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51B1 -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51B1
KR102150351B1 KR1020200063040A KR20200063040A KR102150351B1 KR 102150351 B1 KR102150351 B1 KR 102150351B1 KR 1020200063040 A KR1020200063040 A KR 1020200063040A KR 20200063040 A KR20200063040 A KR 20200063040A KR 102150351 B1 KR102150351 B1 KR 10215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ontent
display area
defective
digital sig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박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기 filed Critical 박영기
Priority to KR102020006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를 갖는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의 LED 중 불량LED의 불량표시영역을 파악하여 컨텐츠가 불량표시영역을 제외한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삭제 및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LED Digital Signage Dynamic Display System based on Fault Module avoidance algorithm}
본 발명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의 불량이나 부분적으로 표출이 불가능한 상황에도 컨텐츠의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 디지털 사이니지은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복수의 LED모듈이 배치되어 화면을 이루며 각종 공공정보, 광고영상, 교통정보 및 공지정보 등의 정보를 화면 상에서 문자, 그림, 영상 등을 출력하여 전달한다.
그러나 복수의 LED모듈 중 일부 LED의 불량으로 출력된 문자, 그림, 영상을 보고 그 내용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LED 디지털 사이니지를 수리하여 복구하기 이전 까지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역할을 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이에 의해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이용자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운영자의 조작없이 컨텐츠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를 갖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LED 중 불량LED의 불량표시영역을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불량표시영역을 제외한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 상기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삭제 및 상기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 중 불량LED에 의한 불량표시영역이 발생하여도 이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전달하려는 컨텐츠 내용을 정상표시영역에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LED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전달력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LED로부터 상기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전류값을 수신하여 상기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LED를 불량으로 판단하면 불량표시영역을 이루는 불량LED를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될 상기 컨텐츠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불량표시영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표시영역의 상기 불량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하면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상표시영역은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표시영역과 상기 컨텐츠표시영역 이외의 베이스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기 복수의 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하면 디스플레이부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달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 전체에서 색상의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표시영역의 색상을 변경하면 색상불량으로 인한 컨텐츠의 색상불량이 보정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LED의 발생을 중앙시스템으로 전송하면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중 불량LED에 의한 불량표시영역이 발생하여도 이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전달하려는 컨텐츠 내용을 정상표시영역에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LED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전달력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정 영역의 LED 모듈 불량으로 화면 표출이 불가능하거나 특정 SMPS의 불량으로 화면 송출이 불가능한 부분이 생기더라도 남아 있는 표출 가능한 LED 모듈을 최대한 활용하여 유지보수 이전까지 이용자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의 제어 예시도.
도 2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내지 7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
도 8은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의 제어 예시도이고, 도 2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3 내지 7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고, 도 8은 제어블록도이다.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은 디스플레이부(10), 전원공급부(20), 공급전류감지장치(22), 전류감지부(30), 공급전원선(40), 전원단속부(42), 데이터공급선(44), 전원수집선(46), 카메라(50), 카메라구동부(52), 통신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룬다. 디스플레이부(10)는 그 크기에 따라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로 이루어지며, LED모듈(11 내지 n) 각각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LED(11-1 내지 11-n)로 이루어져 막대형상을 이룬다. LED모듈(11 내지 n) 각각은 전원선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켜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켜지게 되지만 사용의 육안으로는 구분하기 어렵다.
LED모듈(11 내지 n)은 한 번에 켤 수 있는 LED개별 소자의 개수에 따라 1/16Duty, 1/8Duty, 1/4Duty. STATIC 등으로 나뉜다. 그중 1/8Duty의 경우 한 번에 8개의 개별 LED소자중 1개만 켤 수 있어 Duty가 다른 LED모듈(11 내지 n)의 경우 LED모듈(11 내지 n)의 입력 전류 측정만으로는 전체 LED모듈(11 내지 n)의 각 LED 소자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고르게 측정하기 불가능하다.
