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58B1 -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58B1
KR102148258B1 KR1020180166040A KR20180166040A KR102148258B1 KR 102148258 B1 KR102148258 B1 KR 102148258B1 KR 1020180166040 A KR1020180166040 A KR 1020180166040A KR 20180166040 A KR20180166040 A KR 20180166040A KR 102148258 B1 KR102148258 B1 KR 10214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iles
geosynthetic
stacked
temporary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6981A (en
Inventor
박근화
노옥근
노실근
Original Assignee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7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9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과 말뚝들을 함께 사용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절약함과 동시에 축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과 경제성이 모두 증대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천, 호수, 바다 또는 계곡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따라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지반에 삽입 설치되는 말뚝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temporary bridge by using a geosynthetic tube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or a mat and piles togeth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amount of steel and prevent the loss of the bend, so s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t is to provide a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gs that are all increased, and a geotextile tube or a geotextile tube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along a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iver, lake, sea or valley, or Hemps; Piles inserted into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It may include; water passing pipes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 or mats to enable water passage.

Figure R1020180166040
Figure R1020180166040

Description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Tempora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고, 말뚝들을 설치하여 일체화하여, 경제성과 안정성이 모두 뛰어난 가설교량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bridge using piles and geo-bag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in detail, by stacking geotextile tubes or heave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and installing piles to integrate, economical and stable All are excellent techniques for temporary bridges.

일반적으로 공사용이나 우회용 가설교량은 가설벤트를 지반에 설치하고 그 가설벤트 상측에 강재거더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가설교량은 가설교량의 모든 부분을 고가의 강재로 구성함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은 뛰어나나, 시공비용이 본 교량에 준할 정도로 많이 투입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temporary bridge for construction or bypass is a structure in which a temporary vent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steel girder is installed above the temporary vent. These temporary bridges are excellent in structural safety as all parts of the temporary bridge are made of expensive steel, but there is an uneconomic problem as the construction cost is invested as much as that of this bridg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순 성토 등에 의한 축도 등을 사용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단순 성토 등의 축도를 사용한 가설교량은 경제성은 뛰어나나, 우기나 홍수 시에 축도가 유실되어 축도를 재시공 하여야할 뿐 아니라, 유실된 축도로 인하여 환경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bridge using a benediction by simple embankment or the like. However, a temporary bridge using a benediction such as a simple embankment is economical,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loss of a benediction during a rainy season or a flood, and the benediction must be rebuilt, and the environment is destroyed due to the lost benediction.

따라서 고가의 강재 사용을 줄여 경제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축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가설교량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mporary bridge that is excellent in both economy and stability by reducing the use of expensive steels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preventing the loss of benefactors due to flowing water.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484호Pat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948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과 말뚝들을 함께 사용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절약함과 동시에 축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과 경제성이 모두 증대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temporary bridge by using a geosynthetic tube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or a hemp and piles together, thereby saving the amount of steel used and the loss of the vene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gs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and increase both stability and economy.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하천, 호수, 바다 또는 계곡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따라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지반에 삽입 설치되는 말뚝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empora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geosynthetic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along a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iver, lake, sea or valley; Piles inserted into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passing pipes are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laminated geosynthetic tube or mats to enable water passage.

또한, 말뚝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양 측면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와이어로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wire rope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 or the mats.

또한, 말뚝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양 측면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보호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net for connecting the piles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 or the mats from both sides.

또한, 통수관의 주위에는 자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vel is filled around the water passage.

또한, 종방향으로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eosynthetic tube or sacks stacked by filling sand, soil, or gravel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ly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acks.

또한,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지반까지 삽입 설치되는 구조용 기초말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용 기초말뚝의 주위는 토사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al foundation pile inserted into the ground in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lled with soil.

또한,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 강재가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cross-linking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geosynthetic tube or mats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eep water depth.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천가, 호수가, 바닷가 또는 계곡가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바라보면서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1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1열말뚝을 삽입 설치하는 1단계; 상기 제1열말뚝 각각에 와이어로프를 결합하고, 상기 제1열말뚝까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2단계; 상기 제1열말뚝의 전방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2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2열말뚝을 삽입 설치하는 3단계; 상기 제1열말뚝과 제2열말뚝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보호망을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보호망 사이에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4단계: 상기 4단계를 계획된 범위까지 반복하는 5단계; 순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a geo-b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left and right first drilling holes on the ground while looking at a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river, a lake, a beach, or a valley. The first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first column pile after formation; A second step of bonding wire ropes to each of the first row piles, and laminating geotextile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to the first row piles; A third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 second row pile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econd drilling holes in the front ground of the first row pile; 4 to install a wire rope and a protection ne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ow piles on the left and right, and stack geotextile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between the left and right protection nets. Step: Step 5 of repeating the step 4 to a planned rang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in order.

