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935B1 -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0935B1 KR102150935B1 KR1020180151735A KR20180151735A KR102150935B1 KR 102150935 B1 KR102150935 B1 KR 102150935B1 KR 1020180151735 A KR1020180151735 A KR 1020180151735A KR 20180151735 A KR20180151735 A KR 20180151735A KR 102150935 B1 KR102150935 B1 KR 1021509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
- tooth
- earpiece
- signal line
- contact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는, 귀에 삽입되는 귀삽입형 본체; 및 이어피스 형태로 귀삽입형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휨센서, 휨센서에서 센싱된 이벤트신호를 전달하는 제1신호라인 및 제2신호라인이 구비된 센서부를 포함하고,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는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에 결합되는 진입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배치된 제1접점라인 및 제2접점라인이 형성되고, 제1신호라인은 휨센서와 제1접점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신호라인은 휨센서와 제2접점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어폰 형태로 귀에 착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이어폰 착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교정할 수 있는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스트레스가 쌓이면 가장 쉽고 편하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뇌 작용이 바로 이갈이(치아 악물기)이다. 또한 이갈이는 스트레스 때문에 발생되는 것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자전거, 헬스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이갈이는 무의식 상태에서 정적(이악물기) 또는 동적(이갈이)의 치아 접촉을 말한다.
즉, 이갈이는 낮 또는 밤 동안에 발생하는 비기능적 운동을 의미하는데, 만일 이러한 증상이 존재한다면 심한 교모증으로 인한 외상성 교합이나 측두하악관절의 장애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갈이는 스트레스가 늘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흔히 생길 수 있는 질병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53086에는 수면 중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관련 신호를 분석하여 증상을 파악하고, 수면자세의 교정 및 치료를 유도하는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은 헤드셋을 통해 피검사자의 좌/우측 관자근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증상을 분석하는데, 관자근은 턱뼈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근육이라는 점에서,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의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수면 중에는 각성 효과를 크게 발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에 대한 치료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어폰 형태로 귀에 착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이어폰 착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교정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는, 귀에 삽입되되, 전단부에 상호 간에 이격배치된 제1접점라인 및 제2접점라인이 형성된 귀삽입형 본체; 및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센서부는, 전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이어피스와, 이어피스에 설치되어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휨센서와, 휨센서와 제1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이어피스에 마련된 제1신호라인과, 휨센서와 제2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이어피스에 마련된 제2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는, 센서부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홈과, 끼움결합홈과 단턱지되 센서부의 내면과 접하는 지지턱이 마련되고, 제1접점라인은 끼움결합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제2접점라인은 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끼움결합홈에 마련된 제1접점라인과 물리적으로 격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어피스는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끼움결합되는 몸체와, 몸체의 외면을 둘러싸게 몸체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내면에 휨센서가 설치된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내면에는 끼움결합홈에 맞물리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몸체의 내면이 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접하는 통형상을 가지며, 제1신호라인은 일단이 휨센서에 연결되고, 타단이 돌출부에 마련되어, 휨센서와 제1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신호라인은 일단이 휨센서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의 내면과 지지턱이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휨센서와 제2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휨센서, 제1신호라인 및 제2신호라인은 프린팅방식으로 이어피스에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몸체에는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1비아홀과, 몸체의 내면과 지지턱이 접하는 부분에서 몸체를 관통하는 제2비아홀이 마련되고, 제1신호라인은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날개부의 내면 및 몸체의 외면을 지나 제1비아홀을 통해 몸체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제1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신호라인은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날개부의 내면 및 몸체의 외면을 지나 제2비아홀을 통해 몸체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제2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제1신호라인은 휨센서로부터 몸체의 외면을 지나 몸체의 끝단을 돌아 몸체의 내면으로 진입하여 돌출부까지 연장되어, 제1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신호라인은 휨센서로부터 몸체의 외면을 지나 몸체의 끝단을 돌아 몸체의 내면으로 진입하고 돌출부를 지나 지지턱과 맞닿는 부분으로 연장되어, 제2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센서부는, 제2신호라인이 돌출부를 지나가는 부분에 부착된 절연필름이 더 구비되어, 제2신호라인과 제1접점라인의 