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48B1 -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 Google Patents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48B1
KR102149948B1 KR1020200034125A KR20200034125A KR102149948B1 KR 102149948 B1 KR102149948 B1 KR 102149948B1 KR 1020200034125 A KR1020200034125 A KR 1020200034125A KR 20200034125 A KR20200034125 A KR 20200034125A KR 102149948 B1 KR102149948 B1 KR 10214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low path
ventilation
window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미
Priority to KR102020003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48B1/ko
Priority to PCT/KR2021/003130 priority patent/WO20211878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용 창틀 가이드에 형성된 환기공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틀과 내부창문 사이 및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환기공들을 상호 연결시켜, 외부공기의 급기 또는 실내공기의 배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Connecting structure of ventilation window guide}
본 발명은 환기용 창틀 가이드에 형성된 환기공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창틀과 내부창문 사이 및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환기공들을 상호 연결시켜, 외부공기의 급기 또는 실내공기의 배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기는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사람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및 수분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는 주기적인 환기를 요하게 된다.
즉, 환기는 생활 공간의 공기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외기 또는 조정된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환기의 방법으로는 실내 외의 온도차나 외부의 풍력에 의한 자연환기와 동력을 사용해서 강제적으로 행하는 강제환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연환기 방법은 거주자가 창문을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강제환기 방법은 창문의 여닫음 없이 일정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환기장치의 작동으로써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었으나, 건축물의 시공시에 환기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기장치의 시공비용이 비싸고, 환기장치가 기설치된 경우라하더라도 환기장치의 팬 또는 덕트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창틀과 창문 사이에 환기공이 형성된 창틀 가이드를 장착하고 상기 환기공을 통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27호(2018.08.09.)),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298호(2019.11.25.))를 선등록 받았으나, 도 1과 같이 종래 대부분의 창호는 창틀에 내부창문과 외부창문이 이중으로 설치된 이중창로 구성되는데, 환기공이 형성된 창틀 가이드를 창틀과 내부창문 사이 또는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만 장착하는 경우, 환기를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창문이 열린 상태를 가져야 하므로, 단열성과 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27호(2018.08.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298호(2019.11.25.)
본 발명은 창호에 장착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대부분의 창호는 창틀에 내부창문과 외부창문이 이중으로 설치된 이중창로 구성되는데, 환기공이 형성된 창틀 가이드를 창틀과 내부창문 사이 또는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만 장착하는 경우, 환기를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창문이 열린 상태를 가져야 하므로, 단열성과 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창틀 가이드를 창틀과 내부창문 사이 및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 모두에 장착하려면 각각의 창틀 가이드에 형성된 환기공이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아울러 창호 제조사별 또는 창호 모델별로 서로 다른 창틀의 너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창틀 가이드를 한 쌍으로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는 창호에 장착하려면 각각의 창틀 가이드에 형성된 환기공 간의 간격에 맞게 환기공을 상호 연결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나 이상의 환기공이 형성되고, 창틀과 내부창문 및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 각각에 형성된 환기공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는 이중창으로 구성된 창호의 창틀과 내부창문 및 창틀과 외부창문 사이 각각에 창틀 가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중창 모두를 닫은 상태에서 환기를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창틀 가이드 각각에 형성된 환기공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급기 또는/및 배기되는 공기가 이중창의 사잇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급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있으며;
