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715B1 -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 Google Patents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715B1
KR102149715B1 KR1020190005357A KR20190005357A KR102149715B1 KR 102149715 B1 KR102149715 B1 KR 102149715B1 KR 1020190005357 A KR1020190005357 A KR 1020190005357A KR 20190005357 A KR20190005357 A KR 20190005357A KR 102149715 B1 KR102149715 B1 KR 10214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ixed
moving
fixing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8711A (en
Inventor
김중삼
Original Assignee
김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삼 filed Critical 김중삼
Priority to KR102019000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7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고중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D)를 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10)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20)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30)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와,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W1)와,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W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a moving pulley,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utomatically drive a door having a high weight with a small force using a moving pulle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driving device for moving a door D installed in a build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by power, a lower frame F1 and an upper frame F2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D And, a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that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for fixing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30) And,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ed plate 10, and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fter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the first wire (W1),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the other end is the door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wire (W2)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D).

Description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Door driving device using moving pulley{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본 발명은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의 상부에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도어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고중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able pulley,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able pulley on an upper part of a door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to drive the do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ver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heavy door even by force.

최근의 건물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도어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한 자동 도어 구동장치는 사용자의 푸시 버튼 조작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한다.In many recent buildings, automatic door driving device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re installed. The automatic door driving device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a user's push button operation or detection of a sensor.

도 1은 슬라이딩 방식의 자동 도어 구동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sliding type automatic door driving device.

종래의 자동 도어 구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타이밍 풀리(100)와 ,상기 한 쌍의 타이밍 풀리(100)에 감겨지는 타이밍 벨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ventional automatic door drive device, as shown in FIG. 1, includes a pair of timing pulleys 10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D, and a timing belt wound around the pair of timing pulleys 100 ( 110).

그리고 상기 타이밍 벨트(110)는 감속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정,역회전을 하는 구동풀리(120)에 감겨져 회전한다. In addition, the timing belt 110 rotates by being wound around a driving pulley 120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a reduction motor (not shown).

또한 상기 타이밍 벨트(110)는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0)에 의해 도어(D)의 상부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timing belt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D by a pair of fixing members 13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D.

상기한 구조의 도어 구동장치에서 구동풀리(1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타이밍 벨트(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D)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작용을 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pulley 120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door driving device of the above structure, the timing belt 11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rdingly, the door D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action. Is done.

상기한 종래의 도어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감속모터의 용량으로 인해 고중량의 도어를 구동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oor driving device has the advantage of a simple structur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limit to driving a heavy door due to the capacity of the reduction motor.

또한 고중량의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어 구동장치도 대형이 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설치작업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drive a heavy door, the door driving device must be large, so that the cost increases and the installation work becomes complicated.

KR 10-2015-30587 AKR 10-2015-30587 A KR 10-1642013 B1KR 10-1642013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움직도르래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고중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automatically drive a high-weight door with a small force using a moving pulle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움직도르래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어을 구동시킴으로써 도어 구동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구동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oor driving device and reduce the size of the driving device by driving the door us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wi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짧은 스트로크의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서도 도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키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oor while using a linear actuator with a short strok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를 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드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과,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와, 일단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driving device for moving a door installed in a build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by power, a low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an upper frame, a first fixing plate fix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fix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a second fixing plate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fix the plurality of fixed pulleys. A fixed plate, a moving pulley fix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ed plate and the second fixed plate,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ed pl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1 The first wire fixed to the fixed plate and wound alternately on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and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ed plate and alternately wound on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wire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또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제1 고정브래킷에 의해 제2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 고정브래킷에 의해 움직도르래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을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pulley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is composed of a linear actuator, and the linear actuator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late by a first fixing bracket, and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by the second fixing bracket. I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by a reciprocating motion of a piston.

또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의 하부 좌우 양측에 블록 베어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은, 하부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lock bearing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and the block bearing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rail members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은 상기 레일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부재를 감싸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il members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are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block bearing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member and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rail member.

또한 상기 제1 고정판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1 고정도르래와, 제2 고정도르래와, 제3 고정도르래와, 제4 고정도르래와, 제5 고정도르래와, 제6 고정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판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7 고정도르래와, 제8 고정도르래와, 제9 고정도르래와, 제10 고정도르래와, 제11 고정도르래와, 제12 고정도르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first fixed plate includes a first fixed pulley, a second fixed pulley, a third fixed pulley, a fourth fixed pulley, a fifth fixed pulley, and a sixth fixed pulley. And, the fixed pulley provided in the second fixed plate includes a seventh fixed pulley, an eighth fixed pulley, a ninth fixed pulley, a tenth fixed pulley, an eleventh fixed pulley, and a twelfth fixed pulle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또한 상기 제3 고정도르래는 장력조절부와 연결되어 제1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제9 고정도르래는 장력조절부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fixed pulley is connected to a tension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and the ninth fixed pulley is connected to the tension adjusting unit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wire.

또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에 구비되는 도르래는, 제1 움직도르래와, 제2 움직도르래와, 제3 움직도르래와, 제4 움직도르래와, 제5 움직도르래와, 제6 움직도르래와, 제7 움직도르래와, 제8 움직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lleys provided o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include a first moving pulley, a second moving pulley, a third moving pulley, a fourth moving pulley, a fifth moving pulley, a sixth moving pulley, and a seventh moving pulle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lley and an eighth moving pulley.