통전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제1접점라인은 끼움결합홈의 둘레를 따라 반원범위로 형성되고, 제2접점라인은 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제1접점라인의 반경범위와 대칭되는 제2반원범위로 형성되고, 제1신호라인과 제2신호라인은 지지턱의 반원의 둘레이상으로 이격되게 상기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가 상기 귀삽입형 본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제1접점라인 및 제2접점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는 귀로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되, 기압통과개구가 마련된 귀삽입형 본체; 및 귀삽입형 본체에 내장되되, 기압통과개구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로 유동하는 기압이동경로에 배치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압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삽입형 본체는 외이도를 밀폐하는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에 기압통과개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는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귀로 삽입시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제1이어피스를 더 포함하고, 기압통과개구는 제1이어피스의 날개부의 내면과 마주보게 귀삽입형 본체에 마련되며, 기압센서부는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른 제1이어피스의 변형에 의해 제1이어피스에서 기압통과개구를 향해 밀려 나가면서 귀삽입형 본체로 유입된 귓속기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 구조로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귀로 삽입시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제2이어피스를 더 포함하고, 제2이어피스는 귀삽입형 본체와의 결합시 기압통과개구와 연통되는 이어피스개구가 마련되고, 기압센서부는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이어피스개구 및 기압통과개구를 경유하여 귀삽입형 본체로 유입된 제2이어피스 내의 기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진단 시스템은, 이어폰 타입으로 귀에 착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신호를 송신하는 이갈이측정장치; 및 이벤트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이벤트신호가 분석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의 해당여부가 도출되고, 이벤트신호가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해당되면 이갈이측정장치로 경고신호를 송신하는 분석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석단말에서, 이벤트신호가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기저장된 이갈이패턴 또는 치아악물기 패턴 범위 내이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되고,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대한 발생횟수, 발생시간, 강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 및 분석결과가 저장되고,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어폰 형태로 귀에 삽입되어 외이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종래기술에서 턱뼈에 인접한 저작근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센싱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이갈이 또는 치아 악물기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을 듣는 중에도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 발생여부를 진단하고,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 발생에 따른 경고신호를 이어폰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어폰 착용자에게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인지토록 하여, 무의식 중에 발생하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중지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교정하여, 장기적으로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치아손상, 턱관절, 턱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의 단턱진 구조에 의해, 제1접점라인 및 제2접점라인이 물리적으로 격리되게 배치되고, 제1신호라인이 제1접점라인에 연결되고, 제2신호라인이 제1신호라인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접점라인에 연결되게 센서부에 마련되어,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제1신호라인이 제1접점라인에만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2신호라인이 제2접점라인에만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휨센서에서 감지된 이벤트신호가 안정적으로 귀삽입형 본체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착용자는 귀삽입형 본체에 이어피스 타입의 센서부를 끼우는 단순한 작업만으로도, 귀삽입형 본체에 센서부가 안정적으로 신호전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착용자의 귓구멍의 크기에 따라 센서부의 교체가 용이하며, 착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에서 분리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에 결합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이어피스의 날개부가 뒤집힌 상태, 즉, 날개부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센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분석단말에 설치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의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에서 분리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센서부가 귀삽입형 본체에 결합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이어피스의 날개부가 뒤집힌 상태, 즉, 날개부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센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센서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분석단말에 설치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의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는 이어폰 형태로 귀에 착용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갈이 측정장치(100)는 귀삽입형 본체(110), 센서부(130), 신호송신부(141) 및 경고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한다.
귀삽입형 본체(110)에는 신호송신부(141) 및 경고신호출력부(150)가 내장된다. 신호송신부(141)는 센서부(130)에서 센싱된 이벤트신호를 분석단말로 송신한다. 경고신호출력부(150)는 경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스피커 및/또는 진동자가 사용가능하다.
