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67B1 -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67B1
KR102148867B1 KR1020190086445A KR20190086445A KR102148867B1 KR 102148867 B1 KR102148867 B1 KR 102148867B1 KR 1020190086445 A KR1020190086445 A KR 1020190086445A KR 20190086445 A KR20190086445 A KR 20190086445A KR 102148867 B1 KR102148867 B1 KR 10214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arner
song
terminal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102019008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8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an educational service linking singing with drawing, comprising: a learner terminal in which the age of a learner is inputted and which selects a learning program stored in advance for each st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age, outputs sing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program, and receives a drawing corresponding to the lyric text of the singing contents; and an educational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educational service providing server comprises: an input unit which receives the age from the learn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o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ing program stored in advance for each st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age; a contents providing unit which transmits to the learner terminal singing contents and draw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am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n the inputted drawing contents and singing contents are being outputted by the learner terminal, whether or not the similarity with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 text of the singing contents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replay unit which replays, when the similarity does not satisfy the predetermined level of similarity, the part of the singing contents including the lyric text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Therefore, the learner′s creativity and understanding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linking song and drawing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본 발명은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래로부터 도형, 한글, 외국어 및 숫자를 포함한 텍스트를 연상해낼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education service linking songs and drawings, and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reminiscent of texts including figures, Korean characters, foreign languages and numbers from songs.

어린이들의 생활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구전으로 내려오는 전래놀이노래는 각 민족의 기본적인 음악적 특징을 가장 쉬운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어린이들에게 놀이 도구와 같은 것이어서 가사와 음악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와 결합하여 놀이의 구성요소가 된다. 어린이의 환경이나 놀이 방법과 함께 전래놀이노래에도 민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 예컨대, 일본의 전래놀이노래는 손을 쓰는 것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그 중에서도 그림 노래놀이가 아시아 여러 민족 속에 한두 가지 예만 찾아볼 수 있는데 비하여 많이 전해지고 있다. 한편, 민족에 따라 놀이방법이나 노래에 차이가 있는 반면, 민족이 달라도 또는 다른 환경이나 풍습 속에서도 놀이의 규칙이나 음악성 및 그림에서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Traditional play songs that occur naturally in children's lives and come down to the oral tradition represent the basic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thnic group in the easiest form. Also, as it is like a play tool for children, lyrics and music do not exist independently, but are combined with play to become a component of play. In addition to the children's environment and play metho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ethnic groups in traditional play songs. For example, handwriting is the majority of Japanese traditional nori songs, and among them, picture-song nori has been handed down a lot, compared to only one or two examples in Asian ethnic groups. On the other hand, while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o play and songs depending on the people, even if the people are different or in different environments or customs, we can find common points in the rules of play, musicality, and paintings.