그래서 LED모듈 제어 신호들(DATA, CLOCK, LATCH, Out Enable, ADDRESS)중 표출 LED를 선택하는 ADDRESS와 그에 따른 Out Enable신호를 검지하여 전류를 측정하면 LED 모듈(11 내지 n)의 전체 LED소자들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Out Enable 신호가 화면 꺼짐 상태일때의 소모 전류를 검지하여 LED드라이버 IC나 LED소자의 항시 켜짐 등의 불량도 검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전원 공급 장치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전원공급부(20)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불량감지시스템(1)의 구성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는 복수로 마련되어 LED모듈(11 내지 n) 각각으로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도 있으며, LED모듈(11 내지 n) 각각의 복수의 LED(11-1 내지 11-n)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LED드라이버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전류감지장치(22)는 전원공급부(20)로부터 구성들로 공급되는 후단에 배치되어 공급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류감지부(30)는 LED모듈(11 내지 n) 각각의 전단에 배치되어 공급 전류량 및 소모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류감지부(30)는 LED모듈(11 내지 n) 각각으로 인입되는 전류량 및 인출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70)로 전달한다. 전류감지부(30)는 제1전류감지부(31) 내지 제n전류감지부(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류감지부(30)는 전류 측정 시 포함된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LED 디지털 사이니지 전류 측정용으로 개선된 Kalman Filter를 적용한다. 개선된 Kalman Filter는 입력 인자로 측정 전류값과 현 화면의 켜진 LED빈도값을 입력으로 적용하여 꺼짐, 켜짐이 반복되는 LED모듈(11 내지 n)의 특성을 반영하여 급격하게 변하는 전류값에 대한 오차를 줄인다.
공급전원선(40)은 전원공급부(20)에서 전원을 소모하는 구성인 LED모듈(11 내지 n)을 포함한 구성 모두에게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도록 복수로 마련된다.
전원단속부(42)는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 간의 전원공급선(40)에 배치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20)와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을 연결하며 전류를 단속할 수도 있다. 전원단속부(42)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선택밸브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공급선(44)은 제어부(70)와 전원공급부(20),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을 연결하여 모듈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데이터공급선(44)은 전원공급선(40)과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전원공급선(40)을 이용하여 모듈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수집선(46)은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로의 인입단과 인출단으로부터 제어부(70)를 연결하여 전류량을 수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50)는 디스플레이부(10)을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50)는 디스플레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카메라구동부(52)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를 다른 각도에서 촬상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외부의 중앙제어실로 불량발생 관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외부의 중앙제어실로 불량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중앙제어실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LED(11-1 내지 n) 중 불량LED의 불량표시영역을 파악하여 컨텐츠가 불량표시영역을 제외한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LED(11-1 내지 n)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복수의 LED(11-1 내지 n)로부터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전류값을 수신하여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LED를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LED모듈(11 내지 n)을 구동시키는 전원공급장치로 전류 센싱 기능이 포함된 전원공급부(20)를 사용하고, 실제 LED모듈(11 내지 n)의 소모 전류는 LED모듈 제어신호와 연동된 전류감지부(30)를 통하여 수집한다. 이렇게 측정된 전류 측정값은 LED표출 제어부(70)와 연동되어 현재 표출 내용과 설정된 휘도 값과 함께 분석되어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이상유무를 판단한다.