귀삽입형 본체(110)의 전단부에는 센서부(13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귀삽입형 본체(110)의 전단부에는 센서부(130)와 통전되는 한 쌍의 접점라인(142, 143)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접점라인(142, 143)에 대해 제1접점라인(142) 및 제2접점라인(143)으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제1접점라인(142)은 끼움결합홈(111b)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제1접점라인(142)은 센서부(130)가 이어본체에 결합될 때, 제1신호라인(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끼움결합홈(111b)은 전단부의 표면에 대해 단차지게 마련된다. 끼움결합홈(111b)은 센서부(130)가 끼움결합되는 홈이다.
제2접점라인(143)은 지지턱(111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제2접점라인(143)은 센서부(130)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신호라인(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지턱(111a)은 전단부의 표면 중 센서부(130)와 접촉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지지턱(111a)은 끼움결합홈(111b)에 대해 상부로 단턱진다.
제1접점라인(142) 및 제2접점라인(143)은 끼움결함홈 및 지지턱(111a)의 단차진 구조에 의해, 상호 간에 단차지게 위치된다. 제1접점라인(142) 및 제2접점라인(143)은 신호송신부(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송신부(141)는 제1접점라인(142) 및 제2접점라인(143)을 통해 전달된 이벤트신호를 분석단말로 송신한다.
제1접점라인(142)은 끼움결합홈(111b)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센서부(130)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1접점라인(142)은 제1신호라인(132)과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제2접점라인(143)은 지지턱(111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센서부(130)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접점라인(143)은 제2신호라인(133)과 전기적으로 통전된다.
센서부(130)는 한 쌍의 접점라인(142, 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전단부에 결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30)는 이어피스(135), 휨센서(131), 제1신호라인(132) 및 제2신호라인(133)으로 이루어진다.
이어피스(135)는 귀삽입형 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이갈이 측정장치(100)가 착용자의 귀에 착용될 때,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피스(135)는 몸체(136)와 날개부(137)로 이루어진다. 몸체(136)는 귀삽입형 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136)의 내면에는 귀삽입형 본체(110)의 끼움결합홈(111b)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136a)가 마련된다. 돌출부(136a)는 몸체(136)의 내면에서, 내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날개부(137)는 몸체(136)의 일측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몸체(136)를 둘러싸게 마련된다. 이갈이 측정장치(100)가 귀에 삽입될 때, 이어피스(135)의 날개부(137)는 외이도의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휨센서(131)는 날개부의 내면(137a)에 구비된다. 휨센서(131)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휨센서(131)로는 플렉스센서(flex sensor) 또는 벤드센서(bend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휨센서(131)는 휨에 따른 저항변화를 감지한다.
휨센서(131)에는 제1신호라인(132) 및 제2신호라인(13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신호라인(132)은 제1접점라인(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이다. 제2신호라인(133)은 제2접점라인(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라인이다.
휨센서(131), 제1신호라인(132) 및 제2신호라인(133)은 프린팅방식으로 이어피스(135)에 인쇄되어, 이어피스(135)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휨센서(131), 제1신호라인(132) 및 제2신호라인(133)은 이어피스(135)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날개부의 내면(137a)이 외부로 노출된 센서부(130)가 개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신호라인(132)과 제2신호라인(133)은 휨센서(131)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호 간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접점라인(142)과 제2접점라인(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신호라인(132)은 휨센서(131)로부터 몸체(136)의 외면을 지나 제1비아홀을 통해 몸체(136)의 내면으로 연장된다. 제1비어홀은 몸체(136)의 돌출부(136a)에 마련된다. 몸체(136)의 돌출부(136a)는 끼움결합홈(111b)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제1비어홀은 이어피스(135)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1접점라인(142)과 맞닿는 부분에 마련된다.