아울러 유로 연결구가 길이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창호 제조사별 또는 창호 모델별로 서로 다른 창틀의 너비에 맞도록 유로 연결구의 길이를 가변시켜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의 구조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가 장착되는 창틀 가이드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와 창틀 가이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가 제1소켓과 제2소켓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가 제1소켓과 제2소켓을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의 제1소켓과 제2소켓 간의 길이가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의 소켓에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의 유로 연결부재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의 유로 연결부재가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가 급기용 유로 연결부재과 배기용 유로 연결부재를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창틀 가이드의 환기공이 급기공과 배기공으로 구성되고, 유로 연결부재가 단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가 열회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에 우수차단커버가 장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환기용 창틀 가이드(10, 10')에 형성된 환기공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환기공(11, 12)이 형성되고, 창틀(WP)과 내부창문(Wi) 및 창틀(WP)과 외부창문(Wo)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와;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형성된 환기공(11, 12)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이하, ‘유로 연결구’라 칭함.)가 장착되는 창틀 가이드(10, 10')는 건축물에 시공된 창호에 장착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공(11, 12)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환기공(11, 12)은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연통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창틀 가이드(10, 10')는 벽체에 고정시공되는 창틀(WP)과 창틀(WP)에서 여닫힘되는 내부창문(Wi, 내부창문(Wi)의 프레임) 사이 및 창틀(WP)에서 여닫힘되는 외부창문(Wo, 외부창문(Wo) 프레임)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내부창문(Wi) 및 외부창문(Wo)의 여닫힘 없이도 상기 환기공(11, 12)를 통하여 실외공기의 급기 또는/및 실내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창문(Wi) 및 외부창문(Wo)은 미닫이 방식 또는 여닫이 방식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은 도 2a,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WP)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공되는 사각틀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Wi, Wo)은 창틀(WP)의 상부와 하부에 창문(Wi, Wo)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지지된 상태를 가지되 창틀(WP)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며 여닫힐 수 있는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보다 상세하면, 창틀 가이드(10, 10')는 창문(Wi, Wo)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창틀(WP)의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창틀(WP)과 창문(Wi, Wo)의 사이에 배치되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창틀(WP)에 고정된 상태, 창문(Wi, Wo)에 고정된 상태 또는 창틀(WP)과 창문(Wi, Wo)에 고정되지는 않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은 창틀(WP)과 내부창문(Wi) 사이, 창틀(WP)과 외부창문(Wo)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내부창문(Wi)과 외부창문(Wo)의 측부(창문(Wi, Wo) 두께방향)에 창틀 가이드(10, 10')의 일측 측부가 위치되고, 창틀(WP)의 높이를 형성하는 창틀(WP) 측면에 창틀 가이드(10, 10')의 타측 말단 또는 타측 측부가 위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창틀 가이드(10, 10')는 내부창문(Wi), 외부창문(Wo)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창틀(WP)의 창문(Wi, Wo) 레일과 동일한 위치)을 이루며 창틀(WP)과 창문(Wi, Wo)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도 2b와 같이 창문(Wi, Wo) 및 창틀(WP)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수평방향으로 내부창문(Wi), 외부창문(Wo)의 측부(창틀(WP)의 창문(Wi, Wo) 레일에서 엇갈린 위치)에 위치하는 배치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창틀 가이드(10, 10')가 창틀(WP)과 내부창문(Wi) 및 창틀(WP)과 외부창문(Wo) 사이에 각각 배치’됨은, 상기와 같이 창틀 가이드(10, 10')가 창문(Wi, Wo)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거나 측부에 엇갈린 상태로 배치됨을 모두 포함한 상태를 의미한다.