이렇게 하면 전원공급부(20)의 소모 전류와 LED모듈(11 내지 n)에서 실제로 소모된 전류의 측정이 가능해지므로, 전원 공급 선로에서 누설된 전류량과 실제 LED모듈(11 내지 n)에서 소모한 전류량의 측정이 가능해지고, 현재 소모 전류량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LED모듈(11 내지 n)의 불량 위치 및, LED 디지털 사이니지 누전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LED(11 내지 n)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될 컨텐츠와 카메라(50)에서 촬상된 영상을 비교하여 불량표시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불량표시영역의 불량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정상표시영역은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표시영역과 컨텐츠표시영역 이외의 베이스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70)는 베이스영역의 복수의 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LED(11 내지 n) 전체에서 색상의 불량으로 판단되면 컨텐츠표시영역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불량LED의 발생을 중앙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표출 불가 영역을 회피하여 표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70)에서 화면이 나오지 않는 불량 모듈에 대한 정보 제공받아 실제 화면이 표출되지 않는 부분을 회피영역으로 지정한다.
여기서, 표출되는 내용의 종류는 종류별로 이미지, 텍스트, 이미지와 텍스트 혼합, 동영상으로 구분한다. 이미지는 다시 다양한 색상이 들어간 사진, 픽토그램으로 구분한다. 텍스트는 구문을 분석하여 단어별로 구별하고, 띄어쓰기와 표출 색상으로 구분한다.
구분된 메시지 개체들은 미리 정의된 가중치로 분류하거나 표출S/W가 제공하는 중요도 정보를 참조하여 표출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표출되어야 하는 내용은 회피영역을 참고하여 표출 위지 변경과 리사이징 등을 수행한다.
최종 표출 버퍼에서 표출하는 내용의 종류를 분류하여 특징점 및 중요도를 분류하여 회피 영역을 제외하여 최종 표출 이미지를 재배치하여 LED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표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의 제어 예시도이다.
LED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특정 모듈이나 블록이 불량으로 화면 표출이 불가능할 경우 이용자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화면 표출이 불가능한 부분이 검지 되면 LED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자가 A/S조치를 취할 때까지 남은 LED모듈만으로도 기존 표출 소프트웨어의 변화를 주지 않고 이용자에게 최대한의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표시하는 방법이다. 표출 소프트웨어가 표출하는 내용을 바로 LED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으로 송출하지 않고 표출 불가 영역을 회피하여 화면을 변경하는 기능이 있는 독립된 레이어를 추가하여 LED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송출한다.
도 3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다.
도 3 (a) 정상 화면이다.
도 3 (b)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 중앙 영역이 불량표시영역(A)으로 "확보" 글자가 표시되지 않았다.
도 3 (c) 도 3 (a)의 "안전거리확보" 영역을 리사이징(스케일링)하여 B영역으로 영역을 줄여서 "확보" 글자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도 4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다.
도 4 (a) 정상 화면이다.
도 4 (b) 디스플레이부(10)의 좌측 중앙 영역이 불량표시영역(A)으로 "버리지" 글자가 표시되지 않았다.
도 4 (c) 가중치가 떨어지는 픽토그램(B)을 삭제하고 도 4 (a)의 "버리지맙시다" 영역을 우측(C)으로 이동시켜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도 5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다.
도 5 (a) 정상 화면이다.
도 5 (b)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 영역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불량표시영역(A)으로 "비상경보조치 경보" 글자가 표시되지 않았다.
도 5 (c) 도 5 (a)의 "비상저감조치 경보를 발령합니다." 영역을 상측(B)으로 이동시켜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도 6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다.
도 6 (a) 정상 화면이다.
도 6 (b) 디스플레이부(10)의 우측 상단 영역이 불량표시영역(A)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았다.
도 6 (c) 도 6 (a)의 정상화면 전체를 리사이징(스케일링)하여 B영역에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도 6의 예시는 도 6 (a)의 정상화면 전체를 상하좌우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리사이징(스케일링)하도록 하였으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만을 리사이징(스케일링)하여 상하좌우의 비율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불량 예시에 따른 보정 예시도이다.
도 7 (a) 정상 화면이다.
도 7 (b) 디스플레이부(10)의 좌측 상단 영역이 불량표시영역(A)으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았다.