제2신호라인(133)은 휨센서(131)로부터 몸체(136)의 외면을 지나 제2비아홀을 통해 몸체(136)의 내면으로 연장된다. 제2비아홀은 귀삽입형 본체(110)의 지지턱(111a)과 맞닿는 부분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2비아홀은 이어피스(135)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접점라인(143)에 맞닿는 부분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이어피스(135)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되면 제1신호라인(132)은 제1접점라인(142)과 접촉되고, 제2신호라인(133)이 제2접점라인(143)에 접촉되어, 휨센서(131)와 신호송신부(1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은 귀삽입형 본체(110)의 전단부(111)의 단턱진 구조에 의해, 제1접점라인(142) 및 제2접점라인(143)이 물리적으로 격리되게 배치되고, 제1신호라인(132)이 제1접점라인(142)에 연결되고, 제2신호라인(133)이 제1신호라인(132)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2접점라인(143)에 연결되게 센서부(130)에 마련되어, 센서부(130)가 귀삽입형 본체(110)의 전단부(111)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더라도, 제1신호라인(132)이 제1접점라인(142)에만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2신호라인(133)이 제2접점라인(143)에만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휨센서에서 감지된 이벤트신호가 안정적으로 귀삽입형 본체(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착용자는 귀삽입형 본체(110)에 이어피스 타입의 센서부(130)를 끼우는 단순한 작업만으로도, 귀삽입형 본체(110)에 센서부(130)가 안정적으로 신호전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착용자의 귓구멍의 크기에 따라 센서부(130)의 교체가 용이하며, 착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센서부(130a)의 구조가 상이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3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0a)는 이어피스(135), 휨센서(131), 제1신호라인(132a), 제2신호라인(133a) 및 절연필름(134)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피스(135) 및 휨센서(131)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신호라인(132a)은 휨센서(131)로부터 몸체(136)의 외면을 지나 몸체(136)의 내면에 마련된 돌출부(136a)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제2신호라인(133a)은 휨센서(131)로부터 몸체(136)의 외면을 지나 몸체(136)의 내면으로 연장된다. 제2신호라인(133a)은 돌출부(136a)를 지나 지지턱(111a)과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신호라인(133a)은 제1신호라인(132a)보다 길게 몸체(136)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이어피스(135)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신호라인(133a)은 제1접점라인(142)과 통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피스(135)가 귀삽입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신호라인(133a)과 제1접점라인(142)의 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36)의 내면에 절연필름(134)이 부착된다. 절연필름(134)은 제1신호라인(132a)과 제2신호라인(133a)이 동시에 지나가는 부분에서, 제2신호라인(133a)을 덮도록 몸체(136)의 내면에 부착된다.
●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센서부(130a) 및 한 쌍의 접점라인(142b, 143b)의 구조가 상이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30a) 및 한 쌍의 접점라인(142b, 143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30a)는 이어피스(135), 휨센서(131), 제1신호라인(132b), 제2신호라인(133b) 및 절연필름(134)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피스(135) 및 휨센서(131)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신호라인(132b)과 제2신호라인(133b)은 휨센서(131)로부터 몸체(136)의 외면에서 돌출부(136a)를 지나 몸체(136)의 내면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1신호라인(132b)과 제2신호라인인(133b)은 지지턱(111a)의 반원의 둘레이상으로 이격되게 휨센서(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접점라인(142b) 및 제2접점라인(143b)은, 전단부의 개구(111c)를 중심으로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반원 범위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접점라인(142b)은 끼움결합홈(111b)의 둘레를 따라 반원범위로 형성된다. 제2접점라인(143b)은 지지턱(111a)의 둘레를 따라 반원범위로 형성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점라인(143b)는 제1접점라인의 반경범위와 대칭되는 제2반원범위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센서부(130b)가 귀삽입형 본체(110b)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제1신호라인(132b)과 제2신호라인(133b)은 제1접점라인(142b) 및 제2접점라인(143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c)는, 귀에 삽입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갈이 측정장치(100c)는 귀삽입형 본체(110c) 및 기압센서부(130c)를 포함한다.
귀삽입형 본체(110c)는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를 밀폐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귀삽입형 본체(110c)는 본뜨기 공정을 통해,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된다.
귀삽입형 본체(110c)의 본뜨기는, 알지네이트와 같은 본뜨기 물질이 귀에 채워지고 경화되면서 진행된다. 도 11(a)에는 본뜨기된 귓속 형상이 도시된다. 본뜨기된 귓속 형상으로 3차원 몰드작업이 진행된다. 도 11(b)에는 귓속 형상에 대한 몰드가 개시되어 있다.
