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022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022B1
KR102149022B1 KR1020180129258A KR20180129258A KR102149022B1 KR 102149022 B1 KR102149022 B1 KR 102149022B1 KR 1020180129258 A KR1020180129258 A KR 1020180129258A KR 20180129258 A KR20180129258 A KR 20180129258A KR 102149022 B1 KR102149022 B1 KR 10214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vibration
portable terminal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158A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장원근
김충엄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8012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0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패널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하부면에 부착되게 위치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는 발생된 진동을 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상부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겸용으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의 크기가 확장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어, 휴대 단말기의 상부면뿐만 아니라 측면에까지 영상의 표시가 이루어지는 에지형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통화 등을 위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를 구비하여, 전화 및 문자 수신 상태, 통화 동작 및 음악 출력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스피커와 진동 모터가 모두 사용될 경우, 휴대 단말기는 이들 스피커와 진동 모터를 설치할 설치 공간으로 인해, 휴대 단말기의 설계의 여유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스피커가 장착될 경우, 스피커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영상 표시를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스피커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상단부에는 영상 표시를 위한 표시 영역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3868(공고일자: 2015년 03월 18일, 발명의 명칭: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 모터를 스피커로도 사용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설계의 여유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표시 영역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패널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하부면에 부착되게 위치하는 진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는 발생된 진동을 영상영상 표시 패널과 상기 상부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소리를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장축 방향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진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동작 모드가 진동 모드일 때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진동 모터로 인가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진동기로 기능하도록 하고, 동작 모드가 소리 모드일 때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진동 모터로 인가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스피커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통화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진동 모터로 인가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스피커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은 구멍 없이 막혀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외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내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내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외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가요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 및 영상 표시 패널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전화 통화와 동작 모드를 위한 별도의 스피커가 불필요하므로, 스피커 장착을 위한 공간이 필요 없어 설계의 여유도가 증가하고 휴대 단말기의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스피커의 제거로 인해,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위한 소리 출력 구멍이 불필요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영상 표시 영역이 증가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더욱이, 진동 모터가 스피커로 기능할 때, 별도의 진동판이 불필요하므로, 진동 모터의 구조가 좀더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은 더욱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진동 모터가 위치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한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사용된 진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유닛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유닛에서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유닛에서 호 신호가 수신될 때 동작 모드에 따른 진동 모터의 제어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는 상부 케이스(10), 상부 케이스(10)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패널(20), 영상 표시 패널(20)의 하부면에 바로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진동 모터(30), 그리고 진동 모터(30)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 케이스(40)를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진동 모터(30)는 휴대 단말기(1)의 장축 방향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40)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는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위한 카메라 모듈, 각종 센서 등과 같은 전기전자 소자와 구동 칩 등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배터리 등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패널(20)의 동작을 통한 영상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의 휴대 단말기(1)는 통상적으로 상단부에 위치하여 전화 통화 시 사용자의 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수신용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고 대신 진동 모터(30)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수신용 스피커에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스피커의 소리 출력을 위한 별도의 구멍(즉, 소리 출력 구멍)이 위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0)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예의 상부 케이스(10)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지 않아 상부면과 하부면이 모두 막혀 있어,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 표시 패널(20)은 휴대 단말기(1)의 상부 케이스(10) 쪽으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패널로서, 액정(liquid crystal)이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모터(3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영상 표시 패널(20)의 하부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어부(63)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상태로 진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중 하나로 기능한다.
진동 모터(30)는 동작하려는 목적에 따라 진동 모드와 소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진동 모터(30)가 동작하는 모드는 진동 모터(30)에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63)는 진동 모터(30)의 각 모드에 맞는 구동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 진동 모터(30)가 진동 모드이고 진동부로 기능할 때, 제어부(63)에서 진동 모터(30)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주파수(예,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일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30)가 소리 모드이고 스피커로 기능할 때, 제어부(63)에서 진동 모터(30)로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주파수(예,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일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63)에서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진동 상태가 변하게 되어, 진동 모터(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즉, 진동 주파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 또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갖게 되어, 진동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 해당하는 소리나 해당 상태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예에서, 진동 모터(30)는 휴대 단말기(1)의 상단 측면부에 위치하여 영상 표시 영역의 확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진동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바로 접해 있는 영상 표시 패널(20)을 통해 상부 케이스(10)로 전달되어 영상 표시 패널(20)과 상부 케이스(10)를 진동시키거나 외부로 소리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진동 모터(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케이스(40)는 그 내부에 위치한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40)는 금속과 같은 충격과 수분 등에 내성이 강하고 무게가 가벼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는 진동 모터(30)가 영상 표시 패널(20) 하부면에 바로 위치함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영상 표시 패널(20)을 통해 하부 케이스(40)로의 진동 전달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10)와 영상 표시 패널(20)의 측면은 가요성 부재(41)를 통해 하부 케이스(40)와 부착되어 있다.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예의 진동 모터(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진동 모터(30)는 하우징(31), 고정자(32), 진동자(33), 그리고 탄성체(34)를 구비한다.
