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307B1 -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307B1
KR102150307B1 KR1020180151719A KR20180151719A KR102150307B1 KR 102150307 B1 KR102150307 B1 KR 102150307B1 KR 1020180151719 A KR1020180151719 A KR 1020180151719A KR 20180151719 A KR20180151719 A KR 20180151719A KR 102150307 B1 KR102150307 B1 KR 10215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learner
evaluation
cre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347A (ko
Inventor
정제근
Original Assignee
정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근 filed Critical 정제근
Priority to KR102018015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3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학습자 관리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배경이미지 상에서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견본데이터 관리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표현대상 정보 및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배경이미지 상에서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학습요청 생성부,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작업파일 관리부,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와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견본데이터 및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 생성부 및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고,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한 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현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습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SERVER FOR ONLINE CREATIVITY LEANING MANAGEMENT}
본 발명은 온라인 창의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작업물에 대한 학습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고도화되고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특히 사교육의 증가에 따른 학습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또한 교육 비용의 절감 차원에서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주로 강의 내용을 동영상 형태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학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특히 실습이 중요시되는 미술 학습에 있어서는 적용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기타 다른 과목의 경우와 같은 일방적인 강의를 통하는 경우에는 특히 실습이 중요시되는 미술 학습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제 실습을 통하여 예컨대 그림을 그리면 이 결과를 다시 피드백하여 사용자의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이 구현되어야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종래의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이러한 과정의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KR 10-2018-0066440 A KR 10-075894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라인 창의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작업물에 대한 학습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기초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를 기저장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를 기저장하는 단계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견본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는,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학습자 관리부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견본데이터 관리부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학습요청 생성부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작업파일 관리부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와,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견본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부는, 상기 보호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 시에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현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맞춤형 학습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견본데이터 관리부에 기저장되는 견본이미지의 일례로 이에 기초한 기본도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포트폴리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포트폴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견본데이터 관리부에 기저장되는 견본이미지의 일례로 이에 기초한 기본도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포트폴리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포트폴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10)는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20) 및 보호자 단말기(30)와의 데이터 통신을 각각 수행 가능한 상태로,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 받은 작업이미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에 기초한 평가 데이터를 소정 기간 누적하여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은 도형, 색상, 구도 등을 활용한 모든 형태의 학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창의학습은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형태로 형성 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학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창의학습 관리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관리부(110), 견본데이터 관리부(120), 학습요청 생성부(130), 작업파일 관리부(140), 평가부(150), 포트폴리오 생성부(160) 및 피드백 관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 관리부(110)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는 서버(10)에 기등록된 학습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를 구별하기 위한 학습자별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견본데이터 관리부(120)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Eo) 정보, 기본도형(Fb) 정보, 배경이미지(Ib) 및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표현대상(Eo) 정보는 상기 창의학습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대상의 명칭이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본도형(Fb) 정보는 표현대상(Eo) 정보의 형상에 대응되는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배경이미지(Ib)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 요청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바탕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이고, 견본이미지(Is)는 배경이미지(Ib) 상에서 표현대상(Eo)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본이미지(Is)가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기저장된 상태일 때, 도 3A에 대응되는 견본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사과나무'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사과나무에 열린 각각의 사과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1 기본도형(f1)과 사과나무의 기둥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제2 기본도형(f2)을 포함하고, 기본도형의 개수정보는 제1 기본도형(f1)은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사과의 개수에 해당하고 제2 기본도형(f2)은 1개인 것으로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대응되는 견본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포도'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하나의 포도 알갱이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3 기본도형(f3)이며, 기본도형인 제3 기본도형(f3)의 개수정보는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포도알의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견본데이터 관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학습요청 생성부(130)는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Ib), 표현대상(Eo) 정보 및 기본도형(Fb) 정보를 제공하면서 배경이미지(Ib) 상에서 기본도형(Fb)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대상(Eo)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한다.