이때, 랩(Rap) 장르의 음악을 통하여 곱셈의 메카니즘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과자를 이용한 곱셈놀이가 연구 및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47029호(2018년05월10일 공개)에는, 과자를 이용한 곱셈 놀이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자가 흥미를 갖고 쉽게 이해하도록 랩으로 된 곱셈 구구단 노래를 들으며, 해당하는 양만큼의 과자 비즈를 놓아보고 곱셈의 메카니즘을 이해하도록 할 수 있고, 사각형에 1에서 9까지 곱셈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한 곱셈 놀이 몸체, 곱셈의 결과를 수로 나타내어 알 수 있게 곱셈결과 수가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한 곱셈 결과의 수, 과자 비즈 그림과 같은 양의 과자 비즈를 놓아 볼 수 있게 곱셈결과 수만큼 과자가 놓여질 수 있도록 그림틀로 구성한 과자 비즈 그림, 같은 양만큼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게 곱셈식이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한 곱셈 구구표, 랩(Rap)으로 된 곱셈 구구단 노래를 들으며 곱셈 결과에 해당하는 과자비즈를 놓을 수 있게 QR 코드로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곱셈 구구단 노래, 곡물로 만든 과자 비즈를 곱셈 놀이판에 놓아 볼 수 있게 과자모양이 표현될 수 있도록 형성한 과자 비즈를 포함한다.At this time, multiplication play using sweet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multiplication through music of the genre of rap.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47029 (published on May 10, 2018), a prior art, relates to multiplication play using sweets, and listens to a multiplication multiplication table song in a wrap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it easil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multiplication by placing a corresponding amount of confectionery beads, and a multiplication game body constructed so that multiplication results from 1 to 9 can appear in a square, and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results is displayed so that the result of the multiplication is expressed as a number.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results organized so that you can see the number of confectionery beads in the same amount as the picture of confectionery beads. A picture of confectionery beads composed of a picture frame so that confectionery can be placed as many as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results. A multiplication table composed of a multiplication table, a multiplication multiplication table composed of a QR code, and a multiplication table made of grain so that you can place the confectionery beads corresponding to the multiplication result while listening to the multiplication multiplication table song in Rap. It includes confectionery bead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confectionery can be expressed so that it can be seen.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원리는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구구단 표를 외워서 수행하는 계산의 결과는 계산기가 계산을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어서 그 사고나 이해의 깊이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숫자 이외에도 유아기에 익혀야 할 다양한 사물의 개념이나 단어의 뜻이나 형태가 존재하는데, 상술한 계산을 축약한 구구단 표를 외우는 것으로는 전혀 해결이 되지 않는다. 더욱이, 좌뇌와 우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예술과 사고능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교재나 콘텐츠의 부재로 두뇌를 균형있게 사용할 수 있는 교재나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used,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performed by simply memorizing the multiplication ta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principle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calculator, so the thinking or the depth of understanding does not increase. In addition, in addition to numbers, there are various concepts of objects or the meanings or forms of words to be learned in infancy, and it is not solved at all by memorizing the abbreviated multiplication table table. Moreov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xtbook or platform that can use the brain in a balanced manner without the absence of textbooks or contents that can use art and thinking skills together so that the left and right brains can be us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악의 가사로부터 물체의 형태를 인지하거나 물체의 이름 및 원리와 같은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노래를 통하여 도형, 물체, 한글, 수학적 사고력 및 외국어까지 다양한 개념이나 뜻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우뇌를 사용하는 예술 영역과, 좌뇌를 이용하는 사고 영역을 융합시킴으로써 우뇌와 좌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풍부한 콘텐츠로 창의력은 물론 이해의 깊이까지 커지도록 도와주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pe of an object from the lyrics of music, or to learn concepts such as the name and principle of the object, and through a song, various concepts or meanings from figures, objects, Korean,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foreign languages. The song helps you to understand intuitively, and to use the right and left brain together by integrating the art area using the right brain and the thinking area using the left brain, and helping to increase the depth of understanding as well as creativity with rich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links with drawing.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자의 나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를 출력하고,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그림을 입력받는 학습자 단말, 및, 학습자 단말로부터 나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 및 그림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학습자 단말에서 입력된 그림 콘텐츠와,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과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구성 도형 템플릿에 대응하는 가사 텍스트를 포함하는 부분의 노래 콘텐츠를 리플레이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a learner's age, selecting a learning program pre-stored step by step at the input age, and providing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program. A learner terminal that outputs and receives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age from the learner's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learning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stages at the input ag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learner terminal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transmits the song content and pi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am selected from to the learner's terminal, the picture content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and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when the song content is output. Including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imilarity of wi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similarity does not satisfy the preset similarity, replays the song content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lyrics text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figure template. It includes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음악의 가사로부터 물체의 형태를 인지하거나 물체의 이름 및 원리와 같은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노래를 통하여 도형, 물체, 한글, 수학적 사고력 및 외국어까지 다양한 개념이나 뜻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우뇌를 사용하는 예술 영역과, 좌뇌를 이용하는 사고 영역을 융합시킴으로써 우뇌와 좌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풍부한 콘텐츠로 창의력은 물론 이해의 깊이까지 커지도록 도와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pe of an object from the lyrics of music or to learn concepts such as the name and principle of the object, and through a song, a figure, an object, Korea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various concepts and meanings up to foreign languages, combining the right-brained art area and the left-brained thinking area to enable the use of the right and left brains together, and rich contents to the depth of understanding as well as creativity It can help you gr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중 유아를 위한 그리기 활동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중 그림으로 배우는 한글 놀이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중 그림으로 배우는 사고력 수학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중 그림으로 배우는 영어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ducation service linking a song and a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rawing activity for infants is implemented among educational services linking songs and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angul game to learn by drawing is implemented among the educational services linked to a song and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inking ability mathematics learning by drawing is implemented among educational services linking songs and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English learning by drawing is implemented among educational services linked to a song and draw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in the sen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education service linking a song and a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linking a song and a drawing may includ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have. However, since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linking the song and drawing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ong Term (LTE).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number and the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하는 종류의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의 단계별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학습을 위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학습자의 콘텐츠를 입력받아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입력되는 그림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노래 콘텐츠를 다시 재생하거나 속도를 조절하거나 중지(Pause)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노래를 통하여 그림, 한글, 수학, 영어(외국어) 등의 연상되는 각 텍스트나 도형 등을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선택한 각 프로그램을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실행할 수도 있고,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면서 진행하는 단말일 수도 있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의 네트워킹 자원 또는 컴퓨팅 자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스스로 노래와 이에 대응하는 도형,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그림을 입력받고, 노래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도록 각 그림 등을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한 후, 이를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outputs content for learning by selecting a desired type of program and a step-by-step program of the program by using an educational service-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linking songs and drawing. , It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the learner's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plays back song content, adjusts a speed, or performs a function such as paus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 picture content.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each associated text or figure, such as pictures, Korean, math, and English (foreign language), through a song. Here, 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download each selected program from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execute it, or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real time through real-time streaming, which is at least one learner. It may vary according to networking resources or computing resources of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receives a picture including a song, a figure corresponding to it, text, etc. by itself, synchronizes and stores each picture, etc. with ti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It may be a terminal shared with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프로그램의 종류 및 단계 등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프로그램 및 단계 등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거나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노래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재생되는 부분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을 출력하고,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그림 콘텐츠가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과 유사한지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노래를 다시 재생하거나 중지를 함으로써 학습자가 그릴 수 있는 시간을 주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및 단계 외에도, 학습자가 노래와 도형과 텍스트 등을 입력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자작곡 콘텐츠로 저장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education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ssociation with a song and a drawing. And,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selecting the type and stage of the program in the learner terminal 100, to stream or transmit the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and stage to the learner terminal 100 in real time. It could be a server. And,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song content is played in the learner terminal 100, outputs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part to be played, and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It may be a server that checks whether the picture content is similar to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and if it does not satisfy a preset standard similarity, replays or stops the song of the corresponding part, thereby giving the learner time to draw. In addition,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addition to the programs and steps selected by the learner, when the learner inputs songs, figures, text, etc., receives them, stores them as self-composed content, and stores them as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It can be a server shared by