또한 상기 제1 움직도르래와, 제2 움직도르래와, 제3 움직도르래와 제4 움직도르래에는, 제1 와이어가 감기고, 상기 제5 움직도르래와, 제6 움직도르래와, 제7 움직도르래와, 제8 움직도르래에는, 제2 와이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wire is wound on the first moving pulley, the second moving pulley, the third moving pulley, and the fourth moving pulley, and the fifth moving pulley, a sixth moving pulley, and a seventh moving pulley, The eighth moving pulley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wire is wound.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는, 일단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 제1 움직도르래, 제2 고정도르래, 제2 움직도르래, 제3 고정도르래, 제3 움직도르래, 제4 고정도르래, 제4 움직도르래, 제5 고정도르래, 제6 고정도르래, 제1 상부도르래, 제1 하부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1 고정부재에 의해 도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ed plate, and a first fixed pulley, a first moving pulley, a second fixed pulley, a second moving pulley, a third fixed pulley, a third moving pulley, and a fourth fixed pulley. , The fourth moving pulley, the fifth fixed pulley, the sixth fixed pulley, the first upper pulley, and the first lower pulley in tur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by the first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제2 와이어는, 일단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 제5 움직도르래, 제8 고정도르래, 제6 움직도르래, 제9 고정도르래, 제7 움직도르래, 제10 고정도르래, 제8 움직도르래, 제11 고정도르래, 제12 고정도르래, 제2 상부도르래, 제2 하부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고정부재에 의해 도어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wire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venth fixed pulley, the fifth moving pulley, the eighth fixed pulley, the sixth moving pulley, the ninth fixed pulley, the seventh moving pulley, the tenth fixed pulley , The eighth moving pulley, the eleventh fixed pulley, the twelfth fixed pulley, the second upper pulley, and the second lower pulley in tur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by a second fixing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를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드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과,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드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와, 일단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외부 움직도르래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외부 움직도르래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와, 일단이 도어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외부 움직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도어의 하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와, 일단이 도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외부 움직도르래를 거쳐 타단이 도어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4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driving device for moving a door installed in a bui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by power,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the A first fixing plate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fix the plurality of fixed drag rails, and the second fixing plate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fix the plurality of fixed wires, and a plurality of movements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having a pulley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a plurality of After alternately winding the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xternal moving pulley, and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xternal moving pulley. A second wire, a third wire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other side of the door through an external moving pulle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and the other end through the external moving pulle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wir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는, 일단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 제1 움직도르래, 제2 고정도르래, 제2 움직도르래, 제3 고정도르래, 제3 움직도르래, 제4 고정도르래, 제4 움직도르래, 제5 고정도르래, 제6 고정도르래, 제1 상부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도어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3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외부 움직도르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ed plate, and a first fixed pulley, a first moving pulley, a second fixed pulley, a second moving pulley, a third fixed pulley, a third moving pulley, and a fourth fixed pulley. , The fourth moving pulley, the fifth fixed pulley, the sixth fixed pulley, and the first upper pulley in order, and then fixed to the external moving pulley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thir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is wou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제2 와이어는, 일단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 제5 움직도르래, 제8 고정도르래, 제6 움직도르래, 제9 고정도르래, 제7 움직도르래, 제10 고정도르래, 제8 움직도르래, 제11 고정도르래, 제12 고정도르래, 제2 상부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4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외부 움직 도르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wire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ed plate, and the seventh fixed pulley, the fifth moving pulley, the eighth fixed pulley, the sixth moving pulley, the ninth fixed pulley, the seventh moving pulley, the tenth fixed pulley , The 8th moving pulley, the 11th fixed pulley, the 12th fixed pulley, and the second upper pulley in order, and then fixed to the external moving pulley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fourth wi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is wou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제3 와이어는, 일단이 제1 하부고정부에 의해 도어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 고정도르래, 외부 움직도르래, 고정도르래, 고정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하부고정부에 의해 도어의 하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wire has one end fix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door by the first lower fixing part, and wound in order on a fixed pulley, a fixed pulley, an external moving pulley, a fixed pulley, and a fixed pulley,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lowe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by the government.

또한 상기 제4 와이어는, 일단이 제1 상부고정부에 의해 도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 고정도르래, 외부 움직도르래, 고정도르래, 고정도르래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상부고정부에 의해 도어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wir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by the first upper fixing portion, and after winding in order to a fixed pulley, a fixed pulley, an external moving pulley, a fixed pulley, a fixed pulley, the other end is the second upper h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door by the govern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응용하여 도어를 구동시키는 방식이므로 적은 힘으로도 고중량의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driven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a moving pulley, there is an effect of driving a heavy door with a small force.

또한 복수의 움직도르래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어를 구동시키므로, 도어 구동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구동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driven us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wire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oor driving device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driving device.

또한 도어 구동장치가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driving device is housed inside the door frame, installation is simplified.

또한 적은 용량의 도어 구동장치를 사용하면서도 고중량 도어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driving a heavy door while using a door driving device of a small capacity.

또한 움직도르래를 구비한 고정판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짧은 스트로크의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서도 도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plate having the moving pulley moves left and right,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while using a linear actuator having a short strok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제1 고정판과 움직도르래 고정판의 와이어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do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door by 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ing structure of a first fixing plate and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of the do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D)를 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개폐한다.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moving the door D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power, as shown in FIGS. 2 to 5.

