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35B1 -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35B1
KR102151035B1 KR1020180137865A KR20180137865A KR102151035B1 KR 102151035 B1 KR102151035 B1 KR 102151035B1 KR 1020180137865 A KR1020180137865 A KR 1020180137865A KR 20180137865 A KR20180137865 A KR 20180137865A KR 102151035 B1 KR102151035 B1 KR 10215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und bar
trimmer
entry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519A (ko
Inventor
고진성
박승일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3Load ori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가 환봉 다발을 구속한 상태에서도 이송이 가능하도록 개선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성형구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에 대한 결속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포장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환봉 자동 포장장치는, 환봉 다발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 및 결속 형태로 모아진 상기 환봉 다발을 묶어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 및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Device for restraining for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acking of round bar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가 환봉 다발을 구속한 상태에서도 이송할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성형구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에 대한 결속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포장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제품(Slab, Beam Blank, Bloom, Billet, Bar 등 이하 ‘철강재’라 칭함)들 중 원형모양의 환봉(round bar)은 압연, 사상, 교정 등 가공을 거쳐, 마지막 생산 공정인 결속공정을 통해 포장된다.
상기 결속공정은 환봉을 고객이 원하는 출하 단위로 묶어 제품이송이 용이하게 하는 공정으로서, 이러한 결속공정을 위한 장치는 환봉 다발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Roller Table),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장치(Forming Device) 및 결속 형태로 모아진 상기 환봉 다발을 묶어서 결속하는 결속장치(Binding Machin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성형장치는 바인더로 결속하기 이전에 결속 형태로 모아주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성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실린더(10, 20), 상기 실린더(10, 20)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결속집게(30), 상기 결속집게(30)에 구비되어 환봉 다발을 감싸 결속 상태로 모으는 체인(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성형장치를 이용한 결속공정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환봉 다발을 일정 거리 이송시킨 후 정지하는 이송과정, 정지한 환봉 다발을 상기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결속 상태로 성형하여 구속하는 성형구속과정, 상기 결속 상태로 구속된 환봉 다발을 결속시키는 결속과정, 상기 성형장치가 상기 환봉 다발이 이송 가능하도록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해제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환봉 다발을 이송 중에 성형구속과 구속해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연속 생산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봉 다발을 결속하던 결속집게(Clip or Clamp)가 이송이 진행되고 다음 공정에 다발의 환봉(Bar)을 묶을수록 처음의 결속된 결속 상태가 점점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 평 7-52916(1995.2.28)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가 환봉 다발을 구속한 상태에서도 이송할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성형구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에 대한 결속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포장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형구속장치는, 환봉 다발을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구속장치로서,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 및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성형구속장치의 진입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성형구속장치의 배출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성형구속장치의 진입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성형구속장치의 배출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성형구속장치의 진입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성형구속장치의 배출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2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롤러,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4 롤러, 상기 한 쌍의 제4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4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롤러, 제4 롤러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3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제1 베드프레임; 상기 제1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제2 베드프레임; 상기 제2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제2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제3 베드프레임; 상기 제3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브라켓; 상기 제3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 및 상기 제3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장착되는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구동기는, 상기 제3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제4 베드프레임; 상기 제4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4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4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4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측부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부가이드유닛은,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 상기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한 쌍의 경사브라켓; 및 상기 경사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이전에 위치에 구비된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 중 임의 위치에 구비되어 환봉 다발의 진입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상태 또는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엔코더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를 정돈한 후,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를 정돈함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모두 정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봉 자동 포장장치는, 환봉 다발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 및 결속 형태로 모아진 상기 환봉 다발을 묶어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 및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상기 성형부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성형부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상기 성형부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2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롤러,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4 롤러, 상기 한 쌍의 제4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4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롤러, 제4 롤러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3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제1 베드프레임; 상기 제1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제2 베드프레임; 상기 제2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제2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제3 베드프레임; 상기 제3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브라켓; 상기 제3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 및 상기 제3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장착되는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구동기는, 상기 제3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제4 베드프레임; 상기 제4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4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4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4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측부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부가이드유닛은,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 상기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브라켓; 및 상기 경사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이전에 위치에 구비된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 중 임의 위치에 구비되어 환봉 다발의 진입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상태 또는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엔코더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를 정돈한 후,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를 정돈함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모두 정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가 환봉 다발을 구속한 상태에서도 이송할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봉 다발에 대해 성형구속과 구속해제를 반복하지 않도록 하지 않고, 성형구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에 대한 결속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포장상태가 양호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된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진입측 수평정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진입측 수직정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측부가이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구비하다’,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는 환봉 다발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M-P),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100) 및 결속 형태로 모아진 상기 환봉 다발을 묶어서 결속하는 결속부(B-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구속장치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구속장치에 해당하는 성형부(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성형부(100)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110)과,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정돈유닛(110)은, 상기 성형부(100)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상기 성형부(100)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정돈유닛(160)은, 상기 성형부(100)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상기 성형부(100)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부(100)는,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사이에는 측부가이드유닛(18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M-P)에 의해 상기 성형부(100)로 공급되는 환봉 다발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에 의해 수평정돈되고,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에 의해 수직정돈됨에 따라 상하좌우에 대해 결속력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은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이 초기 집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본 실시예의 센서부와 제어부에 대한 설명 시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측부가이드유닛(180),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구성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와 제어부에 대하여 각각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 또는 성형구속장치)로 진입하는 측에 설치된 장치로서,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드프레임(111A),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12A),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13A), 제1 슬라이딩 프레임(11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베드프레임(111A)은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12A),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13A), 제1 슬라이딩 프레임(114A)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12A)은 상기 제1 베드프레임(111A)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의 제1 설치브라켓(112A)에는 제1 구동기(110A-S)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13A)은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112A)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봉 형태의 프레임이다.