또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들을 설치하고, 상기 통수관들의 주위에 자갈을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using piles and geo-bag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water pipes that enable water passage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bottom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tems, and filling gravel around the water pipes Bridge construction metho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lamina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ly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acks.

또한,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할 때 구조용 기초말뚝을 설치할 위치에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 대신 토사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In addition,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e and geo-back,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s are stacked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oil is filled instead of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s at the location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is to be installed.

또한, 토사를 충진한 위치를 수직으로 굴착한 후 구조용 기초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stalling a structural foundation pile after vertically excavating a location filled with soil.

또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 강재가교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installing a steel cross-linking in the deep water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eosynthetic tube or mats to be laminated.

본 발명을 통해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과 말뚝들을 함께 사용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절약함과 동시에 축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과 경제성이 모두 증대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temporary bridge by using a geotextile tube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or a mat and piles togeth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amount of steel and prevent the loss of the bend, so stability and economy All of this can be augment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A-A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b의 B-B단면도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3h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둑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A is a side view of a temporary bridge using piles and geo-bag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plan view of FIG. 1A.
1C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B.
1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B.
Figures 2a, 2b is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H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temporary bridge using a horseduk and a geob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은, 하천, 호수, 바다 또는 계곡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따라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지반에 삽입 설치되는 말뚝(10)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심이 얕은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a geo-back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osynthetic fiber stacked by filling sand, soil or gravel along a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in a river, lake, sea or valley. Tubes or sacks 10; Piles 10 which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mats 10; It may include; water passing pipes 30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10 to enable water passage.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shallow water depth.

이하, 종방향은 가설교량이 설치되는 길이방향을 지칭하고, 횡방향은 종방향의 직각방향을 지칭한다. Herein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temporary bridge is installe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refers to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은 계획된 방향(종방"*)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즉,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은 가설교량을 시공하고자 하는 방향, 예컨데 하천을 횡단하는 가설교량의 경우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길게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할 수 있다. 교량을 신설하는 경우에는 신설될 교량이 설치될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가설교량은 신설 교량의 구조용 기초말뚝(60)의 옆을 따라 형성되고, 구조용 기초말뚝(60)이 형성될 위치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Geosynthetic tubes or stilts 10 may be stacked along the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that is, the geosynthetic tubes or stilts 10 are in the direction in which a temporary bridge is to be constructed, for example, of a temporary bridge crossing a river. In this case, geosynthetic tubes or heaves 10 may be stacked lo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river. When a new bridge is constructed, it may be stack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w bridge is to be installed. It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pile 60, it may be additionally formed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is to be formed.

상기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내부에는 모래, 토사 또는 자갈들이 충진될 수 있다. 모래, 토사 또는 자갈들은 단독으로 충진되거나 혼합하여 충진될 수 있다. 즉,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내부에 모래, 토사 또는 자갈들을 충진하여 간단히 제작한 후 적층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Sand, soil, or gravel may be filled in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hemp 10. Sand, soil or gravel can be filled alone or mixed and filled. That is, by simply filling the geotextile tube or the hemp 10 with sand, soil, or gravel, and then laminated and constructed, construction may be easy and cost may be saved.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 측면에는 H빔, 강관 등의 말뚝(10)들이 설치될 수 있다. 말뚝(10)들은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면서 지반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말뚝(10)들을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 측면에 설치되어 지지함으로써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Piles 10 such as H beams and steel pipes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mats 10. The piles 10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the mats 10. By installing and supporting the piles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sacks 10,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sacks 10 can secure stability.

상기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통수관(30)들이 설치될 수 있다. 통수관(30)들은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통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Water passing pipes 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water passing pipes 30 may be installed transversely on the lower side of the geotextile tube or the hemp 10 to enable water passage.