상기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oor driving device includes a lower frame F1 and an upper frame F2 provided above the door D.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10) 및 제2 고정판(20), 그리고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한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수용하여 이를 지지한다.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as shown in Figs. 2 and 4, a first fixing plate 10 and a second fixing plate 20 for fixing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therein, and It accommodates and supports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즉 상기 제1 고정판(10)은 도 2에서 좌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들을 고정하고, 제2 고정판(20)은 도 2에서 우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들을 고정한다. 상기 제1 고정판(10) 및 제2 고정판(2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도르래들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된다.That is, the first fixing plate 1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FIG. 2 to fix a plurality of fixing pulleys,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FIG. 2 to fix the plurality of fixing pulleys. A plurality of fixing pulleys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는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한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은, 이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움직도르래들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s driven by a moving device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ing pulleys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된 고정도르래들과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일측에 구비된 움직도르래에는 제1 와이어(W1)가 감겨지고, 제2 고정판(20)에 구비된 고정도르래들과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타측에 구비된 움직도르래에는 제2 와이어(W2)가 감져진다.And a first wire (W1) is wound on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moving pulle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The second wire W2 is wound on the moving pulle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eld and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즉 도 2에서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좌측에 구비된 4개의 움직도르래에는 제1 와이어(W1)가 감겨지고, 우측에 구비된 4개의 움직도르래에는 제2 와이어(W2)가 감겨진다. 구체적인 와이어링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at is, in FIG. 2, the first wire W1 is wound on the four moving pulley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and the second wire W2 is wound on the four moving pulleys provided on the right side. A detailed wir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액츄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actuator, as shown in FIGS. 2 and 4.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이동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oving devices may be used as long as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브래킷(40c)에 의해 제2 고정판(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 고정브래킷(40b)에 의해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에 고정된다.2, the linear actuator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the first fixing bracket 40c, and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by the second fixing bracket 40b. It is fixed at the bottom.

그리고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피스톤(40a)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복수의 움직도르래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nd the linear actuator, by moving the movable pulley fixing plate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a),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re horizontal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은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좌우 각각에 4개의 움직도르래를 배치함으로써, 각 움직도르래에 감겨진 각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four moving pulley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orce acting on each wire wound around each moving pulley.

즉 물체와 함께 이동하는 움직도르래를 사용하게 되면, 물체를 양쪽에서 들어올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하나의 움직도르래에 감긴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은 1/2이 된다. 이에 따라 적은 힘을 들이고도 고중량의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if a moving pulley that moves with an object is used, it has the effect of lifting the object from both sides, so the force acting on the wire wound around one moving pulley is 1/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ift or move a heavy object with little force.

도 2에는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좌측에 4개의 움직도르래, 우측에 4개의 움직도르래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움직도르래의 개수는 도어의 중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In FIG. 2, four moving pulleys on the left and four moving pulleys on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are shown, but the number of moving pulley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도어 구동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 좌우 양측에 블록 베어링(50)이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oor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block bearing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respectively.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block bearing 50 is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riding on the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상기 레일부재(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부재(60)를 감싸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block bearing 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member 60, so that the rail member ( 60) and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일부재의 형상 및 이동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and movement structure of the rail member may be variously formed.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도르래(11)와, 제2 고정도르래(12)와, 제3 고정도르래(13)와, 제4 고정도르래(14)와, 제5 고정도르래(15)와, 제6 고정도르래(16)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first fixed plate 10, as shown in Figs. 2 and 5, a first fixed pulley 11, a second fixed pulley 12, and a third fixed pulley 13 Wow, it may be composed of a fourth fixed pulley 14, a fifth fixed pulley 15, and a sixth fixed pulley 16.

또한 상기 제2 고정판(2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고정도르래(21)와, 제8 고정도르래(22)와, 제9 고정도르래(23)와, 제10 고정도르래(24)와, 제11 고정도르래(25)와, 제12 고정도르래(26)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as shown in FIG. 2, the seventh fixed pulley 21, the eighth fixed pulley 22, the ninth fixed pulley 23, It may be composed of a tenth fixed pulley 24, an eleventh fixed pulley 25, and a twelfth fixed pulley 26.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들과 제2 고정판(2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들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된다.The fixed pulleys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fixing pulleys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되는 제3 고정도르래(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부(13a)와 연결되어 제1 와이어(W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hird fixed pulley 13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as shown in FIG. 2, is connected to the tension adjusting part 1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W1.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제2 고정판(20)에 구비되는 제9 고정도르래(23)는 장력조절부(23a)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W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inth fixed pulley 23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is connected to the tension adjusting part 2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wire W2.

상기 장력조절부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와이어가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tension control unit i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maintains an appropriate tension.

또한 움직도르래 고정판(30)에 구비되는 도르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움직도르래(31)와, 제2 움직도르래(32)와, 제3 움직도르래(34)와, 제4 움직도르래(35)와, 제5 움직도르래(31a)와, 제6 움직도르래(32a)와, 제7 움직도르래(34a)와, 제8 움직도르래(35a)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ley provided i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as shown in FIG. 5, a first moving pulley 31, a second moving pulley 32, a third moving pulley 34, and a fourth It may be composed of a moving pulley 35, a fifth moving pulley 31a, a sixth moving pulley 32a, a seventh moving pulley 34a, and an eighth moving pulley 35a.

여기서 상기 제1 움직도르래(31), 제2 움직도르래(32), 제3 움직도르래(34), 제4 움직도르래(35)에는, 제1 와이어(W1)가 감겨진다.Here, a first wire W1 is wound around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moving pulley 34, and the fourth moving pulley 35.

그리고 상기 제5 움직도르래(31a), 제6 움직도르래(32a), 제7 움직도르래(34a)와 제8 움직도르래(35a)에는, 제2 와이어(W2)가 감겨진다.In addition, a second wire W2 is wound around the fifth moving pulley 31a, the sixth moving pulley 32a, the seventh moving pulley 34a and the eighth moving pulley 35a.