상기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프레임(114A)은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113A)에 조립되는 프레임이며, 제1 롤러(110A-R)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는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 롤러(110A-R)와 한 쌍의 제1 구동기(110A-S)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설치브라켓(112A)에 설치된 제1 구동기(110A-S)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구동기(110A-S)의 실린더로드가 내측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기(110A-S)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제1 슬라이딩 프레임(114A)은 상기 제1 가이드봉(113A)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딩 프레임(114A)에 구비된 제1 롤러(110A-R)가 상기 제1 구동기(110A-S)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110A-S)의 실린더로드가 수축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한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110A-S)의 실린더로드가 신장하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가 가압되어 모아지면서 수평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 롤러(110A-R)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환봉 다발의 적재 용이성을 위한 상기 환봉 다발의 포장된 단면 형태가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상하부가 평평하고, 측면이 경사지거나 볼록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 또는 성형구속장치)로 진입하는 측에 설치된 장치로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의 후단에 이어서 설치되며,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조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드프레임(161A),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 제2 연결브라켓(163A),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164A), 한 쌍의 제2 가이드봉(165A),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베드프레임(161A)은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 제2 연결브라켓(163A),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164A), 한 쌍의 제2 가이드봉(165A),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 베드프레임(111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은 상기 제2 베드프레임(161A)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하나의 제2 롤러(160A-R`)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연결브라켓(163A)은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164A)은 상기 제2 연결브라켓(163A)의 중앙부 양측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봉(165A)은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164A)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은 상기 제2 가이드봉(165A)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제2 롤러(160A-R)가 장착된다.
한편,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는 상기 제2 연결브라켓(163A)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기(160A-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구동기(160A-S)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싱(164A)과 제2 가이드봉(165A)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166A)의 하부에 구비된 제2 롤러(160A-R)가 상기 제2 구동기(160A-S)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는 상부의 제2 롤러(160A-R)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환봉 다발의 하부는 상기 상부의 제2 롤러(160A-R)에 의한 가압력과 자중에 의해 하부의 제2 롤러(160A-R`)에 의해 가압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162A)의 하부에 설치된 제2 롤러(160A-R`)는 위치가 고정되어 롤러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2 롤러(160A-R`)는 구동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환봉 다발이 결속부(B-P) 측을 향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는 하부의 제2 롤러(160A-R`)가 환봉 다발을 지지하고, 상부의 제2 롤러(160A-R)가 환봉 다발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을 함과 더불어, 하부의 제2 롤러(160A-R`)의 회전구동에 의해 환봉 다발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기(160A-S)의 실린더로드가 수축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구동기(160A-S)의 실린더로드가 신장하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가 가압되어 모아지면서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전구동이 가능한 하부의 제2 롤러(160A-R`)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등의 점성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가 적용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측부가이드유닛(18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측부가이드유닛(180)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또는 성형구속장치)로 환봉 다발이 진입하는 초기(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구속 작동 전)에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장치이다.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은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의 후단에 이어서 설치되며, 이 위치는 성형부(100) 전체의 중심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은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181), 상기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181)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한 쌍의 경사브라켓(182) 및 상기 경사브라켓(182)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측부가이드유닛(180)에 의해 성형부(100)로 진입하는 환봉 다발의 기본적인 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 또는 성형구속장치)에서 배출하는 측에 설치된 장치로서,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의 후단에 이어서 설치되며,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게 되며, 전체적인 구조는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동일하게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조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베드프레임(161B),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 제3 연결브라켓(163B),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164B), 한 쌍의 제3 가이드봉(165B),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 베드프레임(161B)은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 제3 연결브라켓(163B),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164B), 한 쌍의 제3 가이드봉(165B),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 베드프레임(111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은 상기 제3 베드프레임(161B)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하나의 제3 롤러(160B-R`)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3 연결브라켓(163B)은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164B)은 상기 제3 연결브라켓(163B)의 중앙부 양측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봉(165B)은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164B)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은 상기 제3 가이드봉(165B)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제3 롤러(160B-R)가 장착된다.