여기서,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server or terminal in a remote location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른 학습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에서도 학습자 단말(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학습자 단말(100)에서 공유한 자작곡 콘텐츠를 공유받는 역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학습자 단말(400)에서도 학습자 단말(1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학습자 단말(100)에서도 다른 학습자 단말(4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may be an education service-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 terminal of another learner using an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fun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in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but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learner terminal 400 is a self-composed content shared by the learner terminal 100. Is limited to the shared role.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function of the learner terminal 100 can be performed in the other learner terminal 400 and the function of the other learner terminal 400 can be performed in the learner terminal 100 as well.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smartphone), smart pad (smartpad), such as a tablet PC (Tablet P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ducation service linking a song and a drawing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2를 참조하면,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전송부(320), 콘텐츠 제공부(330), 판단부(340), 재생부(350), 데이터베이스부(360), 자작곡 관리부(370), 공유부(380) 및 안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n input unit 310, a transmission unit 320, a content providing unit 330, a determination unit 340, a playback unit 350, and a database unit 360. , It may include a self-composed song management unit 370, a sharing unit 380 and a guide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로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은,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ong and drawing with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linked to,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an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linking song and drawing , App pages, web pages, etc. can be installed or opened.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learn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other learner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that is executed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31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나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자의 나이를 입력하고,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를 출력하고,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그림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콘텐츠가 "커다란 동그라미 일자 일자 두 개 그려 나무되었네"라면, "커다란 동그라미"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가 입력되어야 한다. 그리고, "일자 일자 두 개"라는 부분에서는 『││』와 같이 일 자(│)가 두 개(││) 그려져야 한다. 이렇게 일 자 2 개 위에 동그라미가 얹어지는 경우 나무와 같은 형상이 나오게 되는데, "커다란 동그라미"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가 나오는 시점에서는『○』가 입력되어야 하고, "일자 일자 두 개"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가 나오는 시점에서는『││』가 입력되어야 한다. 상술한 노래와 같이 간단한 두 개의 도형만 그리면 되는 것이 아닌한, 한 번 박자를 놓쳐버리면 그림 그리기는 순서가 맞지 않게 되므로 다시 들어야 하거나 이상한 그림으로 완성되게 된다. 따라서, 후술될 콘텐츠 제공부(330) 내지 재생부(350)에서 각 가사에 맞는 도형이 해당 시점에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고, 입력되지 않았거나 입력이 되었더라도 제대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일자가 ㅡ 와 같이 표시되는 등)에는 다시 해당 부분을 재생시켜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도형이나 텍스트(한글, 숫자, 외국어 등)가 입력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횟수를 반복하더라도 입력이 되지 않거나 틀리는 경우(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에는, 안내선을 오버레이하여 안내선을 따라 그릴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input unit 310 may receive an age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learner terminal 100 inputs the learner's age, selects a learning program pre-stored step by step at the input age, outputs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program, and corresponds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Pictures can be input. For example, if the song content is "it was drawn by drawing two large circle dates", "○" should be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large circle". And, in the "Date Two Dates" part, two dates (│) must be drawn like 『││』. When a circle is placed on the two dates in this way, a tree-like shape appears. At the time when the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Large Circle" comes out, "○" must be entered, and "Two Dates" At the time when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appears, "││" must be entered. Unless you only need to draw two simple figures like the above song, once you miss the beat, the drawing will be out of order, so you will have to listen again or complete a strange picture. Therefore,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to the playback unit 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hecks whether a figure suitable for each lyrics is input at the corresponding time, and if it is not input or is not properly input (such as (Displayed, etc.), the corresponding part is played again so that the figure or text (Korean, number, foreign language, etc.)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is input, and the input is not possible or incorrect even if the preset number of times is repeated (the similarity is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For example, the guide line is overlaid so that you can draw along the guide line.

전송부(320)는,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 세에는 도 3a와 같이 기본 노래 아트 1(Song Art 1)-기본 노래 노래 아트 2(Song Art 2)-기본 노래 노래 아트 3(Song Art 3)-기본 노래 노래 아트 4(Song Art 4)-기본 노래 노래 아트 5(Song Art 5)와 같이 나이가 선택되면 각 단계를 선택하도록 커리큘럼이 생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이가 4 세일지라도 4 세의 커리큘럼을 모두 학습한 학습자에게는 5 세의 커리큘럼이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The transmission unit 320 may transmit a learning program pre-stored step by step at the input age to the learner terminal 100. For example, at the age of 4, as shown in Fig. 3A, the basic song art 1 (Song Art 1)-the basic song song art 2 (Song Art 2)-the basic song song art 3 (Song Art 3)-the basic song song art 4 (Song Art 4)-Basic Song As with Song Art 5, when age is selected, a curriculum may be created to select each level.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ven if the age is 4, a 5-year-old curriculum may be provided to learners who have learned all of the 4-year-old curriculum, and vice versa.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콘텐츠 제공부(33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 및 그림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부(330)는, 노래 콘텐츠에서 가사 텍스트를 제외한 멜로디 콘텐츠가 학습자 단말(100)에서 생성되는 경우, 멜로디 콘텐츠를 가사 텍스트와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저장하고, 생성된 멜로디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와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구성 도형 템플릿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 콘텐츠는 학습자가 노래 가사에 대응하는 도형이나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배경 콘텐츠나 다른 학습자가 그린 그림일 수도 있고, 노래 가사에 대응하는 객체가 피사체인 사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가 되었네라는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가 "삼자 삼자 출렁 출렁 파도가 되었네. 파도 위에 네모에 일자 그려 깃발 달아 배가 되었네"라면, 이때의 객체는 파도와, 파도 위의 배이다. 사진을 그림 콘텐츠로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힌트를 주거나, 타 학습자가 그린 그림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갈매기와 같은 배경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turning to FIG. 2 aga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may transmit song content and pi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am selected by the learner terminal 100 to the learn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stores the melody content to be synchronized with the lyrics text and time when the melody content excluding the lyrics text from the song content is generated in the learner terminal 100, and stores the lyrics text of the generated melody content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s can be mapped and saved so that they are synchronized with and time. Here, the picture content may be a background content for a learner to input a figure or text corresponding to the song lyrics, a picture drawn by another learner, or a picture in which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ong lyrics is a subject. For example, if the text of the lyrics of the song “Become a Ship” is "It has become a three-way, three-way rocking wave. I draw a square on the wave and draw a flag on it to become a ship", the objects at this time are the wave and the ship on the wave. It may be a method of transmitting a picture as picture content to the learner terminal 100 to give a hint, transmitting a picture content drawn by another learner to the learner terminal 100, or transmitting background content such as a seagu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판단부(34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그림 콘텐츠와,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과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가 "네모 위에 세모 올려 집이 되었네"라면, "네모"라는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에는『□』가 입력되어야 하고, "위에 세모 올려"라는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에는『△』가 네모 위에 그려져야 한다. 이때, "네모"라는 가사 텍스트에『□』의 구성 도형 템플릿이 매핑되어 저장되고, "위에 세모 올려"라는 가사 텍스트에는『△』의 구성 도형 템플릿이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네모(악보 상 해당 분기)-네모(가사 텍스트)-『□』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세모(악보 상 해당 분기)-세모(가사 텍스트)-『△』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고, 학습자가 입력한 그림이 가사에 대응한 도형이나 텍스트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여기서, 유사도를 측정할 때에는, 형상만 유사하면 유사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그 크기나 변형 등은 무시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세모나 네모를 그리더라도 각 학습자(유아 또는 초등학생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이나 크기로 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모와 같은 경우에는, 세 개의 꼭지점과, 세 개의 꼭지점이 서로 닫힌 선(Closed loop)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모와 같은 경우에도, 4 개의 꼭지점이 존재하고, 4 개의 꼭지점 간 선분이 서로 닫힌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록 완벽히 닫힌 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상이 유사하면 그 크기나 각도 직선이 각 꼭지점에 완벽히 연결되었는지 등의 오류는 유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요구되는 기준이 엄격할 수 있으므로, 나이나 레벨(단계)에 따라 오류로 처리하는 종류 및 정도 등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340 determines whet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picture content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and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when the song content is out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 can judge. For example, if the lyric text of the song content is "I put a triangle on the square and became a house", when the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quare" is output, "□" should be entered, and "Put a triangle on top". When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is displayed, "△" should be drawn on the square. At this time, the constituent figure template of “□” is mapped to the lyrics text “square” and stored, and the constituent figure template of “△” is mapped and stored in the lyrics text “Put the triangle on top”. Accordingly, the square (corresponding branch on the score)-square (lyric text)-``□'' are mapped and saved, and the triangle (corresponding branch on the score)-triangle (lyric text)-``△'' can be mapped and saved. , Check whether the picture entered by the learner is a figure or tex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Here, when measuring the similarity, if the shape is simila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imilarity, and its size or deformation is ignored. This is because even if you draw a triangle or square, you can draw in a different shape or size according to each learner (infant or elementary school student, etc.).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triangle, if three vertices and three vert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losed loop,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Similarly, even in the case of a square, if there are four vertices and line segments between the four vert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losed lin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Here, even if it is not connected by a completely closed line,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As such, if the shape is similar,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rror such as whether the size or angle straight line is completely connected to each vertex does not affect the degree of similarity. At this time, as the grade increases, the required standard may be strict, so it is obvious that the type and degree of error processing may change according to age or level (level).