이렇게 움직도르래 고정판(30)에 구비된 움직도르래들은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 제1 와이어(W1)를 권취하고 다른 쪽에 제2 와이어(W2)를 권취함으로써, 한쪽 와이어를 인장시킬 경우, 다른쪽 와이어가 이에 대응하여 풀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moving pulleys provided i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are divided in half, and the first wire (W1) is wound on one side and the second wire (W2) is wound on the other side, so that when one wire is tensioned, the other wire is It can be released in response to this.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열기 위해 제2 상부도르래(80a)에 감긴 제2 와이어(W2)를 왼쪽으로 잡아당길 경우, 제1 와이어(W1)는 제1 상부도르래(70a)를 타고 왼쪽으로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second wire W2 wound around the second upper pulley 80a is pulled to the left to open the door D, the first wire W1 is Take the upper pulley (70a) and turn to the left.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W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11) ⇒ 제1 움직도르래(31) ⇒ 제2 고정도르래(12) ⇒ 제2 움직도르래(32) ⇒ 제3 고정도르래(13) ⇒ 제3 움직도르래(34) ⇒ 제4 고정도르래(14) ⇒ 제4 움직도르래(35) ⇒ 제5 고정도르래(15) ⇒ 제6 고정도르래(16) ⇒ 제1 상부도르래(70a) ⇒ 제1 하부도르래(70b)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1 고정부재(70c)에 의해 도어(D)의 상부 일측(도 3에서 왼쪽)에 고정된다.Here, the first wire (W1), as shown in Figs. 3 and 5,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 the first moving pulley (31) ⇒ 2nd fixed pulley(12) ⇒ 2nd moving pulley(32) ⇒ 3rd fixed pulley(13) ⇒ 3rd moving pulley(34) ⇒ 4th fixed pulley(14) ⇒ 4th moving pulley(35) ⇒ 5th Fixed pulley (15) ⇒ 6th fixed pulley (16) ⇒ First upper pulley (70a) ⇒ After winding around the first lower pulley (70b) in order, the other end of the door (D) by the first fixing member (70c) It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left in Fig. 3).

또한 상기 제2 와이어(W2)는,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21) ⇒ 제5 움직도르래(31 a) ⇒ 제8 고정도르래(22) ⇒ 제6 움직도르래(32a) ⇒ 제9 고정도르래(23) ⇒ 제7 움직도르래(34a) ⇒ 제10 고정도르래(24) ⇒ 제8 움직도르래(35a) ⇒ 제11 고정도르래(25) ⇒ 제12 고정도르래(26) ⇒ 제2 상부도르래(80a) ⇒ 제2 하부도르래(80b)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고정부재(80c)에 의해 도어(D)의 상부 타측(도 3에서 오른쪽)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wire (W2)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the seventh fixed pulley (21) ⇒ the fifth moving pulley (31 a) ⇒ the eighth fixed pulley (22) ⇒ sixth moving Pulley (32a) ⇒ 9th fixed pulley (23) ⇒ 7th moving pulley (34a) ⇒ 10th fixed pulley (24) ⇒ 8th moving pulley (35a) ⇒ 11th fixed pulley (25) ⇒ 12th fixed pulley ( 26) ⇒ Second upper pulley (80a) ⇒ After winding on the second lower pulley (80b) in orde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D) by the second fixing member (80c) (right in Fig. 3). .

상기 제2 와이어(W2)의 와이어링 구조는 제1 와이어(W1)의 와이어링 구조와 동일The wiring structure of the second wire W2 is the same as the wiring structure of the first wire W1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도 3a는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 3b는 도어가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nd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사용자가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 푸시버튼(도시 생략)을 누르거나, 감지 센서가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면,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피스톤(40a)을 인장시킨다.When the user presses a push button (not shown) provided on the door frame or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a person's approach, the linear actuator is operated to tension the piston 40a.

그러면 상기 피스톤(40a)과 연결된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에 고정된 움직도르래들도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connected to the piston 40a moves to the left as shown in FIG. 3B, and accordingly, the moving pulleys fixed to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also move in the left direction. do.

이때 제1 와이어(W1) 및 제2 와이어(W2)는 양단이 모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상부도르래(80)를 통과한 제2 와이어(W2)에 왼쪽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도어(D)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At this time, since both ends of the first wire W1 and the second wire W2 are fixed, a tensile force in the left direction acts on the second wire W2 passing through the second upper pulley 80 and the door D ) To the right.

이때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이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 와이어(W1)는 제1 상부도르래(70a) 쪽을 향해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도어(D)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moves in the left direction, the first wire W1 moves to the left toward the first upper pulley 70a so that the door D can move to the right.

도어(D)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문이 열린 후 감지 센서가 물체의 이동이 없음을 감지하게 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을 수축시킨다.When the door D moves to the right and the sensor detects that there is no movement of the object after the door is opened, the piston of the linear actuator contract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러면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움직도르래에 감겨진 제1 와이어(W1)에 오른쪽 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도어(D)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moves to the right, and a pull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acts on the first wire W1 wound around the moving pulley to move the door D to the left.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 자동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모터와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여 도어를 구동시키고 있다.A conventional sliding type automatic door drives the door using a reduction motor and a timing belt, as shown in FIG. 1.

이에 따라 저중량의 도어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고중량의 도어를 구동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with a door having a low weigh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driving a door having a high weigh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도어 구동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설치구조가 복잡해진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arge-capacity door driving device must be used.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움직도르래를 사용하여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움직도르래에 권취된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을 1/2로 줄일 수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the force acting on the wire wound around one moving pulley can be reduced by half.