한편,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는 상기 제3 연결브라켓(163B)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구동기(160B-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 구동기(160B-S)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은 상기 제3 가이드 부싱(164B)과 제3 가이드봉(165B)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166B)의 하부에 구비된 제3 롤러(160B-R)가 상기 제3 구동기(160B-S)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는 상부의 제3 롤러(160B-R)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환봉 다발의 하부는 상기 상부의 제3 롤러(160B-R)에 의한 가압력과 자중에 의해 하부의 제3 롤러(160B-R`)에 의해 가압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162B)의 하부에 설치된 제3 롤러(160B-R`)는 위치가 고정되어 롤러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3 롤러(160B-R`)는 구동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환봉 다발이 결속부(B-P) 측을 향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는 하부의 제3 롤러(160B-R`)가 환봉 다발을 지지하고, 상부의 제3 롤러(160B-R)가 환봉 다발의 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을 함과 더불어, 하부의 제3 롤러(160B-R`)의 회전구동에 의해 환봉 다발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구동기(160B-S)의 실린더로드가 수축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한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구동기(160B-S)의 실린더로드가 신장하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환봉 다발의 상부가 가압되어 모아지면서 수직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전구동이 가능한 하부의 제3 롤러(160B-R`)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등의 점성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가 적용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100, 또는 성형구속장치)에서 배출하는 측에 설치된 장치로서, 전술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함께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게 되며, 전체적인 구조는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동일하게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전체적인 프레임 구조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베드프레임(111B),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112B), 한 쌍의 제4 가이드봉(113B), 제4 슬라이딩 프레임(11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 베드프레임(111B)은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112B), 한 쌍의 제4 가이드봉(113B), 제4 슬라이딩 프레임(114B)이 지면에서 소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 베드프레임(111A)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112B)은 상기 제4 베드프레임(111B)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의 제4 설치브라켓(112B)에는 제4 구동기(110B-S)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113B)은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112B)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봉 형태의 프레임이다.
상기 한 쌍의 제4 슬라이딩 프레임(114B)은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11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113B)에 조립되는 프레임이며, 제4 롤러(110B-R)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는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해 정돈을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4 롤러(110B-R)와 한 쌍의 제4 구동기(110B-S)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설치브라켓(112B)에 설치된 제4 구동기(110B-S)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4 구동기(110B-S)의 실린더로드가 내측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4 구동기(110B-S)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제4 슬라이딩 프레임(114B)은 상기 제4 가이드봉(113B)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4 슬라이딩 프레임(114B)에 구비된 제4 롤러(110B-R)가 상기 제4 구동기(110B-S)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환봉 다발의 수평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110B-S)의 실린더로드가 수축된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한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110B-S)의 실린더로드가 신장하도록 작동하게 되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가 가압되어 모아지면서 수평방향에 대한 정돈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4 롤러(110B-R)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환봉 다발의 적재 용이성을 위한 상기 환봉 다발의 포장된 단면 형태가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이 상하부가 평평하고, 측면이 경사지거나 볼록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결속부(B-P)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환봉 결속을 위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B-P)는 포장끈을 공급하는 포장끈 공급릴(B-P-1)과, 포장끈으로 환봉 다발을 포장하는 포장기(B-P-2)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상기 포장끈 공급릴(B-P-1)에는 환봉 다발을 묶기 위한 포장끈이 감겨 있고, 상기 포장기(B-P-2)는 환봉 다발이 통과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양면이 개방된 브라켓(B-P-3) 및 상기 브라켓(B-P-3)에 설치된 자동 포장수단(B-P-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 포장수단(B-P-4)은 환봉 다발을 묶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주)삼정 지그노드(Samjung signode)의 포장 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의 제1 롤러(110A-R),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의 제2 롤러(160A-R, 160A-R`), 측부가이드유닛(180)의 가이드롤러(183),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제3 롤러(160B-R, 160B-R`) 및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제4 롤러(110B-R)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의 제1 롤러(110A-R),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의 제2 롤러(160A-R, 160A-R`),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제3 롤러(160B-R, 160B-R`) 및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제4 