도 7 (c) 도 7 (a)의 B영역("오늘의 날씨")을 불량표시영역(A)을 회피하도록 우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도 7 (a)의 C영역("맑음")도 불량표시영역(A)을 회피하도록 우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어부(70)는 수신된 촬상영상의 색상이 저장된 컨텐츠 영상의 색상범위가 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영상의 전체적인 색상 분위기가 녹색이며 촬상영상의 색상분위기가 노랑색이라면 촬상영상에 파란색을 더하여 녹색의 분위가 되도록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색상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수신된 촬상영상의 카메라(50) 설치각도 및 카메라(50)의 렌즈에 대한 왜곡을 보정한다.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정면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촬상한 촬상영상과 같이 되도록 평면화 보정이 수행되며, 렌즈로 인한 외곽영역의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촬상영상과 컨텐츠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촬상영상의 히스토그램과 컨텐츠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비교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은 빈도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색상의 경우, 흑백/빨간색/녹색/파랑색 등 지정할 수 있으며 입력데이터에 대한 색상의 빈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LED(11-1 내지 n) 중 일부영역의 LED가 불량이어서 너무 밝게 빛나고 있거나 꺼져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영상의 히스토그램과 컨텐츠 영상의 히스토그램은 그 색상의 빈도가 상이하게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불량영역의 불량LED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보정된 촬상영상과 컨텐츠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보정된 촬상영상과 컨텐츠 영상의 구획영역 각각의 히스토그램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구획영역 중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일구획영역을 복수의 LED(11-1 내지 n)에 의해 형성되는 LED모듈(11 내지 n) 각각으로 구획하며, 보정된 촬상영상과 컨텐츠 영상의 구획영역 각각의 히스토그램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따라 화면 전환 시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 중 변화가 없는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 복수의 LED제어신호의 생성 및 공급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촬상영상 중 일영역의 밝기가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따른 밝기보다 소정 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와 복수의 LED(11-1 내지 n)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LED모듈(11 내지 n) 중 적어도 하나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1)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0) 중 불량LED에 의한 불량표시영역이 발생하여도 이 불량표시영역을 회피하여 전달하려는 컨텐츠 내용을 정상표시영역에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LED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전달력 및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LED(11-1 내지 n)로부터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전류값을 수신하여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LED를 불량으로 판단하면 불량표시영역을 이루는 불량LED를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LED(11-1 내지 n)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될 컨텐츠와 카메라(50)에서 촬상된 영상을 비교하여 불량표시영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을 변경하거나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삭제하거나 컨텐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면 컨텐츠의 내용을 정상표시영역에 정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불량표시영역의 상기 불량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하면 누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정상표시영역은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표시영역과 컨텐츠표시영역 이외의 베이스영역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영역의 복수의 LED(11-1 내지 n)로 전원공급을 중단하면 디스플레이부(10)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전달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LED(11-1 내지 n) 전체에서 색상의 불량으로 판단되면 컨텐츠표시영역의 색상을 변경하여 색상불량으로 인한 컨텐츠의 색상불량이 보정될 수 있다. 불량LED의 발생을 중앙시스템으로 전송하면 LED 디지털 사이니지의 유지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
1 : LED 디지털 사이니지 불량감지시스템 10 : 디스플레이부
11 내지 n : 제1LED모듈 내지 제nLED모듈
11-1 내지 n : 제1LED 내지 제nLED
20 : 전원공급부 22 : 공급전류감지장치
30 : 전류감지부
31 내지 n : 제1전류감지부 내지 제n전류감지부
40 : 공급전원선 42 : 전원단속부
44 : 데이터공급선 46 : 전원수집선
50 : 카메라 52 : 카메라구동부
60 : 통신부 70 : 제어부

Claims (7)

  1.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를 갖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LED 중 불량LED의 불량표시영역을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불량표시영역을 제외하며 상기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표시영역과 상기 컨텐츠표시영역 이외의 베이스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정상표시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비율, 상기 컨텐츠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삭제 및 상기 컨텐츠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며, 상기 불량표시영역의 상기 불량LED 및 상기 베이스영역의 상기 복수의 LED로 전원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복수의 LED 전체에서 색상의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표시영역의 색상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정상전류범위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LED로부터 상기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대한 전류값을 수신하여 상기 정상전류범위를 벗어나는 LED를 불량으로 판단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LED의 복수의 LED제어신호에 의해 표시될 상기 컨텐츠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불량표시영역을 판단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LED의 발생을 중앙시스템으로 전송하는 LED 디지털 사이니지 표시제어시스템.