특히 다수의 움직도르래를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을 대폭 감소시킬 수가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고중량의 도어을 손쉽게 개폐할 수가 있게 된다.In particular, if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re used, the force acting on the wire can be greatly reduced, so that a heavy doo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with a small force.

또한 구동장치의 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driving device can be drastically reduce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동장치의 설치작업도 간편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linear actuator is housed inside the frame, a lot of installation space is not required,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riving device is simplified.

또한 다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한 고정판이 좌우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짧은 스트로크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서도 도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moves left and right, the moving distance of the door can be increased even by a linear actuator with a short stroke.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A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riving a door in a vertical direction by using 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10)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20)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30)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F1) and an upper frame (F2)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D),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A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one side to fix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a second fixing plate 20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the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a movable pulley fixing plate 30 having a plurality of movable pulleys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the movable pulley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위 구조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abov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only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동장치는,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W1)와,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W2)와, 일단이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를 거쳐 타단이 도어(D)의 하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W3)와, 일단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를 거쳐 타단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4 와이어(W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door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after being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The wire W1,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is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and one end is The third wire (W3)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door (D) through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and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And a fourth wire W4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door D through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여기서 상기 제1 와이어(W1)는,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11) ⇒ 제1 움직도르래(31) ⇒ 제2 고정도르래(12) ⇒ 제2 움직도르래(32) ⇒ 제3 고정도르래(13) ⇒ 제3 움직도르래(34) ⇒ 제4 고정도르래(14) ⇒ 제4 움직도르래(35) ⇒ 제5 고정도르래(15) ⇒ 제6 고정도르래(16) ⇒ 제1 상부도르래(R1)에 차례로 감겨진다.Here, the first wire (W1),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 first moving pulley (31) ⇒ second fixed pulley (12) ⇒ second moving pulley (32) ⇒ 3rd fixed pulley (13) ⇒ 3rd moving pulley (34) ⇒ 4th fixed pulley (14) ⇒ 4th moving pulley (35) ⇒ 5th fixed pulley (15) ⇒ 6th fixed pulley (16) ) ⇒ It is wound on the first upper pulley (R1) in order.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W1)의 타단은, 도어(D)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3 와이어(W3)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에 고정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W1 is fixed to a left external pulley R2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third wire W3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D is wound.

또한 상기 제2 와이어(W2)는,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21) ⇒ 제5 움직도르래(31a) ⇒ 제8 고정도르래(22) ⇒ 제6 움직도르래(32a) ⇒ 제9 고정도르래(23) ⇒ 제7 움직도르래(34a) ⇒ 제10 고정도르래(24) ⇒ 제8 움직도르래(35a) ⇒ 제11 고정도르래(25) ⇒ 제12 고정도르래(26) ⇒ 제2 상부도르래(R7)에 차례로 감겨진다.In addition, the second wire (W2)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the seventh fixed pulley (21) ⇒ the fifth moving pulley (31a) ⇒ the eighth fixed pulley (22) ⇒ the sixth moving pulley (32a) ⇒ 9th fixed pulley (23) ⇒ 7th moving pulley (34a) ⇒ 10th fixed pulley (24) ⇒ 8th moving pulley (35a) ⇒ 11th fixed pulley (25) ⇒ 12th fixed pulley (26) ) ⇒ It is wound on the second upper pulley (R7) in order.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W2)의 타단은, 도어(D)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4 와이어(W4)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에 고정된다.Furthe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W2 is fixed to a right external pulley R8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fourth wire W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D is wound.

또한 상기 제3 와이어(W3)는, 일단이 제1 하부고정부(90c)에 의해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R4) ⇒ 고정도르래(R3) ⇒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 ⇒ 고정도르래(R5) ⇒ 고정도르래(R6)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하부고정부(90d)에 의해 도어(D)의 하부 타측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third wire (W3),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door (D) by the first lower fixing portion (90c), fixed pulley (R4) ⇒ fixed pulley (R3) ⇒ left external moving pulley ( R2) ⇒ Fixed pulley (R5) ⇒ After winding the fixed pulley (R6) in sequence,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door (D) by the second lower fixing part (90d).

그리고 상기 제4 와이어(W4)는, 일단이 제1 상부고정부(90a)에 의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R10), 고정도르래(R9),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 고정도르래(R11), 고정도르래(R12)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상부고정부(90b)에 의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된다.And the fourth wire (W4),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by the first upper fixing portion (90a), a fixed pulley (R10), a fixed pulley (R9), a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 After winding R8, the fixed pulley R11, and the fixed pulley R12 in orde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D by the second upper fixing part 90b.

상기한 구조의 도어 구동장치에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40a)을 인장시키면, 제2 와이어(W2)가 상승하면서 제2 와이어와 연결된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를 상승시키게 된다.When the piston 40a of the linear actuator is tensioned in the door driving device of the above structure, the second wire W2 rises and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is raised.

그러면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에 감겨진 제4 와이어(W4)에 의해 도어가 상부로 상승되고, 이때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Then, the door is raised upward by the fourth wire W4 wound around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and at this time,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descends.

또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피스톤(40a)을 수축시키면, 제1 와이어(W1)가 상승하면서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를 상승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40a of the linear actuator is contracted, the first wire W1 rises and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is raised.

그러면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에 감겨진 제3 와이어(W3)에 의해 도어가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도 하강하게 된다. Then, the door is lowered by the third wire W3 wound around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and at this time,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is also lowered.