개인맞춤형으로 제작된 몰드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c)는 착용자의 귓속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귀삽입형 본체(110c)의 전단부에는 기압통과개구(119)가 마련된다. 개인맞춤형으로 제작된 귀삽입형 본체(110c)에 의해, 본 발명은 외이도가 밀폐되게 귀에 삽입되고, 귓속 압력변화는 기압통과개구(119)을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c)로 전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압센서부(130c)는 귀삽입형 본체(110c)에 내장되되, 기압통과개구(119)을 통과한 귓속 기압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기압센서부(130c)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신호가 신호처리된다. 이벤트신호는 신호송신부(140c)를 통해 분석단말(200)로 제공된다. 신호송신부(140c)는 귀삽입형 본체(110c)에 내장된다.
분석단말(200)은 이벤트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이벤트신호가 분석된다. 분석단말(200)에서, 이벤트신호가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기저장된 이갈이패턴 또는 치아악물기 패턴 범위 내의 기압 변화라 분석되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된다. 그리고, 분석단말(200)에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대한 발생횟수, 발생시간, 강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 및 분석결과가 저장되고,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d)는, 귀에 삽입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갈이 측정장치(100d)는 귀삽입형 본체(110d) 및 기압센서부(130d)를 포함한다.
귀삽입형 본체(110d)는 귀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고, 기압센서부(130d)가 내장된다. 귀삽입형 본체(110d)는 전단부에 제1이어피스(117d)가 마련된다. 제1이어피스(117d)는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이어피스(117d)는 귀로 삽입되면 외이도의 표면과 접촉되어,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귀삽입형 본체(110d)에는 기압통과개구(119d)가 마련된다. 기압통과개구(119d)는 제1이어피스(117d)의 날개부의 내면과 마주보게 귀삽입형 본체(110d)에 마련된다. 제1이어피스(117d) 내에 형성된 기압(P2)은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제1이어피스(117d)에 가해지는 압력(P1)에 의해 이어피스(117d)에서 기압통과개구(119d)를 향해 밀려 나가면서 기압통과개구(119d)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d)로 이동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압센서부(130d)는 귀삽입형 본체(110d)에 내장되되, 기압통과개구(119d)을 통과한 귓속 기압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기압센서부(130d)는 기압통과개구(119d)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d)로 유입된 기압(P2)을 측정한다.
기압센서부(130d)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신호가 신호처리된다. 이벤트신호는 신호송신부(140d)를 통해 분석단말(200)로 제공된다. 신호송신부(140d)는 귀삽입형 본체(110d)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d)는 분석단말과 연동되어, 이갈이 정보가 분석된다. 분석단말은 이벤트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이벤트신호가 분석된다. 분석단말(200)에서, 이벤트신호가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기저장된 이갈이패턴 또는 치아악물기 패턴 범위 내의 기압 변화라 분석되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된다. 그리고, 분석단말에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대한 발생횟수, 발생시간, 강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 및 분석결과가 저장되고,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e)는, 귀에 삽입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갈이 측정장치(100e)는 귀삽입형 본체(110e) 및 기압센서부(130e)를 포함한다.
귀삽입형 본체(110e)는 귀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고, 기압센서부(130e)가 내장된다. 귀삽입형 본체(110e)에는 기압통과개구(119e)가 마련된다. 기압통과개구(119e)는 귀솟기압이 귀에서 귀삽입형 본체(110e)로 유동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귀삽입형 본체(110e)는 전단부에 제2이어피스(117e)가 마련된다.
제2이어피스(117e)는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되게,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이어피스(117e)는 귀로 삽입되면 외이도의 표면과 접촉되어,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제2이어피스(117e)에는 귀삽입형 본체(110e)와의 결합시 기압통과개구(119e)와 연통되는 이어피스개구(118e)가 마련된다. 제2이어피스(117e) 내에 형성된 기압(P2)은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제2이어피스(117e)에 가해지는 압력(P1)에 의해 이어피스개구(118e)에서 기압통과개구(119d)를 향해 밀려 나가면서 기압통과개구(119d)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e)로 이동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압센서부(130e)는 귀삽입형 본체(110e)에 내장되되, 기압통과개구(119e)을 통과한 귓속 기압의 이동경로에 배치된다. 기압센서부(130e)는 기압통과개구(119e)를 통해 귀삽입형 본체(110e)로 유입된 기압(P2)을 측정한다.