더불어 상기 창틀 가이드(10, 10')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되, 창틀(WP)과 내부창문(Wi)의 사이에 어느 하나의 창틀 가이드(이하, ‘내부 창틀 가이드(10)’라 칭함.)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창틀 가이드(이하, ‘외부 창틀 가이드(10')’라 칭함.)는 창틀(WP)과 외부창문(Wo)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는 도 2a 내지 2d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창틀(WP)과 창문(Wi, Wo)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환기공(11, 12)은 창틀 가이드(10, 10')의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도 4와 같이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단일 개씩 형성되어 실외공기의 급기 또는 실내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환기공(11, 12)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복수 개씩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환기공(11a, 12a)으로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급기가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환기공(11b, 12b)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는 도 2c와 같이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단일체와 같이 창틀(WP)과 창문(Wi, Wo)에 설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는 내부 창틀 가이드(10)와 외부 창틀 가이드(1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며 각각이 내부창문(Wi)과 외부창문(Wo)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하고, 어느 한 부분 이상이 연결부(13)로 연결되는 구성을 하여,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의 설치 용이성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 위치 및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하기의 유로 연결부재(20)가 연결방향으로 길이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연결부(13)는 외부 창틀 가이드(1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3')와 내부 창틀 가이드(10)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13')와 제2연결부(13")는 서로 인접 또는 끼움된 상태를 가지며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 가변에 따라 서로 겹침 또는 끼움 깊이 조절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내부 창틀 가이드(10)에 형성된 환기공(11)에는 실내공간 쪽 또는 실외공간 쪽에 송풍팬이 구비된 급기팬, 배기팬, 전열교환기, 에어컨 냉각팬 또는 환기용 공기청정기(Ac) 등과 같은 장치의 흡기구 또는 배기구가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유로 연결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에 각각 형성된 환기공(11, 12)을 상호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의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도 2, 4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은 창틀(WP)과 외부창문(Wo) 사이에 배치된 외부 창틀 가이드(10')에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길이방향 타측은 창틀(WP)과 내부창문(Wi) 사이에 배치된 내부 창틀 가이드(10)에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즉, 유로 연결부재(20)의 유로 타측은 내부 창틀 가이드(10)에 형성된 환기공(11)과 연통되는 구성을 하고, 유로의 일측은 외부 창틀 가이드(10')에 형성된 환기공(12)과 연통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은 창틀 가이드(10, 10') 또는 창틀 가이드(10, 10')의 환기공(11, 12)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유로 연결부재(20)를 창틀 가이드(10, 10')에 연결시킬 수 있는 브라켓(30)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30)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창호의 창틀(WP)은 제조사별 또는 창호 모델별로 서로 다른 너비(실내에서 실외방향)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결과 제조사별 또는 창호 모델별 창틀(WP)에 따라 내부창문(Wi)과 외부창문(Wo)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며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에,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형성된 환기공(11, 12)을 상호 연결시키는 길이방향, 즉, 연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창호 제조사별 또는 창호 모델별 창틀(WP)의 차이에 따른 내부창문(Wi)과 외부창문(Wo) 간의 간격 변화에 따라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연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가능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 유로 연결부재(20)는 관형의 제1소켓(21)과; 상기 제1소켓(21)에 내입되는 관형의 제2소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소켓(21)의 일측과 제2소켓(23)의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의 환기공(11, 12) 각각에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유로 연결부재(20)는 도 4, 5와 같이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제1소켓(21)에 형성된 제1유로(22) 일부분에 제2소켓(23)의 일부분이 내입되어 연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은 어떤 소켓이 내부 창틀 가이드(10) 또는 외부 창틀 가이드(10') 쪽에 위치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제1소켓(21)이 외부 창틀 가이드(10') 쪽에 위치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설명하면, 상기 제1소켓(21)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 창틀 가이드(10')와 연결되어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2)과 제1유로(22)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을 하고, 상기 제2소켓(23)의 길이방향 일측 일부분은 상기 제1유로(22)의 타측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켓(23)의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내부 창틀 가이드(10)와 연결되어 내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1)과 제2소켓(2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로(24)의 타측이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즉, 급기의 경우, 실외공기는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2), 