다만 이 경우에는 도어 자체의 중량을 고려하여 리니어 액츄에이터가 서서히 수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shrink the linear actuator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 number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고정판 11: 제1 고정도르래
12: 제2 고정도르래 13: 제3 고정도르래
14: 제4 고정도르래 15: 제5 고정도르래
16: 제6 고정도르래 20: 제2 고정판
21: 제7 고정도르래 22: 제8 고정도르래
23: 제9 고정도르래 24: 제10 고정도르래
25: 제11 고정도르래 26: 제12 고정도르래
30: 움직도르래 고정판 31: 제1 움직도르래
31a: 제5 움직도르래 32: 제2 움직도르래
32a: 제6 움직도르래 34: 제3 움직도르래
34a: 제7 움직도르래 35: 제4 움직도르래
35a: 제8 움직도르래 40: 움직도르래 이동장치
40a: 피스톤 40b: 제1 고정브래킷
40c: 제2 고정브래킷 50: 블록 베어링(Block Bearing)
60: 레일부재 70a: 제1 상부도르래
70b: 제1 하부도르래 70c: 제1 고정부재
80a: 제2 상부도르래 80b: 제2 하부도르래
80c: 제2 고정부재 90a: 제1 상부고정부
90b: 제2 상부고정부 90c: 제1 하부고정부
90d: 제2 하부고정부 100: 타이밍 풀리(Timing Pulley)
110: 타이밍 벨트(Timing Belt) 120: 구동풀리
130: 고정부재
D: 도어 F1: 하부 프레임
F2: 상부 프레임 R2: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
R8: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 W1: 제1 와이어(Wire)
W2: 제2 와이어 W3: 제3 와이어
W4: 제4 와이어
10: first fixing plate 11: first fixing pulley
12: second fixed pulley 13: third fixed pulley
14: fourth fixed pulley 15: fifth fixed pulley
16: sixth fixed pulley 20: second fixed plate
21: 7th fixed pulley 22: 8th fixed pulley
23: ninth fixed pulley 24: tenth fixed pulley
25: 11th fixed pulley 26: 12th fixed pulley
30: moving pulley fixing plate 31: first moving pulley
31a: fifth moving pulley 32: second moving pulley
32a: 6th moving pulley 34: 3rd moving pulley
34a: 7th moving pulley 35: 4th moving pulley
35a: 8th moving pulley 40: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a: piston 40b: first fixing bracket
40c: second fixing bracket 50: block bearing
60: rail member 70a: first upper pulley
70b: first lower pulley 70c: first fixing member
80a: second upper pulley 80b: second lower pulley
80c: second fixing member 90a: first upper fixing portion
90b: second upper fixed portion 90c: first lower fixed portion
90d: second lower fixing portion 100: timing pulley
110: timing belt 120: driving pulley
130: fixing member
D: Door F1: Lower frame
F2: Upper frame R2: Left outer moving pulley
R8: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W1: First wire
W2: second wire W3: third wire
W4: fourth wire