기압센서부(130e)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신호가 신호처리된다. 이벤트신호는 신호송신부(140e)를 통해 분석단말(200)로 제공된다. 신호송신부(140e)는 귀삽입형 본체(110e)에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측정장치(100e)는 분석단말과 연동되어, 이갈이 정보가 분석된다. 분석단말은 이벤트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이벤트신호가 분석된다. 분석단말에서, 이벤트신호가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기저장된 이갈이패턴 또는 치아악물기 패턴 범위 내의 기압 변화라 분석되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된다. 그리고, 분석단말(200)에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대한 발생횟수, 발생시간, 강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 및 분석결과가 저장되고,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 이갈이 진단 시스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진단 시스템은 이갈이 측정장치(100) 및 분석단말(200)로 구성된다. 이갈이 측정장치(100)는 이어폰 형태로 귀에 착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시 발생되는 외이도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시 감지된 이벤트신호를 분석단말로 송신한다.
분석단말(200)은 통신모듈에 의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이갈이측정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분석단말은 이어폰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어, 이갈이 측정장치(100)와 분석단말 간의 신호전송방식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의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단말(200)은 이벤트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이벤트신호가 분석된다. 이벤트신호가 이갈이분석 프로그램에 기저장된 이갈이패턴 또는 치아악물기 패턴 범위 내이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된다.
이벤트신호가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로 진단되면, 분석단말에서 이갈이측정장치로 경고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분석단말에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대한 발생횟수, 발생시간, 강도가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 및 분석결과가 저장되고, 분석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이어폰 형태로 귀에 삽입되어 외이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종래기술에서 턱뼈에 인접한 저작근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센싱하여 보다 정확하게 이갈이 또는 치아 악물기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악을 듣는 중에도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 발생여부를 진단하고,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 발생에 따른 경고신호를 이어폰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어폰 착용자에게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인지토록 하여, 무의식 중에 발생하는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중지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를 교정하여, 장기적으로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치아손상, 턱관절, 턱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100c: 이갈이 측정장치
110: 귀삽입형 본체
130, 130a, 130b: 센서부
130c: 기압센서부
131: 휨센서
132, 132a, 132b: 제1신호라인
133, 133a, 133b: 제2신호라인
134: 절연필름
135: 이어피스
136: 몸체
137: 날개부
141, 141b, 140c: 신호송신부
142, 142b: 제1접점라인
143: 제2접점라인
150: 경고신호출력부
200: 분석단말
110: 귀삽입형 본체
130, 130a, 130b: 센서부
130c: 기압센서부
131: 휨센서
132, 132a, 132b: 제1신호라인
133, 133a, 133b: 제2신호라인
134: 절연필름
135: 이어피스
136: 몸체
137: 날개부
141, 141b, 140c: 신호송신부
142, 142b: 제1접점라인
143: 제2접점라인
150: 경고신호출력부
200: 분석단말
Claims (13)
- 귀에 삽입되되, 전단부에 상호 간에 이격배치된 제1접점라인 및 제2접점라인이 형성된 귀삽입형 본체; 및
상기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이어피스와, 상기 이어피스에 설치되어 상기 외이도의 표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휨센서와, 상기 휨센서와 상기 제1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상기 이어피스에 마련된 제1신호라인과, 상기 휨센서와 상기 제2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상기 이어피스에 마련된 제2신호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홈과, 상기 끼움결합홈과 단턱지되 상기 센서부의 내면과 접하는 지지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점라인은 상기 끼움결합홈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라인은 상기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끼움결합홈에 마련된 상기 제1접점라인과 물리적으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는 상기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끼움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을 둘러싸게 상기 몸체에서 절곡되게 연장되어 내면에 상기 휨센서가 설치된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결합홈에 맞물리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내면이 상기 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접하는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신호라인은 일단이 상기 휨센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돌출부에 