재생부(350)는,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구성 도형 템플릿에 대응하는 가사 텍스트를 포함하는 부분의 노래 콘텐츠를 리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사 텍스트가 "커다란 동그라미에~ 조그만 동그라미에 꼬리 달고서 둥둥 떠가는 풍선이 되었네"라는 노래 콘텐츠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커다란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시점에 동그라미를 다 그리지 못한 경우에는, "조그만 동그라미"라는 시점에 작은 동그라미도 박자를 놓쳐 그리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커다란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시점에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그림 콘텐츠가 학습자 단말(100)에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커다란 동그라미"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를 리플레이하거나, 재생을 중지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한 곡이 모두 끝나고 난 후 반복해서 들려주는 방식으로 리플레이를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When the similarity degree does not satisfy a preset similarity, the playback unit 350 may replay the song content of a portion including the lyrics text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figure template. For example, suppose there is a song content in which the lyrics text "In a large circle~ A small circle with a tail attached to it, and a floating balloon" exists. At this time, if the circle is not drawn at the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rge circ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even the small circle at the time point of the "small circle" misses the beat and cannot draw. Therefore, when the pi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ircle is not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at the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large circle", the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arge circle" is replayed, or the playback is stopped to draw a picture. You can give it time to spare. Alternatively, replay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that repeats a song after all of the songs are finish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데이터베이스부(360)는, 노래 콘텐츠로부터 가사 텍스트를 STT(Speak Text)로 추출하고, 추출된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구성 도형 템플릿(Template)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래 콘텐츠는 멜로디, 음정, 박자, 가사를 포함하는데, 음성으로부터 가사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사는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에 포함된 키워드(명사, 대명사 등)는 기 저장된 도형 템플릿과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키워드를 검색어로 웹크롤링한 결과인 사진이나 그림으로부터 아웃라인(Outline)만 경계선을 추출한 템플릿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외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은, 경계선 추출(외곽선 추출, Edge & Edge Detection)을 통하여 용이하게 추출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가 "커다란 동그라미 반짝반짝 빛나는 해, 반짝반짝 빛나는 해는 어디에 있을까요? 조그만 동그라미 기다란 동그라미 구름이 되었네"라고 가정하면, 이때의 명사는 해, 구름이고, 해와 구름이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해와 구름을 검색어로 하는 웹크롤링을 실시할 수 있고, 해와 구름에 대응하는 사진이나 일러스트 또는 그림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해와 구름의 경계선 추출을 통하여 이미지 템플릿(Image Template)을 구성하는 경우, 학습자가 입력한 그림 콘텐츠가 각 가사에 대응하는 그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가 이용될 수도 있고, 영상 입력, 전처리, 특징 추출, 인식 및 해석, 결정 등의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템플릿 정합을 이용한 유사도 판단 방법 이외에도, 임계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모자이크 검출 알고리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atabase unit 360 may extract lyrics text from song content as STT (Speak Text) and map and store a constituent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yrics text. As described above, song content includes melody, pitch, beat, and lyrics, extracting lyrics from the voice,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lyrics into text, and keywords (nouns, pronouns, etc.) included in the text are stored figures It can be mapped and saved with a template, or a template obtained by extracting only the outline from a picture or picture, which is the result of web crawling a keyword as a search word, can be mapped and saved. In this case, since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outline can be easily extracted through boundary line extraction (outline extraction, Edge & Edge Det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example, suppose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is "A big circle twinkling sun, where is the twinkling sun? A small circle turned into a long circle cloud". The nouns at this time are sun, cloud, and sun and cloud Can be extracted as a keyword. At this time, web crawling using the sun and clouds as search words may be performed, and photos, illustrations, or pictures corresponding to the sun and clouds may be collected. When configuring an image template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un and the clou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icture content input by the learner is a picture corresponding to each lyrics. In this case, a digital image process may be used, or processes such as image input, 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recognition and interpretation, and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Here, in addition to the method for determining similarity using template matching, a method using a threshold value or a mosaic detection algorithm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작곡 관리부(37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자작 콘텐츠를 저장하고, 자작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 콘텐츠와 드로잉 콘텐츠를 분리하며, 분리된 음악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드로잉 콘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고, 음악 콘텐츠로부터 악보 콘텐츠를 생성하여 가사 텍스트, 드로잉 콘텐츠,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대응하도록 자작곡 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직접 노래 멜로디, 가사 및 그림을 완성했다면, 이를 공유할 수도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타 학습자 단말(400)에서도 이를 공유하여 일반 학습 프로그램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학습자가 "높~~~다란 네모 그려, 높~~다란 네모 그려, 높~다란 네모 그려 아파트 되었네, 창문은 어디에, 출입구는 어디에, 길은 어디에 있을까"라는 가사 텍스트, 노래 멜로디 및 각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도형을 완성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학습자의 발성으로부터 피치(Pitch) 등과 같은 음정, 박자를 포함한 멜로디를 추출하고, 각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그림 콘텐츠로부터 경계선 추출을 통하여 도형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의 노래 콘텐츠는 반주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수동으로 반주를 별도로 포함시키거나, 자동으로 각 피치에 대응하는 기본 화성으로 반주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공유를 할 수도 있다.The self-written song management unit 370 stores the self-written content received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separates the music content and the drawing content included in the self-written content, and configures draw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eparated music content. At least one frame may be stored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and sheet music content may be generated from music content and stored as self-composed content to correspond to lyric text, drawing content, and at least one frame. For example, if a learner has completed a song melody, lyrics, and picture, it is digitalized so that it can be shared, and the other learner terminal 400 also shares it so that it can be used like a general learning program. For example, a learner named "A draws a tall square, draws a tall square, draws a tall square, turns into an apartment, where is the window, where is the doorway, where is the street?" And it is assumed that a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lyrics text is completed. In this case, a melody including a pitch and a beat, such as a pitch, etc., is extracted from the learner's utterance, and a figure is mapped and stored by extracting a boundary line from picture content input corresponding to each lyric text. Here, since the learner's song content does not have an accompaniment in most cases, the administrator manually includes the accompaniment separately or automatically generates the accompaniment with a basic harmony corresponding to each p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also share.