상기 통수관(30)들의 주변에는 자갈이 충진될 수 있다. 즉, 통수관(30)들의 주변이면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과의 사이에 자갈을 충진함으로써, 통수관(30)과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과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제거하고, 통수관(30) 주변으로 흐를 수 있는 유수나 유수에 의한 세굴을 방지할 수 있다.Gravel may be filled around the water passages 30. That is, by filling gravel between the water pipes 30 and between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which may occur between the water pipe 30 and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An empty space may be removed, and running water or scouring caused by running water that may flow around the water pipe 30 may be prevented.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양 측면에는 와이어로프(40)들이 설치되어 말뚝(10)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들은 말뚝(10)들을 종방향으로 상호 결합함과 동시에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횡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홍수 등의 경우에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40)는 강연선, 강선, 로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Wire ropes 4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10 to couple the piles 10 to each other. The wire rope 40 secures the stability of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sacks 10 in the case of a flood by coupling the piles 10 toge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suppor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s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do. The wire rope 40 may be a steel strand, a steel wire, a rope, or the like.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우의 말뚝(10)을 상호 연결하는 중간 와이어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와이어로프는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좌우에 설치된 말뚝(10)들을 상호 결속할 수 있다. 중간 와이어로프는 좌우 말뚝(10)을 결속함으로써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좌우의 말뚝(10)과 함께 견고히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교량의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It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wire rope inter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piles 10. The intermediate wire rope may be installed across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hemps 10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bind the piles 1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The intermediate wire rope can be firmly bound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piles 10 to the geotextile tube or the mat 10 by binding the left and right piles 10.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temporary bridge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은 좌우의 말뚝(10)들, 좌우 말뚝(10)들을 종방향으로 결속하는 와이어로프(40), 좌우 말뚝(10) 상호간을 결속하는 중간 와이어로프에 의해 견고히 지지 및 결속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가설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Geotextile tubes or mats (10) are firm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piles (10), the wire rope (40) that binds the left and right piles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rmediate wire rope that binds the left and right piles (10) to each other. And by being bound, it is structurally stable, and a temporary bridge can be constructed at low cost.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중간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중간 말뚝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말뚝(10)을 결속하는 중간 와이어로프는 상기 중간 말뚝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말뚝, 중간 말뚝에 결합되는 중간 와이어로프는 가설교량의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intermediate piles installed along the intermediat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eosynthetic tubes or the mats 10 to be laminated.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wire rope binding the left and right piles 10 may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ile. The intermediate pile and the intermediate wire rop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ile can greatly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temporary bridge.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양 측면에는 보호망(5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보호망(50)은 좌우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좌우측에 설치되는 말뚝(10)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망(50)의 눈의 크기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가 빠지지 않는 정도가 적절하다. 보호망(50)은 말뚝(10)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속함과 동시에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횡방향으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보호망(50)은 능형망, 철근망, 와이어메쉬 등을 사용할 수 있다.Protection nets 5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mats 10. The protection net 5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be coupled to the piles 1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ize of the eye of the protective net 50 is appropriate so that the geotextile tube or the stem 10 does not fall out. The protective net 50 may connect the piles 10 to each other to bind and at the same time firmly support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rotection net 50 may be a rhomboid net, a reinforcing bar net, a wire mesh, or the like.

본 실시예의 가설교량은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geosynthetic tubes or mats 10 stacked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ly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10.

가설교량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신설교량 등의 구조용 기초말뚝(60)이 지반까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용 기초말뚝(60)의 주위는 토사로 충진될 수 있다. 즉,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설치할 위치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고, 구조용 기초말뚝(60)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 대신 토사로 충진하면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토사를 오거 등으로 굴착한 후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구조용 기초말뚝(60)은 가설교량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part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emporary bridge, a foundation pile 60 for structural purposes such as a new bridge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periphery of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may be filled with soil. That is, the geosynthetic tube or mat 10 is stacked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is installed, and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is placed at the point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is located. Geotextile tubes or mats 10 may be stacked while filling with. Thereafter, after excavating the soil with an auger or the lik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can be easily inserted and installed. Structural foundation piles 6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emporary bridg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가설교량은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는 강재가교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temporary bridg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dle portion of the geosynthetic tube or hemp 10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eel bridge may be installed in a deep portion.

본 실시예는 수심이 깊은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시공하는 가설교량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수심이 얕은 부분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로 시공하고, 수심이 깊은 부분에는 강재가교로 시공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temporary bridge to be constructed when a deep portion is included. That is, a shallow water depth may be constructed with a geotextile tube or hemp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and a steel crosslinking may be used for a deep water.