마련되어, 상기 휨센서와 상기 제1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신호라인은 일단이 상기 휨센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내면과 상기 지지턱이 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휨센서와 상기 제2접점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휨센서, 상기 제1신호라인 및 상기 제2신호라인은 프린팅방식으로 상기 이어피스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1비아홀과, 상기 몸체의 내면과 상기 지지턱이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제2비아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날개부의 내면 및 상기 몸체의 외면을 지나 상기 제1비아홀을 통해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라인은 상기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날개부의 내면 및 상기 몸체의 외면을 지나 상기 제2비아홀을 통해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휨센서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면을 지나 상기 몸체의 끝단을 돌아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 진입하여 상기 돌출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라인은 상기 휨센서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면을 지나 상기 몸체의 끝단을 돌아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 진입하고 상기 돌출부를 지나 상기 지지턱과 맞닿는 부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접점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신호라인이 상기 돌출부를 지나가는 부분에 부착된 절연필름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신호라인과 상기 제1접점라인의 통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라인은 상기 끼움결합홈의 둘레를 따라 반원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점라인은 상기 지지턱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접점라인의 반경범위와 대칭되는 제2반원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라인과 상기 제2신호라인은 상기 지지턱의 반원의 둘레이상으로 이격되게 상기 휨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귀삽입형 본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접점라인 및 상기 제2접점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귀로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되, 기압통과개구가 마련된 귀삽입형 본체;
상기 귀삽입형 본체에 내장되되, 상기 기압통과개구를 통해 상기 귀삽입형 본체로 유동하는 기압이동경로에 배치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압센서부; 및
상기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귀로 삽입시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제1이어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압통과개구는 상기 제1이어피스의 날개부의 내면과 마주보게 상기 귀삽입형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기압센서부는 상기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1이어피스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1이어피스에서 상기 기압통과개구를 향해 밀려 나가면서 상기 귀삽입형 본체로 유입된 상기 귓속기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귀로 삽입되는 형상을 가지되, 기압통과개구가 마련된 귀삽입형 본체;
상기 귀삽입형 본체에 내장되되, 상기 기압통과개구를 통해 상기 귀삽입형 본체로 유동하는 기압이동경로에 배치되어, 이갈이 또는 치아악물기에 따른 귓속기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압센서부; 및
내부가 중공된 튜브형 구조로 상기 귀삽입형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귀로 삽입시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제2이어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어피스는 상기 귀삽입형 본체와의 결합시 상기 기압통과개구와 연통되는 이어피스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기압센서부는 상기 외이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어피스개구 및 상기 기압통과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귀삽입형 본체로 유입된 상기 제2이어피스 내의 기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귀삽입형 본체는 외이도를 밀폐하는 형상을 가지며, 전단부에 상기 기압통과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측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1735A KR102150935B1 (ko) | 2018-11-30 | 2018-11-30 |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
CN201811623069.4A CN111248856B (zh) | 2018-11-30 | 2018-12-28 | 磨牙症测量设备和磨牙症诊断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1735A KR102150935B1 (ko) | 2018-11-30 | 2018-11-30 |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5357A KR20200065357A (ko) | 2020-06-09 |
KR102150935B1 true KR102150935B1 (ko) | 2020-09-02 |
Family
ID=7094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1735A KR102150935B1 (ko) | 2018-11-30 | 2018-11-30 |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0935B1 (ko) |