KR1020200063040A 2020-05-26 2020-05-26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KR10215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40A KR102150351B1 (ko) 2020-05-26 2020-05-26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40A KR102150351B1 (ko) 2020-05-26 2020-05-26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51B1 true KR102150351B1 (ko) 2020-09-01

Family

ID=7245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40A KR102150351B1 (ko) 2020-05-26 2020-05-26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83B1 (ko) * 2020-11-04 2021-01-26 박영기 원본 문자의 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가독성을 유지하며 축소하는 led디지털사이니지의 문자표시방법
KR102545823B1 (ko) * 2022-09-06 2023-06-20 박병무 상호명 및 상호설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간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96B1 (ko) * 2007-05-18 2007-09-19 주식회사 신영이엔티 작동 상태 음성 통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20100120257A (ko) * 2009-10-01 2010-11-15 (주)유디에스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081424B1 (ko) * 2019-05-08 2020-02-25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 구비된 cctv 및 도로 전광 표지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296B1 (ko) * 2007-05-18 2007-09-19 주식회사 신영이엔티 작동 상태 음성 통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20100120257A (ko) * 2009-10-01 2010-11-15 (주)유디에스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081424B1 (ko) * 2019-05-08 2020-02-25 주식회사 맥서브 도로 및 터널에 구비된 cctv 및 도로 전광 표지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83B1 (ko) * 2020-11-04 2021-01-26 박영기 원본 문자의 크기보다 작은 영역에 가독성을 유지하며 축소하는 led디지털사이니지의 문자표시방법
KR102545823B1 (ko) * 2022-09-06 2023-06-20 박병무 상호명 및 상호설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593B1 (ko) Led 전광판의 불량 화소 검출방법 및 불량 화소 검출장치
KR102150351B1 (ko) 불량 모듈 회피 알고리즘 기반 led 디지털 사이니지 동적 표출 시스템
KR10192842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CN104217684B (zh) Led坏点处理方法及led显示控制方法
KR101113910B1 (ko) 엘이디전광판의 엘이디화소 검사장치
CN110728936A (zh) Led显示屏故障监控管理系统
CN105096815A (zh) Led显示屏亮色度校正方法以及led显示屏系统
KR102330949B1 (ko) 스마트 엘이디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JPH10319896A (ja) 情報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表示状態検出方法、表示状態調整方法、および保守管理方法
KR201400701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
CN104200775A (zh) Led坏点处理方法
US11917125B2 (en) Test system and test method for stability of video interface
CN109471276A (zh) 一种液晶屏色偏缺陷检测方法及装置
JPH1090645A (ja) 液晶表示装置
KR20090128151A (ko) 전광판의 고화질 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처리시스템
US201502282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a Display of Images on an Electronic Screen
KR102286470B1 (ko) 원본 영상 정보 및 표출 촬상 정보 유사도 분석을 통한 led 디지털 사이니지 불량 감지 시스템
US20130057592A1 (en) Color adjusting system for use in video wall
CN110648617A (zh) 一种显示装置、检测方法及显示系统
CN112700742A (zh) 广告屏监测系统和方法
JP7063296B2 (ja) 信号灯表示判別装置、信号灯表示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1030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failure of an output element of a display
JP2002014038A (ja) 視認状況測定装置
JP2006285276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その保守管理方法
JPH07284120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