하우징(31)은 내부에 진동 모터(30)를 구비하여 진동 모터(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하우징(31)은 진동 모터(3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에 고정자(32), 진동자(33) 및 탄성체(34)가 위치한다.
하우징(31)은 원통형 기둥이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1)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정해진다.
하우징(31)은 브라켓(bracket)(311) 및 이 브라켓(310)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부(312)를 구비한다.
브라켓(311)은 하우징(31)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다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부(312)는 브라켓(311) 위에 위치하고 진동 모터(3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케이스부(312)는 하우징(31)의 측부과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인 내부 공간이 하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311)과 케이스부(312)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에 고정자(32), 진동자(33) 및 탄성체(34)가 위치한다.
이러한 브라켓(311)과 케이스부(312)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자(32)와 진동자(33)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자(33)는 고정자(32)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정자(32)와 진동자(33)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자(32)는 진동자(33)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진동자(33)는 고정자(32)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고정자(32)는 회로기판(321), 회로기판(321)과 케이스부(312)에 위치하는 코일(322)을 구비한다.
또한 진동자(33)는 마그네트(331) 및 이 마그네트(331)와 연결되어 있는 중량체(weight)(332)를 구비한다.
하지만, 본 예와 달리, 진동 모터의 설계에 따라서, 이와는 반대로, 고정자(32)는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진동자(33)는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자(32)의 회로기판(321)은 진동 모터(30)의 동작의 제어하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322)은 하우징(31)의 하부인 회로 기판(321) 위에 위치하며, 요크(York)(3221)와 요크(3221)에 해당 방향으로 복 수번 권선된 철선(3222)을 구비하는 코일이다.
이러한 코일(322)의 양단은 회로 기판(321)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321)으로부터 코일(322)에 전기적인 신호, 예 교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33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즉, 진동힘)이 발생한다.
코일(322)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방향은 마그네트(331)의 착자 형태 및 코일(322)과 마그네트(331)의 배치 관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진동자(33)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마그네트(331)와 중량체(33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331)는 가운데 부분에 코일(322)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원기둥 또는 사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가운데 위치한 빈 공간 속으로 코일(322)이 삽입되어, 마그네트(331)은 공간 속으로 삽입된 코일(322)의 부분을 주변에서 에워싸고 있다.
중량체(332)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332)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3)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량체(332)의 질량을 조정해 진동자(33)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332)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또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 중량체(332)는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량체(332)는 인접해 위치하는 마그네트(33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력에 의한 마그네트(331)의 진동 시 중량체(332) 역시 진동한다.
본 예에서, 중량체(332)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가운데 부분에 대략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멍을 구비하므로 내부에 위치한 구멍 속으로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의 마그네트(331)가 삽입되어 중량체(332)의 내부 측면과 접하게 장착되므로, 마그네트(331)와 중량체(332)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중량체(332)는 가운데 부분에 구멍을 갖고 있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본 예의 진동 모터(30)는 하나의 코일(322)과 하나의 마그네트(331)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코일(322)과 마그네트(33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때, 중량체(332)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는 진동 모터의 성능이나 크기, 중량체(332)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탄성체(34)는 진동자(33)를 하우징(31)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탄성체(34)는 하우징(31) 중 영상 표시 패널(20)과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4)는 탄성체(34)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판부(예, 일측 단부)(341), 내측 판부(341) 외곽인 탄성체(34)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외측 판부(예, 타측 단부)(342), 그리고 내측 판부(341)와 외측 판부(342)를 연결하는 연결부(34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하면, 이러한 탄성체(34)는 하우징(31)의 상부 내부면, 즉,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 부분과 중량체(332)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한 예로서, 탄성체(34)의 외측 판부(342)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고, 내측 판부(341)는 중량체(332)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다른 예에서, 탄성체(34)의 내측 판부(341)는 케이스부(312)의 상부 내부면과 결합되고, 외측 판부(342)는 중량체(332)의 상부면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체(34)의 연결 구조를 제외하면,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는 도 3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때, 탄성체(34)와 해당 부분(312, 332)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지만, 이에 달리 다른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34)로 인해, 진동자(33)는 하우징(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러한 진동 모터(30)는 제어부(6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소리를 출력한다.