이때, 자동 반주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음악 작곡 분야에 다양한 수학적 알고리즘인, 확률모델이나 마르코프 체인(Markov Chain), 형식 문법(Formal Grammar),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 프랙탈(Fractal) 등의 기법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강화학습은, 어떤 환경을 탐색하는 에이전트가 있고, 이 에이전트에 앞으로 누적될 보상이 최대화되는 일련의 행동으로 정의되는 정책을 찾아 나가게 하는 학습 방법이다.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음악작곡을 위해 에이전트는, 현재 음악의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반주 코드를 생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생성된 반주 음악이 다음 상태에서 얼마나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적절한 보상을 얻게 된다. 여기서, 시스템은 주어진 보상값을 통하여 각 상태에서 취한 행동이 적합한지 아닌지를 학습하며 발전해나간다. At this time, for automatic accompan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reinforcement learning. Of course, techniques such as probability model, Markov Chain, Formal Grammar, Finite State Machine, Fractal, etc., which are various mathematical algorithms, can also be used in the existing music composition field. have. Here, reinforcement learning is a learning method in which there is an agent that searches for a certain environment, and the agent finds a policy defined as a series of actions that maximize the rewards accumulated in the future. For real-time music composition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the agent must recognize the progress of the current music and generate an accompaniment code accordingly. Then, by determining how appropriate the generated accompaniment music is in the next state, appropriate compensation is obtained. Here, the system learns and develops whether the action taken in each state is appropriate through the given reward value.

이를 위하여, 강화학습 모델은, 에이전트(Agent), 환경(Environment), 정책(Policy)이 포함되고, 상태(State), 행동(Action), 보상(Reward)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마디를 위하여 생성되는 한 마디의 반주 코드를 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의 상태를 분석하여 다음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멜로디를 예측하고, 그에 맞는 반주 코드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한 마디의 반주 코드를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반주 코드가 다음의 상태로 예상되는 멜로디와 잘 어울리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할당하고, 반주 코드를 생성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직접 음을 생성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복수의 샘플 데이터로부터 입력받은 코드를 학습하여 마르코프 체인을 이용하여 확률 테이블로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멜로디와 반주 코드가 어울리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수동으로 사람에 의해 평가되거나, 화성학 기본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의 상태에서 전이될 다음의 상태는 코드의 진행 규칙에 따른 각각의 확률값으로 나타나며, 몬테카를로법(Monte Carlo Method)을 사용하여 상태 변환이 학습된다. 즉, 매 상태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코드가 멜로디와 얼마나 잘 어울리느냐를 분석하여 어울리는 정도에 따라 적당한 보상값을 할당한다. 할당된 보상값은 다시 확률 테이블의 값에 반영되며, 각 상태의 확률값의 합은 1 이 되어야 하므로, 해당되는 각 상태의 모든 확률값을 정규화시킨다. To this end, the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includes an agent, an environment, and a policy, and may consist of a set of state, action, and reward. The accompaniment code of one bar generated for one bar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te, the current state is analyzed to predict the melody that may appear in the next state, and the accompaniment code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accompaniment chords of can be defined as actions. At this time, there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ed accompaniment chords match well with the expected melody in the following state and allocating the appropriate compensation. After learning the received code and saving it as a probability table using a Markov chain, you can use this method. Evaluate the degree to which the melody and accompaniment code match is manually evaluated by a person, or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harmonological basic code. It can also be evaluated as. In addition, the next state to be transferred from the current state is represented by each probability value according to the code progression rule, and state transformation is learned using the Monte Carlo method. In other words, it analyzes how well the new code generated in each state matches the melody and assigns an appropriate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ching. The allocated compensation value is reflected back to the value of the probability table, and since the sum of the probability values of each state must be 1, all probability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tates are normalized.