제1유로(22), 제2유로(24) 및 내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1)을 통하여 실내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와 반대로 배기의 경우, 실내공기는 내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1), 제2유로(24), 제1유로(22) 및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2)을 통하여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유로 연결부재(20)가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유로(22)의 타측 일부분에 제2소켓(23)의 일측 일부분이 내입된 상태에서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제1소켓(21)의 길이와 제2소켓(23)의 길이를 합한 길이)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와 같이 제1소켓(21)에 제2소켓(23)이 내입된 상태에서의 길이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짧게 구성되면,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짧은 상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ⅰ) 유로 연결부재(20)를 창틀(WP) 또는 창문(Wi, Wo)에 먼저 장착되는 어느 하나의 창틀 가이드(10, 10')에 연결시킨 후, 창틀(WP) 또는 창문(Wi, Wo)에 나중에 장착되는 다른 창틀 가이드(10, 10') 쪽으로 길이 연장함으로써 환기공(11, 12)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ⅱ)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를 먼저 창틀(WP) 또는 창문(Wi, Wo)에 장착한 상태에서 유로 연결부재(20)를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위치시킨 후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환기공(11, 12)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유로 연결부재(20)가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기 제1소켓(21)의 내주와 제2소켓(23)의 외주 사이에는 패킹부재(25)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부재(25)는 도 7과 같이 제1소켓(21)의 제1유로(22) 내주와 제2소켓(23)의 외주 사이에 배치되어, 제1소켓(21)의 내주와 제2소켓(23)의 외주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25)는 일정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제1소켓(21)의 내주와 제2소켓(23)의 외주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제1소켓(21)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소켓(23)의 이동성을 확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5)는 제1소켓(21)의 내주의 일정 부분 또는 제2소켓(23)의 외주 일정 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연결부재(20)가 연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유로 연결부재(20')는 도 8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에 따라 일정의 굽힘각을 가지며 굽혀지며 환기공(11, 12)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는 유로 연결부재(20')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 일반적으로 ‘호스’라 알려진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당업자 또는 설치자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는 호스의 길이방향 일측을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2)과 연결시키고, 길이방향 타측을 내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1)과 연결시키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업자 또는 설치자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 간격과 유사한 정도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호스는 일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호스의 길이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더 긴 경우에도 구부러지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유로 연결부재(20)가 연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연결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것(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유로 연결부재(20")는 도 9와 같이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주름 간의 간격을 조절되어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에 맞게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관 형태의 유로 연결부재(20")는 하기의 ⅲ), ⅳ)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ⅲ) 상기 주름관 형태의 유로 연결부재(20")는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되,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유로 연결부재(20")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당업자 또는 설치자에 의한 길이방향 누름력에 의하여 주름관 사이 간격이 좁혀지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되며, 누름력이 해제되면 주름관의 복원력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길이 확장되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에 가압력을 가하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ⅳ) 상기 주름관 형태의 유로 연결부재(20")는 유로 연결부재(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되, 당업자 또는 설치자가 유로 연결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당겨 늘리거나 눌러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유로 연결부재(20")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간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당업자 또는 설치자가 유로 연결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당겨 늘림으로써 주름이 펼쳐지며 길이 확장되어, 유로 연결부재(20")의 일측과 타측이 환기공(11, 12)에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창틀 가이드(10, 10')에 형성된 환기공(11, 12)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급기의 기능, 실내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기의 기능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도 10과 같이 각 창틀 가이드(10, 10')에 형성되는 환기공(11, 12)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환기공은 급기공(11a, 12a)의 기능을 실현하고, 다른 하나의 환기공은 배기공(11b, 12b)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은 