이때, 배경이미지(Ib)는 소정 규격의 캔버스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첨부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요청 UI는 표현대상(Eo)의 명칭과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학습 목표를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본도형이 '삼각형'이고 제2 기본도형이 '사각형'이며 표현대상이 '오징어'인 경우, 상기 학습 요청 UI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용하여 오징어를 표현하시오'와 같은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안내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파일 관리부(140)는 학습요청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Iw)를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작업이미지(Iw)는 학습자가 배경이미지(Ib)를 이용하여 작업한 이미지를 서버(10)에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평가부(150)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평가부(150)는,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Fb)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기본도형(Fb)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RGB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기본도형(Fb)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패턴 마스크를 가지는 필터를 적용함에 따라 추출되는 선형적 성분, 비선형적 성분, 특징 성분, 논리연산에 따른 성분 등에 기초한 기본도형(Fb)의 개수,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기저장된 기본도형(Fb)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도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배경이미지(Ib) 상에서의 기본도형(Fb)의 배치 형상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B를 참조하면, 견본이미지(Is)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본도형(f3)의 윤곽 형상에 대응되는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평가부(150)는 도 3B에 도시된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기본도형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지에 따라 작업이미지(Iw)에 대한 '구도' 항목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굵기, 길이,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부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견본이미지(Is) 대비 작업이미지(Iw)의 일치도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별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을 기저장된 평가 점수 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의 평가값을 상기 평가 정보의 최종 평가 결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이 '40(점)' 내지 '60(점)'이면 '하'의 평가값을 가지고, '60(점)' 내지 '80(점)'이면 '중'의 평가값을 가지고, '80(점)' 내지 '100(점)'이면 '상'의 평가값을 가지는 것으로 기저장된 상태일 때, 만약 작성자 '김○○'가 '2018-11-12'에 작성한 작업이미지(<작업본>)를 견본이미지(<견본>)에 기초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D1)의 경우, '색상'에 대한 제1 평가점수인 '20(점)'과, '형태'에 대한 제2 평가점수인 '25(점)'과, '구도'에 대한 제3 평가점수인 '20(점)'과, '창의성'에 대한 제4 평가점수인 '15(점)'을 모두 합산한 총합이 '80(점)'이 되므로, 최종 평가 결과는 '80(점)'에 대응되는 '상'의 평가값으로 결정되게 된다.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Iw) 각각에 기초한 상기 견본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여기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명 및 학습 수행 일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의 작업이미지(Iw)와,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평가한 작업이미지(Iw)에 기초한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항목별 점수와, 평가 항목별 점수의 총합에 기초한 최종평가에 대한 평가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학습 수행 시점마다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2018-11-12'부터 '2018-11-18'까지의 일주일 동안 학습자 '김OO'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학습자인 '김OO'가 '2018-11-12'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첫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1)와, '2018-11-13'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두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2)와, '2018-11-18'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N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N)를 포함하는 총 N개의 학습 평가 데이터(D1,D2,…,DN)를 취합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게 된다.
피드백 관리부(170)는 평가부(15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와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된 피드백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피드백 관리부(170)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평가부(15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되는 견본이미지(Is)에 기초하여 해당 창의학습의 중요도를 높음, 보통, 낮음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피드백 관리부(170)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각각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제외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피드백 관리부(170)는 전술한 제1 피드백 요청 또는 제2 피드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한 후, 상기 제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트폴리오 생성부(160)는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은 도형, 색상, 구도 등을 활용한 모든 형태의 학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창의학습은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형태로 형성 가능한 다양한 형상의 도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학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를 기저장한다(S100).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는 서버(10)에 기등록된 학습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등의 인적사항 정보와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20)를 구별하기 위한 학습자별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Eo) 정보, 기본도형(Fb) 정보, 배경이미지(Ib) 및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를 기저장한다(S200).