강재가교의 경우에도 횡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강재가교 부분의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teel crosslinking, it is possible to form a part protruding lateral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of the protruding steel cross-linking part.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ck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은 하천가, 호수가, 바닷가 또는 계곡가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바라보면서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1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1열말뚝(22)을 삽입 설치하는 1단계; 상기 제1열말뚝(22) 각각에 와이어로프(40)를 결합하고, 상기 제1열말뚝(22)까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는 2단계; 상기 제1열말뚝(22)의 전방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2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2열말뚝(24)을 삽입 설치하는 3단계; 상기 제1열말뚝(22)과 제2열말뚝(24)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0)와 보호망(50)을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보호망(50) 사이에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는 4단계: 상기 4단계를 계획된 범위까지 반복하는 5단계; 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The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g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holes on the ground while looking at a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river, lake, beach, or valley. The first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thermal pile 22; A second step of bonding a wire rope 40 to each of the first row piles 22, and stacking the geosynthetic tubes or heaves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to the first row pile 22; A third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 second row pile 24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econd drilling holes in the front ground of the first row pile 22; A wire rope 40 and a protection net 50 connecting the first row pile 22 and the second row pile 24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s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rotection nets 50, Fourth step of lamina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hemp 10 filled with soil or gravel: a fifth step of repeating the four steps to a planned range; You can proceed in order.

1단계는, 하천가, 호수가, 바닷가 또는 계곡가에서 계획된 방향(종방향)을 바라보면서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1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1열말뚝(22)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종방향은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방향 예컨대, 하천이나 호수를 횡단하는 방향이다. 제1열말뚝(22) 즉, 좌우 한 쌍의 말뚝(10)은 가설교량의 양측면에 시공된다. 말뚝(10)의 설치는 항타하거나, 오거 등으로 보링한 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Step 1 is a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first row pile 22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irst drilling holes on the ground while looking at the planned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iverside, lakeside, seaside or valley.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mporary bridge is constructed, for example, the direction crossing a river or lake. The first column pile 22, that is, a pair of left and right piles 10 are constructed on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Installation of the pile 10 can be installed by driving or inserting after boring with an auger.

상기 제1열말뚝(22)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가설교량의 폭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가설교량의 양 측면은 말뚝(10)이 형성하는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은 양 측면이 수직방향으로 적층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말뚝(10)과 와이어로프(40) 등이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양 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가능하다. 종래와 같이 하측이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가 절약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lumn piles 22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temporary bridge.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vertical surface formed by the pile (10). That is,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may be laminated and installed on both sides in a vertical direction. This is possible by the pile 10 and the wire rope 40, etc. suppor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hemp 10 from both sides.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need to form a trapezoid with a wide lower side, so material can be saved.

2단계는, 제1열말뚝(22) 각각에 와이어로프(40)를 먼저 결합하고, 상기 제1열말뚝(22)까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즉, 와이어로프(40)의 결합은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기 전에 결합하는 것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가설교량의 시점에서 제1열말뚝(22)까지는 수심이 얕고 유속이 심하지 아니하여 와이어로프(40)나 보호망(50) 등이 특별히 필요하지 아니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the wire rope 40 is first bonded to each of the first row piles 22, and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is laminated to the first row pile 22. This is the step. That is, it may be easier to combine the wire rope 40 before lamina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hemp 10. From the point of time of the temporary bridge, the depth of water is shallow and the flow velocity is not severe to the first column pile 22, so that the wire rope 40 or the protection net 50 may not be particularly necessary.

3단계는, 제1열말뚝(22)의 전방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2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2열말뚝(24)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2열말뚝(24)의 설치는 제1열말뚝(22)까지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상측에서 작업할 수 있다.The third step is a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second row pile 24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econd drilling holes in the front ground of the first row pile 22.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row pile 24 may be performed on the top of the geosynthetic tube stacked up to the first row pile 22 or the mats 10.