서로 다른 유로 연결부재(20)로 급기공(11a)과 급기공(12a) 및 배기공(11b)과 배기공(12b)이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유로 연결부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도 11과 같이 상기 환기공(11, 12)은 각 창틀 가이드(10, 10')에 복수 개로 형성되되,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단일체의 것으로 구성되되, 내부에 상기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 ,2) 각각과 연통되는 급기유로(26)와 배기유로(27)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은 급기공(11a, 12a)을 통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배기공(11b, 12b)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급기공(11a)과 급기공(12a)을 연결시키는 급기용 유로 연결부재(20a)와 배기공(11b)과 배기공(12b)을 연결시키는 배기용 유로 연결부재(20b)가 단일체의 유로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단일체의 유로 연결부재(20)에는 급기를 위한 급기유로(26)와 배기를 위한 배기유로(27)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유로 연결부재(20)가 단일체로 구성되고, 급기유로(26)와 배기유로(27)가 구획되도록 구성되면, 당업자 또는 설치자는 단일체의 유로 연결부재(20)를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에 설치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위한 유로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급기용 유로 연결부재(20)와 배기용 유로 연결부재(20)를 각각 생산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2와 같이 상기 환기공(11, 12)은 복수 개로 구성되되,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열회수 기능을 가지는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40)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기공(11, 12)이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으로 구분되어 실외공기가 실내공간으로 유입되고, 실내공기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경우, 실내공기에 포함된 열에너지(난방열 또는 냉방열) 또는 습기는 실외공간으로 그대로 배출되어 열에너지의 손실 또는 습기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유로 연결부재(20)에 열회수 기능을 부여하여, 실내공기의 열에너지 및 습도 손실을 방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40)는 유로 연결부재(20)의 변형된 형태로서 단일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급기유로(26)와 배기유로(27)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급기유로(미도시)와 배기유로(미도시)는 서로 엇갈린 층을 이루며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열 또는/및 습기를 급기되는 실외공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유로(26)는 급기공(11a, 12a)들과 연결되고, 배기유로(27)는 배기공(11b, 12b)들과 연결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40)는 외형을 형성시키고 내부공간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내입되되, 실외공기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통공 형태로 구성된 급기유로(미도시)와 실내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통공 형태로 구성되는 배기유로(미도시)가 서로 엇갈리며 형성된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하우징은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40)의 외형을 형성시키고, 내부공간에 전열교환소자를 내입시키는 구성이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사이에 형성된 사잇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두께(내부창문(Wi)에서 외부창문(Wo) 방향)는 상기 사잇공간에 내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하우징의 높이 및 폭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열교환소자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내입되어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가 서로 엇갈린 층을 이루며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외부 창틀 가이드(10')에 형성된 환기공(12)의 실외 쪽에는 공기는 유동시킬 수 있으나 비 또는 눈과 같은 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우수차단커버(50)가 더 구비되어, 비 또는 눈과 같은 물질이 유로 연결부재(2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 연결부재(20)의 일측 일부분은 외부 창틀 가이드(10')에 형성된 환기공(12)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환기공(12)을 관통한 유로 연결부재(20)의 일측 일부분에 상기 우수차단커버(50)가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유로 연결부재(20)가 제1소켓(21)과 제2소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상기 소켓 중 외부 창틀 가이드(10') 쪽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소켓에는 환기공(12)을 관통하는 중공의 연장관(28)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28)의 일부분은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실외공간 쪽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연장관(28)의 일부분에는 상기 우수차단커버(50)가 장착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반대로 상기 연장관(28)은 우수차단커버(50)의 타측에 연장되는 구성을 하고, 외부 창틀 가이드(10')의 환기공(12)를 관통한 상기 연장관(28)의 타측에는 상기 유로 연결부재(20) 또는 제1소켓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10' : 창틀 가이드 11, 12 : 환기공
11a, 12a : 급기공 11b, 12b : 배기공
20 : 유로 연결부재 20a : 급기용 유로 연결부재
20b : 배기용 유로 연결부재 21 : 제1소켓
22 : 제1유로 23 : 제2소켓
24 : 제2유로 25 : 패킹부재
26 : 급기유로 27 : 배기유로
28 : 연장관 30 : 브라켓
40 :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 50 : 우수차단커버
WP : 창틀 Wi : 내부창문
Wo : 외부창문 Ac : 환기용 공기청정기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환기공(11, 12)이 형성되고, 창틀(WP)과 내부창문(Wi) 및 창틀(WP)과 외부창문(Wo)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와;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 각각에 형성된 환기공(11, 12)을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로 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연결되며 배치되되,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의 간격 변화에 따라 연결방향으로 길이가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관형의 제1소켓(21)과;