이러한 진동 모터(3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동작에 대하여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모터(30)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입력부(61), 통신부(62), 사용자 입력부(61)와 통신부(62)에 연결되어 있고 진동 모터(3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3) 및 제어부(63)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64)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이러한 제어 유닛 역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의 일부를 구성한다.
사용자 입력부(61)는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입력이나 데이터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3)로 출력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61)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영상 표시 패널(20)은 영상 표시를 위한 구조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touch sensor)'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layered structure)를 가질 수 있어, 영상 표시 패널(20)은 터치 스크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62)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한 예로, 통신부(62)는 이동통신 모듈,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때,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고,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63)는 진동 모터(30) 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321)이나 휴대 단말기(1) 내부 공간에 위치한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부(61)의 동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 좀 더 구체적으로 진동 모터(3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62)를 통한 음성 호 신호 또는 화상 통화 호 신호와 같은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될 때, 정해진 동작 모드에 따라 진동 모터(30)는 진동부나 스피커로 구동시킨다.
저장부(64)는 제어부(63)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어 유닛의 동작은 도 6 및 도 7과 같다.
먼저 도 6을 참고로 하여, 사용자 입력부(61)를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1), 즉 진동 모터(3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어부(63)의 동작 역시 시작되어(S10), 사용자 입력부(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예, 사용자 입력 신호)를 판독하여(S11),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 신호가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12).
본 예에서, 동작 모드는 통신부(62)를 통해 전화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휴대 단말기(1)의 사용자기에 수신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모드, 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61)를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모드(진동 모드, 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의 변경이 이루어져 동작모드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63)는 인가되는 동작모드 선택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의 종류를 판정한다(S13).
그런 다음, 판정된 동작 모드의 종류에 맞게 현재 진동 모터(30)의 동작 모드를 판정된 동작 모드(즉, 진동 모드, 소리 모드 및 무음 모드 중 하나)로 저장부(64)에 저장한다(S14~S18).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61)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종류로 휴대 단말기(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 도 7을 참고로 하여,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의 동작 모드가 정해진 후, 진동 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3)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63)는 통신부(62)를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음성 통화나 화상 통화와 같이 전화 통화를 위한 호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6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동작 모드의 설정 상태를 판정한다(S21, S22).
따라서, 제어부(63)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의 종류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진동 모드인 경우, 제어부(63)는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진동 모터(30)로 인가하여 진동 모터(30)가 진동부로 동작하도록 한다.
따라서, 진동 모터(30)는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크기의 진동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켜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S23, S24).
하지만, 판정된 동작 모드의 종류가 소리 모드인 경우(S25), 제어부(63)는 제1 구동 주파수와 다른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진동 모터(30)로 인가하여 진동 모터(30)가 스피커로 동작하도록 한다(S25, S26).
따라서, 진동 모터(30)는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의 진동 주파수를 발생시켜 해당 전화음이 출력한다(S23, S24).
하지만, 동작 모드의 종류가 진동 모드나 소리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63)는 현재 동작 모드를 무음 모드로 판정하여, 진동 모터(30)로 별도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각 판정된 동작 모드의 종류에 따라 진동 모터(30)의 동작이 제어된 후, 제어부(63)는 사용자 입력부(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 버튼이 구동되었는지 판단한다(S27, S28).
통화 버튼이 구동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63)는 진동 모터(30)로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진동 모터(30)의 동작 상태를 스피커로 전환시킨다(S29).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전화 통화를 실시하는 상대방의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가 진동 모터(30)를 통해 출력되어 정상적인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63)는 사용자 입력부(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통해 통화 종류를 위한 통화 종료 버튼이 동작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10).
따라서, 통화 종료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S210), 제어부(63)는 진동 모터(30)로 인가되는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전화 통화가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S211).
하지만, 단계(S28)에서, 통화 버튼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S28), 제어부(63)는 사용자 입력부(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통해 통화 종류를 위한 통화 종료 버튼이 동작된 상태인지 판단한다(S212).
따라서, 통화 종료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S212), 제어부(63)는 진동 모터(30)로 인가되는 제1 또는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진동이나 소리를 이용한 전화 수신 알림 동작을 종료한다(S213).