Claims (22)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D)를 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10)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20)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30)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와,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W1)와,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W2)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제1 고정브래킷(40c)에 의해 제2 고정판(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 고정브래킷(40b)에 의해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피스톤(40a)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In the door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door (D)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power,
A lower frame (F1) and an upper frame (F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D),
A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a plurality of fixing pulleys,
A second fixing plate 20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wire W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after alternately winding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wire W2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D),
The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s composed of a linear actuator,
The linear actuator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the first fixing bracket 40c,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by the second fixing bracket 40b,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s mov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 좌우 양측에 블록 베어링(5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Block bearing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respectively,
The block bearing 50 is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riding on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상기 레일부재(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부재(60)를 감싸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lock bearing (50)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member (60)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rail member (6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1 고정도르래(11)와, 제2 고정도르래(12)와, 제3 고정도르래(13)와, 제4 고정도르래(14)와, 제5 고정도르래(15)와, 제6 고정도르래(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판(2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7 고정도르래(21)와, 제8 고정도르래(22)와, 제9 고정도르래(23)와, 제10 고정도르래(24)와, 제11 고정도르래(25)와, 제12 고정도르래(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the second fixed pulley 12, the third fixed pulley 13, the fourth fixed pulley 14, the fifth fixed pulley 15, and the sixth fixed pulley ( 16), including,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The seventh fixed pulley 21, the eighth fixed pulley 22, the ninth fixed pulley 23, the tenth fixed pulley 24, the eleventh fixed pulley 25, and the twelfth fixed pulley ( 26)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도르래(13)는 장력조절부(13a)와 연결되어 제1 와이어(W1)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제9 고정도르래(23)는 장력조절부(23a)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W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rd fixed pulley 13 is connected to the tension adjusting part 1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W1,
The ninth fixed pulley 23 is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tension control unit (2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wire (W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에 구비되는 도르래는,
제1 움직도르래(31)와, 제2 움직도르래(32)와, 제3 움직도르래(34)와, 제4 움직도르래(35)와, 제5 움직도르래(31a)와, 제6 움직도르래(32a)와, 제7 움직도르래(34a)와, 제8 움직도르래(3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ley provided o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moving pulley 34,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moving pulley 31a, and the sixth moving pulley ( 32a), a seventh moving pulley (34a), and an eighth moving pulley (35a),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움직도르래(31), 제2 움직도르래(32), 제3 움직도르래(34), 제4 움직도르래(35)에는, 제1 와이어(W1)가 감기고,
상기 제5 움직도르래(31a), 제6 움직도르래(32a), 제7 움직도르래(34a), 제8 움직도르래(35a)에는, 제2 와이어(W2)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wire W1 is wound around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moving pulley 34, and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moving pulley (31a), the sixth moving pulley (32a), the seventh moving pulley (34a), the eighth moving pulley (35a),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 (W2) is wound. Door driving device us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W1)는,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11), 제1 움직도르래(31), 제2 고정도르래(12), 제2 움직도르래(32), 제3 고정도르래(13), 제3 움직도르래(34), 제4 고정도르래(14), 제4 움직도르래(35), 제5 고정도르래(15), 제6 고정도르래(16), 제1 상부도르래(70a), 제1 하부도르래(70b)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1 고정부재(70c)에 의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wire (W1),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fixed pulley 12,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fixed pulley 13 ), the third moving pulley (34), the fourth fixed pulley (14),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fixed pulley (15), the sixth fixed pulley (16), the first upper pulley (70a), After sequentially winding the first lower pulley (70b),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by the first fixing member (70c).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W2)는,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21), 제5 움직도르래(31 a), 제8 고정도르래(22), 제6 움직도르래(32a), 제9 고정도르래(23), 제7 움직도르래(34a), 제10 고정도르래(24), 제8 움직도르래(35a), 제11 고정도르래(25), 제12 고정도르래(26), 제2 상부도르래(80a), 제2 하부도르래(80b)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고정부재(80c)에 의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wire (W2),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the seventh fixed pulley 21, the fifth moving pulley (31a), the eighth fixed pulley (22), the sixth moving pulley (32a), the ninth fixed pulley ( 23), 7th moving pulley (34a), 10th fixed pulley (24), 8th moving pulley (35a), 11th fixed pulley (25), 12th fixed pulley (26), second upper pulley (80a) , After winding the second lower pulley (80b) in order,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door (D) by the second fixing member (80c).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D)를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도어(D)의 상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1 고정판(10)과,
상기 하부프레임(F1) 및 상부프레임(F2)의 내부 타측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도르래를 고정하는 제2 고정판(20)과,
복수의 움직도르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도르래 고정판(30)과,
상기 움직 도르래 고정판(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와,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W1)와,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번갈아 감긴 후, 타단이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W2)와,
일단이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를 거쳐 타단이 도어(D)의 하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W3)와,
일단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우측 외부 움직도르래(R8)를 거쳐 타단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4 와이어(W4)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도르래 이동장치(40)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리니어 액츄에이터는, 제1 고정브래킷(40c)에 의해 제2 고정판(2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 고정브래킷(40b)에 의해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피스톤(40a)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을 제1 고정판(10)과 제2 고정판(2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In the door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door (D)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ower,
A lower frame (F1) and an upper frame (F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D),
A first fixing plate 10 fix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a plurality of fixing pulleys,
A second fixing plate 20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F1 and the upper frame F2 to fix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having a plurality of moving pulleys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A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wire W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A second wire W2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and alternately wound around a plurality of fixed pulleys and moving pulleys,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A third wire W3 whose one end is fixed to one lower side of the door 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door D through the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door (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D) through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includes a fourth wire (W4),
The moving pulley moving device 40 for moving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s composed of a linear actuator,
The linear actuator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the first fixing bracket 40c,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by the second fixing bracket 40b,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is mov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1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20) by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0a).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의 하부 좌우 양측에 블록 베어링(5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를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Block bearings 5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respectively,
The block bearing 50 is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riding on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F1)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레일부재(60)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 베어링(50)은 상기 레일부재(6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레일부재(60)를 감싸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rail members 6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frame F1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lock bearing (50) is config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member (60)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rail member (6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1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1 고정도르래(11)와, 제2 고정도르래(12)와, 제3 고정도르래(13)와, 제4 고정도르래(14)와, 제5 고정도르래(15)와, 제6 고정도르래(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판(20)에 구비되는 고정도르래는,
제7 고정도르래(21)와, 제8 고정도르래(22)와, 제9 고정도르래(23)와, 제10 고정도르래(24)와, 제11 고정도르래(25)와, 제12 고정도르래(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the second fixed pulley 12, the third fixed pulley 13, the fourth fixed pulley 14, the fifth fixed pulley 15, and the sixth fixed pulley ( 16), including,
The fixed pulley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20,
The seventh fixed pulley 21, the eighth fixed pulley 22, the ninth fixed pulley 23, the tenth fixed pulley 24, the eleventh fixed pulley 25, and the twelfth fixed pulley ( 26)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도르래(13)는 장력조절부(13a)와 연결되어 제1 와이어(W1)의 장력을 조절하고,
상기 제9 고정도르래(23)는 장력조절부(23a)와 연결되어 제2 와이어(W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ird fixed pulley 13 is connected to the tension adjusting part 1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W1,
The ninth fixed pulley 23 is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tension control unit (23a)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econd wire (W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도르래 고정판(30)에 구비되는 도르래는,
제1 움직도르래(31)와, 제2 움직도르래(32)와, 제3 움직도르래(34)와, 제4 움직도르래(35)와, 제5 움직도르래(31a)와, 제6 움직도르래(32a)와, 제7 움직도르래(34a)와, 제8 움직도르래(3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ulley provided on the moving pulley fixing plate 30,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moving pulley 34,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moving pulley 31a, and the sixth moving pulley ( 32a), a seventh moving pulley (34a), and an eighth moving pulley (35a),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움직도르래(31), 제2 움직도르래(32), 제3 움직도르래(34), 제4 움직도르래(35)에는, 제1 와이어(W1)가 감기고,
상기 제5 움직도르래(31a), 제6 움직도르래(32a), 제7 움직도르래(34a), 제8 움직도르래(35a)에는, 제2 와이어(W2)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A first wire W1 is wound around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moving pulley 34, and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moving pulley (31a), the sixth moving pulley (32a), the seventh moving pulley (34a), the eighth moving pulley (35a),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wire (W2) is wound. Door driving device use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W1)는,
일단이 제1 고정판(10)에 고정되고, 제1 고정도르래(11), 제1 움직도르래(31), 제2 고정도르래(12), 제2 움직도르래(32), 제3 고정도르래(13), 제3 움직도르래(34), 제4 고정도르래(14), 제4 움직도르래(35), 제5 고정도르래(15), 제6 고정도르래(16), 제1 상부도르래(R1)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3 와이어(W3)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좌측 외부 움직도르래(R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wire (W1),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late 10, the first fixed pulley 11, the first moving pulley 31, the second fixed pulley 12, the second moving pulley 32, the third fixed pulley 13 ), the third moving pulley (34), the fourth fixed pulley (14), the fourth moving pulley (35), the fifth fixed pulley (15), the sixth fixed pulley (16), the first upper pulley (R1) After winding one after another,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a left external moving pulley (R2) moving up and down while the third wire (W3)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D) is woun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W2)는,
일단이 제2 고정판(20)에 고정되고, 제7 고정도르래(21), 제5 움직도르래(31 a), 제8 고정도르래(22), 제6 움직도르래(32a), 제9 고정도르래(23), 제7 움직도르래(34a), 제10 고정도르래(24), 제8 움직도르래(35a), 제11 고정도르래(25), 제12 고정도르래(26), 제2 상부도르래(R7)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도어(D)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4 와이어(W4)가 감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우측 외부 움직 도르래(R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wire (W2),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late 20, the seventh fixed pulley 21, the fifth moving pulley (31a), the eighth fixed pulley (22), the sixth moving pulley (32a), the ninth fixed pulley ( 23), the 7th moving pulley (34a), the 10th fixed pulley (24), the 8th moving pulley (35a), the 11th fixed pulley (25), the 12th fixed pulley (26), the second upper pulley (R7) After winding in order,
The other end is a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ing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wire (W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D) is fixed to the right external moving pulley (R8) moving up and down while being woun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와이어(W3)는,
일단이 제1 하부고정부(90c)에 의해 도어(D)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R4), 고정도르래(R3), 외부 움직도르래(R2), 고정도르래(R5), 고정도르래(R6)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하부고정부(90d)에 의해 도어(D)의 하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third wire (W3),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door (D) by the first lower fixing part (90c), fixed pulley (R4), fixed pulley (R3), external moving pulley (R2), fixed pulley (R5), fixed pulley The door driving device using a movable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after winding in sequence (R6),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lower side of the door (D) by the second lower fixing portion (90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와이어(W4)는,
일단이 제1 상부고정부(90a)에 의해 도어(D)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고정도르래(R10), 고정도르래(R9), 외부 움직도르래(R8), 고정도르래(R11), 고정도르래(R12)에 차례로 감긴 후, 타단이 제2 상부고정부(90b)에 의해 도어(D)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20,
The fourth wire (W4),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or (D) by the first upper fixing part (90a), fixed pulley (R10), fixed pulley (R9), external moving pulley (R8), fixed pulley (R11), fixed pulley The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a movable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after winding in sequence (R12),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oor (D) by the second upper fixing portion (90b).
KR1020190005357A 2019-01-15 2019-01-15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KR102149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57A KR102149715B1 (en) 2019-01-15 2019-01-15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57A KR102149715B1 (en) 2019-01-15 2019-01-15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11A KR20200088711A (en) 2020-07-23
KR102149715B1 true KR102149715B1 (en) 2020-08-31