4단계는, 상기 제1열말뚝(22)과 제2열말뚝(24)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0)와 보호망(50)을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보호망(50) 사이에 모래, 토사 또는 자갈들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즉, 2단계에서 제1열말뚝(22) 각각에 결합해 둔 와이어로프(40)를 제2열말뚝(24)에 결합하고, 동시에 제1열말뚝(22)과 제2열말뚝(24) 사이에 보호망(50)을 결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좌우 말뚝(10)들 사이는 보호망(50)과 와이어로프(40)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내부에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게 된다.In step 4, a wire rope 40 and a protection net 50 connecting the first row pile 22 and the second row pile 24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rotection nets 50 This is a step of laminating geosynthetic tubes or hemps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therebetween. That is, the wire rope 40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row piles 22 in the second step is coupled to the second row pile 24,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row pile 22 and the second row pile 24 The protection net 50 is coupled between them. By doing thi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iles 10 by the protection net 50 and the wire rope 40, and geotextile tubes or stumps 10 are stacked in the space.

즉, 제1열말뚝(22)과 제2열말뚝(24)을 와이어로프(40)로 연결하고, 동시에 보호망(50)을 설치한 후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함으로써,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이 와이어로프(40)와 보호망(5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구속되어 가설교량의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That is, by connecting the first row pile 22 and the second row pile 24 with a wire rope 40, installing a protective net 50 at the same time, and then lamina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stalk 10, Tubes or mats 10 are constra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wire rope 40 and the protection net 50,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mporary bridge can be increased.

5단계는, 상기 4단계를 계획된 범위까지 반복하는 단계이다. 계획된 범위는 통상 하천이나 호수 등을 횡단하는 범위를 지칭한다. 이후에는 2단계와 비슷하게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여 마무리하게 된다.Step 5 is a step of repeating step 4 to a planned range. The planned range usually refers to the range that crosses a river or lake. After that, similar to the second step, geotextile tubes or sacks 10 are stacked to finish.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30)들을 설치하고, 상기 통수관(30)들의 주위에 자갈을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water pipes 30 to enable water passage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10, and filling gravel around the water passages 30 can do.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laminating the geosynthetic tube or sacks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sacks 10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상기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할 때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설치할 위치에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 대신 토사를 충진할 수 있다. 토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When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is stacked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oil may be filled instead of the geosynthetic tube or the mat 10 at the position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is installed. The soil is to easily install the foundation pile 60 for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상기 단계 이후 토사를 충진한 위치를 수직으로 굴착한 후 구조용 기초말뚝(6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착은 오거 등으로 보링할 수 있다.After the above step, after vertically excavating the location where the soil was filled, the step of installing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60 may be further included. Excavation can be bored with an auger or the like.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 강재가교(7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the steel cross-linking 70 in the deep water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eosynthetic tube or hemp 10 to be laminated.

강재가교(7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심이 얕은 부분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10)들을 적층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하고, 양 측 축도부의 중간부, 즉 수심이 깊은 부분에는 강재가교(70)를 시공하여 가설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By includ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steel cross-linking 70, the shallow part is constructed a temporary bridge by stacking geosynthetic tubes or hemps 10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and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shaft part on both sides, That is, a temporary bridge can be constructed by constructing a steel bridge 70 in the deeper pa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figured or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
20: 말뚝
22: 제1열말뚝
24: 제2열말뚝
30: 통수관
40: 와이어로프
50: 보호망
60: 구조용 기초말뚝
70: 강재가교
10: Geotextile tube or sacks
20: stake
22: first row pile
24: second row pile
30: water pipe
40: wire rope
50: protection net
60: structural foundation pile
70: steel bridge

Claims (13)