그리고, 학습자로부터 입력으로 들어온 멜로디와 강화 학습을 통하여 얻어진 반주 코드와의 어울림의 정도를 음악적으로 정확히 정의하는데에는 어베일어블 노트(Available Note) 등 모드(Mode) 이론 등 여러 가지 음악적 이해가 필요하다. j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코드 네임이 C일 경우, 음악의 장르나 연주자에 따라 종류의 코드들(재즈와 같은 느낌으로 연주하고 싶다면 C6, CM7 등)이 이요오디는데 이와 같은 장르를 고려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려하지 않고 간략화한다. 다만, 상술한 장르를 고려하는 부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멜로디와 반주 코드를 잘 조화시키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효율적인 방법은, 멜로디에 존재하는 음을 이용하여 코들르 생성하는 것이다. 도, 미, 솔로 구성된 멜로디가 있다면, C 코드가 가장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멜로디를 구성하는 음들의 분석은 히스토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한 마디의 멜로디를 구성하는 음들이 있을 때, 이 음들은 각 반음계의 12개의 음, 즉 12개의 피치 클래스(Pitch Class)에 속하는 빈도수를 계산하여 생성되는 히스토그램을 정의한 후, 각 코드의 히스토그램과 비교하여 얼마나 잘 조화되는지 분석해낸다. 덧붙여서, 반주 코드를 생성할 때, 최적의 코드만을 이용하는 경우, 같은 코드가 계속 반복되어 지루해질 수 있으므로, 생성된 코드 군을 고려하여 이 코드 군(Cluster, Group) 내에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간단한 멜로디로 발성한 노래라도 다양한 느낌의 풍부한 반주코드가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후에 자동으로 생성되어 공유될 때 실제 음악이 제작된 것과 같은 퀄리티를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define musically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the melody received as an input from the learner and the accompaniment code obtained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various musical understandings, such as the mode theory such as the Available Note, are required. . j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chord name is C, types of chords (C6, CM7, etc., if you want to play with a jazz-like feel) depending on the genre of music or the player The part considering such a genre is simplified without considering 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above-described genre is not excluded. The most basic and efficient way to harmonize melody and accompaniment chords well is to create chordles using the notes present in the melody. If you have a melody composed of Do, Mi, and Solo, C chords are most suitable. Specifically, a histogram can be used to analyze the notes constituting the melody. When there are notes that make up a melody of a bar, these notes are compared with the histogram of each chord after defining the histogram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of 12 notes in each chromatic scale, that is, 12 pitch classes. And analyze how well it harmonizes. In addition, when generating accompaniment chords, if only the optimal chord is used, the same chord may b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and become bo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low exchange within this chord group (Cluster, Group) in consideration of the generated chord group. May be. In this case, even a song uttered with a simple melody can generate rich accompaniment codes with various feelings in real time, or can have the same quality as the actual music produced when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hared later.

한편, 자동 반주의 전제가 되는 멜로디로부터 악보로 변환하는 방법은, ACGP(Automatic Chord Generating Program)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멜로디를 바탕으로 코드 악보를 생성해주는 작업은 음악의 채보 및 편곡과 직결되는 중요한 악보 작업이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코드악보 생성을 위해서는 풍부한 화성학적 배경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음악 입문자들이 수행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멜로디 악보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코드 악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유전알고리즘에 기반을 두어 다양한 화성학적 요인들과 사용자가 원하는 곡의 분위기를 효율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화성학적으로 안정된 완성도 높은 코드 악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CGP로 생성된 코드악보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코드악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자동으로 악보를 채보해주는 다양한 방법이 실시예에 따라 변형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as a method of converting a melody, which is a premise of automatic accompaniment, to sheet music, an Automatic Chord Generating Program (ACGP)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ork of creating a chord score based on a melody is an important score work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riting and arrangement of music. However, since a rich harmonological background knowledge is required for natural chord score generation, it is very difficult for beginners to perform.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lody score is received and a chord scor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various harmonological factors and a user's desired mood of the song can be efficiently considered. It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more harmonically stable chord scor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ord score generated by ACGP with the commonly used chord score.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various method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sheet music may be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embodiments.

공유부(380)는, 자작곡 콘텐츠를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된 수만큼 공유한 학습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공유된 수에 더하여 평가된 점수를 통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aring unit 380 may upload and share the self-written music content to a platform provided by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reset reward to the learner terminal 100 shared by the shared number.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ward through the score evaluated in addition to the shared number.

안내부(39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의 아웃라인(Outline)이 학습자 단말(100)의 화면에서 오버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은, 숫자, 한글, 외국어 및 도형을 포함하는 텍스트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의력을 중시여기는 그림 그리기와 같은 경우에는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숫자나 한글 또는 외국어와 같이 정형된 획수나 순서나 형태가 고정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그림 그리기와 같은 경우에도 적용이 배제되는 아니다. When the song content is out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100, the guide unit 390 allows an outline of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to be overlai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100. Can be controlled. Here, the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may include a text template including numbers, Korean, foreign languages, and figures. Accordingly, it may not be applied in the case of drawing a picture in which creativity is emphasized, but it may be applied in a field in which a fixed number of strokes, order, or shape is fixed, such as numbers, Korean, or foreign languages. Of course, the application is not excluded even in the case of drawing.