    상기 제1소켓(21)에 내입되는 관형의 제2소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소켓(21)의 일측과 제2소켓(23)의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창틀 가이드(10, 10')의 환기공(11, 12) 각각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21)의 내주와 제2소켓(23)의 외주 사이에는,
    패킹부재(2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연결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11, 12)은,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단일체의 것으로 구성되되, 내부에 상기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 각각과 연통되는 급기유로(26)와 배기유로(27)가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11, 12)은,
    복수 개로 구성되되, 급기공(11a, 12a)과 배기공(11b, 1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 연결부재(20)는,
    열회수 기능을 가지는 열회수 유로 연결부재(40)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KR1020200034125A 2020-03-20 2020-03-20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KR10214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25A KR102149948B1 (ko) 2020-03-20 2020-03-20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PCT/KR2021/003130 WO2021187821A1 (ko) 2020-03-20 2021-03-13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25A KR102149948B1 (ko) 2020-03-20 2020-03-20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48B1 true KR102149948B1 (ko) 2020-08-31

Family

ID=7223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125A KR102149948B1 (ko) 2020-03-20 2020-03-20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9948B1 (ko)
WO (1) WO20211878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243B1 (ko) 2020-12-06 2021-08-09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공기청정기
WO2021187821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KR20230097612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 거치형 에어컨 설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630352B1 (ko) 2022-11-23 2024-01-29 주식회사 이루미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915A (en) * 1976-06-04 1978-04-04 Materniak Gize Exhaust system for laundry dryer
KR20060121053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KR101480792B1 (ko) * 2014-07-15 2015-01-09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888927B1 (ko) 2018-05-31 2018-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KR102050298B1 (ko)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722B2 (ja) * 2000-03-31 2009-04-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パイプファン
KR20120118774A (ko) * 2011-04-19 2012-10-29 전기권 자연 순환식 환기창
KR102149948B1 (ko) * 2020-03-20 2020-08-31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915A (en) * 1976-06-04 1978-04-04 Materniak Gize Exhaust system for laundry dryer
KR20060121053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KR101480792B1 (ko) * 2014-07-15 2015-01-09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888927B1 (ko) 2018-05-31 2018-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기능을 가지는 환기용 창틀 가이드
KR102050298B1 (ko) 2019-07-25 2019-12-02 주식회사 이루미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821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KR102287243B1 (ko) 2020-12-06 2021-08-09 주식회사 이루미 환기용 공기청정기
KR20230097612A (ko) * 2021-12-24 2023-07-03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 거치형 에어컨 설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632014B1 (ko) 2021-12-24 2024-02-01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 거치형 에어컨 설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630352B1 (ko) 2022-11-23 2024-01-29 주식회사 이루미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7821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948B1 (ko) 환기용 창틀 가이드의 유로 연결구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US4922808A (en) Radon and other gas ventilator
ES2890953T3 (es) Sistema de ventana de tejado con medios de transición mejorados entre una ventana de tejado y un conjunto de ventilación
RU18124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104896644A (zh) 一种用于配置室内通风和空气质量调节设备的系统
DE102006014104B4 (de) Raumlüftungsvorrichtung
KR20080051643A (ko) 창호 환기시스템
KR100311730B1 (ko) 환기장치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101122584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하는 창호시스템
CN111549899B (zh) 一种房屋通风系统
FI101175B (fi) Korvausilmaventtiili
KR102197170B1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CN218265690U (zh) 一种新风功能的风扇窗
RU148405U1 (ru) Воздухообменный клапан
RU2787510C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е окно с рекуперацией воздухообмена
JP35393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102655122B1 (ko) 창호를 활용한 기축주택 환기 시스템
KR20050096016A (ko) 자연 풍압을 이용한 자동 환기 조절 창호
JPH0444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