이때, 표현대상(Eo) 정보는 상기 창의학습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표현대상의 명칭이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고, 기본도형(Fb) 정보는 표현대상(Eo) 정보의 형상에 대응되는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배경이미지(Ib)는 상기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 요청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바탕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이고, 견본이미지(Is)는 배경이미지(Ib) 상에서 표현대상(Eo)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본이미지(Is)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상기 S200 단계에 기저장된 상태일 때, 도 3A에 대응되는 견본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사과나무'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사과나무에 열린 각각의 사과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1 기본도형(f1)과 사과나무의 기둥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제2 기본도형(f2)을 포함하고, 기본도형의 개수정보는 제1 기본도형(f1)은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사과의 개수에 해당하고 제2 기본도형(f2)은 1개인 것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대응되는 견본데이터로서, 표현대상 정보는 '포도'이고,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는 하나의 포도 알갱이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3 기본도형(f3)이며, 기본도형인 제3 기본도형(f3)의 개수정보는 견본이미지(Is)에 표시된 총 포도알의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Ib), 표현대상(Eo) 정보 및 기본도형(Fb) 정보를 제공하면서 배경이미지(Ib) 상에서 기본도형(Fb)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대상(Eo)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한다(S300).
이때, 배경이미지(Ib)는 소정 규격의 캔버스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첨부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요청 UI는 표현대상(Eo)의 명칭과 기본도형(Fb)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학습 목표를 안내하는 소정의 안내문구를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본도형이 '삼각형'이고 제2 기본도형이 '사각형'이며 표현대상이 '오징어'인 경우, 상기 학습 요청 UI는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용하여 오징어를 표현하시오'와 같은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안내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에 생성된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Iw)를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한다(S400).
여기서, 작업이미지(Iw)는 학습자가 배경이미지(Ib)를 이용하여 작업한 이미지를 서버(10)에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S500).
여기서, 상기 S500 단계에서는,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Fb)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기본도형(Fb)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추출되는 RGB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기본도형(Fb)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패턴 마스크를 가지는 필터를 적용함에 따라 추출되는 선형적 성분, 비선형적 성분, 특징 성분, 논리연산에 따른 성분 등에 기초한 기본도형(Fb)의 개수,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기저장된 기본도형(Fb)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도에 대한 평가는 견본이미지(Is)와 작업이미지(Iw) 각각의 배경이미지(Ib) 상에서의 기본도형(Fb)의 배치 형상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B를 참조하면, 견본이미지(Is)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본도형(f3)의 윤곽 형상에 대응되는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S500 단계에는 도 3B에 도시된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기본도형의 배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지에 따라 작업이미지(Iw)에 대한 '구도' 항목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굵기, 길이,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500 단계는,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견본이미지(Is) 대비 작업이미지(Iw)의 일치도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별 점수를 계산하고,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을 기저장된 평가 점수 범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 중, 하 중 어느 하나의 평가값을 상기 평가 정보의 최종 평가 결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평가항목별 점수의 총합이 '40(점)' 내지 '60(점)'이면 '하'의 평가값을 가지고, '60(점)' 내지 '80(점)'이면 '중'의 평가값을 가지고, '80(점)' 내지 '100(점)'이면 '상'의 평가값을 가지는 것으로 기저장된 상태일 때, 만약 작성자 '김○○'가 '2018-11-12'에 작성한 작업이미지(<작업본>)를 견본이미지(<견본>)에 기초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의 경우, '색상'에 대한 제1 평가점수인 '20(점)'과, '형태'에 대한 제2 평가점수인 '25(점)'과, '구도'에 대한 제3 평가점수인 '20(점)'과, '창의성'에 대한 제4 평가점수인 '15(점)'을 모두 합산한 총합이 '80(점)'이 되므로, 최종 평가 결과는 '80(점)'에 대응되는 '상'의 평가값으로 결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S400 단계에 기저장된 소정의 학습자에 대응되는 평가 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면서 이에 대한 제1 피드백을 요청한다(S520).
여기서, 상기 S520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상기 S500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는 상기 평가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되는 견본이미지(Is)에 기초하여 해당 창의학습의 중요도를 높음, 보통, 낮음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Iw) 각각에 기초한 상기 견본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S600).