이하, 상술한 도 2의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를 참조하면, 노래를 통하여 그림 뿐만 아니라, 한글, 수리 사고력, 인지, 두뇌 발달까지의 다양한 프로그램 및 단계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3b를 참조하면 4세부터 6세까지는 노래를 부르면서 기본 도형과 단어의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도 3c를 참조하면, 인지 발달 측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소통 및 상담의 도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만 3세(4세)에서부터 만 5세(6세)까지의 프로그램이 도시된다. 각 나이에서는 그리기 표상에서 본 경청과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고, 발문과 토론 수업에서 기록된 유아의 심리, 기질, 성향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물론, 나이와 단계가 높아지면서 그리기의 복잡도나 요구되는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각 노래마다 QR 코드를 포함한 식별 코드(바코드, NFC 태그 등)가 포함되어 있어 각 노래만 듣고싶을 때에는 해당 식별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다른 단말에서도 노래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A,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various programs and stages including Korean, mathematical thinking, cognition, and brain development as well as pictures through songs.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B, it is possible to learn the concept of basic figures and words while singing songs from 4 to 6 years old, and referring to FIG. 3C, it is possible to measure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which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tools Make it available as. Referring to FIG. 3D, a program from 3 years old (4 years old) to 5 years old (6 years old) is shown. At each ag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istening and awareness seen in drawing representations, and check the infant's psychology, temperament, and disposition recorded in the essays and discussion classes. Of course, as age and stage increase, the complexity of drawing or the required accuracy may increase. Referring to Figure 3e, each song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bar code, NFC tag, etc.) including a QR code, so when you want to listen to only each song, if you scan the identification code, 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song from another terminal. .

도 3f를 보면 주제가의 악보가 도시되는데, 주제가에는 세모, 네모, 동그라미와 같은 기본 도형과, 기본 도형을 어떻게 배치하여 객체(아파트, 풍선, 눈동자, 파도)를 그릴 것인지를 알려주는 가사가 기재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악보의 멜로디나 가사 이외에도 다양한 버전의 멜로디와 가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기본 도형의 개념과, 기본 도형이 어떠한 어레이로 배열되는 경우 어떠한 객체가 그려질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가사라면 그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g를 보면, 동그라미를 붙여 길어진 동그라미 달려갈까 뛰어갈까라는 주제로, 스티커 등을 붙이거나 스티커에 대응하는 그림 콘텐츠를 화면상에 배열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객체를 그릴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옆으로 긴 일자나, 빨주노초파남보 등 기본 객체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유아 등 학습자의 상상력에 맡겨 채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h를 참조하면, 올 브레인(All Brain) 수업은, 지도자(선생님)의 동기 부여를 듣고 맵을 정리한 후, 그림으로 의견을 그려 표현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자로부터 그림 콘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햇님이라는 하나의 단어에서 뻗어나갈 수 있는 4 개의 개념을 기재하도록 하고, 각 개념에 대응하는 그림 콘텐츠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3f shows the score of the theme song, and the theme song includes basic shapes such as triangles, squares, and circles, and lyrics indicating how to draw objects (apartments, balloons, eyes, waves) by arranging the basic shapes. hav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melodies and lyrics of the above sheet music, various versions of melodies and lyrics can be included, and what kind of lyrics that tells the concept of the basic figure and what object can be drawn when the basic figure is arranged in what array. It will also be possible. Referring to FIG. 3G, with the theme of running or running in a longer circle by attaching a circle, a sticker or the like is attached or pictu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ticker are arranged on the screen, and various objects can be drawn using this. Likewise,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objects such as a long side date or red-collar chopa-nambo, and leave the rest to the imagination of learners such as infants and fill them. 3H, the All Brain class is a method of listening to the motivation of a leader (teacher), arranging the map, and then drawing an opinion with a picture. The learner terminal 100 receives picture content from the learner. Can be inpu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cribe four concepts that can extend out of one word, sunim, and to input pi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concept.

