100) 내부에서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있게 된다.
특히 제1흐름제어체(210)및 제2흐름제어체(220)는 가압력을 인가하는 가압부재(230, 240)에 의해 스토퍼(250)를 가운데 두며, 서로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밀착 상태는 가압부재(230, 240)를 변형할 수 없을 정도의 유체 흐름(유체압)이 발생할 경우에만 유지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 방향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유체흐름이 발생하면, 제2흐름제어체(2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공(222)을 통해 제1유로 방향에서의 유체 흐름과 제1흐름제어체(210)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1흐름제어체(210)에 제2흐름제어체(220)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던 제1가압부재(230)가 축소변형되면서 제1흐름제어체(210)가 제1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흐름제어체(220)와 이격되면서 양 관통공(212, 222)을 통한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제1가압부재(230)는 제1지지부(26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제2흐름제어체(220)는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 방향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유체흐름이 발생하면 제1흐름제어체(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관통공(212)을 통해 제2유로 방향에서의 유체흐름과 제2흐름제어체(220)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2흐름제어체(220)에 제1흐름제어체(210)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던 제2가압부재(240)가 변형되면서 제2흐름제어체(220)가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흐름제어체(220)와 이격되면서 양 관통공(212, 222)을 통한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제2가압부재(240)는 제2지지부(26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제1흐름제어체(210)는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양방향 흐름 제어는 가압부재(262, 264)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던 제1흐름제어체(210) 및 제2흐름제어체(220)가, 서로 다른 유체 흐름(양방향 유체 흐름)에 따라 가압부재(262, 264)가 변형되면서 제1유로 방향 또는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 본체(100) 내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유로 개방 압력(유로)은 가압부재(230, 240)의 탄성 및 흐름제어체(210, 2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12, 222)의 면적, 형태 등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흐름 제어 밸브는 산업용 및 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양방향 모두에서 동작하는 양방향 흐름제어가 필요한 설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는 단일 밸브의 사용만으로도 양방향 흐름제어가 가능하며, 단일 밸브의 사용으로 인한 소형화 및 단순화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0)

  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위치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제어부는,
    유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제1흐름제어체 및 제2흐름제어체;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 상기 제2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가압부재;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를 향하는 제1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2흐름제어체의 일부는 상기 제1유로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는 접촉하여 상기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유로에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서로 이격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며,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제2가압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1가압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가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유체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제2가압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2흐름제어체가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하며,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상기 제2가압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의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가압부재의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밸브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압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1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압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2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5. 제1항에서,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흐름제어체의 상기 제2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흐름제어체의 상기 제1유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에는 상기 제2흐름제어체를 상기 제2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노출시키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흐름제어체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제1흐름제어체를 상기 제1유로 방향의 유체흐름에 노출시키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9. 제1항에서,
    상기 제1흐름제어체 및 상기 제2흐름제어체는,
    독립적으로 원판형상 또는 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10. 삭제
KR1020190038034A 2019-04-01 2019-04-0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KR10215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34A KR102151207B1 (ko) 2019-04-01 2019-04-0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PCT/KR2020/004405 WO2020204574A1 (ko) 2019-04-01 2020-03-3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뇌질환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034A KR102151207B1 (ko) 2019-04-01 2019-04-0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207B1 true KR102151207B1 (ko) 2020-09-02

Family

ID=7244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034A KR102151207B1 (ko) 2019-04-01 2019-04-01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2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0093A (en) * 1976-08-24 1979-12-25 Taisei Kosan Kabushiki Kaisha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hot or cold storage chamber
KR19980016910A (ko) * 1996-08-29 1998-06-05 박병재 양방향성을 가진 첵크 밸브
KR20070047909A (ko) * 2005-11-03 2007-05-08 주식회사 만도 릴리프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쇽업소버
KR101839806B1 (ko) 2016-09-30 2018-03-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유량 조절 안전 밸브를 구비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0093A (en) * 1976-08-24 1979-12-25 Taisei Kosan Kabushiki Kaisha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hot or cold storage chamber
KR19980016910A (ko) * 1996-08-29 1998-06-05 박병재 양방향성을 가진 첵크 밸브
KR100255133B1 (ko) * 1996-08-29 2000-10-02 정몽규 양방향성을 가진 첵크 밸브
KR20070047909A (ko) * 2005-11-03 2007-05-08 주식회사 만도 릴리프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쇽업소버
KR101839806B1 (ko) 2016-09-30 2018-03-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유량 조절 안전 밸브를 구비한 체내 이식형 약물 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4266A (en) Directional-control valve
US11077781B2 (en) Pneumatic valve
EP0795707B1 (en) Poppet Valve
ES2271558T3 (es) Valvula de control.
JP6622724B2 (ja) 流体および蒸気用高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
KR20110128788A (ko) 고압 시일과 저압 시일을 갖는 밸브
JP4446172B2 (ja) 調圧弁
US9695951B2 (en) Slide valve
JP4824782B2 (ja) ロッカ型ダイヤフラム弁
KR880006489A (ko) 유체흐름 조절밸브
CN204344395U (zh) 具有改进的阀构造的电磁泵
DE59904543D1 (de) Doppelsicherheitsmagnetventil
ATE489576T1 (de) Luftgesteuertes ventil
WO2005124206A3 (en) Servo valve with miniature embedded force motor with stiffened armature
US4852608A (en) Fluid control valve
CA1055901A (en) Closing plate for a ring valve
KR102151207B1 (ko) 양방향 흐름제어 밸브
JPH08105551A (ja) 流量制御弁
KR101323311B1 (ko) 유로를 가스 기밀하게 폐쇄하는 밸브
CA2021776C (en) Four mode pneumatic relay
US3557837A (en) Modulating valve
JP4425907B2 (ja) 空気路を備えた圧力式アクチュエータ用ダイアフラムケース
ATE276822T1 (de) Homogenisierungsventil
JPWO2020138347A1 (ja) 中心型バタフライバルブ
JPS62155381A (ja) 単向流体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