롤러(110B-R)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면과 상하를 각각 가압함에 따라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져 구속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환봉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환봉에 대해 모두 결속 형태로 모아 구속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봉 자동 포장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부(210)와 제어부(2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210)는 진입감지센서(211)와 엔코더센서(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입감지센서(211)는 상기 환봉 다발이 상기 성형부(100)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이전에 위치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에 이웃한 이송부(M-P)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센서(212)는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사이 중 임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센서부(210)의 진입감지센서(211)와 엔코더센서(212)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가 구속상태 또는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진입감지센서(212)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가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본 실시예의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부(100)로 환봉 다발이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의 제2 롤러(160A-R`)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의 제3 롤러(160B-R`)가 회전구동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M-P)에 의해 성형부(100)로 진입하는 초기의 환봉 다발은 불규칙하게 적치된 상태로 성형부(100)로 진입하게 되며, 진입하는 과정 중 상기 측부가이드유닛(180)에 의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가 지지되어 초기 정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엔코더센서(212)에서 감지된 환봉 다발의 진입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의 작동을 제어되는 시점은, 상기 환봉 다발의 선단 부분이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를 바로 지난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센서(212)가 상기 환봉 다발의 선단 부분이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를 정도의 진입량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가 먼저 정돈되도록 한다.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가 정돈된 후,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가 추가로 정돈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110A)와 배출측 수평정돈기(110B)에 의해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가 먼저 정돈된 후,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160A)와 배출측 수직정돈기(160B)에 의해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가 정돈됨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모두 정돈되어 결속을 위한 영역(S) 내에 결속을 위한 형태로 정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성형부 110:수평정돈유닛
110A:진입측 수평정돈기 110A-R:제1 롤러
110A-S:제1 구동기 111A:제1 베드프레임
112A:제1 설치브라켓 113A:제1 가이드봉
114A:제1 슬라이딩 프레임 110B:배출측 수평정돈기
110B-R:제4 롤러 110B-S:제4 구동기
111B:제4 베드프레임 112B:제4 설치브라켓
113B:제4 가이드봉 114B:제4 슬라이딩 프레임
160:수직정돈유닛 160A:진입측 수직정돈기
160A-R, 160A-R`:제2 롤러 160A-S:제2 구동기
161A:제2 베드프레임 162A:제2 설치브라켓
163A:제2 연결브라켓 164A:제2 가이드부싱
165A:제2 가이드봉 166A:제2 슬라이딩 프레임
160B:배출측 수직정돈기 160B-R, 160B-R`:제3 롤러
160B-S:제3 구동기 161B:제3 베드프레임
162B:제3 설치브라켓 163B:제3 연결브라켓
164B:제3 가이드부싱 165B:제3 가이드봉
166B:제3 슬라이딩 프레임 180:측부가이드유닛
RB:환봉 M-P:이송부
B-P:결속부

Claims (38)

  1. 환봉 다발을 자동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구속장치로서,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 및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성형구속장치의 진입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성형구속장치의 배출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2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롤러,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4 롤러, 상기 한 쌍의 제4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4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제4 롤러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3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제1 베드프레임; 상기 제1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제2 베드프레임; 상기 제2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제2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제3 베드프레임; 상기 제3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브라켓; 상기 제3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 및 상기 제3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장착되는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구동기는,
    상기 제3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제4 베드프레임; 상기 제4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4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4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4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측부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가이드유닛은,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
    상기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한 쌍의 경사브라켓; 및
    상기 경사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이전에 위치에 구비된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 중 임의 위치에 구비되어 환봉 다발의 진입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상태 또는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엔코더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를 정돈한 후,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를 정돈함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모두 정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구속장치.