도 4a 내지 도 4c는 노래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통하여 한글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주제로부터 사고의 기초가 되는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그림으로부터 한글을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a 내지 도 5c는 노래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통하여 수학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도 6은 노래와 그림을 영어에 접목시켜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뇌를 이용하는 사고 영역을, 우뇌를 이용하는 예술 영역과 접목시킴으로써 두뇌 발달은 물론이고 각 개념을 백문이불여일견의 고사성어와 같이 직관적인 노래나 그림으로 배움으로써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념을 잡는 유아기 내지 초등학교의 학습자에게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확한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4A to 4C are programs for learning Korean through various contents including song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cess that enables students to grasp concepts that are the basis of thinking from various subjects, and to infer Hangul from pictures. Likewise, FIGS. 5A to 5C are programs for learning math through various contents including songs. And, Figure 6 is a program that allows you to learn English by grafting songs and pictures into English. As described above, by grafting the thinking area using the left brain with the art area using the right brain, as well as developing the brain, each concept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by learning through intuitive songs or pictures, such as the ancient idioms It can provide rich content to learners of infancy or elementary school who catch the concept and help them to grasp the correct concept.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6의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education service linking the song and drawing of FIGS. 2 to 6 are the same as or from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providing the education service linking the song and drawing through FIG.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linking songs and drawing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linking songs and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linking songs and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o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on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학습자의 나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그림을 입력받는 학습자 단말;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나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나이에 단계별로 기 저장된 학습 프로그램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학습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노래 콘텐츠 및 그림 콘텐츠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입력된 그림 콘텐츠와, 상기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 상기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과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구성 도형 템플릿에 대응하는 가사 텍스트를 포함하는 부분의 노래 콘텐츠를 리플레이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노래 콘텐츠로부터 가사 텍스트를 STT(Speak Text)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구성 도형 템플릿(Template)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자작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자작 콘텐츠에 포함된 음악 콘텐츠와 드로잉 콘텐츠를 분리하며, 상기 분리된 음악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드로잉 콘텐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악 콘텐츠로부터 악보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가사 텍스트, 드로잉 콘텐츠,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대응하도록 자작곡 콘텐츠로 저장하는 자작곡 관리부; 상기 자작곡 콘텐츠를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업로드하여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learner terminal that inputs the learner's age, selects a learning program previously stored in stages at the input age, outputs so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earning program, and receives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age from the learner terminal,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learning program pre-stored step by step at the input age to the learner terminal, and a song content and pictur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rogram selected in the learner terminal. Whet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picture content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and the picture content inputted from the learner's terminal and a pre-stored constitu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when the song content is output An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and a playback unit for replaying the song content of a portion including lyric text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figure template when the similarity does not satisfy a preset similarity; and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database unit which extracts lyrics text from the song content as STT (Speak Text), maps and stores a constituent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lyrics text; Stores the self-written content received from the learner's terminal, separates the music content and the drawing content included in the self-written content, and sets at least one frame constituting the draw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eparated music content in time. A self-composed music management unit that synchronizes and stores, generates music content from the music content, and stores it as self-composed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lyrics text, drawing content, and at least one frame; And a sharing unit for uploading and sharing the self-written music content to a platform provided by the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노래 콘텐츠가 출력될 때, 상기 노래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의 아웃라인(Outline)이 상기 학습자 단말의 화면에서 오버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guide unit controlling an outline of a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yrics text of the song content to be overlaid on the screen of the learner terminal when the song content is out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An educa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linking songs and dra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구성 도형 템플릿은, 숫자, 한글, 외국어 및 도형을 포함하는 텍스트 템플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tored configuration figure template includes a text template including numbers, Korean, foreign languages, and figu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노래 콘텐츠에서 가사 텍스트를 제외한 멜로디 콘텐츠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생성되는 경우, 상기 멜로디 콘텐츠를 상기 가사 텍스트와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멜로디 콘텐츠의 가사 텍스트와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상기 구성 도형 템플릿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와 그리기를 연계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viding unit,
When the melody content excluding the lyric text from the song content is generated in the learner's terminal, the melody content is sto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yric text and time, and the configuration figure is synchronized with the lyric text and time of the generated melody content An educa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linking songs and draw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late is mapped and stored.
KR1020190086445A 2019-07-17 2019-07-17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KR102148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45A KR102148867B1 (en) 2019-07-17 2019-07-17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45A KR102148867B1 (en) 2019-07-17 2019-07-17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867B1 true KR102148867B1 (en) 2020-08-27

Family

ID=7223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45A KR102148867B1 (en) 2019-07-17 2019-07-17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86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74B1 (en) * 2021-10-06 2022-03-11 조영숙 Education materials for language learning using art painting
KR102407737B1 (en) * 2021-10-06 2022-06-10 조영숙 Education materials for language learning using art painting
KR102550791B1 (en) 2022-06-17 2023-07-03 (주)세인교육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guage education contents incorporating music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26A (en) * 2001-02-26 2001-05-07 조동금 A system for human natural education of children
KR20090038335A (en) * 2007-10-15 2009-04-20 박병진 Studying system using touch screen
KR20120090792A (en) * 2011-01-14 2012-08-17 (주)시누스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learning contents for children
KR20140137166A (en) * 2013-05-22 2014-12-02 전형주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Langu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20190061191A (en) * 2017-11-27 2019-06-05 송현종 Speech recognition bas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hild language learn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526A (en) * 2001-02-26 2001-05-07 조동금 A system for human natural education of children
KR20090038335A (en) * 2007-10-15 2009-04-20 박병진 Studying system using touch screen
KR20120090792A (en) * 2011-01-14 2012-08-17 (주)시누스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learning contents for children
KR20140137166A (en) * 2013-05-22 2014-12-02 전형주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Langu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20190061191A (en) * 2017-11-27 2019-06-05 송현종 Speech recognition bas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hild language lear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인숙. 노래와 그리기 연합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 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년.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574B1 (en) * 2021-10-06 2022-03-11 조영숙 Education materials for language learning using art painting
KR102407737B1 (en) * 2021-10-06 2022-06-10 조영숙 Education materials for language learning using art painting
KR102550791B1 (en) 2022-06-17 2023-07-03 (주)세인교육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guage education contents incorporating mus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867B1 (en) System for providing art integarated education service with singing and drawing
Griol et al. An architecture to develop multimodal educative applications with chatbots
Mabingo Intercultural dance education in the era of neo-state nationalism: The relevance of African dances to student performer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Cope et al. Meaning without borders: From translanguaging to transposition in the era of digitally-mediated, multimodal meaning
Zhang Multi-sensory research of singing visualization in pre-school music education
Zhang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Intelligent Classroom for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ifinger Jr Strategies to develop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inging accuracy of pitch
Huang et al. Graphical interface-based automated music composition us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ole Rainstorm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music lessons inspired by teachable moments
Chen et al. The use of wireless network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reform of music online teaching system
Vlasenko et al. Feature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ystem for studying and determining the level of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Yoo et al. Teaching the Korean folk song (Arirang) through performing, creating, and responding
Bora Drama pedagogy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investigating the impact of theatre texts and theatre performance on L2 speaking accuracy and complexity
Lehtinen-Schnabel Novel opportunities for intercultural music education: Integrating singing and a language-aware approach in Learn-Finnish-by-Singing choirs
KR20210022288A (en)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service using step-by-step expanding sentence structure unit
Scott Learning affordance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national curricula
da Silva et al. QUERAI–A Smart Quiz Generator
Ning et al. Application of embedded task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glish online courses
Sansom Inviting Self-Directed Learning into the College Voice Classroom
KR102599370B1 (en)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s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collaborative editing services based on operational conversion
Ripani Storytelling: An Engaging Teaching Tool in Ensemble Classes
Imasha et al. Pocket English Master–Language Learning with Reinforcement Learning, Augmented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96457B1 (en) System for providing random letter shuffle based on english practice service for reading and speaking
Silva Bossa Nova and Beyond: Brazilian CCM Styles and the Hybrid Singer
Wu et al. [Retracted] Status Quo and Countermeasures of College English Listening Teaching in the New Multimedia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