Family

ID=7189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57A KR102149715B1 (en) 2019-01-15 2019-01-15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71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27B1 (en) 2013-09-12 2016-03-28 한국교통연구원 Platform screen door of elevating type using moving pulley
KR101642013B1 (en) 2015-09-03 2016-07-22 정남기 Driving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Electric Sliding Door
KR102083057B1 (en) * 2017-02-23 2020-02-28 (주)엘지하우시스 Self-clos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11A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984B2 (en) Platform simple movable fence
KR970026838A (en) Automated warehouse
KR102149715B1 (en) Door driving apparatus using running block
KR100912609B1 (en) Electric motion type a blind system
JP5326024B1 (en) Two-stage interlocking sliding door of the EDM machine tank
CN1689951B (en) Elevator
DE60104118D1 (en) GUIDE DEVICE FOR A FLEXIBLE INDUSTRIAL LIFT
JP2016013904A (en) Elevator
KR101960931B1 (en) Device for clutch doors of a freight elevator
CN215485558U (en) Upper open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oor
CN210944460U (en) Steel wire rope type automatic door
EP3315376A1 (en) Screen door having strong structure against human-pressing load
JP2019194048A (en) Platform door
KR101805822B1 (en) Door assembly
KR101812597B1 (en) Manual release device of large door
CN205617572U (en) Half high unpowered door that opens and shuts
JP4618628B2 (en) Elevator equipment
JP6472654B2 (en) Home fence
JP6435186B2 (en) Home fence
CN216945769U (en) Middle part lifter switch door cage
JP7021987B2 (en) Movable home fence
JP6095252B1 (en) Step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6082886A (en) Door device for elevator doorway
JP2017019641A (en) Car and elevator
KR101183563B1 (en) Telescopic door apparatus for entrance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