또한, 통신부(62)를 통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저장부(64)에 저장되는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판정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진동 모드, 소리 모드 또는 무음 모드)에 따라 진동 모터(30)로 제1 또는 제2 구동 주파수를 갖는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때, 진동 모터(30)로 제1 또는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의 인가될 때, 제어부(63)는 메시지가 수신될 때, 설정 시간동안만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하는 진동 모터(3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리에 의해 메시지 수신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예의 휴대 단말기(1)는 전화 통화와 동작 모드를 위한 별도의 스피커가 불필요하므로, 스피커 장착을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 없어 설계의 여유도가 증가하며, 휴대 단말기(1)의 제조 비용 역시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스피커의 제거로 인해, 스피커에 대응되게 형성된 소리 출력 구멍이 불필요하므로, 영상 표시 패널(20)의 영상 표시 영역을 좀더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예의 진동 모터(30)가 스피커로 기능할 때, 별도의 진동판이 불필요하므로, 진동 모터(30)의 구조가 좀더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은 더욱 절감된다.
이상,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휴대 단말기 10: 상부 케이스
20: 영상 표시 패널 30: 진동 모터
40: 하부 케이스 31: 하우징
34: 판 스프링 41: 가요성 부재
61: 사용자 입력부 63: 제어부
64: 저장부 322: 코일
331: 마그네트 332: 중량체
341: 내측 판부 342: 외측 판부
343: 연결부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에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표시 패널;
    상기 영상 표시 패널의 하부면에 부착되게 위치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진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코일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와의 작용에 의해 진동힘을 발생시키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진동 모드일 때 제1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코일로 인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소리 모드일 때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코일로 인가하여, 상기 진동힘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중량체가 진동되어 진동 주파수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구동 주파수가 인가될 때 상기 진동 주파수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가져 상기 진동 모터는 진동기로 기능하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가 인가될 때 상기 진동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가져 상기 진동 모터는 스피커로 기능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장축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통화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2 구동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상기 진동 모터로 인가하여 상기 진동 모터를 스피커로 기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100 내지 250Hz이고,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의 크기는 50 내지 10kHz인 휴대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은 구멍 없이 막혀져 있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외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내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는 내측 판부;
    중량체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는 외측 판부; 및
    내측 판부와 외측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영상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가요성 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측면 및 영상 표시 패널의 측면과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
KR1020180129258A 2018-10-26 2018-10-26 휴대 단말기 KR10214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8A KR102149022B1 (ko) 2018-10-26 2018-10-26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58A KR102149022B1 (ko) 2018-10-26 2018-10-26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58A KR20200047158A (ko) 2020-05-07
KR102149022B1 true KR102149022B1 (ko) 2020-10-14

Family

ID=7073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258A KR102149022B1 (ko) 2018-10-26 2018-10-26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371A (ko) * 2022-02-16 2023-08-23 (주)파트론 일체형 바디를 가지는 진동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77921A (zh) 2021-05-28 2024-01-09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声音输出模块的电子设备
KR20220160871A (ko) * 2021-05-28 2022-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90B1 (ko) * 2006-02-09 2011-02-14 주식회사 예일전자 전자음향변환기
KR101474426B1 (ko) * 2008-01-22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진동 모터 제어 방법
KR101503868B1 (ko) 2013-01-25 2015-03-18 이남규 진동모터 겸용 스피커
KR20170035464A (ko) * 2015-09-23 2017-03-31 이인호 선형 진동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371A (ko) * 2022-02-16 2023-08-23 (주)파트론 일체형 바디를 가지는 진동 발생기
KR102660069B1 (ko) 2022-02-16 2024-04-23 (주)파트론 일체형 바디를 가지는 진동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58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02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1562B1 (ko) 진동 모터
US7557474B2 (en) Electromagnetic exciter
JP3632594B2 (ja) 電子装置
KR100245379B1 (ko) 진동 발생장치
KR100381440B1 (ko) 진동 스피커
KR101070377B1 (ko) 진동모터
US20150123500A1 (en) Haptic actuator
JP2001189995A (ja) 振動スピーカ
US7231057B2 (en) Multi-function actuator capable of preventing vibration
JP2006007161A (ja)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09981856B (zh) 一种振动装置、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02300698A (ja) レシーバおよび携帯用通信機器
CN106660073A (zh) 线性振动马达
JP2003324796A (ja) 音響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EP3937510A1 (en)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electromagnetic actuator
JP6663762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US20030117223A1 (en) Vibrating linear actuator
US5936516A (en) Vib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9213952A (ja) 振動発生装置。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CN102223958B (zh) 线性振动器
EP3738323B1 (en) Moving magnet actuator with coil for panel audio loudspeakers
US972473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vibration por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