  20. 환봉 다발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환봉 다발을 결속하기 위한 형태로 모아주는 성형부 및 결속 형태로 모아진 상기 환봉 다발을 묶어서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평정돈유닛; 및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정돈시키는 수직정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정돈유닛은, 상기 성형부로 진입하는 측에 배치된 진입측 수평정돈기; 및 상기 성형부에서 배출되는 측에 배치된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정돈유닛은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진입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에 근접하여 배치된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2 롤러,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3 롤러,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상하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4 롤러, 상기 한 쌍의 제4 롤러가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4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제4 롤러는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오목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환봉 다발의 이송을 위한 구동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2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롤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제3 구동기에 의해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는,
    제1 베드프레임; 상기 제1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1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1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1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는,
    제2 베드프레임; 상기 제2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2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봉; 및 상기 제2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롤러가 장착되는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제2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는,
    제3 베드프레임; 상기 제3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하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3 설치브라켓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브라켓; 상기 제3 연결브라켓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 상기 한 쌍의 제3 가이드 부싱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봉; 및 상기 제3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롤러 중 상부에 위치한 제3 롤러가 장착되는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구동기는,
    상기 제3 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딩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는,
    제4 베드프레임; 상기 제4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제4 구동기가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 상기 한 쌍의 제4 설치브라켓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4 가이드봉; 및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4 가이드봉에 조립되고, 상기 제4 롤러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4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측부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가이드유닛은,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
    상기 측부가이드 베드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한 쌍의 경사브라켓; 및
    상기 경사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환봉 다발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이전에 위치에 구비된 진입감지센서,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의 사이 중 임의 위치에 구비되어 환봉 다발의 진입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상태 또는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 상기 배출측 수직정돈기 및 상기 배출측 수평정돈기가 구속해제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엔코더센서에서 상기 환봉 다발의 진입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상기 진입측 수평정돈기와 배출측 수평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를 정돈한 후, 상기 진입측 수직정돈기와 배출측 수직정돈기를 구속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환봉 다발의 수직상태를 정돈함에 따라 상기 환봉 다발의 수평상태와 수직상태가 모두 정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자동 포장장치.
KR1020180137865A 2018-11-12 2018-11-12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KR10215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65A KR102151035B1 (ko) 2018-11-12 2018-11-12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65A KR102151035B1 (ko) 2018-11-12 2018-11-12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19A KR20200054519A (ko) 2020-05-20
KR102151035B1 true KR102151035B1 (ko) 2020-09-02

Family

ID=709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65A KR102151035B1 (ko) 2018-11-12 2018-11-12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781B2 (ja) * 1996-04-05 2004-01-19 萩原工業株式会社 長尺材集束装置
CN101274676A (zh) * 2008-04-03 2008-10-01 江阴圆方机械制造有限公司 新型棒材或管材六角成型装置的侧立导向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7199B (it) 1991-04-18 1994-12-12 Gefima S R L Meccanismo automatico di impacchettatura in grado di confezionare tubio barre in acciaio o leghe in pacchi quadrati, rettangolari ed esagonali.
JPH0659203U (ja) * 1993-01-26 1994-08-16 川崎製鉄株式会社 丸棒の結束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781B2 (ja) * 1996-04-05 2004-01-19 萩原工業株式会社 長尺材集束装置
CN101274676A (zh) * 2008-04-03 2008-10-01 江阴圆方机械制造有限公司 新型棒材或管材六角成型装置的侧立导向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19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4584B2 (ja) 圧縮可能な荷物のための梱包機
US6397738B1 (en) Hay bale stacking and bundling method
AU709543B2 (en) Automatic bale tying device
CN103204409A (zh) 束线装置以及束线方法
US72434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packaging station of an insulation batt packager
CN1173457A (zh) 用来形成和转送有序的多叠片材尤其是纸币的设备
KR102151035B1 (ko) 성형구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봉 자동 포장장치
CN103538290B (zh) 用于对纸板坯开槽的设备
EP3326924B1 (de) Verpackungseinrichtung und verpackungsverfahren
CN110831862B (zh) 包装设备和包装方法
ITTO20080729A1 (it) Unita' e metodo per la movimentazione di barre metalliche
US549570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inting products
CN109530474B (zh) 一种线卷调直生产线
CN106113589B (zh) 全自动纸带花机
US20120193032A1 (en)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making panels
JP2005535519A (ja) 蛇行形ループ状に配置された可撓性ウェブ、特に繊維ウェブを包装するためのシステム
CA2119537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portable, tube-like packs from printing products
US3471994A (en) Wrapper dispenser
FI91628C (fi) Laite nippujen käsittelemiseksi ja ohjaamiseksi
CN2900149Y (zh) 用于卧式打包机的自动推丝、打结机构
KR101966521B1 (ko) 소둔선 릴 결속장치
KR20210007955A (ko) 웹 저장소와 함께 재료 웹을 개별 시트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
CN204938392U (zh) 片材堆垛设备
CA1069771A (en) Multiple size culvert pipe rolling machine
US1295531A (en) Automatic bundling and t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