여기서, 상기 S600 단계는, 소정의 창의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명 및 학습 수행 일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견본이미지(Is)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의 작업이미지(Iw)와, 견본이미지(Is)를 기준으로 평가한 작업이미지(Iw)에 기초한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 항목별 점수와, 평가 항목별 점수의 총합에 기초한 최종평가에 대한 평가값을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학습 수행 시점마다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2018-11-12'부터 '2018-11-18'까지의 일주일 동안 학습자 '김OO'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S600 단계에서는 학습자인 '김OO'가 '2018-11-12'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첫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1)와, '2018-11-13'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두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2)와, '2018-11-18'에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N번째 학습 평가 데이터(DN)를 포함하는 총 N개의 학습 평가 데이터(D1,D2,…,DN)를 취합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S600 단계는, 만일 상기 S520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및 이에 기초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600 단계에서는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S600 단계에 생성된 포트폴리오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제공하면서 이에 대한 제2 피드백을 요청한다(S620).
여기서, 상기 S620 단계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포트폴리오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는 각각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지 아니면 제외시킬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S620 단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S700).
여기서, 상기 S700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은 전술한 특징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의 경우, 다음과 같은 추가 기능을 더 구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에서, 창의성에 대한 평가는, 전술한 바에 의하면,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설정된 크기의 기본도형이 견본이미지(Is)와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배치된 상태일 때, 작업이미지(Iw)에 포함된 상기 기본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도형의 수, 배치, 색상 등을 정량화해서 카운팅한 값에 기초하여 수행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의학습 관리 방법의 상기 S500 단계에 의하면, 상기 나머지 도형의 배치 및 크기와 상기 나머지 도형의 윤곽에 대응하는 선의 방향(①), 굵기, 길이(②), 유형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자의 심리를 분석한 심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기능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① '선의 방향'에 따른 심리 분석의 일례
선의 방향이 '위쪽'인 경우엔 상상력과 공상력이 풍부하여 현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사고성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는 낮은 자존감을 보유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감추려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선의 방향이 '곡선을 강조'하는 경우엔 유연성, 활동성이 좋아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방향이 '경직된 직선'인 경우엔 약간의 불안감으로 사물과 사람에 대해 대처하지 못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 '선의 길이'에 따른 심리 분석의 일례
선의 길이가 '긴 획'에 해당하는 경우엔 추진력이 좋은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선의 길이가 '짧고 이어지지 않는 선'에 해당하는 경우엔 충동적이며 인내력이 부족한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출된 심리 분석 결과는 제1 피드백 요청 단계(S520)에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창의학습에 대한 평가 정보와 함께 전송되거나, 혹은 포트폴리오 생성 단계(S600)에서 학습 평가 데이터에 포함된 형태로 생성된 후, 제2 피드백 요청 단계(S620)에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창의 학습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현재 학습 수준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심리 상태에 대한 심리 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호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보호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 및 심리 상태에 따른 맞춤형 학습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의학습 관리 서버 20: 학습자 단말기
30: 보호자 단말기 110: 학습자 관리부
120: 견본데이터 관리부 130: 학습요청 생성부
140: 작업파일 관리부 150: 평가부
160: 포트폴리오 생성부 170: 피드백 관리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학습자 정보가 기저장된 학습자 관리부;
    복수 개의 창의학습 각각에 대한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표현대상의 형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도형 정보와, 각각의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배경이미지 및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완성된 견본이미지를 포함하는 견본데이터가 기저장된 견본데이터 관리부;
    소정의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상기 표현대상 정보 및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경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대상 정보를 표현하는 창의학습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학습 요청 UI를 생성하는 학습요청 생성부;
    상기 학습요청 UI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학습자가 수행한 창의학습에 대한 작업이미지를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받아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작업파일 관리부;