CN (1) | CN111248856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3385A (ko) | 2020-09-29 | 2022-04-05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8001B1 (ko) * | 2020-07-08 | 2022-08-30 | 링크페이스 주식회사 | 수면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NL2029986B1 (en) | 2021-12-01 | 2023-06-19 | Jawsaver B V | Bruxism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and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9802B1 (ko) * | 2015-11-30 | 2017-12-29 | 주식회사 바이오램프 |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이갈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헬스케어 이어폰, 헬스케어 제어 장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
JP2018098761A (ja) * | 2016-12-13 | 2018-06-21 |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 信号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34378A (en) * | 1989-03-31 | 1990-06-19 | Perry Jr John D | Bruxism method and apparatus using electrical signals |
JP2010004513A (ja) * | 2008-05-19 | 2010-01-07 | Yamaha Corp | イヤホン |
JP5262702B2 (ja) * | 2008-12-26 | 2013-08-14 | ヤマハ株式会社 | イヤホン構造体及びイヤホン |
US8690800B2 (en) * | 2010-05-18 | 2014-04-08 | Erik Lillydahl |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ubconscious neuromuscular tension including bruxism |
KR101820730B1 (ko) * | 2011-12-13 | 2018-03-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US20150038849A1 (en) * | 2013-08-02 | 2015-02-05 | United Sciences, Llc | Methods for Reducing One or Mor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KR101499412B1 (ko) * | 2013-09-09 | 2015-03-09 | 박충만 | 통공부와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음향기기 |
DK3139819T3 (en) * | 2014-05-07 | 2019-03-04 | Sunstar Suisse Sa | Automatic hard bite detection and / or lighter cutting |
CN204180263U (zh) * | 2014-09-03 | 2015-02-25 | 深圳市星工场科技有限公司 | 兼容多标准立体声耳机插头、手机及平板电脑 |
CN104665824A (zh) * | 2015-01-26 | 2015-06-03 | 周常安 | 穿戴式生理检测装置 |
CN206822858U (zh) * | 2016-12-31 | 2018-01-02 | 福建益网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温度传感的智能咬牙器 |
-
2018
- 2018-11-30 KR KR1020180151735A patent/KR1021509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28 CN CN201811623069.4A patent/CN11124885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9802B1 (ko) * | 2015-11-30 | 2017-12-29 | 주식회사 바이오램프 |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이갈이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헬스케어 이어폰, 헬스케어 제어 장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
JP2018098761A (ja) * | 2016-12-13 | 2018-06-21 |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 信号処理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3385A (ko) | 2020-09-29 | 2022-04-05 | 김한림 |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248856B (zh) | 2022-08-09 |
CN111248856A (zh) | 2020-06-09 |
KR20200065357A (ko) | 2020-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0935B1 (ko) | 이갈이 측정장치 및 이갈이 진단 시스템 | |
JP5055502B2 (ja) | 生体検査装置 | |
JP5694139B2 (ja) | 睡眠中における無呼吸低呼吸状態の検出装置 | |
WO2013099020A1 (ja) | 診断装置 | |
US2017003535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uxism | |
MX2010013391A (es) | Sensor de temperatura adaptable para dispositivo de monitoreo de respiración. | |
JP2008301895A (ja) | 生体検査装置 | |
US20140180029A1 (en) | Electrode array for electromyographic measurements | |
WO2016142264A1 (en) | Tracking a dental movement | |
TW201713271A (zh) | 體溫計 | |
KR102109343B1 (ko) | 발음 교정 및 언어 치료를 위한 구개운동 센싱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JP2001137196A (ja) | 頭部血流バランス検査装置 | |
JP2002521116A (ja) | 音響鼻腔測定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CN115475331A (zh) | 一种精准感应全面采集的柔性舌压传感器 | |
JP2006129885A (ja) | 咀嚼運動検出装置 | |
US605095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exual arousal | |
JP4487132B2 (ja) | 口唇力測定装置 | |
JP3156160B2 (ja) | 生理状態検出センサ装置 | |
US20200163614A1 (en) | An improved device for detecting, preventing, monitoring and treating parafunctional activities in odontological field | |
JP6174965B2 (ja) | 口腔または咽頭の気圧をモニタリングする装置 | |
KR20070028745A (ko) | 맥박 및 호흡 무자각적 측정방법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측정장치 | |
CN103462592B (zh) | 生理参数检测用胸带以及胸带式生理参数检测装置 | |
JP3600829B2 (ja) | 頭部の左右血流バランス検査装置 | |
WO2021075812A2 (ko) | 섬유센서를 이용한 요추 자세 교정 보조기구 | |
KR20160052995A (ko) | 교합이상 진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