하천, 호수, 바다 또는 계곡에서 종방향을 따라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지반에 삽입 설치되는 말뚝들;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들;을 포함하고,
상기 말뚝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양 측면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와이어로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Geosynthetic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in a river, lake, sea or valle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iles inserted into the grou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mats;
Including; water passing pipes installed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 or mats to enable water passage; and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wire ropes for connecting the piles to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the mat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뚝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양 측면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보호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net for connecting the piles to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tacked geotextile tubes or the ma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수관의 주위에는 자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orary bridge using piles and geo-bags, characterized in that gravel is filled around the water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되어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g further comprising a geosynthetic tube or sacks stacked by filling sand, soil or gravel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ly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ack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에 지반까지 삽입 설치되는 구조용 기초말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용 기초말뚝의 주위는 토사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tructural foundation pile inserted into the ground in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geo-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phery of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is filled with soi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 강재가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emporary bridge using a pile and a geo-back,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bridge is installed in a deep portion of the geosynthetic tube or stems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eep water.
하천가, 호수가, 바닷가 또는 계곡가에서 종방향을 바라보면서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1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1열말뚝을 삽입 설치하는 1단계;
상기 제1열말뚝 각각에 와이어로프를 결합하고, 상기 제1열말뚝까지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2단계;
상기 제1열말뚝의 전방 지반에 좌우 한 쌍의 제2천공구를 형성한 후 제2열말뚝을 삽입 설치하는 3단계;
상기 제1열말뚝과 제2열말뚝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와 보호망을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좌측과 우측의 보호망 사이에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4단계:
상기 4단계를 계획된 범위까지 반복하는 5단계; 순으로 진행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A first step of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irst drilling holes on the ground while look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river, lake, beach, or valley, and then inserting and installing a first column pile;
A second step of bonding a wire rope to each of the first row piles, and laminating geotextile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to the first row pile;
A third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 second row pile after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econd drilling holes in the front ground of the first row pile;
4 to install a wire rope and a protection ne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ow piles on the left and right, and stack geotextile tubes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between the left and right protection nets. step:
A fifth step of repeating the four steps to a planned range;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gs in ord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하측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통수를 가능하게 하는 통수관들을 설치하고, 상기 통수관들의 주위에 자갈을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emporary bridge using piles and geobag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water pipes that enable water passage across the transverse direction under the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tems, and filling gravel around the water passages Construction metho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모래, 토사 또는 자갈이 충진된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onstruction using a pile and geo-bag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laminating a geosynthetic tube or sacks filled with sand, soil or gravel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ly stacked geosynthetic tubes or sacks Bridge construction metho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을 적층할 때 구조용 기초말뚝을 설치할 위치에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 대신 토사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n stacking the geosynthetic tube or stilts so as to protru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e and geo-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is filled instead of the geosynthetic tube or stilts at a location where the structural foundation pile is to be install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토사를 충진한 위치를 수직으로 굴착한 후 구조용 기초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ile and a geo-bac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foundation pile for a structure after vertically excavating a location filled with the soi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토목섬유튜브 또는 마대들의 중간부이면서 수심이 깊은 부분에 강재가교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말뚝과 지오백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s and geo-back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steel cross-linking in a deep water portion as well as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eotextile tubes or mats to be laminated.
KR1020180166040A 2018-12-20 2018-12-20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1482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40A KR102148258B1 (en) 2018-12-20 2018-12-20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040A KR102148258B1 (en) 2018-12-20 2018-12-20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81A KR20200076981A (en) 2020-06-30
KR102148258B1 true KR102148258B1 (en) 2020-08-26

Family

ID=7112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040A KR102148258B1 (en) 2018-12-20 2018-12-20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5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592B1 (en) * 2004-11-09 2007-07-03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Backfill system of integral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o minimize the backfill pressure and to prevent the approach slab from its sett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484B1 (en) 2008-11-05 2010-01-29 김의태 The setting bridge upper part structure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20100062895A (en) * 2008-12-03 2010-06-10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Jointless bridge equipped with multi-p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592B1 (en) * 2004-11-09 2007-07-03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Backfill system of integral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o minimize the backfill pressure and to prevent the approach slab from its sett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981A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460B (en) Precast block retaining wall method for preventing landslide
US20220081867A1 (en) Method of constructing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JP5445351B2 (en) Filling reinforcement structure
US73777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reinforced sea walls and levees
US20140154012A1 (en) Assembled mud-rock flow debris d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944593B (en) Reinforcing method for shield tunnel to penetrate existing building
KR20210029069A (e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construruction method therefor
JP4499001B2 (en) Filling reinforcement method and filling
JP4932748B2 (en) Riverbed protection structure
KR102148258B1 (en) Temporory bridges using piles and geoba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855665B2 (en) Pile foundation structure and how to reinforce existing piles
JP5407995B2 (en) Filling reinforcement structure
CN108824461B (en) Larsen steel sheet pile cofferd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53410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heet pile
KR100245048B1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CN105569055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
KR102010242B1 (en) Compound hypothetical bridge
KR100711602B1 (en) Temporary levee protector using crossed pile for repairing underwater structure
KR20110046209A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Scour Prevension And Reinforcement Of Bridge Pier, And Structure Of The Same
JP6292028B2 (en) Embankment reinforcement structure
CN103306291B (en) Oblique pull concrete pile solid protection wide-angle abrupt slope device
JP5348054B2 (en) Filling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020217B1 (en) rock construction structure of using anchor and method thereof
JP2018044337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embankment
KR102194293B1 (en) Breast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