    상기 창의학습에 대응되는 상기 견본이미지와 상기 작업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하여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각각의 학습자에 대응하여 소정 시간 동안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미지 각각에 기초한 상기 견본데이터 및 상기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시간 순서대로 취합한 학습자별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학습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호자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자 정보에 대응되는 보호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평가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평가 정보의 중요도에 대한 제1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면서 상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 각각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제2 피드백 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제1 피드백 정보 또는 상기 제2 피드백 정보를 보호자별로 저장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부는,
    상기 보호자에 대응되는 학습자에 대한 상기 포트폴리오 생성 시에 상기 제1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중요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성이 있는 상기 학습 평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취합한 상기 포트폴리오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도형 정보는 상기 표현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기본도형의 유형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견본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작업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도형의 개수 및 배치 상태와 각각의 상기 기본도형의 색상, 윤곽 형상, 모서리 및 꼭지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색상, 형태, 구도 및 창의성 각각에 대한 평가 항목별로 계산하여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6. 삭제
KR1020180151719A 2018-11-30 2018-11-30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KR10215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ko) 2018-11-30 2018-11-30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ko) 2018-11-30 2018-11-30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47A KR20200065347A (ko) 2020-06-09
KR102150307B1 true KR102150307B1 (ko) 2020-09-01

Family

ID=7108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19A KR102150307B1 (ko) 2018-11-30 2018-11-30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793B1 (ko) 2020-11-24 2022-09-06 정성태 실시간 비대면 읽기훈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09601B1 (ko) 2021-05-17 2023-12-04 정성태 실시간 비대면 독해훈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36410B1 (ko) * 2022-10-19 2023-05-26 (주)이랜서 가변적 포트폴리오 영역 할당을 통한 레쥬메 자동 업데이팅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76B1 (ko) * 2010-05-27 2011-06-29 문영기 학습 성취도 판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85B1 (ko) * 2002-10-22 2004-01-07 학교법인 영진교육재단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학습방법과 그 유아 창의성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758940B1 (ko) 2006-04-21 2007-09-14 김영나 미술 학습 관리 시스템
KR20180066440A (ko) 2016-12-09 2018-06-19 장보라 미술 학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76B1 (ko) * 2010-05-27 2011-06-29 문영기 학습 성취도 판단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 블로그. 창의가베 강의-한 가지 도형으로 표현하기(2014.04.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47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loyd et al. Skills in the age of over-qualification: Comparing service sector work in Europe
Nordström et al. Integrat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in participatory forest planning: Experience from a case study in northern Sweden
KR102150307B1 (ko) 온라인 창의학습 관리 서버
CN109670023A (zh) 人机自动面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kinbowale et al. Employe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appraisal policy in an organisation
JPWO2020148969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onasson Defining boundaries between school and work: teachers and students’ attribution of quality to school-based vocational training
CN112289434A (zh) 基于vr的医疗培训模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ok et al. Assessing the new way of working: Bricks, bytes and behaviour
CN116862166A (zh) 一种岗位匹配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enny et al. The limits of control: A systemic, model-based approach to changing organisations towards better health
Motamarri et al. How does remote analytics empowerment capability payoff in the emerging industrial revolution?
Terrier et al. How to deal with amotivated students? Using commitment to reduce amotivation as applied to hospitality training
Jahagirdar et al. Performance in Virtual Teams–A Conceptual Overview
Voorhees Institutional research's role in strategic planning
RYMMIN et al. Digital Solutions in Teacher Education enhance Wellbeing and Expertise
CN114186497B (zh) 艺术作品价值智能化解析方法、系统、设备及介质
Cabada et al.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ith affective learning for mathematics
Clark et al. Learning Analytics implementations in universities: Towards a model of success, using multiple case studies
Gutschmidt Empirical Insights into the Appraisal of Tool Support for Participative Enterprise Modeling.
TR201705553A2 (tr) Kullanicilarin i̇ş görüşmesi̇ deneyi̇mi̇ kazanmasini sağlayan bi̇r si̇stem
Črnjar et 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ECONOMICS GRADUATES: EMPLOYERS’PERSPECTIVE
Manik Trials, tribulations and triumphs of transnational teachers: teacher migration between South Africa and United Kingdom.
US202102721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Balázs Polgár et al. The usability approach in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